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055A -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055A
KR20020065055A KR1020010005394A KR20010005394A KR20020065055A KR 20020065055 A KR20020065055 A KR 20020065055A KR 1020010005394 A KR1020010005394 A KR 1020010005394A KR 20010005394 A KR20010005394 A KR 20010005394A KR 20020065055 A KR20020065055 A KR 2002006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dentification code
caller identification
op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958B1 (ko
Inventor
김수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9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70Identification of class of calling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면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된 메모리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가입자별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읽는 과정과, 상기 읽어들인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따라 송출하기 위한 발신자 정보를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대응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METHOD FOR OPTIONAL TRANSMITTING INFORMATION OF CALLER IDENTIFICATION IN PRIVATE BRANCH EXCHANGE}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발신자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발신자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된 발신자 식별코드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송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시스템이라 함은 동일 건물 내 또는 동일 회사 등에서다수의 국선과 다수의 내선 가입자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스위칭 하는 소형 교환기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키폰시스템, 구내전화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자동 구내교환기(PABX; Private Branch Automatic eXchange) 등이 있다.
이러한 사설교환기에서는 내선가입자에게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발신자 식별코드(Caller ID)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내선가입자에게 알리는 방법이었다.
즉, 발신자에 의한 호출이 발생하면 국설교환기는 호출이 발생한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발신자 식별코드로 구성하여 해당 착신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착신측은 사설교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설교환기를 의미하며, 사설교환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일반가입자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발신자 식별정보를 수신한 착신측에서는 수신한 발신자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분석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해당 가입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경우에는 국설교환기로부터 수신된 가입자에 대한 발신자 식별코드를 선택적인 구성이나 처리없이 획일적으로 분석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만을 해당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한 발신자 식별코드로부터 발신자의 제한된 정보만을 획일적으로 제공받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교환기에서 발신자 식별코드의 정보를 다양하게 송출할 수 있도록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대응하여 발신자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에 있어서,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면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된 메모리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가입자별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읽는 과정과, 상기 읽어들인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따라 송출하기 위한 발신자 정보를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대응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과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들을 저장한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이용한 발신자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을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선을 통해 착신되는 발신자 식별코드(Caller ID)를 감지하는 Caller ID 감지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사설교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10)는 사설교환기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국선을 통해 제공되는 발신자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따라 해당 내선가입자에게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스위칭부(10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사설교환기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간을 스위칭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10)가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 발신자 식별코드 국선 수신신호가 검출되면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이 저장된 메모리를 검색하기 위하여 메모리부(112)로 스위칭 한다.
메모리부(112)는 상기 제어부(110)가 제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제어 프로그램과 사설교환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록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과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내선 가입자별로 특정 크기의 할당된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과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들을 저장한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검출된 발신자 식별코드에 대응되어 옵션들이 저장되며, 도 2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들에 대응되어 다양하게 구성된 발신자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링발생부(104)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착신 호에 대응하는 링 신호를 발생하며, 이는 상기 스위칭부(100)를 거쳐 원하는 내선가입자, 키폰전화기, 디지털 키폰전화기 등의 가입자에게 제공된다.
DTMF 수신부(106)는 상기 스위칭부(100)를 통해 인가되는 듀얼톤 다주파신호(Dual Tone Multi Frequency, 이하 "DTMF신호"라 칭함)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DTMF 송신부(108)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원하는 DTMF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부(100)로 출력한다.
일반가입자회로(114)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위칭부(100)와 내선가입자 중 일반가입자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선회로(116)는 일반국선회로와 DID(Direct Inward Dialing:내선직접호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일반국선 및 DID국선과 상기 스위칭부(100)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폰가입자회로(118)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위칭부(100)와 내선가입자 중 키폰가입자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폰가입자는 1회선의 음성라인과 1회선의 제어라인을 통해 상기 키폰가입자회로(118)에 연결되며,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 키폰전화기와 디지털 키폰전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키폰전화기에 한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발신자의 정보들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Caller ID 감지부(102)는 국설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링 신호와 함께 제공되는 발신자 식별코드(Caller ID)를 검출하여 검출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이용한 발신자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을 위해 제어부(110)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3를 참조하여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긴급발신허용 전화번호 테이블과 긴급발신 엑세스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12)와, 키폰시스템의 디지털 전화기와 일반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는 내선접속부(미 도시함)와, 키폰시스템의 일반국선카드를 실장할 수 있는 국선접속부(미 도시함) 및 발신자 식별코드를 감지할 수 있는 Caller ID감지부(102)를 적어도 구비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과 이에 대응된 발신자 정보들을 저장할 메모리를 특정 크기로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를 각 내선가입자별로 선택하여 할당된 메모리에 특정 크기 단위로 메모리부(112)에 저장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그리고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면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된 메모리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가입자별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읽는 과정과, 상기 읽어들인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따라 송출하기 위한 발신자 정보를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대응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은 디지털 키폰전화기에 적용되는 예이며, 상세한 설명은 개시하지 않으나 제어라인을 구비하는 키폰단말기 중 발신자 전화번호 등 발신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구비한 경우에는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먼저, 사설교환기의 전반적인 처리를 관장하는 제어부(110)는 300단계에서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의 검출이 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의 착신은 발신자 식별코드의 전송이 가능한 국선을 통한 착신에 해당하며, 이 경우 착신 호의 감지는 국선회로(116)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110)로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림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10)는 300단계에서 신호수신을 감지하면 착신신호를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착신신호의 분석은 Caller ID 감지부(102)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Caller ID 감지부(102)는 상기 국선회로(116)를 통해 수신된 착신신호가 발신자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행하게된다.
Caller ID 감지부(102)의 판단에 의해 발신자 식별코드의 검출이 감지되면, 우선 제어부(11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 식별코드 저장 메모리를 검색한다. 그리고 306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308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별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읽어들인다. 만일 306단계의 판단에서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발신자 식별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하였던 통상적인 제어를 행하고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308단계에서 읽어들인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으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의 옵션에 대응된 발신자 정보를 구분한다. 제어부(110)는 310단계의 판단에 따라 312단계 내지 316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발신자 식별코드의 옵션이 '0'인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선가입자 번호를, 발신자 식별코드의 옵션이 '1'인 경우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국선번호를, 그리고 발신자 식별코드의 옵션이 '2'인 경우에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선가입자 번호 및 국선번호를 대응한다.
제어부(110)는 310단계의 판단에 따라 312단계 내지 316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제어를 수행하고, 31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송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벙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의 정보 송출에 대하여 다양하게 구성된 발신자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긴급발신허용 전화번호 테이블과 긴급발신 엑세스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키폰시스템의 디지털 전화기와 일반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는 내선접속부와, 키폰시스템의 일반국선카드를 실장할 수 있는 국선접속부 및 발신자 식별코드를 감지할 수 있는 국선접속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면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된 메모리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발신자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가입자별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읽는 과정과,
    상기 읽어들인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을 따라 송출하기 위한 발신자 정보를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된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대응된 해당 발신자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 수신신호로부터 발신자 식별코드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과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내선 가입자별로 특정 크기로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과 발신자 식별코드 옵션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들을 각 내선가입자별로 선택하여 할당된 메모리에 특정 크기 단위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KR1020010005394A 2001-02-05 2001-02-05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KR10072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394A KR100724958B1 (ko) 2001-02-05 2001-02-05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394A KR100724958B1 (ko) 2001-02-05 2001-02-05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055A true KR20020065055A (ko) 2002-08-13
KR100724958B1 KR100724958B1 (ko) 2007-06-04

Family

ID=2769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394A KR100724958B1 (ko) 2001-02-05 2001-02-05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422B1 (ko) * 2001-08-23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저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975A (ja) * 1993-12-24 1995-07-21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発呼者識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個別課金装置
KR19990012342A (ko) * 1997-07-29 1999-02-25 윤종용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단말장치에서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아웃고잉 메시지 선택송출방법
KR100275590B1 (ko) * 1998-05-23 2000-12-15 윤종용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KR100584353B1 (ko) * 1998-12-30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신자 식별코드를 이용한 착신 알림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422B1 (ko) * 2001-08-23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저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958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590B1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JPH01279666A (ja) 電話交換装置を改良する装置及び方法
RU2001132548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лоумышленного вызова и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US6603846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ng preferred call back numbers using CID data
JPH03182149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6058167A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a functional and more user-friendly interface for downloaded ISDN telephony features
KR100724958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EP0999682A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617694B1 (ko) 국선자동 착신기능을 이용한 국선 발신방법
JP2759355B2 (ja) 同時通信発信接続制御方式
US582874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number plan for use with a general telephone and a key telephone in a key telephone system
JPS63187755A (ja) 通信端末装置
KR19980013936A (ko)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의 호 서비스방법
KR100506257B1 (ko) 키폰시스템에서 착신 국선 호 구별 착신음 발생 방법
KR100299140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발신호경로를지정하는방법
KR100247195B1 (ko) 다수의키폰장치들을전용선으로연계한시스템에서호출측식별정보송/수신방법
KR100255317B1 (ko) 키폰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US6714640B1 (en)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and extension call processing method
KR0162615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내선을 지정하는 방법
KR920000085B1 (ko) 사설교반기의 복수단말 1라인 처리 방법
KR100713522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과금코드 자동 다이얼 방법
KR100194418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국선 착신 응답 방법
JPS5944830B2 (ja) 発信接続方式
KR0162608B1 (ko) 사설교환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동 중계대의 가입자 번호등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