KR20020065292A - 연마기구 - Google Patents

연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292A
KR20020065292A KR1020010005729A KR20010005729A KR20020065292A KR 20020065292 A KR20020065292 A KR 20020065292A KR 1020010005729 A KR1020010005729 A KR 1020010005729A KR 20010005729 A KR20010005729 A KR 20010005729A KR 20020065292 A KR20020065292 A KR 2002006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reel
tape
case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식
김경희
Original Assignee
한정식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김경희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102001000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5292A/ko
Publication of KR2002006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45D29/14Polishing devices for nail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 A45D29/05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6Nail-tip shaper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의 케이스 내에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케이스 내에 말아서 내장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연마테이프를 연마헤드로 인출시켜 사용토록 하고 사용된 연마테이프는 케이스 내로 권취되게 하며 상기 연마헤드로 인출된 연마테이프에는 인장력을 갖게 하여 연마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에 편의성 및 보관 및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 연마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어 한 손으로 부여잡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일정한 폭을 갖고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말아서 내장시킨 풀어내는 릴과 상기 풀어내는 릴과 연동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된 연마테이프를 회수하는 다이얼핸들을 포함하는 감는 릴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되어 풀어내는 릴에서 인출된 연마테이프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되게 안내하는 연마헤드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풀어내는 릴과 감는 릴의 회전을 고정시켜 연마헤드에서 사용되는 연마테이프에 인장력을 갖게 하는 래치수단과; 상기 풀어내는 릴에 설치되어 연마테이프의 반출 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클러치회전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기구{pol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손톱(또는 발톱)을 연마하거나 또는 각종 제품들의 간단한 연마에 적합한 연마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의 케이스 내에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말아서 내장시키고, 필요에 따라 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된 연마헤드로 조금씩 인출하여 사용토록 하고, 이때 새것의 연마테이프의 면이 인출되면 사용된 면은 케이스 내부로 권취되게 하며 인출된 연마테이프가 인장력을 갖게 하여 연마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고 동시에 보관 및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 새로운 연마기구에 관한 것이다.
손톱을 연마하는 목적은, 손톱의 표면을 연마함으로서 손톱의 표면에 광택이 나게 되어 매니큐어를 바르지 않고서도 손톱의 심플한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거나, 또는 손톱 표면의 긁힘 등으로 인해 손상된 경우에 연마를 함으로서 손톱의 손상부분을 없애거나, 기타 손톱에 가는 선이 나타나는 손톱종열증(Onychorrhexis) 현상으로 인한 미세 요철모양의 손톱 표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하여 연마를 하게 된다.
또한 손톱에 매니큐어를 칠할 때 매니큐어가 손톱에서 잘 일어나지(벗겨지지) 않고 착상이 잘되게 하거나 또는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매니큐어를 칠하기 전에 손톱의 표면을 연마 가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손톱을 연마하는 기구는 오래 전부터 많은 발명가들에 의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74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75466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4-9202호에 발명된 연마 기구는 평판형 막대 형태의 양 표면에 입자크기가 다른 연마부를 복수로 형성한 막대 형태의 연마 기구로서, 이는 입자크기가 다른 연마부를 통해 단계별로 손톱을 연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막대형태 연마 기구의 경우에는 구조가 간단하나, 연마 기구 전 부분이 노출되어 있어 연마부의 사용 유무를 잘 파악할 수 없는 등 사용에 불편을 주게 되고 막대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어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88-11444호는 마치 그라인더와 같은 전동기구로 손톱을 연마하는 전동 연마 기구이며, 이와 같은 전동 연마 기구들은 많은 발명가들이 제안한 바 있는데, 이러한 전동 연마 기구는 배터리 및 모터를 필수적으로 구성하게 되어 무겁고 값이 비싸며, 구성도 복잡하여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연마 기구를 제안하는 것으로,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의 케이스 내에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케이스 내에 말아서 내장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연마테이프를 연마헤드로 인출시켜 사용토록 하고 사용된 연마테이프는 케이스 내로 권취되게 하며 상기 연마헤드로 인출된 연마테이프에는 인장력을 갖게 하여 연마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에 편의성 및 보관 및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 연마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톱의 연마시 손톱의 구석구석까지 용이한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완벽한 연마를 보장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제공함으로서 연마테이프의 제공 길이만큼 오랜 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연마테이프의 사용 시 사용부분만을 연마헤드로 노출시킴으로서 사용유무를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미사용에 따른 낭비를 막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어 한 손으로 부여잡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일정한 폭을 갖고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말아서 내장시킨 풀어내는 릴과 상기 풀어내는 릴과 연동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된 연마테이프를 회수하는 다이얼핸들을 포함하는 감는 릴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되어 풀어내는 릴에서 인출된 연마테이프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되게 안내하는 연마헤드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풀어내는 릴과 감는 릴의 회전을 고정시켜 연마헤드에서 사용되는 연마테이프에 인장력을 갖게 하는 래치수단과;
상기 풀어내는 릴에 설치되어 연마테이프의 반출 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클러치회전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헤드는 수평연마부와 첨단연마부 및 브리지 형태로 받치는 궁형연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연마부는 딱딱한 면으로 받쳐주는 하드 백킹(Hard Backing)면과 부드러운 면으로 받쳐주도록 소프트 백킹(Soft Backing)면을 구성하는 쿠션 패드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단연마부는 폭방향이 궁형요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헤드에는 노출된 연마테이프를 보호하는 캡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테이프는 기재에 연마부가 코팅된 것으로, 상기 연마부가 동일한 연마입자크기로 된 단일형 연마테이프이거나 또는 연마부의 연마입자크기를 2-3단계로 하여 일정간격마다 번갈아 가며 구성된 단계별 연마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수단은, 두 개의 탄성래치막대를 갖는 중공핀이 케이스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폴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탄성래치막대가 풀어내는 릴과 감는 릴에 형성된 래치휠에 각각 일방향 걸림되고 상기 풀어내는 릴측의 탄성래치막대는 케이스본체에 형성된 누름버튼에 의하여 래치휠에서 이탈 가능하게 되어 풀어내는 릴의 회전을 고정 또는 자유롭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회전구동부재는, 중공축의 외측으로 풀어내는 릴에 형성된 클러치홈과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조립되도록 복수로 분할된 탄성걸림클러치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단에는 연동수단인 반출기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이외에 관련되는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에 기초한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중에서 지적한 그 신규사항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마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마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는 릴의 저면부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 본체의 조립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마기구의 작용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마기구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의 작용상태도.
도 9a, 9b는 본 발명의 연마테이프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마기구20 : 케이스
40 : 풀어내는 릴50 : 클러치회전구동부재
60 : 감는 릴61 : 다이얼핸들
70 : 연마헤드80 : 래치수단
100 : 연마테이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 9b에 본 발명에 관한 연마기구가 도시되어 있고,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부재 또는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연마기구(10)는, 구체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의 표면을 연마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각종 제품들의 간단한 연마 도구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고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100)는 케이스(20)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케이스(20) 내로 권취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케이스(20)에 사용할 연마테이프(100)를 말아서 내장한 풀어내는 릴(40)과, 이 풀어내는 릴(40)에서 인출되어 사용된 연마테이프 (100)를 회수하도록 다이얼핸들(61)을 포함하는 감는 릴(60)과, 연마테이프(100)를 연마 시 사용하는 연마헤드(70)와, 상기 연마헤드(70)에서 연마테이프(100)를 사용 중에 연마테이프(100)가 풀어내는 릴(40)과 감는 릴(6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마헤드(70)에서 사용되는 연마테이프(100)에 인장력을 갖게 하는 래치수단(80) 및 상기 풀어내는 릴(40)과 함께 설치되어 연마테이프(100)의 반출 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클러치회전구동부재(50)가 주요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 합성수지제로, 그 외형이 한 손으로 부여잡고 조작 및 사용 가능한 형상 치수를 갖으며, 상기 케이스(20)는 케이스 본체(21)와 덮개(22)로 이루어진 2분할 구조로 이루어져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에서 케이스(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하여 케이스(20)의 내부가 들여다 보일 수 있게 할 수 있고, 또는 케이스(20)를 불투명으로 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내부가 보이지 않는 케이스(20)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테이프(100)의 사용량을 파악하는 덮개(22) 측에 점검구멍(22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풀어내는 릴(40)에는 원통형상의 외주에 사용하지 않은 연마테이프 (100)가 롤 형태로 말아져 있고, 원통의 일측단에는 래치휠(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원통의 중앙 구멍에는 축방향으로 클러치홈(4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풀어내는 릴(40)에 통해 클러치회전구동부재(50)가 설치된다. 이 클러치회전구동부재(50)의 중공축(51)이 케이스본체(21)에 직립상태로 일체 형성된 지지축(23)에 삽입되어 이 지지축(23)에 회전 자유롭게 되며, 상기 중공축(51)의 외측으로 상기 풀어내는 릴(40)에 형성된 클러치홈(42)과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조립되도록 복수로 분할된 탄성걸림클러치축(5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클러치회전구동부재(50)의 일측단에는 연동수단인 반출기어(5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감는 릴(60)은, 사용이 끝난 연마테이프(100)를 권취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원통형상의 외주에 상기한 연마테이프(100)의 선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원통의 일측단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래치휠(62)과 연동수단인 감는기어(63)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원통의 중앙 구멍으로 단턱을 갖고 키홈(64a)이 형성된 고정홀(64)을 통해 다이얼핸들(61)이 고정부(61a)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다이얼핸들(61)을 포함하는 감는 릴(60)은 중공축(65)을 통해 케이스본체(21)에 직립상태로 일체 형성된 지지축(24)에 삽입되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다이얼핸들(61)은 케이스본체(21)의 일부를 절결한 부분(21a)으로 일부가 케이스본체(21)로부터 노출되어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20)의 전체 크기를 축소시켜 콤팩트하게 할 경우에 케이스본체(21)를 양쪽을 절결하여 상기 다이얼핸들(61)의 노출부분을 양쪽 두 부분으로 노출시킴으로서 사용자는 다이얼핸들(61)의 조작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연마테이프(100)로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基材)(101)로서 섬유 테이프, 플라스틱제 테이프, 또는 종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기재 (101)의 한쪽 면에 연마부(102)가 코팅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에서 연마부(102)는 연마입자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도 9a와 같이 단일형 연마테이프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를 단계별로 하여 굵은연마입자(102a), 미세연마입자(102b), 광택연마입자(102c)로 되는 3단계형 연마부(102)를 일정간격마다 번갈아 가며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를 2단계로 하여 미세연마입자(102b), 광택연마입자 (102c)로 되는 2단계형 연마부(102)를 일정간격마다 번갈아 가며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 9a에 도시된 단일형 연마테이프(100)의 경우에는 손톱손질을 전문으로 하여 사용빈도수가 높은 업소에서 사용이 적합하며, 이때에는 단일형 연마테이프의 연마입자를 단계별로 하여 굵은연마입자 연마테이프, 미세연마입자 연마테이프, 광택연마입자 연마테이프 3개를 1세트화시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9b, 9c에 도시된 연마부가 3단계 또는 2단계별로 된 연마테이프 (100)는 사용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개인용으로 적합할 것이다.
상기 케이스(20)의 일측 선단에는 연마헤드(70)가 형성된다. 이 연마헤드 (70)는 사용할 연마테이프(100)를 풀어내는 릴(40)에서 인출시켜 손톱을 연마하는 부분으로 연마헤드(70)의 폭은 연마테이프(100)의 폭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하여 연마테이프(100)가 연마헤드(70)에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헤드(70)는 딱딱한 면으로 받쳐주는 하드 백킹(Hard Backing) 면(71a)과 부드러운 면으로 받쳐주도록 소프트 백킹(Soft Backing)면을 구성하는 쿠션 패드(75)가 부착된 수평연마부(71)와, 손톱(또는 발톱)의 가장자리 등의 미세한 부위 연마나 정교한 연마를 위해 연마테이프(100)의 폭방향 양 끝을 예리하게 해 주며 동시에 연마테이프(100)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첨단연마부(72)와, 상기 연마테이프(100)를 브리지 형태로 받치도록 하여 연마테이프(100)가 텐션력을 갖고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피연마재의 곡률에 대응하면서 부드러운 곡면으로 연마될 수 있도록 하는 궁형연마부(7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첨단연마부(7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테이프(100)가 반전되는 부분으로 폭방향으로 미세하여 파여진 궁형요부(72a)를 이루게 함으로서 손톱의 연마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연마테이프(100)가 궁형요부(72a)에의하여 브리지 형태로 안정되게 자리를 잡게 되어 연마테이프(100)의 사용 시 연마테이프(100)가 연마헤드(70)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마헤드(70)에는 노출된 연마테이프(100)를 보호하는 캡(76)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 시에는 캡(76)을 벗겨 사용하고 미사용 시에는 캡(76)을 씌워 연마테이프(100)를 외부로부터 깨끗하게 보호하게 된다.
상기 래치수단(80)은, 두 개의 탄성래치막대(81a)(81b)를 갖는 중공핀(81)이 케이스본체(21)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폴(25)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탄성래치막대 (81a)(81b)가 풀어내는 릴(40)과 감는 릴(60)에 형성된 래치휠(41)(62)에 각각 일방향 걸림되고 상기 풀어내는 릴(40)측의 탄성래치막대(81a)는 케이스본체(21)에 형성된 누름버튼(26)에 의하여 래치휠(41)에서 이탈 가능하게 되어 풀어내는 릴(40)의 회전을 고정 또는 자유롭게 한다.
도면중 설명부호 27과 28은 케이스(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마테이프(100)의 인출 및 회수시 안내하는 가이드폴이고, 도면부호 29, 30, 31, 32, 33은 케이스 (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폴(27)(28)과 지지축(23)(24) 및 중공핀(81)을 지지하는 지지돌기이고, 도면부호 34, 35는 연마헤드(70)와 연통되어 연마테이프 (100)를 안내하는 슬릿이고, 도면부호 36, 37은 케이스본체(21)와 덮개(22)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훅이고, 도면부호 38은 덮개(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훅(37)을 안내하는 중공가이드핀이고, 도면부호 39는 상기 지지축(23)을 지지하고 동시에 풀어내는 릴(40)이 케이스 본체(21)의 바닥과 이격되게 하는 리브이고, 도면부호 76, 77은 연마헤드(70)에 형성되어 조립을 유도하는 조립핀 및 조립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마 기구(10)를 사용하여 손톱을 연마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 사용시에는 연마테이프(100)가 연마헤드(70)에 있어 이를 사용하면 된다.
이때 탄성래치막대(81a)(81b)가 풀어내는 릴(40)과 감는 릴(60)에 형성된 래치휠(41)(62)에 각각 일방향 걸림되어 있어 풀어내는 릴(40)과 감는 릴(60)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연마헤드(70)로 노출되어 있는 연마테이프 (100)를 타이트한 상태로서 인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케이스(20)를 부여잡고 연마할 다른 한 손의 손톱을 연마헤드(70)에 위치시켜 연마를 하게 되는데, 손톱을 수평연마부(71)에 위치시켜 케이스(20) 또는 손톱을 전,후(또는 좌,우) 이동시켜 가면서 연마를 하거나 또는 첨단연마부(72)나 궁형연마부(73)에서 연마를 하게 된다.
즉, 수평연마부(71)에는 쿠션 패드(75)가 부착되어 있어 연마테이프(100)와 손톱간에 밀착성을 향상시켜 부드러운 연마를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딱딱한 면으로 받쳐주는 하드 백킹면(71a)이 형성되어 있어 하드한 연마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첨단연마부(72)는 끝이 예리하여 손톱 또는 발톱의 가장자리 등 미세한 부위나 정교한 연마를 하기에 적합하고, 궁형연마부(73)는 손톱 또는 발톱의 곡률에 연마테이프(100)가 텐션력을 갖고 대응하여 곡면연마의 사용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연마테이프(100)를 연마헤드(70)에서 사용할 때 첨단연마부(72)에형성된 궁형요부(72a)에 의하여 브리지 형태로 안정되게 자리를 잡게 되어 연마테이프(100)가 연마헤드(70)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마테이프(100)를 손톱 연마에 사용하게 되면, 손톱이 연마되면서 발생되는 손톱분말이 연마입자 사이를 메우어 표면의 거칠기가 점점 약해지게 되어 연마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마헤드(70)에 사용하지 않은 새것의 연마테이프(100)를 인출하여 노출시켜야 할 것이다.
이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스(20)를 손에 잡고 손가락으로 도 8b와 같이 누름버튼(26)을 눌러 탄성래치막대(81a)를 래치휠(41)에서 이탈시킨다. 이에 따라 풀어내는 릴(40)은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이후 다이얼핸들(61)을 회전시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함께 조립된 감는 릴(60)이 회전되고 연동수단인 감는기어(63)가 클러치회전구동부재(50)에 형성된 반출기어(53)를 회전시킴에 따라 클러치회전구동부재 (50)에 설치된 풀어내는 릴(40)이 회전하여 연마테이프(100)는 풀어내는 릴(40)에서 반출되면서 가이드폴(27)과 슬릿(34)을 통해 안내되어 연마헤드(70)의 수평 연마부(73)를 지나 첨단 연마부(72)에서 반전하여 수평연마부(71)로 안내되며 사용된 연마테이프(100)는 첨단연마부(72)에서 반전하여 궁형연마부(73)를 거쳐 슬릿(35)과 가이드폴(28)의 안내를 받으며 감는 릴(60)로 권취되어 회수된다.
상기와 같이 연마헤드(70)에서 사용할 연마테이프(100)의 교체(이동)가 완료되면 눌렀던 누름버튼(26)에서 손을 뗀다. 이에 따라 이탈되었던 탄성래치막대 (81a)는 복귀되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휠(41)에 걸림되어 윈위치됨으로서 풀어내는 릴(40)의 회전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연마헤드(70)에 위치되어 있은 연마테이프(100)는 타이트한 인장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감는 릴(60) 측의 래치휠(62)에 걸림된 탄성래치막대(81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휠(62)에 감김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는 릴(60)의 회전시 래치휠(62)이 탄성래치막대(81b)를 걸고 넘어가게 되어 해제할 필요가 없다.
상기와 같이 연마테이프(100)를 계속 사용함에 따라 풀어내는 릴(40)에 있어서의 연마테이프(100)의 권취외경(또는 반출외경)은 점점 작아지는데 반하여 감는 릴(60)에 있어서의 귄취외경은 점점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풀어내는 릴(40)과 감는 릴(60)의 회전비는 연동수단의 기어(53)(63)에 의해 항상 일정하다. 이에 따라 감는 릴(60)의 속도는 풀어내는 릴(40)의 속도와 비교하여 점점 빨라지게 되면, 이들 두 속도의 동기가 무너져, 상기 풀어내는 릴(40)에 작용하는 회전토크가 커지면서 풀어내는 릴(40)이 클러치회전구동부재(50)에서 미끄럼 회전하는 결과 상기 풀어내는 릴(40)의 반출 속도가 감는 릴(60)의 감는 속도에 동기된다.
즉,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어내는 릴(40)에 회전토크가 커지면서 그 회전토크에 의하여 클러치회전구동부재(50)에 형성된 탄성걸림클러치축(52)이 풀어내는 릴(40)에 형성된 클러치홈(42)에서 걸어맞춤 및 분리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져 풀어내는 릴(40)의 미끄럼회전과 함께 연동수단에 의한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연마테이프(100)의 반출 속도와 감는 속도가 동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마테이프(100)의 안정된 주행동작을 보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 기구에 따르면,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제공함으로서 연마테이프의 제공 길이만큼 오랜 동안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연마테이프가 케이스 설치된 릴에 반출 및 회수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고 연마테이프의 사용 시 사용부분만을 연마헤드로 노출시킴으로서 사용유무를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미사용에 따른 낭비를 막고, 연마헤드의 제공으로 손톱의 연마시 손톱의 구석구석까지 용이한 연마가 이루어지고, 연마테이프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어 휴대의 편의성 및 케이스의 크기가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가 적당하여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연마테이프의 반출 속도와 감는 속도가 동기되어 연마테이프의 안정된 주행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연마기구에 대하여 손톱에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발톱에도 본 발명의 연마기구를 사용함으로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기타 각종 제품들의 간단한 연마에도 본 발명의 연마기구를 사용하여 연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예만으로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범위에 기술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면,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어 한 손으로 부여잡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일정한 폭을 갖고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연마테이프를 말아서 내장시킨 풀어내는 릴과 상기 풀어내는 릴과 연동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된 연마테이프를 회수하는 다이얼핸들을 포함하는 감는 릴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되어 풀어내는 릴에서 인출된 연마테이프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되게 안내하는 연마헤드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풀어내는 릴과 감는 릴의 회전을 고정시켜 연마헤드에서 사용되는 연마테이프에 인장력을 갖게 하는 래치수단과;
    상기 풀어내는 릴에 설치되어 연마테이프의 반출 속도와 감는 속도를 동기시키는 클러치회전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헤드는 수평연마부와 첨단연마부 및 브리지 형태로 받치는 궁형연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마부는 딱딱한 면으로 받쳐주는 하드 백킹 (Hard Backing)면과 부드러운 면으로 받쳐주도록 소프트 백킹(Soft Backing)면을 구성하는 쿠션 패드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연마부는 폭방향이 궁형요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헤드에는 노출된 연마테이프를 보호하는 캡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테이프는 기재에 연마부가 코팅된 것으로, 상기 연마부가 동일한 연마입자크기로 된 단일형 연마테이프이거나 또는 연마부의 연마입자크기를 2-3단계로 하여 일정간격마다 번갈아 가며 구성된 단계별 연마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두 개의 탄성래치막대를 갖는 중공핀이 케이스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폴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탄성래치막대가 풀어내는 릴과 감는 릴에 형성된 래치휠에 각각 일방향 걸림되고 상기 풀어내는 릴측의 탄성래치막대는 케이스본체에 형성된 누름버튼에 의하여 래치휠에서 이탈 가능하게 되어 풀어내는 릴의 회전을 고정 또는 자유롭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회전구동부재는, 중공축의 외측으로 풀어내는릴에 형성된 클러치홈과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조립되도록 복수로 분할된 탄성걸림클러치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단에는 연동수단인 반출기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구.
KR1020010005729A 2001-02-06 2001-02-06 연마기구 KR20020065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729A KR20020065292A (ko) 2001-02-06 2001-02-06 연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729A KR20020065292A (ko) 2001-02-06 2001-02-06 연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92A true KR20020065292A (ko) 2002-08-13

Family

ID=2769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729A KR20020065292A (ko) 2001-02-06 2001-02-06 연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52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03A (ko) * 2001-11-13 2003-05-22 정용배 손톱줄의 손잡이 자동조립장치
KR100721123B1 (ko) * 2006-01-19 2007-05-23 광 호 유 양면 및 단면 접착테이프의 도포장치
KR100788049B1 (ko) * 2007-01-29 2007-12-24 이상래 휴대용 손톱 광택기
KR101222020B1 (ko) * 2012-01-06 2013-01-14 (주)뷰티프로모션스 손톱 연마구
WO2018026071A1 (ko) * 2016-08-03 2018-02-08 (주)뷰티프로모션스 회전형 네일호일 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03A (ko) * 2001-11-13 2003-05-22 정용배 손톱줄의 손잡이 자동조립장치
KR100721123B1 (ko) * 2006-01-19 2007-05-23 광 호 유 양면 및 단면 접착테이프의 도포장치
KR100788049B1 (ko) * 2007-01-29 2007-12-24 이상래 휴대용 손톱 광택기
KR101222020B1 (ko) * 2012-01-06 2013-01-14 (주)뷰티프로모션스 손톱 연마구
WO2013103260A1 (ko) * 2012-01-06 2013-07-11 (주)뷰티프로모션스 손톱 연마구
WO2018026071A1 (ko) * 2016-08-03 2018-02-08 (주)뷰티프로모션스 회전형 네일호일 공급장치
CN107684221A (zh) * 2016-08-03 2018-02-13 株式会社美迪普罗梦琼斯 旋转型指甲贴供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0270A (en) Fingernail grooming device
US20070193426A1 (en) Adhesive tape dispenser
US20090199865A1 (en) Compact mirror floss container
EP1982613A2 (en) Electric nail polisher
US6394165B1 (en) Self-adhesive element dispenser and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50009228A (ko) 테이프 클리너
KR20020065292A (ko) 연마기구
JP2016536237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US6684924B1 (en) Tape dispenser
WO2015041356A1 (ja) 増毛用材料の保持具
JP6016348B2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CN214817330U (zh) 一种光学镜片毛刺去除装置
CN1159199C (zh) 胶带取用器
US2758327A (en) Lint remover
US6148828A (en) Cosmetic device for dispensing a wiping material
KR101324984B1 (ko) 전동식 손톱정리장치
JP3107036U (ja) スクラッチ層剥離器具
KR101204360B1 (ko) 일회용 입술화장도구 및 그 입술화장방법
KR20190060384A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접착테이프 케이스
KR20040087735A (ko) 연마기구
CN213164692U (zh) 新型砂纸打磨器
CN217138217U (zh) 磨脚装置
CN214397881U (zh) 一种医用护理标签收纳盒
JP3235542U (ja) 爪手入れ道具セット
KR200402265Y1 (ko) 손톱정리 기능을 겸비한 휴대폰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