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01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012A
KR20020063012A KR1020010003672A KR20010003672A KR20020063012A KR 20020063012 A KR20020063012 A KR 20020063012A KR 1020010003672 A KR1020010003672 A KR 1020010003672A KR 20010003672 A KR20010003672 A KR 20010003672A KR 20020063012 A KR20020063012 A KR 2002006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using
washing
dishwash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근
김옥선
Original Assignee
이완근
김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근, 김옥선 filed Critical 이완근
Priority to KR102001000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3012A/ko
Publication of KR2002006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0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부분에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세미나 스펀지 등의 세척소재(1)를 전면에 부착하고 세척소재가 부착된 후방으로 배출공(201)을 형성한 세척판(2)을 착탈할수 있게만든 결합구(3)를 구비한 회전세척구(A)와 모우터의 동력을 회전세척구(A)로 전달하는 회전기구(4)와 회전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내장된 동력전달용 하우징(9)과 하우징 내부에 장치된 동력전달장치에 모우터의 동력을 공급하는 모우터부(8)로 구성되어 각 부분을 착탈할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개수대의 규격이나 식기의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태의 하우징과 세척구를 선택하여 손쉽게 식기세척을 할수 있게 개발한 것으로 장치가 편리하고 세척성능이 뛰어나며 가격도 저렴하여 적은 부담으로 구입할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Bowl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모우터에 착탈되는 지지암에 회전세척부를 착탈시킬수 있게 구성하여 구동모우터의 동력이 지지아암 내부에 장치된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회전세척부에 전달되게 하여 식기세척을 편리하고 능율적으로 할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진열할수 있는 세척실 내부에 음식물 찌꺼기 등이 묻은 식기를 진열한후 여러 방향에서 물줄기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식기세척기는 물줄기에 의한 세척방식으로 세척효과가 미약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물줄기의 압력을 높일 경우 식기끼리의 접촉으로 유리나 자기로 된 식기의 경우 파손이나 손상이 빈번히 발생할뿐 아니라 가격이 매우 고가여서 일반 가정에서 구매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너무 크며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개수대 상판에 가설되는 모우터에 다양한 형태의 지지암을 착탈가능케 구성하고 지지암 끝에 회전세척기를 결합하여 모우터의 동력이 지지암을 통해 회전세척기에 전달되게 한 것으로 능율적인 식기 세척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모우터의 결합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부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인풀리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구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도구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7, 도 8,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1, 도 12,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의 세척도구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회전세척구1 : 세척소재
2 : 세척판3,3' : 결합구
3a : 삽입부 301 : 축봉
302 : 돌출턱303 : 홈
304 : 배출공4,4' : 회전체
4a : 결합부401 : 삽입공
402 : 걸림돌기403 : 영구자석
5 : 매입공501 : 코일스프링
502 : 핀6,6a : 체인풀리
601 : 이탈방지판7 : 동력전달축
8 : 모우터부801 : 구동축
802 : 하우징결합구9,9' : 하우징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식기를 밀착시켜 세척하는 회전세척구(A)와 동력을 회전세척구(A)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내장된 하우징(9)과 동력을 공급하는 모우터부(8)로 구성되어 각 부분을 착탈할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회전세척구(A)는 전면에 수세미나 스펀지 등의 세척소재(1)를 부착하고 뒷면에 배출공(201)을 형성한 세척판(2)을 일측에 끼운 금속제로 된 결합구(3)의 삽입부(3a) 중앙에 축봉(301)을 형성한 구조이며, 하우징(9)은 ""형상으로 만들어 이탈방지판(601)이 형성된 체인풀리(6)(6a)를 일측에 형성하고 둘레에는 수개의 매입공(5)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501)으로 핀(502)을 탄설한 회전체(4)(4')를 상·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상부의 회전체(4')에는 동력전달축(7)을 결합하여 모우터부(8)의 구동축(801)과 연결하고 하부의 회전체(4)는 영구자석(403)이 내장된 삽입공(401)을 형성하여 내주면에 다수의 걸림턱(302)을 형성한 결합구(3)의 삽입부(3a)와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402)를 형성한 회전체(4)의 결합부(4a)가 결합되도록 결합구(3)의 축봉(301)을 회전체(4)의 삽입공(401)에 끼우고 상·하 회전체(4)(4')의 체인풀리(6)(6a)에 체인(602)을 연결한 구성이다.
도 2는 하우징(9)과 모우터(8)의 결합부를 나타낸 것으로 모우터케이스에 끼워진 하우징결합구(802)의 내주면이 4등분되는 지점에 결합편(803)을 형성하여 하우징(9)의 결합부 외측에 형성된 결합편(901)과 맞물려서 고정되게 한 구성이며 도 4는 도 1의 체인풀리(6)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양측에 이탈방지판(601)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체인풀리(6)의 고속회전이나 진동에 의해 체인(602)이 체인풀리(6)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회전체(4)의 둘레에 수개의 매입공(5)을 형성하여 여기에 코일스프링(501)으로 탄설된 핀(502)이 체인풀리(6)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603)에 끼워져 회전체(4)에 회전력을 전달할수 있게한 것이며 도 5는 결합구(3)의 삽입부(3a)와 회전체(4) 결합부(4a)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체(4)의결합부(4a)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402)가 결합구(3)의 삽입부(3a) 내주면에 형성된 영구자석을 내장하지 않을시에 돌출턱(302)에 걸려서 회전체(4)의 회전력이 결합구(3)에 전달되게 한 구성이며 도 6은 세척판(2)에 부착된 세척소재(1)의 정면예시도이며 도 7은 하우징(9)을 " -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세척구(A)가 결합된 회전체(4)와 모우터부(8)의 구동축(801)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7)을 결합한 구성이며 도 8은 결합구(3)의 삽입부(3a) 중앙에 영구자석판(404)을 부착하여 회전체(4)의 결합부(4a)가 영구자석판(404)에 부착되게 한 구성이며 첨부도면 도 9는 영구자석(403)이 내장된 세척판(2)의 중심봉(202)에 매직테이프(305)를 전면에 형성한 금속재의 설치봉(203)을 삽입하여 전면의 매직테이프(305)에 접시를 닦기 위해 납작하게 형성된 수세미와 같은 세척소재(1)를 부착할수 있게 한 구성이며 도 10은 도 9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결합구(3)의 전면에 매직테이프(305)를 부착하여 접시를 닦기위해 납작하게 형성된 수세미와 같은 세척소재(1)를 부착할수 있게한 구성이다.
도 11에서 도 13까지는 각종 세척소재(1)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모우터부(8)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세척구(A)에 전달하므로서 회전세척구(A)에 식기를 밀착시키면 식기를 세척할수 있게하고 동력전달장치를 내장한 하우징을 모우터에서 착탈할수 있게하고, 식기를 세척하는 회전세척구(A)를 하우징에서 착탈할수 있게 하므로서 식기세척기를 매우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게한 것이다.
즉, 첨부도면 도 1에서와 같이 하우징(9)에 설치된 회전체(4)의 일측 결합부(3a)를 결합구(3)의 삽입부(3a)에 끼워서 회전세척구(A)를 설치하게 되는데 삽입부(3a) 중앙에는 축봉(301)이 형성되어 이 축봉(301)을 회전체(4)의 삽입공(401)에 끼우면 회전체(4)의 삽입공(401)에 내장된 영구자석(403)과 금속재의 축봉(301)이 자력으로 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체(4)의 회전력이 결합구(3)에 전달되어 회전세척구(A)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하는 세척소재(1)에 식기를 밀착시키면 식기를 세척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식기가 밀착되는 세척소재(1)에 축봉(301)과 영구자석(403) 간의 인력보다 강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영구자석(403)과 붙어 있는 축봉(301)이 헛돌기 때문에 모우터부(8)나 동력전달장치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되며 회전체(4) 둘레에 형성된 매입공(5)에 코일스프링(501)으로 탄설된 핀(502)도 결합구(3)의 삽입부(3a) 내주면에 형성된 홈(303)에 끼워져 회전체(4)의 회전력을 결합구(3)에 전달하게 되는데 결합구(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삽입부(3a) 내주면의 홈(303)에 끼워진 핀(502)이 빠지면서 회전체(4)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쇄시켜 모우터부(8)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체인풀리(6)의 둘레에 형성된 이탈방지판(601)은 체인(602)을 이용한 동력전달 과정에서 체인(602)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되며 동력전달용 하우징(9')을 " - "형상으로 형성하면 체인(602)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없이 회전체(4)와 동력전달축(7)을 바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수 있으며하우징(9)과 모우터부(8)간의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하우징(9)을 교체할수 있게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1, 도 12, 도 1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식기의 내부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세척소재(1)가 부착된 세척판(2)을 결합구(3)에 손쉽게 착탈하여 사용할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가진 식기를 매우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뿐 만 아니라 세척판(2)과 결합구(3)에는 배출공(201)(304)을 형성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묻어 나오는 각종 음식찌꺼기 등이 배출공(201)(304)을 통해 쉽게 배출되게 하므로서 식기세척기를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식기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세척소재를 손쉽게 교환하여 사용할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식기의 세척성능이 매우 뛰어나서 단 시간에 많은 양의 식기를 세척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식기를 밀착시켜 세척하는 회전세척구(A)와 동력을 회전세척구(A)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내장된 동력전달용 하우징(9)과 동력을 공급하는 모우터부(8)로 구성되어 각 부분을 착탈할수 있게한 식기세척기.
  2. 상기 1항에 있어서, 회전세척구(A)는 전면에 세척소재(1)가 부착되고 뒷면에 배출공(201)을 형성한 고정판(2)을 갖추어서 금속제로된 결합구(3)에 결합하고 그 결합구(3)의 외측으로 삽입부(3a)를 형성하여 그 중앙부에 축봉(301)을 갖춘 구성이고, 하우징은 "" 형상의 통체로 만들어 하측축수부에 베어링을 끼우고 회전축(4)을 장치하여 회전축의 노출부에 회전세척구 결합부를 구비하여 그 둘레를 따라 코일스프링(501)에 탄압되는 결합핀(502)이 있고 내측에 체인푸울리를 갖추고 있으며 상측 축수부에 회전축(4')이 장치되어 체인푸울리(6)가 결합되는 구성이고 회전축(4')은 외측축수부에 지지되는 동력전달축(7)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동력전달축(7)의 외측이 모우터부(8)의 구동축(801)과 연결되게 하우징(9)의 결합돌기(901)가 모우터 결합부(802) 결합홈(80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착탈가능케 구성되어 있는 식기 세척기.
  3. 상기 1항에 있어서, 모우터케이스에 끼워진 하우징결합구(802)의 내주면이 4등분되는 지점에 결합편(803)을 형성하여 하우징(9)의 결합부 외측에 형성된 결합편(901)과 맞물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상기 2항에 있어서, 체인풀리(6)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홈(603)을 형성하여 회전체(4)의 둘레에 형성된 매입공(5)에 코일스프링(501)으로 탄설된 핀(502)이 끼워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상기 2항에 있어서, 동력전달하우징(9)은 원통체로 형성되어 회전세척구(A)가 결합된 회전체(4)와 모우터부(8)의 구동축(801)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7)이 일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식기세척기.
  6. 상기 2항에 있어서, 결합구(2)는 뒷면에 삽입부(3a)를 형성하여 그 중앙에 영구자석판(404)을 부착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상기 2항에 있어서, 세척판(2)은 중앙에 영구자석이 내장된 중심봉(202)을형성하여 매직테이프(305)를 전면에 형성한 금속재의 설치봉(203)을 삽입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상기 2항에 있어서, 결합구(3)에 끼워서 사용하는 세척판(2)의 세척소재(1)는 식기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10003672A 2001-01-26 2001-01-26 식기세척기 KR20020063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672A KR20020063012A (ko) 2001-01-26 2001-01-26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672A KR20020063012A (ko) 2001-01-26 2001-01-26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012A true KR20020063012A (ko) 2002-08-01

Family

ID=2769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672A KR20020063012A (ko) 2001-01-26 2001-01-26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30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71A (ko) * 2001-04-13 2002-10-19 이완근 식기세척기
KR20030014058A (ko) * 2001-08-10 2003-02-15 이완근 식기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071A (ko) * 2001-04-13 2002-10-19 이완근 식기세척기
KR20030014058A (ko) * 2001-08-10 2003-02-15 이완근 식기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4315B (zh) 碗刷式全自动洗碗机
KR20020063012A (ko) 식기세척기
US5619767A (en) Targetable-action stationary pot-scrubbing machine
US20090235469A1 (en) Washing device and mounting device for the same
KR200425607Y1 (ko) 때밀이 전용기구
US20040064907A1 (en) Hand-held, battery powered cleaning tool
KR20000034011A (ko) 식기세척기
KR0157019B1 (ko) 주방용 식기 세척장치
KR200205464Y1 (ko) 싱크대용 식기세척기
KR20090127658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950012172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걸레 착탈장치
KR20070078299A (ko) 전동 청소기
KR0183373B1 (ko) 싱크대 부착용 식기 세척기
KR0134511Y1 (ko) 식기 세척기
CN214259526U (zh) 一种洗牙喷嘴拆装结构
KR19980018982U (ko) 식기 세척기
KR970010414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KR100227191B1 (ko) 업라이트청소기
JPH08215104A (ja) 清掃具
WO2016199456A1 (ja) 電気掃除機用の吸込口体およびこの吸込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229976Y1 (ko) 병 소제용 전동 세척기
JPS61170426A (ja) 食器洗浄装置
JP3099941U (ja) 吸着ホルダ
KR200198370Y1 (ko) 4면 걸레청소기
JPH10155726A (ja) グラス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