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572A -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572A
KR20020061572A KR1020020035668A KR20020035668A KR20020061572A KR 20020061572 A KR20020061572 A KR 20020061572A KR 1020020035668 A KR1020020035668 A KR 1020020035668A KR 20020035668 A KR20020035668 A KR 20020035668A KR 20020061572 A KR20020061572 A KR 20020061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format
mess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베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베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베콤
Priority to KR102002003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572A/ko
Publication of KR2002006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72A/ko
Priority to JP2002322572A priority patent/JP2004030555A/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하여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 중 최소 하나의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에 저장된 고유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을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전달된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이 그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전송하거나 입력 사항을 수신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료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고,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환자의 진료 및 처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병원 네트워크 사업에 큰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providing of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병원의 업무에 대한 정보화에 관한 것으로서,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OCS 및 PACS와 같은 병원 업무 및 관리 시스템을 연동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은 신생아실의 아기의 영상을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이를 산모, 가족이나 의사에게 전달하여 온라인을 통해 원격 진료를 포함한 신생아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은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2001-0066013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의료 처방 시스템)는 기존의 병원에서 사용하는 모든 시스템의 전산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원무업무, 진료 업무, 진료 지원 업무 및 병원 관리 업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PACS(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의료 영상 장치 시스템)는 종래에 각종 의료 영상 장비에서 환자를 촬영하여 필름을 통해 영상판독을 수행하던 것을, 의료 영상 장비에서 바로 디지털화된 영상을 얻어내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상을 전송하고, 컴퓨터 화면을 통해 바로 판독, 저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인 의료 영상용 필름 제작 관련비용은 물가상승과 수요 감소로 비용 상승 추세이나 PACS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이미지 데이터 보관은 기술 발전으로 매년 급속히 비용이 감소되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ACS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에 대한 원격 판독이 가능하여 집, 타 병원에서 판독 가능하며, 한 병원 내에서도 의사와 같은 인력의 이동없이 단말기에서 진단이 가능하며, 환자가 타 병원으로 이동하더라도 영상을 원격으로 발송하여 준비할 수 있어 사용하는 곳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상기에 설명된 시스템들은 각각 여러 병원들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각 시스템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각 시스템들의 결과물이 다른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병원에서의 운영 및 진료에 사용될 수 있는 자동화된 시스템들을 사용하면서도 각 시스템들간의 자료 이동을 전혀 하고 있지 않거나 혹은 다른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작업 내지는 불편한 과정을 거쳐 사용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의사와 같은 사용자가 의료나 진료에 관한 자료를 요청하면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OCS 등과 같은 의료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받아서 중앙 집중적인 관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의료 자료를 제공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및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하여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소정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 중 최소 하나의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에 저장된 고유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을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전달된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이 그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전송하거나 입력 사항을 수신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료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상기 (d)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종합관리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시켜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를 요청을 입력하거나 그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사용자입력전달부; 상기 사용자입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자료나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자료수신부; 상기 자료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자료나 메시지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는 데이터형식확인부; 및 상기 데이터형식확인부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상기 자료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의 형식을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자료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및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하여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a) 소정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 중 최소 하나의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에 저장된 고유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을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전달된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이 그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전송하거나 입력 사항을 수신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료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상기 (d)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 방법은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및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에 연동하여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정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 중 최소 하나의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에 저장된 고유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그 시스템에 자료를 입력하고(100 단계), 상기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되는 자료를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한다(110 단계).
상기 전달된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이 그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나 입력된 자료가 제대로 전달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면(120 단계),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료 혹은 메시지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고(130 단계),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참조번호 130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140 단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종합관리시스템(200), PACS(210) 및 OCS(220)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시켜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장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200), PACS(210) 및 OCS(22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를 요청이나 그 시스템로 전달될 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230), 사용자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 자료를 해당하는 시스템(200, 210, 220)으로 전달하는 사용자입력전달부(240), 사용자입력전달부(240)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자료나 입력 자료를 제대로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자료수신부(250), 자료수신부(250)를 통해 전달된 자료나 메시지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는 데이터형식확인부(260) 및 데이터형식확인부(260)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자료수신부(250)를 통해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의 형식을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자료출력부(26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번호 200, 210, 220의 시스템들은 도 2의 것과 동일하다. 통합관리서버(300)는 도 2의 사용자입력전달부(240), 자료수신부(250), 데이터형식확인부(260)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응용예에 따라서는 자료출력부(270)의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소정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요청한다(100 단계). 이때에 사용되는 입력 수단은 웹 패드(Web Pad)(320) 혹은 PDA(34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 패드(3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자료 요청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장치(310)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300)에 전달된다. 이때에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장치(310)에는 셋탑박스와 같은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PDA(3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자료 요청 역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장치(330)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300)에 전달된다. 이때에 참조번호 330의 장치는 예를 들면 별도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을 통해 PDA(340)와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또는 참조번호 330의 장치는 무선으로 동작하는 LAN과 같은 장치를 포함하며, PDA 역시 이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합관리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에 PDA와 연결되는 기능이 참조번호 330에 포함된 혹은 연결된 셋탑박스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PDA가 직접 통합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당연히 통합관리서버(300)도 무선으로 PDA와 접속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또는 PDA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통합관리서버는 웹 서버와 같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거나, 웹 서버에 연결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사용자의 입력은 참조번호 350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혹은 셋탑박스 기능을 포함한 혹은 셋탑박스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때에는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 수단과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통합관리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230) 혹은 310 내지 350의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시스템에 전송하려는 자료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사가 회진 시에 병실에서 환자를 진료한 후에 그 병실에 설치된 입력 수단을 통해 환자에 대한 처방전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며, 이 처방전은 OCS(220)로 전송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참조번호 100의 단계에서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사용권을 부여하기 위해 아이디(ID)와 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전문의와 같은 전문 인력이며, 병원의 내부, 외부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사용자 인증 과정이 중요한 과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230) 혹은 310 내지 350의 장치들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는 데이터의 종류 및 그 데이터가 위치한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가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은 관찰하려는 신생아의 병실 혹은 침실 번호, 관찰하려는 시간대와 같은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특정 신생아에 대해 동영상 촬영을 미리 예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 병실에서 치료 중 혹은 진료 중에 혹은 다른 병원에서 혹은 병원이 아닌 외부(예를 들면 집)에서 필요한 영상을 실시간이나 녹화된 영상으로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OCS(220)로 환자의 진료에 따른 처방전을 직접 사용자입력부(240)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며, 입력되는 데이터는 처방전에 관한 정보가 될 것이다. 사용자의 대상이 PACS(210)인 경우에는 지정된 장소가 아닌 병실에서 진료 중에 병실내에 설치된 웹 패드(320)나 셋탑박스(350)를 사용자입력부(230)로 하여 필요한 환자의 정보, 환자의 환부에 대한 의료적인 영상을 지정하여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관리서버(300)로 전달된 사용자의 자료 요청은 통합관리서버(300)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입력전달부(240)에서 자료 요청의 대상인 시스템이 어느 것인가가 구별된다. 해당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전달한다(110 단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이 처방전과 같은 자료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달된다(110 단계).
자료에 대한 인출 요청, 혹은 자료 입력을 받은 시스템은 자료 인출 요청인 경우에는 그 요청에 해당하는 자료를 통합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120 단계). 이 자료는 환자에게 이전에 처방된 처방전들일 수도 있고, 그 환자의 의료 영상 자료인 그래픽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혹은 신생아의 녹화된 혹은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일 수도 있다.
혹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입력하는 자료를 110 단계에서 수신한 경우에는 자료 입력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120 단계에서 전송된다. 만일 이 메시지가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다시 입력 자료를 전송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수신부(250)에서는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데이터형식확인부(260)로 전달한다.
310 내지 350의 사용자입력수단들과 통합관리서버(300), 통합관리서버(300)와 200 내지 220의 시스템들간의 연결은 유선의 전용의 통신 회선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고,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일수도 있으며, 응용 예에 따라서는 무선 통신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사용자입력수단들이 병원 내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선 통신이 사용되는 경우 의료 기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형식확인부(260)에서는 입력된 자료나 메시지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한다(130 단계). 메시지의 경우에는 자료가 제대로 입력되었다는 확인 메시지 혹은 에러 발생 메시지이므로 메시지를 형식을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는 텍스트의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면 될 것이다.
자료출력부(270)는 각 시스템에서 전송된 자료 혹은 메시지를 데이터형식확인부(260)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출력 환경에 따른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140 단계).
수신된 자료의 형식이 예를 들면 차트인 경우 그 차트를 제공한 OCS에서 차트를 생성한 데이터 형식(data format)이 사용자에게 표시할 때의 데이터 형식과 다르다면 적절하게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다. 또는 요청한 자료가 PACS에 저장되어 있는 의료 영상인 경우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형식이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해야 하는 데이터 형식과 맞지 않는다면 적절하게 변환한다. 그 외에도 요청한 자료가 신생아에 대한 동영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하기 적절한 형식으로 변환한다.
상기에 설명된 데이터 형식의 변환은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환경이 다양한 경우에 특히 필요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요청한 자료를 PDA와 같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보아야 할 경우 참조번호 100 단계에서 이와 같은 사용자의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가 같이 전달되며, 이러한 정보가 데이터형식확인부(26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출력할 때에 반영된다는 것은(예를 들면 해상도를 낮추며, 작은 화면에서 효율적으로 볼 수 있도록 자료 재배치 등) 사용자의 입장에 필요한 기능이기 때문이다. 어떤 환경에서는 고해상도의 출력 수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어떤 경우에는 전송된 자료는 고해상도용이나 출력 수단은 그보다 낮은 해상도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참조번호 200 내지 220의 시스템들에서 전송되는 자료의 형식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참조번호 100 단계의 소정의 입력 수단은 웹 패드(Web Pad) 혹은 PDA를 이용하며, 참조번호 120 단계에서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참조번호 140 단계에서 상기 입력 수단으로 사용된 웹 패드 혹은 PDA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설명된 것은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200)에서 전송되는 동영상 관련 자료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사용자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가 자료출력부(270)로 전달되며, 자료출력부(270)는 상기 사용자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의 형식을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료출력부(270)는 어떤 경우에는 데이터 형식의 변화가 거의 없이(메시지 전송의 경우가 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의 출력 환경에 따라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게 된다.
통합관리서버(300)가 상기에 설명된 자료출력부(270)의 기능을 전부 수행할 수도 있다. 혹은 자료출력부(270)의 기능을 참조번호 310, 330 또는 350에 표시되는 셋탑박스에서 혹은 셋탑박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형식에 따른 변환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이런 데이터 형식 변환을 통합관리서버(300)에서 혹은 별도의 셋탑박스 등에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자료출력부(270)는 셋탑박스(settop box)이며, 자료수신부(250)를 통해 수신된 자료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 상기 수신된 자료의 형식을 변환하여 TV,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런 경우에는 셋탑박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출력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 또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의사가 병실에서 진찰하던 환자의 차트와 MRI 사진을 하나의 화면에 같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참조번호 100 단계에서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 중 2개 이상의 복수의 시스템에 동시에 데이터를 요청하며, 참조번호 130 단계에서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자료를 수신하여, 각 데이터의 형식을 확인하며, 참조번호 140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각 데이터 형식별로 자료를 변환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동시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인 의사가 PACS(210)에는 그 환자의 MRI 사진 자료를 요청하고, OCS(220)에는 그 환자에 대한 처방전 자료를 요청한 경우, 그 요청에 따라 수신된 자료들을 적절하게 변환하여 하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의사는 이전의 자료들을 참조하여 다시 처방전을 입력하고, 이 새로운 처방전은 OCS(220)로 입력되며, OCS(220)는 이에 대해 새로운 처방전의 입력된 것에 대해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다시 표시되어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에서는 통신망의 예로 인터넷을 주로 들었으나, 이는 PSTN과 같은 공중 전화 통신망과 같은 것을 이용해도 가능하며,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각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및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하여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 중 최소 하나의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에 저장된 고유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을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전달된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이 그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전송하거나 입력 사항을 수신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료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고,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현재 병원의 PACS와 OCS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소에서 환자의 상태를 확인 후 진료를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환자의 진료 및 처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병원 네트워크 사업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병실 내 셋탑 박스와 웹 패드를 이용하여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장비 및 기타 장비에 오동작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전문의들은 촬영된 PACS 영상을 판독실에서 판독하고 지정된 특정 장소에서만 볼 수가 있어, PACS 영상 판독을 위한 전문의들의 작업이 번거롭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각 병실에서 직접 진료 및 처방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병실의 네트워크 설비로 인해 병원 내부 모든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이 쉬어지며, 이를 확장하여 원격 진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질적으로 높게 진료할 수 있다.
결국 담당 의사가 진료실이나 환자의 상태를 촬영한 필름 판독실만이 아니라환자가 입원한 병실에서도 진료 확인 및 처방까지도 할 수 있게 되어 종합적인 병실 네트워크 진료 시스템이 갖추어지는 기반이 쉽게 달성된다.

Claims (8)

  1.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및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하여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 중 최소 하나의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에 저장된 고유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을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전달된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이 그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전송하거나 입력 사항을 수신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료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상기 (d)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소정의 입력 수단은 웹 패드(Web Pad) 혹은 PDA를 이용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a) 단계에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된 웹 패드 혹은 PDA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 중 2개 이상의 복수의 시스템에 동시에 데이터를 요청하며,
    상기 (d) 단계에서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자료를 수신하여, 각 데이터의 형식을 확인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각 데이터 형식별로 자료를 변환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종합관리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시켜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를 요청을 입력하거나 그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사용자입력전달부;
    상기 사용자입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자료나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자료수신부;
    상기 자료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자료나 메시지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는 데이터형식확인부; 및
    상기 데이터형식확인부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상기 자료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의 형식을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자료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웹 패드(Web Pad) 혹은 PDA를 포함하며,
    상기 자료출력부는 상기 자료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를 상기 웹 패드 혹은 PDA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출력부는 셋탑박스(settop box)이며, 상기 자료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 상기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의 형식을 변환하여 TV,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가 상기 자료출력부로 전달되며,
    상기 자료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자료나 메시지의 형식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8. 신생아실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신생아 영상을 산모 병실을 포함한 다른 장소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병원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및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을 연동하여 병원 진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소정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신생아 종합 관리 시스템, PACS 및 OCS를 포함하는 시스템들 중 최소 하나의 시스템으로 그 시스템에 저장된 고유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요청이나 입력을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전달된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이 그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전송하거나 입력 사항을 수신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료의 데이터 형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전송된 자료나 메시지를 상기 (d)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소정의 변환 과정을 통해 형식을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35668A 2002-06-25 2002-06-25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61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68A KR20020061572A (ko) 2002-06-25 2002-06-25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2322572A JP2004030555A (ja) 2002-06-25 2002-11-06 統合医療サービスの提供方法、その装置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68A KR20020061572A (ko) 2002-06-25 2002-06-25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72A true KR20020061572A (ko) 2002-07-24

Family

ID=2772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668A KR20020061572A (ko) 2002-06-25 2002-06-25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030555A (ko)
KR (1) KR200200615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9985A (zh) * 2015-03-26 2015-06-10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医疗大数据采集分析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3690B2 (ja) 2007-04-12 2012-10-17 株式会社東芝 画像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画像診断支援プログラム
JP2008289725A (ja) * 2007-05-25 2008-12-04 Olympus Corp 内視鏡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15A (ko) * 2000-05-06 2000-08-05 최재오 인터넷을 통한 의료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02074A (ko) * 1999-06-11 2001-01-05 이봉순 의료영상 저장관리 시스템
KR20010107883A (ko) * 2001-11-10 2001-12-07 박동기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기관의 고객관리 및 환자의의료정보서비스와 사이버 주치의 역할을 할 수 있는서비스 방법
KR20030062632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마로테크 병원내 의료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그리고 그 서비스방법
KR20030080584A (ko) * 2002-04-09 2003-10-17 주식회사 방산테크노로지 의료 영상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74A (ko) * 1999-06-11 2001-01-05 이봉순 의료영상 저장관리 시스템
KR20000049915A (ko) * 2000-05-06 2000-08-05 최재오 인터넷을 통한 의료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7883A (ko) * 2001-11-10 2001-12-07 박동기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기관의 고객관리 및 환자의의료정보서비스와 사이버 주치의 역할을 할 수 있는서비스 방법
KR20030062632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마로테크 병원내 의료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그리고 그 서비스방법
KR20030080584A (ko) * 2002-04-09 2003-10-17 주식회사 방산테크노로지 의료 영상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9985A (zh) * 2015-03-26 2015-06-10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医疗大数据采集分析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30555A (ja)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00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al of medical data
US7386462B2 (en) Integration of radiology information in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DICOM image archive and/or web based viewer
US83808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formation interoperability between medical instruments
US7263710B1 (en) Medical diagnostic system with on-line real-time video training
KR100725867B1 (ko) 의료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의 다이콤 영상 중계 시스템
WO2002063503A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US20090028402A1 (en) Medical Image System
CA2486016C (en) Imag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5447301A (zh) 一种医疗信息共享方法、系统和终端
KR20010002074A (ko) 의료영상 저장관리 시스템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US20030078812A1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clinical record creating operations
KR20020061572A (ko) 통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4344390A (ja) 画像記録装置
US20200243173A1 (en) Patient management apparatus and patient management method
Bogdan et al. Integrated medical system using DICOM and HL7 standards
US200601169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flow
KR20030062632A (ko) 병원내 의료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그리고 그 서비스방법
KR20030081883A (ko) 병원내 의료영상저장, 전송, 조회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Robertson Image dissemination and archiving
JP2001188858A (ja) 医用システム
JP2010131034A (ja) 医用画像システム
JP4368160B2 (ja) 画像表示品質データ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方法
US20040059756A1 (en) System for processing examinational information of medical image,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such system
KR20000072634A (ko) 신생아 영상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