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494A -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494A
KR20020062494A KR1020010003544A KR20010003544A KR20020062494A KR 20020062494 A KR20020062494 A KR 20020062494A KR 1020010003544 A KR1020010003544 A KR 1020010003544A KR 20010003544 A KR20010003544 A KR 20010003544A KR 20020062494 A KR20020062494 A KR 2002006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oxide
solid dispersion
concentration
amphotericin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봉규
Original Assignee
유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봉규 filed Critical 유봉규
Priority to KR102001000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2494A/ko
Publication of KR2002006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시드에 분산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포함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물리적으로 반응시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단량체로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 조성물 {The composition of solid dispersion of polyethylene oxide containing monomeric polyenemacrolide antibiotics}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시드에 분산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포함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포테리신비, 니스타틴 등과 같은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의 항생제는 전신에 확산된 진균증 치료에 있어서 중심 약물이라할 만큼 매우 중요한 약물이다. 또한 이들 약물은 아직까지 내성균이 보고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최근 아졸계 약물이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많은 진균들이 이들 약제에 내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의 작용기전은 아직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아마도 세포막의 스테롤성분과 결합하여 세포막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통하여 세포내의 필수적인 성분들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세포를 죽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포테리신비와 니스타틴이 포유동물 세포에는 독성이 적고 진균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근거는 포유동물 세포막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롤에는 친화성이 적고 진균세포막에 존재하는 에르고스테롤에 특히 친화성이 높기때문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그 친화성의 차이는 약 10배 정도로서 그다지 크지않아서 포유동물의 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독성은 신장독성으로서 치료 개시후 약 1주일후 나타나며 일단 이 독성이 나타나면 더 이상 이 약물을 투여할 수 없게 된다.
이들 약물의 둘째 단점은 수용성이 매우 낮은 것이다. 암포테리신비는 그 용해도가 물 1 밀리리터당 약 1.0 마이크로그람 정도밖에 되지않는 매우 난용성약물이다. 더우기, 이 약물은 수용액중에서는 수천개의 분자들이 결집(aggregation)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마치 분자량 1백만 정도의 고분자와 같은 특성을 갖게 된다. 이 약물의 발견초기에 피부진균증이나 구강내 칸디다증의 치료를 목적으로도 사용이 시도되었지만 피부각질침투가 이루어지지 않아 국소용치료제로는 개발되지 못하고 전신진균증 치료를 위한 주사제로만 개발되었다. 이는 수용액 중에서 이들 분자가 결집(aggregation)하는 성질로 인하여 고분자적 특성을 나타내고 따라서 피부나 구강의 표피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암포테리신비와 니스타틴의 진균에 대한 선택적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결과 이들 약물의 단량체(결집되지 않은 단일 분자상태)는 진균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작용이 있지만, 결집체는 진균세포와 포유동물세포에 대한 선택적 작용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암포테리신비의 부작용을 줄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현재 이미 3개의 제품들이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시판중이다.
그러나, 이들 3개의 제품들은 모두 지질과 암포테리신비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것으로서 아직도 완전히 단량체라고는 할 수 없고 정맥주사후 서서히 단량체를 유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이들은 현재 1일 치료비가 미화 약 일천불에 이르는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단량체 형태로 인체에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그 효과와 비용면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혁신적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용액 중 암포테리신비의 결집정도 (Ⅰ/Ⅳ 비율)를 분자량 3,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농도별(◆, 25%; ●, 10%; □, 5%; ■, 0.5%; 및 ○, 0%)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
도 2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용액 중 암포테리신비의 결집정도 (Ⅰ/Ⅳ 비율)를 분자량 8,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농도별(▼, 15%; ●, 10%; □, 5%; ■, 0.5%; 및 ○, 0%)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용액 중 암포테리신비의 결집정도 (Ⅰ/Ⅳ 비율)를 분자량 2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농도별(●, 10%; □, 5%; ■, 0.5%; ▲, 0.1%; 및 ○, 0%)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용액 중 암포테리신비의 용혈작용을 분자량 3,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농도별(◆, 25%; ●, 10%; 및 ■, 0.5%)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
도 5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용액 중 암포테리신비의 용혈작용을 분자량 8,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농도별(▼, 15%; ●, 10%; 및 ■, 0.5%)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용액 중 암포테리신비의 용혈작용을 분자량 2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농도별(●, 10%; □, 5%; 및 ■, 0.5%)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시드에 분산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포함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가 약 0.1~30 중량%이며 폴리에틸렌옥시드가 약 70~99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가 약 0.1~2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0%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로서는 암포테리신비, 니스타틴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시드가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 분자들의 결집현상(aggregation)을 방해함으로서 이들 분자들이 단량체로 남아있게 하거나 혹은 결집현상이 생긴다 하여도 그 정도가 현저히 낮은 결집체가 되도록하는 것이다.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의 양쪽성 성질을 감안하여 생각하여 보면 이 현상은 이들 약물분자와 폴리에틸렌옥시드코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결과는 위니크와 레지스몬드의 연구에서 제안된 친수성 고분자가 양쪽성 화합물과 상호작용한다는 이론과 일치된다. (F. Winnik and S. Regismond, Colloids Surfaces A: Physicochem. Eng. Aspects 118:1-39(1996))
폴리에틸렌옥시드는 친수성인 고분자로서 저농도용액에서는 비교적 자유로운 분자운동이 일어나지만 일정농도이상이 되면 분자들의 코일들이 서로 엉켜서 분자운동이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와같이 되기 시작하는 농도를 임계중첩농도 (critical overlapping concentration, COC)라고 한다. 또한 이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와 같은 양쪽성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소수성결합 (hydrophobic bond)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옥시드를 이용하여 암포테리신비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으며 폴리에틸렌옥시드가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의 결집작용 (aggregation)을 저지하는 데 관련된 핵심적인 요소를 발견하였다. 즉,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력학적 반경이 암포테리신비의 반경보다 작으면 그 농도와 상관없이 결집저지작용이 없었다. 만일, 이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력학적 반경이 암포테리신비의 반경보다 크면 결집저지작용을 나타낼 수 있지만 반드시 임계중첩농도(COC) 이상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옥시드의 농도를 임계중첩농도(COC)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수력학적 반경이 암포테리신비의 반경보다 큰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은 10,00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옥시드는 분자량 1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고체분산체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고체분산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유기용제로는 양쪽성 성질을 가진 유기용제이면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디, 메틸설폭사이드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설폭사이드이다. 또한 유기용제의 적용농도는 1~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들 용제는 각질침투작용이 우수하므로 약물을 진피속으로 효과적으로 이행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0.05~0.5% 정도 잔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결건조 과정 전에 일정온도에서 인큐베이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인큐베이션 온도는 섭씨 25~40 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섭씨 37도이다. 바람직한 인큐베이션 시간은 5~30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은, 분산된 약물분자가 고체분산체내에서 단량체로 존재하고 나아가 적당한 완충액이나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용해시켜도 계속 단량체로 유지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이와같이 제조한 고체분산체는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나아가 각종의 진균성 질환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이들 약물은 용매에 용해시켜도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역할로 인하여 약물이 결집되지 못하고 계속 단량체로 존재하게 되므로 인체에의 부작용이 없고 진균에만 선택적으로 독성을 발현하므로 치료계수(therapeutic index)가 매우 높다. 또한, 단량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경구투여로도 흡수가 가능하며 표피와 진피에 기생하는 각종 진균성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국소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은, 직접 경구로 투여하거나 사용직전 적당한 완충액이나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용해시켜 주사제로 또는 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외용의 경우는 특히 족부백선, 체부백선, 구강내칸디다증, 질칸디다증 등의 병소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에는 예를 들어 부형제, 항산화제, 붕해제, 용출조절제, 방향제, 가소제, 방부제, 색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물리적으로 반응시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단량체로 제공하며, 그 동안 연구되고 등록된 미국특허등의 지질(lipid)과의 물리적, 화학적결합을 통한 방법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방법을 채택하여 그 효과와 비용면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혁신적으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단량체로 제공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량체가 되면, (1)진균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2)결집현상으로 인한 고분자적 성질을 갖지 않으므로 경구투여로 흡수가 가능하며 또한 (3)피부각질을 쉽게 통과하므로 표피와 진피에 기생하는 각종 진균성 질환에 대하여 국소용 치료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암포테리신비-폴리에틸렌옥시드 고체분산체의 제조
폴리에틸렌옥시드(분자량 20,000) 108, 216, 433 및 866 밀리그람을 각각 증류수 10밀리리터에 넣고 섭씨 37도의 중탕에서 가온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암포테리신비 10밀리그람을 취하여 디메틸설폭시드 (DMSO) 0.5밀리리터를 넣어 완전히 용해시킨후 이중 0.35밀리리터를 취하여 폴리에틸렌옥시드를 함유한 라운드플라스크에 가하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역시 섭씨 37도에서 5-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때 암포테리신비의 빛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하여 언제나 알루미늄포일로 잘 싸서 차광이 되도록 하였다. 인큐베이션이 끝난 후 곧바로 플라스크를 액체질소에담가서 냉동시키고 동결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섭씨 8도의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제조된 고체분산체 중 암포테리신비의 용해도를 각각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체분산체 중 암포테리신비의 용해도 및 그 회수율
몰비율 (암포테리신비:폴리에틸렌옥시드) 제조전 암포테리신비 함량 (%) 제조후 암포테리신비 함량 (%) 회수율 (%)* 용해도 (㎍/㎖)
1:0.5 6.18 8.46 73.0 43.2
1:1 3.90 4.42 88.2 111.3
1:2 2.21 2.26 97.8 178.2
1:4 1.13 1.14 99.1 425.1
1:0 - - - 1.0
*회수율 = 100 X (제조후 암포테리신비 함량/제조전 암포테리신비 함량)
실시예 2. 암포테리신비-폴리엔옥사이드 고체분산체의 최소발육저지농도(MIC)
암포테리신비 적당량을 취하여 디메틸설폭시드에 용해시킨 후 Bacto YPD 배지(증류수 200밀리리터에 Bacto YPD 10그램을 가하여 녹인후 섭씨 121-124도에서 고압증기멸균)로 희석시켜서 암포테리신비의 농도가 8 ㎍/㎖가 되도록하고 배지를 사용한 연쇄희석방법으로 희석하여 암포테리신비의 농도를 0.01 ㎍/㎖까지 변화를 주었다. 이렇게 만든 암포테리신비 함유 배지 800마이크로리터를 소형원심분리용 튜브에 넣고 5x103cfu/㎖의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접종액 50마이크로리터를 각각의 튜브에 넣어 전체 부피가 850마이크로리터가 되도록 하였다. 이들튜브는 섭씨 30도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용매 대조실험 폴리에틸렌옥시드 대조실험, 배지 대조실험 등도 동시에 실시하여 시료중에 함유된 유기용매 및 폴리에틸렌옥시드의 항진균작용 여부를 검사하였으며 사용한 배지에 세균이나 진균이 오염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였다. 최소발육저지농도(MIC)는 600나노미터를 이용한 흡광도 (optical density)로 관찰하여 칸디다 알비칸스의 발육이 완전히 저지된 튜브에서의 암포테리신비의 농도로 규정하였다.
암포테리신비-폴리에틸렌옥시드 고체분산체의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는 0.5 ㎍/㎖ 이었다. 암포테리신비 단독일 때의 최소발육저지농도는 2.0 ㎍/㎖ 이었다. 암포테리신비를 폴리에틸렌옥시드와 함께 고체분산체를 제조함으로써 약효가 4배나 증강되었다. 용매 대조실험결과 디메틸설폭시드는 5 v/v%까지도 칸디다 알비칸스의 발육을 저지할 수 없었으며 폴리에틸렌옥시드 대조실험의 결과에서도 실험의 상한치 농도에서도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발육저지능력이 없었다. 배지 대조실험결과 배지는 무균이었다.
실시예 3. 암포테리신비의 임계결집농도(CAC) 측정
암포테리신비 10밀리그램을 디메틸설폭시드 1.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폴리에틸렌옥시드 용액과 혼합하여 그 농도가 6.0마이크로몰(μM)이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폴리에틸렌옥시드 용액으로 계속 희석을 반복하여 0.1마이크로몰까지 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섭씨 37도에서 5분간 인큐베이션시킨 후 UV/VIS흡광분석계를 이용하여 409 nm에서의 분자흡광도(molar absorptivity)를 측정하였다. 분자흡광도를암포테리신비 농도의 역수에 대하여 플롯팅하였다. 이때 플롯팅곡선은 기본적으로 2개의 직선이 만나는 꼴이 되므로 그 만나는 점에서의 암포테리신비의 농도를 임계결집농도로 정하였다. 이것은 1995년에 발표된 야마시타 등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다 (K. Yamashita, V. Janout, E.Bernard, D. Armstrong, S. Regen, J. Amer. Chem. Soc. 117:6249-6253 (1995)). 암포테리신비 단독일 때의 임계결집농도 측정은 약물을 디메틸설폭시드에 용해시킨 후 폴리에틸렌옥시드를 함유하지 않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똑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 중 디메틸설폭시드가 결집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디메틸설폭시드의 농도는 항상 1.0 w/v%보다 낮게 유지하였다.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20,000의 경우 그 농도가 5.0 w/v% 이상이면 이 방법으로 임계결집농도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450 nm에서 형광흡광도 분석계를 사용한 광산란방법을 이용하였다.
폴리에틸렌옥시드 용액 중에서 암포테리신비의 임계결집농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3,000 및 8,000 용액중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20,000 용액 5 w/v%와 10 w/v%에서는 임계결집농도가 자외선 흡광도계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범위인 6.0마이크로몰(μM)보다 훨씬 높았다. 따라서 형광흡광도계를 사용하여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5 w/v% 및 10 w/v%에서 각각 24.3 및 37.5마이크로몰이 나왔다.
폴리에치렌옥시이드 용액 중에서 암포테리신비의 임계결집농도 (마이크로몰, μM)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폴리에틸렌옥시드 농도 (w/v%)
0 0.1 0.5 5 10 15 25
3,000 1.36 1.44 1.16 1.47 1.47 - 2.60
8,000 1.36 1.09 1.57 1.09 1.31 2.26 -
20,000 1.36 1.05 1.27 24.3* 37.5* - -
*450 nm에서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결과임
실시예 4. 결집정도의 측정
폴리에틸렌옥시드 함유 용액 중 암포데리신비의 분자 결집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포테리신비를 디메틸설폭시드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 또는 폴리에틸렌옥시드 함유 용액과 혼합하였다. 이때 디메틸설폭시드의 농도는 1%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이후 더욱 희석한 후 섭씨 37도에서 5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암포테리신비의 제 1피크 (348nm)와 제 4피크 (409nm)의 흡광도를 자외선 흡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 1피크와 제 4피크의 흡광도 비율(Ⅰ/Ⅳ ratio)을 암포테리신비의 농도에 대하여 플롯팅하였다. Ⅰ/Ⅳ 비율이 클수록 결집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며 반대로 작을수록 결집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암포테리신비가 단량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 (DMF)에서의 Ⅰ/Ⅳ 비율은 0.25이었으며 이것을 참고치로 이용하였다. 즉, Ⅰ/Ⅳ 비율이 0.25에 가까울수록 단량체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옥시드의 농도가 0.5% 이상이면 폴리에틸렌옥시드가 없는 경우보다 Ⅰ/Ⅳ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3,000 및 8,000에서는 모든 농도영역에서 Ⅰ/Ⅳ 비율이 높게 나왔으며 특히 이들의 임계중첩농도 이상에서도 각각 1.7과 2.2로서 비교적 높은 결집정도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20,000 용액 5~10%에서는 암포테리신비의 Ⅰ/Ⅳ 비율이 0.5 내지 1.0으로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암포테리신비가 단량체로 존재하거나 단량체는 아니더라도 현저히 낮은 정도의 결집상태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용혈작용
적혈구를 pH 7.0인 인산완충 등장액에 희석하였다. 사용한 인산완충 등장액에는 폴리에틸렌옥시드가 각각의 농도로 혼합되어있게 조제하였다. 이때, 인산완충 등장액에 희석할 적혈구의 양은 암포테리신비 20마이크로몰 존재시 적혈구가 완전히 파괴되어 유리되어 나온 헤모글로빈의 양을 나타내는 576nm에서의 흡광도가 0.4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처럼 희석된 적혈구용액의 일부를 취하여 암포테리신비를 각각의 농도가 되도록 가하고 섭씨 37도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인큐베이션 도중 적혈구가 침전으로 가라앉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분당 100번씩 흔들어주었다. 용혈되지않은 적혈구는 원심분리시켜 제거한 후 그 상등액을 취하여 576nm에서 용혈되어 유리되어 나온 헤모글로빈의 양을 정량분석하였다. 용혈된 적혈구의 백분율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용혈백분율 = 100x(Abs-Abs0)/(Abs100-Abs0)
Abs = 시료의 흡광도
Abs0= 암포테리신비 없을 때의 흡광도
Abs100= 암포테리신비 20 μM 존재시의 흡광도
여러 가지 농도의 폴리에틸렌옥시드에서의 용혈작용을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옥시드 3,000 및 8,000 용액 중에서는 임계중첩농도 이상에서도 적혈구가 용혈되었다. 한편, 폴리에틸렌옥시드 20,000 용액 중에서는 임계중첩농도 이상에서는 용혈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임계중첩농도인 5.5%보다 약간 낮은 5.0%에서도 용혈현상은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암포테리신비를 80μM까지 증가하여도 용혈백분율은 50%를 초과하지 않았다. 이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임계중첩농도 이상에서 폴리에틸렌옥시드 20,000은 암포테리신비의 용혈작용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이것은 암포테리신비의 포유동물 세포에 대한 독성작용이 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임계중첩농도(COC) 계산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력학적 반경의 계산은 다음의 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Munk, 1989; Introduction to macromolecular science,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54-59, 310)
[η] = ν(Vh/Vd
[η] = 2.0 + 0.016M0.76
η= intrinsic viscosity
ν = shape factor (구형으로 가정하면, 2.5)
Vh= hydrodynamic volume
Vd= dry volume
υ= specific volume
M=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oxide
이들 두 식으로부터 Vh/Vd를 구하여 임계중첩농도를 구하는데 사용하였다. 임계중첩농도는 건조부피의 수력학적부피에 대한 백분율, 즉, 임계중첩농도 (COC) = 100×(Vd/Vh)로부터 계산하였다. 고분자용액에서 고분자용질의 농도가 점점 증가하면 어떤 임계농도에서는 고분자의 코일형 구조가 서로 중첩되어 뒤엉키게된다. 이렇게 구한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임계중첩농도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임계중첩농도(COC)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임계중첩농도 (%)
3,000 17.9
8,000 11.2
20,000 5.5
실시예 7.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력학적 반경의 계산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의 수력학적 반경의 계산은 다음의 세 식들을 이용하였다. (Munk, 1989; Introduction to macromolecular science,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54-59, 310)
rh= 2/3 rG
rG 2= 1/6 h2
h2= nA2
rh= hydrodynamic radius
rG= gyrometric radius
n = number of repeating unit
A = length of single unit
이렇게 구한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력학적 반경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력학적 반경(rh)
폴리에틸렌옥시드 분자량 수력학적 반경 (㎚)
3,000 0.7
8,000 1.1
20,000 1.7
본 발명은,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물리적으로 반응시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단량체로 제공하며, 그 동안 연구되고 등록된 미국특허등의 지질(lipid)과의 물리적, 화학적결합을 통한 방법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방법을 채택하여 그 효과와 비용면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혁신적으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단량체로 제공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량체가 되면, (1)진균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2)결집현상으로 인한 고분자적 성질을 갖지 않으므로 경구투여로 흡수가 가능하며 또한 (3)피부각질을 쉽게 통과하므로 표피와 진피에 기생하는 각종 진균성 질환에 대하여 국소용 치료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에틸렌옥시드에 분산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를 포함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0.1~20 중량%으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1~10 중량%으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옥시드가 분자량 10,00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
  5. 폴리엔마크로리드 항생제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제 1항의 고체분산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고체분산체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유기용제가 디메틸설폭시드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분산체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전에 섭씨 25~40도에서 5~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분산체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 6항의 유기용제를 0.05~0.5%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분산체 조성물.
  9. 제 1항의 고체분산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제.
KR1020010003544A 2001-01-22 2001-01-22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조성물 KR20020062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544A KR20020062494A (ko) 2001-01-22 2001-01-22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544A KR20020062494A (ko) 2001-01-22 2001-01-22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494A true KR20020062494A (ko) 2002-07-26

Family

ID=2769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544A KR20020062494A (ko) 2001-01-22 2001-01-22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249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0324A (ja) * 1990-07-12 1992-08-19 E R Squibb & Sons Inc 水分散性ポリエン抗菌性複合体
US5776904A (en) * 1990-11-16 1998-07-07 Nippon Shinyaku Co., Ltd. Dispersion preparation
JPH11100331A (ja) * 1997-09-26 1999-04-13 Nano Career Kk 薬物含有ポリマーミセルおよびその医薬製剤
WO2000047187A1 (en) * 1999-02-11 2000-08-17 Kinetana Inc. Serum albumin-based parenteral formulations of polyene macroli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0324A (ja) * 1990-07-12 1992-08-19 E R Squibb & Sons Inc 水分散性ポリエン抗菌性複合体
US5776904A (en) * 1990-11-16 1998-07-07 Nippon Shinyaku Co., Ltd. Dispersion preparation
JPH11100331A (ja) * 1997-09-26 1999-04-13 Nano Career Kk 薬物含有ポリマーミセルおよびその医薬製剤
WO2000047187A1 (en) * 1999-02-11 2000-08-17 Kinetana Inc. Serum albumin-based parenteral formulations of polyene macroli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esta et al. Pefloxacine mesilate-and ofloxacin-loaded polyethylcyanoacrylate nanoparticles: characterization of the colloidal drug carrier formulation
Huang et al. Solid lipid nanoparticles as delivery systems for Gambogenic acid
AU2001273269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alpha-2-adrenergic agonist components
Nishi et al. Amphotericin B-gum arabic conjugates: synthesis, toxicity, bioavailability, and activities against Leishmania and fungi
Espuelas et al. Poly (ε-caprolacton) nanospheres as an alternative way to reduce amphotericin B toxicity
Yu et al. In vitro dissociation of antifungal efficacy and toxicity for amphotericin B-loaded poly (ethylene oxide)-block-poly (β-benzyl-L-aspartate) micelles
US6413537B1 (en) Nystatin formulation having reduced toxicity
AU2001273269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lpha-2-adrenergic agonist components
IE60901B1 (en) Improved treatment of systemic fungal infections with phospholipid particles encapsulating polyene antifungal antibiotics
US693956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olyene antibiotics with reduced toxicity
WO1994008573A1 (en) Use of a cell membrane permeant calcium buffer for reducing injury of mammalian cells in vivo
Zhang et al. Liquid formulations based on ionic liquids in biomedicine
Tamilselvi et al.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bio composite films as a novel drug carrier platform for sustained release of 5-fluorouracil for colon cancer: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WO2019081965A1 (en) NANOPORTER FOR ADMINISTERING AN INSERTED USEFUL LOA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S THEREOF
Toledo et al. Binary medical nanofluids by combination of polymeric Eudragit nanoparticles for vehiculization of tobramycin and resveratrol: Antimicrobial, hemotoxicity and protein corona studies
WO2004034992A2 (en) Encapsulation and deaggregation of polyene antibiotics using poly(ethylene glycol)-phospholipid micelles
Kashani-Asadi-Jafari et al. Niosome-encapsulated doxycycline hyclate for potentiation of acne therapy: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CN109498733B (zh) 一种龙血竭纳米混悬剂及其制备方法
KR20020062494A (ko) 단량체 폴리엔마크로리드계열 항생제를 함유한 고체분산체조성물
Bang et al. Cytotoxicity of amphotericin B-incorporated polymeric micelles composed of poly (DL-lactide-co-glycolide)/dextran graft copolymer
CN102188379A (zh) 载药脂质体的制备方法
Sabri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poly (sulfonated) and poly (sulfonic acid) dissolving microneedles for delivery of antibiotic and antifungal agents
Dandag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linezolid niosomal gel for topical drug delivery
Popovici et al. Drug Delivery Systems Based on Pluronic Micelle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Polymers 2022, 14, 3007
DE102020101110A1 (de) Antimykotische Aktivitäten von Hydrogelen auf Basis von Polysacchari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