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556A -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556A
KR20020061556A KR1020020029732A KR20020029732A KR20020061556A KR 20020061556 A KR20020061556 A KR 20020061556A KR 1020020029732 A KR1020020029732 A KR 1020020029732A KR 20020029732 A KR20020029732 A KR 20020029732A KR 20020061556 A KR20020061556 A KR 2002006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oxyethylene
ether
wat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원
최하영
고성국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주)케이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트론 filed Critical (주)케이트론
Priority to KR102002002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556A/ko
Publication of KR2002006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44Powders, particles or spheres; Preforms made therefrom
    • B23K35/025Pastes, creams, slu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동회로부 표면 보호방법 중의 하나인 수평 핫 에어 레블러(Hot Air Leveler)법에 의한 납땜 코팅시 화학적 활성,모재에 대한 유동성과 젖음성(Wetting), 납땜과정중 모재의 방청성, 열적안정성, 전기적활성, 납땜후 잔사제거가 용이한 수세성 및 전도성유지등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 수용성 플럭스 및 오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회로부의 산화피막을 제거하면서 표면활성을 촉진시켜 솔더가 동 회로부에 잘 퍼지게 하고 동과 솔더사이의 금속간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 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PROCESSES OF WATER-SOLUBLE FLUX AND OIL USED SOLDERING BY HORIZONTAL HOT AIR LEVELER}
근래 프린터 배선판에 전자부품을 접합하는 방법은 표면실장법으로 이행하고 있으며, 부품의 임시장착이나 크림납땜의 리플로우 등에서 고온으로 되는 기회가 많게 되고 있다. 그 때문에 고온으로 노출된 후에도 납땜성이 저하하지 않게 표면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근래 프린터 배선판의 동 또는 동합금으로 된 회로를 방청하고 납땜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서는 회로를 다른 금속으로 피복하는 방법, 예를들면 납땜, 금, 팔라듐, 주석등으로 도금하는 방법이나 핫에어 레블러(hot air leveler)법으로 불리우는 납땜코팅에 의한 방법, 유기피막으로 피복하는 방법이 있다.
본발명은 프린터 배선판의 동 또는 동합금으로 된 회로부를 보호하는 여러방법 중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 코팅방식에 사용되는 수용성 플럭스와 오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에는 주로 프린터 배선판의 납땜프로세스는 플럭스도포, 예비가열, 납땜, 냉각순으로 실시되었다. 여기에 사용되는 플럭스로는 주로 로진계 수지에 에틸아민과 같은 저급아민의 염산염과 같은 활성제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여 사용 하였다.
이 납땜프로세스는 인화성이 높은 이소프로필 알콜이 포함되어 있는 플럭스를 발포시켜 프린터배선판에 도포하는 방법과 그 휘발성 용제(VOC)를 가열해서 제거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실시되어 화재등의 위험 및 냄새발생등에 의한 작업환경이 매우 좋지 않았다. 또한 프린터배선판에서 특히 열용량이 큰 것, 예를들면 다층의 대형 프린터배선판등이나 열전도성이 나쁜것, 예를들면 세라믹스기판등에 있어서는 단시간으로 프린터배선판을 균일하게 가열하기가 극히 곤란 또는 불가능하고, 납땜의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대단히 많다.
다른 공지된 방법으로는, 인화성물질 및 예비가열에 따른 화재의 위험성을 없애기 위해 활성제로 인산을 사용하고, 이 인산과 상용성을 가지며, 인산의 납땜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불연성 희석제로서 트리크레딜포스페이트, 크레딜 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디부틸아지페이트등을 사용하고 납땜성을 향상키시키기 위해 로진 및 페놀수지 변성로진으로 구성된 플럭스를 사용하여 플럭스 도포 및 예비가열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지된 이러한 방법에 의한 납땜방식은 플럭스 도포 작업시 온도가 100~150℃로 유지되어 휘발성용매 및 인체에 해로운 산 냄새로 인해 작업환경이 안 좋을뿐 아니라, 납땜코팅시 땜납페이스트를 프린터배선판의 동 및 동합금회로부에 자동 설치한 후 약250℃에서 30초~60초 유지하는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프린터 배선판에 대한 젖음성(Wetting)과 유동성이 적어 10층이상의 다층 프린터배선판에 적용시 0.3mm이하의 홀(Hole)에 납땜코팅 불량이 발생하거나, 납땜후 로진 및 기타 활성제에의 한 잔사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기판의 오염도가 높아져 보관 중 부식의 주 원인이 된다. 특히 솔더링 후 염소와 같은 활로겐원소를 제거하지 못하면 솔더 자체를 탄산납(PbCO3) 의 백색녹으로 변화시켜서, 도체에 손상을 주어 회로저항을 증가시켜 절단(Open)을 시키거나 전류누설을 야기시켜 시스템의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 및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핫에어레블러법이 개발되었다. 핫에어레벨러법의 프로세스로는 기판투입, 소프트에칭, 수세, 건조, 예비가열, 플럭스도포, 오일과 혼합된 솔더에 침적, 냉각, 수세 및 건조의 순으로 행하여 지며, 여기에 사용되는 플럭스 및 오일은 화학적 활성,모재에 대한 젖음성
(Wetting)과 유동성, 납땜과정중 모재의 방청성, 열적안정성, 전기적활성, 납땜후 잔사제거가 용이한 수세성 및 전도성유지등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 및 인체에 무해하며 작업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발명은 프린터 배선판의 동 및 동합금 표면 보호방법인 핫에어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 플럭스 및 오일에 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발견을 기초로 완성 하였다.
수용성플럭스는 금속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고, 금속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고, 모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과 유동성을 좋게하며, 납땜과정중 금속의 재산화를 방지하며, 납땜후 잔사제거를 위해 수세성이 매우 좋아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플럭스가 가져야 할 특성 중 금속표면의 산화막 제거 및 표면활성을 위해 수용액이 산상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발명의 수용액에는 산이 첨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첨가되는 산의 종류는 유기산도 무방하나, 무기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사용가능한 무기산으로는 염산, 불산, 브롬산, 황산, 인산, 염화아연, 염화암모늄등을 들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개미산, 초산, 젖산, 프로피온산, 카프리산, 글리콜산, 아크릴산, 안식향산, 파라니트로안식향산, 파라부틸안식향산, 파라톨루엔술폰산, 크린산, 살리실산,n-톨루일산, 수산, 호박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주석산, 아디핀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의 농도는 수용액 중량의 0.1 내지 10%범위에서 선택되어진다.
모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과 유동성, 계면활성, 납땜과정중 모재의 방청성,납땜 후 수세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며,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산상태에서 안정해야하며, 침투력, 세정력, 저기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해야한다.
첨가되는 계면활성제 종류로는 알킬페놀(Alkyl phenol), 알릴페놀(Aryl phenol), 페티알콜(fatty alcoh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등에 산화 에틸렌 및
산화 프로필렌이 5내지 30몰 부가 시킨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산화에틸렌 및 산화 프로필렌의 부가 몰수가 많을 수록 친수성이 강하고, 침투력, 세정력, 저기포성 및 내열성에 관한 물성은 기제(base)의 종류에 따라 달라 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Polyoxy ethylene Nonylphenyl ether) 계통에서 산화 에틸렌이 10 내지 20몰 부가된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계통에서 산화 에틸렌이 5 내지 15몰 부가된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페티에시드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케스터오일)계통에서 산화 에틸렌이 5 내지 10몰 부가된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터 및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에스터계통에서 산화에틸렌 및 산화프로필렌이 5내지 30몰 부가된 화합물 등이다.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수용액 중량의 20 내지 70%범위에서 선택되어진다.
또한 모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과 유동성을 더욱더 좋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알콜류(메탄올,에탄올,이소프로필 알콜,부탄올등), 아세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글리콜류(메틸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부틸렌글리콜등)와 같이 물과 혼화될 수 있는 것들을 사용한다. 사용할 수 있는 농도는 수용액 중량의 1내지 20%이내에서 선택되어진다.
또한 본발명은 플럭스도포 후 납땜코팅시 220내지 260℃사이에서 납-주석합금과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오일의 역활은 납의 순환을 도와주며, 납 산화물(PbO2) 생성을 억제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에 사용되는오일의 특성으로는 내열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후에도 카본슬러지(Carbon Slurge)률이 적어햐 하며, 납의 산화를 방지아여 산화물 생성을 억제할 수있어야 하며,납땜코팅 후 수세성이 매우 좋아야 하며 또한 전기적인 활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오일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로는 계면활성제와 항산화제로 구성도었으며, 계면활성제는 플럭스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같이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내열성 및 수세성이 매우 좋아야 하므로 산화에틸렌 및 산화 프로필렌의 부가 몰수가 높은것이 사용되어진다. 사용되는 종류로는 알킬페놀(Alkyl phenol), 알릴페놀(Arylphenol), 페티알콜(fatty alcoh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등에 산화 에틸렌 및 산화 프로필렌이 15내지 30몰 부가 된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농도는 수용액 중량의 80내지 100%이내에서 선택되어진다.
본 발명은 오일이 고온에서 오랜시간 작업이 수행되므로 열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여 카본슬러지의 발생률 저하 및 전기적인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항산화제와 같은 첨가제가 같이 사용되어 진다.
첨가되는 항산화제의 종류로는 아스코빅산, 토코페롤, 베타카로틴, t-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p-페닐렌 디아민, 트리메틸 디하이드로퀴놀린, 페노티아진,에틸디페닐아민 및 포스파이트계인 트리-2,4-디-터샤리-부틸 페닐)포스파이트 등이 사용되어지고 농도는 전체 오일량의 0.1 내지 20%이내에서 선택되어진다.
계면활성제와 항산화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오일을 열중량분석기기(TGA)로 250℃에서 10시간 유지 후 중량 변화량를 측정한다. 카본슬럿지량이 5%이내인 오일을 선택하여야 카본에 의해 홀(hole) 막힘현상이 없어 불량률이 적어지며, 납교체 시기도 오래 지속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발명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수용성 플럭스 조성물>
계면활성제 30g, 무기산 및 유기산 2g, 알코올 및 글리콜류 15g 과 물 53g을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수용성 플럭스 조성물을 얻었다.
<오일 조성물>
계면활성제 100g 에 항산화제 0.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녹힌 후 오일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플럭스와 오일을 사용하여 핫에어레벨러법에 의한 납땜코팅방식의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한후 다음과 같은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결과는
표1에 기재하였다.
<땜납 습윤성 Test>
- 목적 :금속의 산화물 제거 및 모재에 때한 젖음성(Wetting)성 과 유동성을 확
인할 수 있다.
- 방법 : 1cm X 5cm X 0.3mm의 동판을 마이크로에칭(황산 과 과륜산소다혼합물)한 다음, 수세를 하고 건조한 후 135℃에서 30초간 예비가열을 하고 수용성 플럭스에 1내지5초간 침적시킨후, 습윤성 시험기(SAT-2000, 주식회사 레스카제)를 사용하여 측정하며,측정조건은 땜납온도 (이때 땜납은 실시예1에서 제조된 오일과 납-주석합금이 혼합한 것임) 240℃, 침지 깊이 2mm, 침지속도 16m/sec로 했다.
<납땜 후 납 부식 Test>
-목적:땜납 후 플럭스 및 오일에 의한 잔사 여부 확인 및 오일의 수세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방법:1cm X 5cm X 0.3mm의 동판을 마이크로에칭(황산 과 과륜산소다혼합물)한 다음, 수세를 하고 건조한 후 135℃에서 30초간 예비가열을 하고 수용성 플럭스에 1내지5초간 침적시킨후, 240℃로 유지된 납조(이때 땜납은 실시예1에서 제조된 오일과 납-주석 합금이 혼합된 것임)에 1내지5초간 침적시키 후 냉각시키고, 뜨거운 물로 1분간 수세하며, 다시 차가운 물로 1분간 수세과정을 거친 후 건조하여 시편을 얻는다 이때 얻어진 시편을 온도 55℃, 습도 95%의 항온항습조 내에서 500시간 방치 한 후, 육안으로 땜납이 백색으로 변한 정도를 확인 한다.
<필오프(Peel off ) 테스트 - 프린터 배선판의 잉크도포영역에 대한 영향력>
-목적: 수용성 플럭스 및 오일의 잉크에 대한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방법:20cm X 10cm 크기의 잉크가 도포된 프린터배선판을 마이크로에칭(황산 과 과륜산소다혼합물)한 다음, 수세를 하고 건조한 후 135℃에서 30초간 예비가열을 하고 수용성 플럭스에 1내지5초간 침적시킨후, 240℃로 유지된 납조(이때 땜납은 실시예1에서 제조된 오일과 납-주석 합금이 혼합된 것임)에 1내지5초간 침적시키 후 냉각시키고, 뜨거운 물로 1분간 수세하며, 다시 차가운 물로 1분간 수세과정을 거친 후 건조하여 시편을 얻는다. 이때 얻어진 20cm X 10cm 크기의 프린터배선판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접착시키 후 순간적으로 떼어내어 잉크가 떨어져 나가는 면적을 측정한다.
<오염도 측정 - 염화나트륨(NaCl) 함량 측정>
-목적 : 플럭스 및 오일의 잔사 여부 확인 및 수세성을 확인 할 수있다.
-방법 :20cm X 10cm 크기의 잉크가 도포된 프린터배선판을 마이크로에칭(황산 과 과륜산소다혼합물)한 다음, 수세를 하고 건조한 후 135℃에서 30초간 예비가열을 하고 수용성 플럭스에 1내지5초간 침적시킨후, 240℃로 유지된 납조(이때 땜납은 실시예1에서 제조된 오일과 납-주석 합금이 혼합된 것임)에 1내지5초간 침적시키 후 냉각시키고, 뜨거운 물로 1분간 수세하며, 다시 차가운 물로 1분간 수세과정을 거친 후 건조하여 시편을 얻는다. 이때 얻어진 프린터 배선판을 오염도측정기(SEC, 주식회사 알파메탈)를 이용하여 1 in3당 오염된 염화나트륨 양을 측정한다.
[비교예 1]
수용성 플럭스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0몰) 30g, 염산(35%) 2g과 이소프로필알콜 15g을 물 53g에 각각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얻었고, 오일은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산화에틸렌 부가몰수 20몰) 95g, 베타카로틴 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처리하였다.
위에서 조제한 플럭스와 오일을 이용하여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납땜습윤성 시험, 납땜 후 납부식 테스트, 오염도측정, 잉크가 도포된면의 필오프(Peel off)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수용성 플럭스는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에테르(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0몰) 30g, 염산(35%) 2g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15g을 물 53g에 각각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얻었고, 오일은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에테르(산화에틸렌 부가몰수 20몰) 95g, 베타카로틴 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처리하였다.
위에서 조제한 플럭스와 오일을 이용하여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납땜습윤성 시험, 납땜 후 납부식 테스트, 오염도측정, 잉크가 도포된면의 필오프(Peel off)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수용성 플럭스는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0몰) 30g, 염산(35%) 2g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15g을 물 53g에 각각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얻었고, 오일은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5몰) 99.5g, t-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0.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녹힌 후 처리하였다.
위에서 조제한 플럭스와 오일을 이용하여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납땜습윤성 시험, 납땜 후 납부식 테스트, 오염도측정, 잉크가 도포된면의 필오프(Peel off)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수용성 플럭스는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산화에틸렌 부가몰수 5몰) 30g, 염산(35%) 2g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15g을 물 53g에 각각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얻었고, 오일은 폴리옥시에틸렌올모노라우레이트(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5몰) 95g,t-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처리하였다.
위에서 조제한 플럭스와 오일을 이용하여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납땜습윤성 시험, 납땜 후 납부식 테스트, 오염도측정, 잉크가 도포된면의 필오프(Peel off)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 5]
수용성 플럭스는 폴리옥시에틸렌케스터오일(산화에틸렌 부가몰수 5몰) 30g, 염산(35%) 2g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15g을 물 53g에 각각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얻었고, 오일은 폴리옥시에틸렌케스터오일(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0몰) 95g, 트리메틸 디하이드로퀴놀린 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처리하였다.
위에서 조제한 플럭스와 오일을 이용하여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납땜습윤성 시험, 납땜 후 납부식 테스트, 오염도측정, 잉크가 도포된면의 필오프(Peel off)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 6]
수용성 플럭스는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터(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5몰) 30g, 염산(35%) 2g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15g을 물 53g에 각각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얻었고, 오일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터(산화에틸렌 부가몰수 25몰) 95g, 트리-2,4-디-터샤리-부틸 페닐 포스파이트 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녹힌 후 처리하였다.
위에서 조제한 플럭스와 오일을 이용하여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납땜습윤성 시험, 납땜 후 납부식 테스트, 오염도측정, 잉크가 도포된면의 필오프(Peel off)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 7]
수용성 플럭스는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에스터(산화에틸렌 부가몰수 10몰) 30g, 염산(35%) 2g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15g을 물 53g에 각각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얻었고, 오일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터(산화에틸렌 부가몰수 20몰) 95g, 페노티아진 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녹힌 후 처리하였다.
위에서 조제한 플럭스와 오일을 이용하여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납땜습윤성 시험, 납땜 후 납부식 테스트, 오염도측정, 잉크가 도포된면의 필오프(Peel off)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표1에 나타냈다.
<표1>
땜납 습윤성 시험(단위: 초) 땜납 후 납부식 시험 오염도 측정(단위:Nacl량/in3) 필오프 시험(단위:cm2)
비교예 1 0.44 변화없슴 0.0036mg 0.5이내
비교예 2 0.38 변화없슴 0.0045mg 0.5이내
비교예 3 0.42 변화없슴 0.0052mg 0.5이내
비교예 4 0.40 변화없슴 0.0049mg 0.5이내
비교예 5 0.38 변화없슴 0.0042mg 0.5이내
비교예 6 0.39 변화없슴 0.0031mg 0.5이내
비교예 7 0.40 변화없슴 0.0037mg 0.5이내
본 발명은 프린터 배선판의 동 및 동합금의 표면보호방법인 핫 에어 레블러(Hot Air leveler)에 의한 납땜코팅시 모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과 유동성(납땜습윤성 시험)이 매우 좋아 동노출에 의한 불량률이 매우 적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하게 좋게 되었으며, 납땜후 수세성이 매우 좋아 보관시 납 산화에 의한 회로 절단
(Open) 및 전류 누설에 의한 시스템 오작동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4)

  1. 계면활성제 20~70%, 무기산 및 유기산 0.1~105, 알코올 및 글리콜류 1~205 과 물1~50%로 구성된 수용성 플럭스 및 계면활성제 80~100% 에 항산화제 0.1~20%로
    구성된 오일.
  2. 청구항1에 있어서 모재의 젖음성 및 수세성을 좋게하기 위하여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Polyoxy ethylene Nonylphenyl ether) 계통에서 산화 에틸렌이 10 내지 20몰 부가된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계통에서 산화 에틸렌이 5 내지 15몰 부가된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페티에시드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케스터오일)계통에서 산화 에틸렌이 5 내지 10몰 부가된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스터 및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에스터계통에서 산화에틸렌 및 산화프로필렌이 5내지 30몰 부가된 화합물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함유하는 수용성 플럭스 및 오일.
  3. 청구항1에 있어서 금속표면의 산화막 제거 및 표면활성을 위해서 무기산인 염산, 불산, 브롬산, 황산, 인산, 염화아연, 염화암모늄등 과 유기산인 개미산, 초산, 젖산, 프로피온산, 카프리산, 글리콜산, 아크릴산, 안식향산, 파라니트로안식향산, 파라부틸안식향산, 파라톨루엔술폰산, 크린산, 살리실산,n-톨루일산, 수산, 호박산
    , 말레인산, 푸마르산, 주석산등에서 1종이상을 함유하는 수용성플럭스.
  4. 청구항1에 있어서 오일의 열에 의한 산화를 방지 및 전기적인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스코빅산, 토코페롤, 베타카로틴, t-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p-페닐렌 디아민, 트리메틸 디하이드로퀴놀린, 페노티아진,에틸디페닐아민 및 포스파이트계인 트리-2,4-디-터샤리-부틸 페닐 포스파이트 1종이상의 항산화제를 사용하는 조성물.
KR1020020029732A 2002-05-29 2002-05-29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KR20020061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32A KR20020061556A (ko) 2002-05-29 2002-05-29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32A KR20020061556A (ko) 2002-05-29 2002-05-29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556A true KR20020061556A (ko) 2002-07-24

Family

ID=2772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32A KR20020061556A (ko) 2002-05-29 2002-05-29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5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0291A (zh) * 2013-06-27 2013-10-16 东莞市和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助焊剂
CN104384753A (zh) * 2014-09-23 2015-03-04 明光旭升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电路板焊接剂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938A (en) * 1983-03-29 1984-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dering flux
US5122201A (en) * 1991-11-19 1992-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ater-soluble solder flux
JPH05123893A (ja) * 1991-10-31 1993-05-21 Nec Kagoshima Ltd 水溶性フラツクス
US20020017337A1 (en) * 2000-04-13 2002-02-14 Sanyogita Arora Soldering flux with cationic surfactant
KR100328256B1 (ko) * 1999-10-12 2002-04-10 이형도 납땜 플럭스 조성물용 용제시스템, 이를 포함한 플럭스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938A (en) * 1983-03-29 1984-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dering flux
JPH05123893A (ja) * 1991-10-31 1993-05-21 Nec Kagoshima Ltd 水溶性フラツクス
US5122201A (en) * 1991-11-19 1992-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ater-soluble solder flux
KR100328256B1 (ko) * 1999-10-12 2002-04-10 이형도 납땜 플럭스 조성물용 용제시스템, 이를 포함한 플럭스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20017337A1 (en) * 2000-04-13 2002-02-14 Sanyogita Arora Soldering flux with cationic surfact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0291A (zh) * 2013-06-27 2013-10-16 东莞市和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助焊剂
CN104384753A (zh) * 2014-09-23 2015-03-04 明光旭升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电路板焊接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8562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copper and copper alloy surfaces and method for the surface treatment
US5234505A (en) Stabilization of silicate solutions
US5393448A (en) Aqueous electronic circuit assembly cleaner and method
US5431847A (en) Aqueous cleaning concentrates
US5549761A (en) Method for removing rosin soldering flux from a printed wiring board
US5464553A (en) Low foaming effective hydrotrope
US5334260A (en) No-clean, low-residue, volatile organic compound free soldering flux and method of use
EP0620293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copper or copper alloys
EP0464652B1 (en) Agent and method for removing rosin-base solder flux
EP0551112A1 (en) Benzimidazole derivative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copper and copper alloy surfaces comprising the same
US5264046A (en) Aqueous electronic circuit assembly cleaner and cleaning method
EP0426943B1 (en) Agent and method for removing rosinbase solder flux
Smith et al. Characterizing the weak organic acids used in low solids fluxes
JP3086254B2 (ja) 電子および電気アセンブリ洗浄用調合物
EP0428260B1 (en) Metal surface treatment agents
US5296041A (en) Aqueous electronic circuit assembly cleaner and method
JP4186184B2 (ja) 回路基板はんだ付用フラックス及びソルダーペースト
US5330582A (en) Method for cleaning rosin-base solder flux
KR100907568B1 (ko) 땜납 플럭스 제거용 세정제 및 땜납 플럭스 세정 방법
USRE35045E (en) Method for removing soldering flux with alkaline metal carbonate salts and an alkali metal silicate
KR20020061556A (ko) 수평 핫에어 레블러법에 의한 납땜시 사용되는 수용성플럭스 및 오일의 제조방법
EP0686073B1 (en) No-clean, low-residue, volatile organic compound free soldering flux and method of use
EP0173167B1 (en) Nonfuming solder cleansing and fusing fluids
USRE35017E (en) Method for removing soldering flux with alkaline salts, an alkali metal silicate and anionic polymer
JP2913410B2 (ja) 銅又は銅合金の表面処理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