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790A - 육각렌치 - Google Patents

육각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790A
KR20020061790A KR1020010002785A KR20010002785A KR20020061790A KR 20020061790 A KR20020061790 A KR 20020061790A KR 1020010002785 A KR1020010002785 A KR 1020010002785A KR 20010002785 A KR20010002785 A KR 20010002785A KR 20020061790 A KR20020061790 A KR 2002006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xagonal
wrench
hexagon
ring
bi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790A/ko
Publication of KR2002006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7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각구멍붙이 나사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육각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와,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에 형성된 육각구멍 내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헛돎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육각렌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육각렌치(10)의 육각비트부(12) 단부측 외주에 걸쳐 요홈(20)이 형성되고, 이 요홈(20)에 실리콘재의 O링(30)이 삽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와 육각구멍붙이 나사에 형성된 육각구멍의 내면이 실리콘재의 O링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되는 바, 상기 육각비트부에 강한 힘을 주어 회전시키더라도 헛돎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가 육각비트부와 연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를 보다 확실하게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육각렌치{Wrench}
본 발명은 육각구멍붙이 나사를 체결 및 분리시키기 위한 공구인 육각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각구멍붙이 나사의 육각구멍에 끼워져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를 회전시키는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가 상기 육각구멍에 대하여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육각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구 및 기계장비들은 각 부품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결합방법으로는 용접에 의한 고정·결합을 비롯하여 나사나 볼트와 너트, 핀 등 각종 부속품들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요홈이 형성되어 깊숙한 부위에 자리파기를 위한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그 머리부 중앙에 일정깊이의 육각구멍이 형성된 육각구멍붙이 나사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육각구멍붙이 나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육각구멍에 끼워지는 육각비트부(12)와, 이 육각비트부(12)를 지지하고 렌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소켓부(14)로 이루어진 육각렌치(10)에 의해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육각렌치(10)의 육각비트부(12) 단부를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의 육각구멍에 끼워맞춘 후, 상기 육각렌치(10)를 회전시켜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체결 또는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는 육각구멍붙이 나사의 육각구멍에 끼워져야 함으로써, 그 전체적인 지름이 상기 육각구멍의 지름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바, 확실한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헛돎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깊은 위치에 자리파기 되어 체결되어 있는 육각구멍붙이 나사의 분리/제거시와 같이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될 경우, 마찰력 저하에 따른 헛돎의 발생으로 용이하게 분리/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와,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에 형성된 육각구멍 내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헛돎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육각렌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육각비트부에서 O링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각렌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가 육각구멍붙이 나사의 육각구멍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육각렌치 12: 육각비트부
16: 육각구멍붙이 나사 18: 육각구멍
20: 요홈 22: O링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육각렌치는, 상기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 단부측 외주에 걸쳐 소정깊이로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O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육각비트의 단부측에 형성된 요홈에 상기 실리콘재의 O링이 삽설된 상태에서, 상기 O링의 외주가 상기 육각비트의 육각면에 대하여 일정너비만큼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육각비트부에서 O링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각렌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가 육각구멍붙이 나사의 육각구멍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렌치(10)의 육각비트부(12) 단부측에 외주에 걸쳐 요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20)에는 실리콘재의 O링(30)이 삽설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육각비트부(12)의 각 육각면에 대하여 상기 O링(30)의 외주면이 소정부위만큼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육각렌치(10)를 이용하여 육각구멍붙이 나사(16)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각렌치(10)의 육각비트부(12) 단부를 육각구멍붙이 나사(16)의 육각구멍(18)에 끼운다.
이에 따라, 상기 육각비트부(12)의 요홈(20)에 삽설된 O링(30)의 외주면은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16)의 육각구멍(18) 내면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밀착되는 바, 이 밀찰부위에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육각렌치(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육각렌치(10)에 소켓(14)에 의하여 고정·지지되어 있는 육각비트부(12)가 연동하게 되며, 이 육각비트부(12)와 O링(30)에 의해 마찰력이 크도록 밀착되어 있는 육각구멍붙이 나사(16)가 상기 육각비트부(12)의 회전과 동시에 헛돎이 없이 연동하게 된다.
즉, 상기 육각비트부(12)와 육각구멍(18)의 내면이 상기 O링(30)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되는 바, 상기 육각비트부(12)에 강한 힘을 주어 회전시키더라도 헛돎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16)가 연동하게 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분리 및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각렌치에 따르면, 상기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와 육각구멍붙이 나사에 형성된 육각구멍의 내면이 실리콘재의 O링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되는 바, 상기 육각비트부에 강한 힘을 주어 회전시키더라도 헛돎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가 육각비트부와 연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육각구멍붙이 나사를 보다 확실하게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머리부 중앙측에 육각구멍이 형성된 육각구멍붙이 나사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육각구멍에 끼워지는 일정길이의 육각비트부와, 상기 육각비트부를 고정지지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육각렌치에 있어서;
    상기 육각렌치의 육각비트부 단부측에 외주에 걸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실리콘재의 O링이 삽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비트부의 단부측에 형성된 요홈에 상기 실리콘재의 O링이 삽설된 상태에서, 상기 O링의 외주가 상기 육각비트부의 육각면에 대하여 일정너비만큼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렌치.
KR1020010002785A 2001-01-18 2001-01-18 육각렌치 KR20020061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785A KR20020061790A (ko) 2001-01-18 2001-01-18 육각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785A KR20020061790A (ko) 2001-01-18 2001-01-18 육각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790A true KR20020061790A (ko) 2002-07-25

Family

ID=2769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785A KR20020061790A (ko) 2001-01-18 2001-01-18 육각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5587A (en) Deep-socket driver apparatus
JPH1193933A (ja) ナット合わせ手段付きロックナット
JP2006336676A (ja) ボルトに結合されたナットが離脱しないようにしたクランプ
KR20020061790A (ko) 육각렌치
JPH0224567Y2 (ko)
JPH06346910A (ja) ねじ具
JP2000199513A (ja) 落下防止ボルト及び落下防止ボルトを用いた加工装置
JP2008202778A (ja) 全ネジ着脱用ソケット兼用弛み防止ナット。
KR101997396B1 (ko) 마모볼트 제거용 공구
KR20040066526A (ko) 볼트 체결용 어댑터
JP3414641B2 (ja) チャック
JP2001205571A (ja) 建て込みボルトの締め付け用袋ナット
JP3671166B2 (ja) 工具部着脱式ドライバ
JP2003094348A (ja) ボルト用ソケット
KR20060080687A (ko) 체결용 스크류
KR200315438Y1 (ko) 너트체결용 드라이버
KR200373204Y1 (ko) 엘형 렌치의 지지용 툴
US20050029753A1 (en) Drill chuck with a jaw control mechanism
KR20170009437A (ko) 공구홀더용 콜릿너트
KR200153515Y1 (ko)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 소켓
KR20040040680A (ko) 볼트
JP2019118987A (ja) 特殊ナット用ソケットレンチ
KR19980026979U (ko) 소켓렌치
JPH07285005A (ja) チャック装置
JP2004253841A (ja) 無線機の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固定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