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394A - 전자앨범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앨범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394A
KR20020061394A KR1020010002450A KR20010002450A KR20020061394A KR 20020061394 A KR20020061394 A KR 20020061394A KR 1020010002450 A KR1020010002450 A KR 1020010002450A KR 20010002450 A KR20010002450 A KR 20010002450A KR 20020061394 A KR20020061394 A KR 2002006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ctronic album
directory
program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종
Original Assignee
이충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종 filed Critical 이충종
Priority to KR102001000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394A/ko
Publication of KR2002006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06F3/0677Optical disk device, e.g. CD-ROM, DV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앨범 제작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과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고 디렉토리를 구성하는 디렉토리 구성단계와; 상기 디렉토리 구성단계에서 구성된 디렉토리에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포맷과 입/출력에 규칙에 따라 전자앨범용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 후 프로그램 상의 창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전자앨범 작성단계와;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전자앨범을 출판하는 출판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정해진 프로그램 폴더에 자료를 복사하여 한번으로 모든 자료입력을 수행하여 전자앨범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앨범 제작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album}
본 발명은 전자앨범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해진 프로그램 폴더에 자료를 복사하여 한번으로 모든 자료입력을 수행하여 전자앨범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자앨범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앨범은 기존의 책자형 앨범을 대신할 수 있는 컴퓨터용 디지털 앨범을 말한다. 이러한 전자앨범은 CD 한 장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자앨범 프로그램에 의해 다양하고 편리하게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학교에서 졸업앨범을 대신하여 전자앨범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종래의 전자앨범 제작방법에는 2000년 1월 15일자로 특허출원된 공개번호 특2000-0000419의 다량의 사진영상과 비디오 영상을 통합/편집하는 씨디타이틀 제작방법이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사진영상과 비디오영상이 편집되는 순서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목적하에 제공/수집된 사진영상을 용도 혹은 주제별로 분류하고 구상화면과 합성 영상을 설정하는 사진 영상의 분류/설정 단계와; 상기 분류/설정 단계에서 구상된 설정 화면을 제작하기 위해 주제 인물을 실내의 랩실에서 스냅 촬영하는 스냅 촬영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수집된 사진 영상을 수정/가공하며 촬영된 스냅 사진을 배경화면과 합성하여 구상된 설정 영상을 제작하는 사진 영상의 수정/가공/합성 단계와; 상기 분류 및 제작된 사진 영상의 전자화된 데이터를 해당 폴더에 저장하는 사진 영상의 저장 단계와; 제공/촬영/수집된 비디오 영상을 목적 용도와 주제별로 분류하고 구상 화면을 설정하는 비디오 영상의 분류 및 설정단계와; 상기 분류된 비디오 영상을 수정/가공하고 설정된 구상 화면을 가공/합성하는 비디오 영상의 편집단계와; 상기 분류/편집된 비디오 영상의 전자화된 데이터를 주제 및 사용 목적별로 분류된 해당 폴더에 저장하고 일정 화면은 위치를 인식/지정하는 비디오 영상의 저장단계와; 상기 저장된 사진 영상과 비디오 영상을 통합/저장하고, 저장된 각 데이터의 영상화면을 출력/제어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 등을 인스톨하여 완성된 하나의 씨디 매체를 구성하는 씨디 매체 제작 단계와; 제작된 씨디 매체가 컴퓨터에 로드된 후 상기 저장된 사진 영상과 비디오 영상의 선택과 그 출력 형태 및 진행을 다양한 양식화면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실행단계를 수행한다.
도 2는 종래 씨디 매체에 편집된 사진영상과 비디오영상이 실행되는 순서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행단계에서는 편집 저장된 사진 영상/비디오 영상 /주제 인물의 프로필/짧은 이야기/스냅 사진의 영상 모드 중 보고자 하는 모드 진입과 그 종료를 선택 할 수 있게 하는 메인 화면 출력 단계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선택된 모드가 진행/출력되는 해당 모드 실행단계와; 상기 해당 모드가 실행된 후에는 선택된 그 모드에서 원하는 영상 검색을 간편하게 하거나, 혹은 원하는 사이즈의 출력양식을 결정할 수 있게 하고, 분류된 주제별로 그 선택과 그 진행을 결정할 수 있게 하며, 메인 화면으로의 복귀 및 종료를 제어 할 수 있게 하는 선택 모드 진행 단계를 수행한다.
도 3은 종래 방법이 적용되는 메인화면의 실시예이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다량으로 보관하는 각 개인의 사진영상과 비디오물의 영상 데이터를 전문화된 기술로 체계적으로 분류/수정/가공/편집하여 하나의 씨디 매체로 통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도 목적과 주제별로 분류되는 자신의 영상 데이터가 하나의 씨디 매체에 통합 저장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제작기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학교나 회사의 전자앨범을 작성할 경우 책자형 앨범은 사진을 인화하여 필름을 뜨고 인쇄 및 제본을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제약을 별로 받지 않으나, 전자앨범의 경우에는 CD-타이틀 형식으로 제대로 된 전자앨범을 제작할 경우 자료편집, 분류, 디자인, 프로그램, CD 복제 등의 많은 공정을 거쳐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디자인 및 프로그램 작업에서 시간을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예를 들어, 졸업앨범을 제작할 경우 그 제작기간은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약 90일 안에 모든 작업이 마쳐야 하는 제작기간의 시간적 제약이 있는데, 대부분 한 학교의 졸업앨범을 만드는데 3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되어 다수의 졸업앨범을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디자인 및 프로그램 작업에서 고급인력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단기간 내에 CD-타이틀을 제작하기 때문에 투입되는 인원이 많아져 기본 제작단가가 높은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전자앨범 제작도구의 경우 제작기간이 단축되기는 하였지만, 자료입력이 수동적이기 때문에 제작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모두가 일률적인 디자인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학교 또는 단체에 맞는 디자인을 구사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뷰어 프로그램의 기능 밖에 없기 때문에 주소록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없고, 전자앨범의 구성과 화면이 단조로운 약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프로그램 폴더에 자료를 복사하여 한번으로 모든 자료입력을 수행하여 전자앨범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전자앨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사진영상과 비디오영상이 편집되는 순서를 보인 흐름도이고,
도 2는 종래 씨디 매체에 편집된 사진영상과 비디오영상이 실행되는 순서를 보인 흐름도이며,
도 3은 종래 방법이 적용되는 메인화면의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앨범 제작을 보인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앨범 제작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디렉토리 구성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며,
도 7은 도 6이 적용되는 디렉토리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서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며,
도 9는 도 5에서 전자앨범 작성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5에서 출판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데이터 11 : 사진 데이터
12 : 동영상 데이터 13 : 자료 데이터
14 : 문서 데이터 20 : 컴퓨터
21 : 전자앨범 작성프로그램 30 : 전자앨범 씨디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전자앨범 제작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앨범 제작을 보인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전자앨범의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들로서, 사진 데이터(11), 동영상 데이터(12), 자료 데이터(13), 문서 데이터(14)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참조번호 20은 전자앨범을 작성하기 위한 컴퓨터이고,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안된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이며, 30은 상기 컴퓨터(20) 상에서 상기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에 의해 작성된 전자앨범 CD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앨범 제작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과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고 디렉토리를 구성하는 디렉토리 구성단계(ST11)와; 상기 디렉토리 구성단계에서 구성된 디렉토리에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포맷과 입/출력에 규칙에 따라 전자앨범용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ST12)와; 상기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 후 프로그램 상의 창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전자앨범 작성단계(ST13)와;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전자앨범을 출판하는 출판단계(ST1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6은 도 5에서 디렉토리 구성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ST21)와;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ST22)와; 전자앨범의 작성에 필요한 디렉토리를 구별하는 단계(ST23)와; 상기 설정된 포맷과 입/출력 규칙에 따라 상기 구별된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ST2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디렉토리는, 졸업앨범을 작성할 경우 학생별 사진과 데이터, 단체사진과 데이터, 담임선생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반 폴더와; 학교행사의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폴더와; 교가, 교기, 교훈을 포함한 학교 폴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8은 도 5에서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메뉴 상의 새로만들기를 선택한 다음 미리설정된 포맷과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디렉토리별로 입력하고, 입력된 디렉토리와 데이터가 전자앨범의 구성요소로 인식되도록 각각의 폴더 및 파일명에 의해 구분하여 폴더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T31 ~ ST33)와; 상기 특정 위치로의 이동 후 프로그램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호출하면 폴더 내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 로딩시키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T34 ~ ST3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9는 도 5에서 전자앨범 작성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에서 테마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하면, 새로운 테마디자인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딩하고 이전 테마디자인 데이터를 삭제한 다음 변경된 테마디자인을 저장하는 단계(ST41 ~ ST44)와; 상기 테마디자인 변경 후 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하면, 파일관리기에서 파일을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시킨 다음 이전 데이터를 삭제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단계(ST45 ~ ST49)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10은 도 5에서 출판단계를 상세히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 수행 후 출판하기가 선택되면,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작업자 메뉴를 삭제하는 단계(ST51)와; 상기 작업자 메뉴 삭제 후 전자앨범을 볼 수 있는 사용자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ST52)와; 상기 사용자 메뉴 출력 후 CD-타이틀로 전자앨범을 출력하는 단계(ST53)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CD-타이틀로 전자앨범을 출력하는 단계는, 책자형 인쇄 명령을 호출하면, 고해상도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화면 출력되는 순서를 미리 결정하고, 데이터의 최대해상도와 프린터의 최대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전자앨범용 데이터에 의해 개인별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검색단계는 데이터 중 입출력이 가능한 데이터만을 검색하고, CD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는 사용 후 상주 메모리에서 삭제하며, 검색어 입력시 데이터의 필요 부분만 메모리에 임시로 상주시켜 검색한다.
상기에서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분류화된 주소록 입력을 수행하는 주소록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개인별로 제공된 이메일을 통해 메일전송을 수행하는 이메일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관련 사이트를 링크시키고, 제작 협찬사의 배너광고를 클릭하여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홈페이지 링크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앨범 제작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앨범은 디지털정보화시대에 있어서 기존의 책자형 앨범을 대신할 수 있는 앨범이다. 그래서 씨디 1장에 많은 양의 사진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문서 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첨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그래픽디자인을 이용하여 얼마든지 졸업앨범을 화려하게 꾸밀 수도 있다. 그리고 기존의 책자형 앨범에 비하여 반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하며 가격 또한 기존앨범에 비하여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전자앨범은 제작기간이 길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제작기간 및 제작비용을 단축하기 위하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전자앨범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전자앨범 제작도구를 개발한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입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그래픽 디자인을 패키지화하여 자유롭게 전자앨범의 디자인을 구사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비전문가가 다루기 쉽도록 구현하였다.
제작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키기 위하여 준비된 데이터를 일정한 디렉토리 안의 각 폴더에 복사하고, 이 복사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과 입/출력 규칙에 따라 디렉토리와 데이터 파일을 입력하여 해당 디렉토리와 파일 내용을 읽어들임으로써 손쉽게 전자앨범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즉, 종래에는 전자앨범 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킨 다음 해당 프로그램 상에서 일일이 파일을 지정하고, 디자인을 결정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미리 구조화된 디렉토리로 파일을 복사하기만 하면 전자앨범 작성프로그램(21)에서 이를 읽어들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자앨범 제작기간과 제작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게 되는 것이다.
정해진 프로그램 폴더에 자료를 복사함으로써 자료분류는 끝나게 되고, 새로만들기에서 한번으로 모든 자료를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마 변경으로 디자인 작업도 끝나게 된다.
도 7은 도 6이 적용되는 디렉토리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그래서 먼저 본 발명에서는 크게 디렉토리 구성단계,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 전자앨범 작성단계, 출판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디렉토리 구성단계에서는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과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고 디렉토리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을 설정한다. 그리고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입/출력 규칙을 설정한다. 또한 전자앨범의 작성에 필요한 디렉토리를 구별한다. 그런 다음 설정된 포맷과 입/출력 규칙에 따라 구별된 디렉토리를 생성하게 된다.
그래서 도 7에서 schooldata 폴더는 전자앨범 작성프로그램(21) 상의 데이터 방으로의 자료를 입력하기에 앞서 실제적인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임시 폴더이다. 이 폴더는 프로그램 상에서 구성되어지고, 약속된 디렉토리 구조로 구성되며, 각각의 디렉토리 안에는 미리 약속되어지는 데이터들로 구성되어 있다.
졸업앨범을 예로 들 경우 디렉토리 구성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chooldata 폴더의 하위 디렉토리에는 각반이 "01반"에서부터 숫자 오름차순으로 무한정 설정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12반"까지의 schooldata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약속되어진 각반 폴더, 동영상 폴더, 학교 폴더의 크게 3가지 폴더로 구성하였다.
각반 폴더는 학생별 사진과 데이터, 단체사진 데이터, 담임선생님 데이터 등이 들어갈 수 있는 폴더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학생별 사진과 데이터가 프로그램 상에서 여러 곳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각각의 위치로 입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 파일을 숫자 오름차순 또는 알파벳 오름차순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로 입력되고 정렬되도록 한다.
학생별 폴더의 구성 또한 이름 앞에 숫자로서 정렬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정렬방식에 의해 학생들의 고유번호 순서대로 프로그램 상에 입력된다.
동영상 폴더의 구성에서 학교 행사 등의 동영상 폴더는 01부터 최대 05까지로 5개까지 추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schooldata 동영상 폴더에서 준비되어지는 데이터의 자동입력도 가능하고, 프로그램 상에서 동영상 파일을 불러 올 수도 있게 된다. 이 또한 프로그램 내에서 데이터의 숫자 및 순서를 미리 약속되어진 원리에 의하여 입력되고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학교 폴더의 구성은 교가, 교기, 교훈 등의 7가지 폴더로 구성한 예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미리 프로그램 상에서 이러한 폴더내의 데이터를 정해진 순서 및 약속대로 프로그램 내의 데이터로 입력되도록 한다.
프로그램의 언어는 단순하면서도 순서 배열 정렬 등 수학적 원칙에 충실하게 짜여지며 데이터 또한 이러한 원칙에 따라 입력되어진다.
CD-타이틀의 전자앨범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데이터와 다양한 분류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의 제작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언어의 원리와 CD-타이틀의 제작에 앞서 데이터를 기능 및 용도에 맞게 분류한다는 점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제작에 앞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능, 용도, 목적대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류에 있어서 좀더 체계적이고 프로그램 언어의 원리에 맞게 디렉토리를 구성시켜 한번에 자동으로 데이터를 프로그램 내로 자동적으로 입력 및 정렬시킴으로써 제작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키게 된다.
한편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에서는 디렉토리 구성단계에서 구성된 디렉토리에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포맷과 입/출력에 규칙에 따라 전자앨범용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하는데,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새로만들기를 선택한 다음 미리 설정된 포맷과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디렉토리별로 입력하고, 입력된 디렉토리와 데이터가 전자앨범의 구성요소로 인식되도록 각각의 폴더 및 파일명에 의해 구분하여 폴더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특정 위치로의 이동시킨 다음 프로그램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호출하면 폴더 내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 로딩시키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작업자 메뉴 상에서 "새로만들기"를 실행할 경우 프로그램 폴더 내의 schooldata의 모든 자료가 데이터 폴더 방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 상의 한번의 클릭으로 임시 디렉토리인 schooldata 상의 모든 자료가 프로그램 상의 데이터로 입력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자료입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 상에서 수동입력도 할 수있다.
여기서 "새로만들기"로 모든 자료를 입력하는 것은 schooldata 폴더의 자료들이 프로그램내의 데이터 방으로 입력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schooldata 폴더의 프로그램상의 데이터 폴더로 입력시키는 원리는 프로그램이 폴더 및 데이터를 호출할 때 인식할 수 있는 규칙에 의거하여 입력되어진다. 이는 디렉토리 구성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 및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입/출력 규칙에 따라 수행된다.
그리고 입/출력 규칙은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1) 상위 그룹의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01반, 02반, ......, 12반, 동영상, 학교 등이 된다.
2) 상위 그룹 폴더에 포함되는 그룹의 하위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01-홍길동, 담임, 단체사진 등이 될 수 있다.
3) 프로그램 내에서 미리 정해진 약속(상위폴더부터 하위폴더로의 폴더생성, 숫자 오름차순, 알파벳 오름차순 등에 따른 데이터의 입력 및 정렬)에 따라 해당 폴더로 데이터가 입력되게 한다.
또한 데이터 및 디자인 등이 프로그램 내로 저장되도록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즉, 작업자 메뉴 상의 "새로만들기"라는 메뉴를 클릭하여 schooldata 폴더의 데이터들이 프로그램 내의 데이터 방으로 복사된 후에 실질적인 프로그램 구성요소로서 인식되도록 폴더 및 파일을 정렬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 과정은 "새로만들기"라는 메뉴버튼을 이용하여 한번에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리 약속되어진 특정 폴더등에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음악, 텍스트 등의 디지털화된 데이터가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에 의해서 폴더 명에 따라 구분되어져 각각의 그룹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그룹화된 데이터의 그룹 하나가 프로그램 상의 데이터 입력 및 저장과정을 거쳐 폴더명의 이름을 갖는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생성된다. 즉,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 내에서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게 "너는 어떤 폴더의 몇 번째 파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라"라는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되어진 데이터 파일 각각을 프로그램의 데이터 호출(실제적인 CD-타이틀에서 화면상에 보여지는 부분)에 반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폴더내의 특정위치로 각각의 폴더 및 파일명에 의해 구분되어져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되어진 각각의 데이터 파일은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의 호출에 의하여 메모리 상에 로딩되고 디스플레이 과정을 거쳐 모니터 상에 화상을 보여주게 된다.
한편 전자앨범 작성단계에서는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 상의 창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테마 디자인을 무한정으로 공급하고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21)의 실행 -> 새로만들기 수행 -> 저장 -> 테마디자인 변경 -> 저장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에서테마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하면, 새로운 테마디자인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딩하고 이전 테마디자인 데이터를 삭제한 다음 변경된 테마디자인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테마디자인 변경 후 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하면, 파일관리기에서 파일을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시킨 다음 이전 데이터를 삭제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게 된다.
그래서 제작하고자 하는 전자앨범의 항목별, 페이지별 디자인 작업이 완료되면 프로그램 상에서 테마디자인을 입력하여 테마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부분별 디자인 변경도 가능하다.
CD-타이틀에 있어서 디자인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좋은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로 한다. 그래서 특정 CD-타이틀 전자앨범에 있어서 100가지 이상인 각 요소의 디자인을 패키지화시킨다면 디자인 변경시 한꺼번에 할 수 있어서 시간과 인력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비수기에 미리 디자인을 개발하여 필요로 하는 시기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테마디자인을 한꺼번에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딩되어진 디스플레이화 된 이미지, 프로그램 상에 적용되어진 배경 이미지, 아이콘, 버튼 등의 데이터를 프로그램상의 테마변경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새로운 테마프로그램의 이미지, 배경디자인, 아이콘, 버튼 등 모든 디자인이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딩되게 한다. 그리고 전에 있던 데이터는 삭제하여 테마변경이 되게 한다. 이렇게 테마를 변경한 다음 저장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디자인 데이터들이 새로운 디자인 데이터로변경된다. 다시 말하면 특정위치에 포함된 전의 모든 디자인 데이터파일은 삭제되고 새로운 파일을 그 위치에 복사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의 CD-타이틀이 완성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을 구사하고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방식으로 CD-타이틀 전자앨범을 제작하더라도 부분적인 변경이나 수정이 필요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 상에서 변수에 의한 데이터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 상태에서도 디자인 및 데이터의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하게 한다. 즉, 디자인 및 데이터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파일관리기가 나오고, 파일을 지정하여 파일을 열고 저장하면 변경이 되는데, 이는 프로그램 내에서 특정 데이터 파일의 경우는 새로운 파일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CD-타이틀의 제목이 현재 "대한민국"이라는 이미지이고 파일명은 001.JPG라고 하면, 마우스 아이콘을 변경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놓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에서 변경하라는 명령으로 받아들여 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 호출 명령을 수행한다. 그리고 파일관리기가 뜨고 변경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열게되면, 메모리 상에서 새로운 이미지로 로딩되고 이를 저장하면 이미지가 변경되는 것이다.
한편 출판단계에서는 전자앨범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전자앨범을 출판하게 되는데,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래서 출판하기가 선택되면,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작업자 메뉴를 삭제한다.그리고 작업자 메뉴 삭제 후 전자앨범을 볼 수 있는 사용자 메뉴를 출력한다. 이렇게 사용자 메뉴 출력한 다음 CD-타이틀로 전자앨범을 출력하게 된다.
자료입력 및 디자인 변경 등 모든 과정의 데이터 입력이 끝나면 CD-타이틀로 완성시켜야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출판하기"란 메뉴를 수행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출판하기" 명령은 프로그램 상에서 작업자 메뉴 데이터를 삭제시키고 새로운 사용자 메뉴로 데이터가 변경되며 또한 작업자 입장에서 편집 기능이 없어짐으로써 원프로그램의 편집이나 복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인 소비자가 볼 수 있는 프로그램(CD-TITLE)으로 변경이 되어진다. 이렇게 제작된 CD-타이틀은 정식으로 제작된 CD-타이틀과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디지털화된 전자앨범을 아날로그 방식의 책자형 앨범으로 출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아날로그 방식의 책자형 앨범으로 출판할 경우에도 프린터의 고급화와 용지의 고급화로 인쇄의 질이 거의 사진과 차이가 없게 된다.
개별적인 사진의 화면 출력일 경우 화면에서는 75dpi 디스플레이 되지만 실질적인 이미지 해상도는 그 이상이며 프린터로 인쇄 시에는 최대 1240dpi 까지 고해상도로 인쇄가 가능하다. 반면에 종래의 전자앨범 또는 CD-타이틀 상에서의 인쇄기능은 화면출력 범위인 75dpi 이거나 기본 이미지의 해상도 정도로만 인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해상도를 높이면 개별적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커져 자료저장 공간 및 속도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프로그램 소스 데이터로서의 최대해상도와 하드웨어적으로 프린터의 최대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원하는 해상도의사진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쇄방법에서 개별적 부분적인 인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책자형 앨범 형식으로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프로그램 상에서 전체적인 책자형 인쇄 명령을 호출할 경우 프로그램 상에서 화면 출력되는 순서를 미리 정해 놓았기 때문에 기존의 책자형 앨범의 형태와 다를 것이 없으며 또한 고해상도의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부가기능으로 자료검색, 주소록 입력, 이메일 전송, 사이트 링크, 배너광고 기능 등을 포함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검색 및 프로그램 속도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즉, 데이터가 많을 경우 선별적인 검색을 하여야만 빠르게 필요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여기서 검색기능은 프로그램의 속도를 현저히 낮추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검색기능을 강화하고 속도에는 변함이 없는 데이터의 선별적 검색방법을 사용한다.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크게 프로그램 언어 소스로서의 프로그램 데이터와 디자인 데이터, 실질적인 내용으로서의 데이터 등으로 구분된다.
검색시 실질적인 내용으로서의 입출력이 가능한 데이터만을 검색한다. 또한 CD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사용한 후에는 하드웨어 상의 상주메모리에서 자동적으로 삭제시켜 속도를 향상시킨다. 즉, 화면상에서 항상 필요한 데이터는 상주메모리에 항상 상주시키며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만 필요시에 상주메모리에 올리고 화면이 바뀔 때에는 자동삭제 되는 원리이다.
또한 검색 시에 모든 데이터를 상주메모리에 상주시킬 경우 검색속도는 빠를수도 있으나 전체적인 프로그램운영에는 상당한 속도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검색대상 데이터를 이미 분류된 상태에서 검색어 입력시 프로그램 내에서 필요한 부분 데이터(예를 들어, 이름 입력시 성명이 들어가는 부분의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메모리에 상주시켜서 검색속도는 높이고 전체적인 프로그램 운영속도에도 지장이 가지 않게 한다.
디렉토리의 세부적인 분류에서 학교의 경우는 학교 밑에 각반, 각반 밑에 학생, 학생 밑에 데이터 등의 수직적 또는 수평적 데이터들이 존재한다.
이를 컴퓨터상의 디렉토리 구조로 프로그램화하여 세부적인 분류까지 가능하게 한다. 또는 이러한 방법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자세하게 확실하게 분류 가능하게 하므로 속도 향상 및 프로그램의 기능을 다양화 할 수 있게 된다.
부가기능에서 주소록 입력은 종래의 전자앨범에서는 할 수 없는 기능으로, 분류화된 주소록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메일 발송 기능은 종래의 전자앨범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기능으로, 전자앨범에 수록되는 개인들에게 개인별 이메일을 제공하고, 해당 이메일 링크로 바로 메일 발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홈페이지 링크기능에 의해 학교, 단체, 회사 등의 홈페이지 링크가 가능하다. 또한 제작 협찬사의 배너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바로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메일, 홈페이지 링크, 배너 광고 등은 오프라인의 전자앨범과 온라인의 웹을 연결하여 주는 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프로그램 상에서 각각의 기능을 호출할 때 오프라인에서 자동으로 온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화면 상에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또한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변수가 있는 메일이나 홈페이지 변경시에는 하드웨어적으로 저장하여 온라인 호출시 하드웨어의 데이터를 먼저 검색한 다음 CD에 내장된 데이터를 불러오기 때문에 홈페이지 변경이나 메일변경도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정해진 프로그램 폴더에 자료를 복사하여 한번으로 모든 자료입력을 수행하여 전자앨범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정해진 프로그램 폴더에 자료를 복사하여 한번으로 모든 자료입력을 수행하여 전자앨범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졸업앨범의 제작, 웨딩 앨범의 제작, 판매용 전자앨범의 개발 및 업데이트, 기업 홍보용 CD-타이틀 제작, 박람회 및 전시회용 CD-타이틀 제작, 제품 홍보용 CD-타이틀 제작, 대학교와 화보집과 문집 등의 CD-타이틀 제작에적용하여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제작비용을 감소시키며 사용자의 요구를 쉽게 반영하여 전자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4)

  1.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과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고 디렉토리를 구성하는 디렉토리 구성단계와;
    상기 디렉토리 구성단계에서 구성된 디렉토리에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포맷과 입/출력에 규칙에 따라 전자앨범용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 후 프로그램 상의 창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전자앨범 작성단계와;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전자앨범을 출판하는 출판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구성단계는,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와;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와;
    전자앨범의 작성에 필요한 디렉토리를 구별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포맷과 입/출력 규칙에 따라 상기 구별된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는,
    졸업앨범을 작성할 경우 학생별 사진과 데이터, 단체사진과 데이터, 담임선생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반 폴더와;
    학교행사의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폴더와;
    교가, 교기, 교훈을 포함한 학교 폴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는,
    작업자 메뉴 상의 새로만들기를 선택한 다음 미리 설정된 포맷과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디렉토리별로 입력하고, 입력된 디렉토리와 데이터가 전자앨범의 구성요소로 인식되도록 각각의 폴더 및 파일명에 의해 구분하여 폴더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특정 위치로의 이동 후 프로그램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호출하면 폴더 내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 로딩시키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는,
    사용자가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에서 테마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하면, 새로운 테마디자인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딩하고 이전 테마디자인 데이터를 삭제한 다음 변경된 테마디자인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테마디자인 변경 후 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하면, 파일관리기에서 파일을해당 디렉토리로 이동시킨 다음 이전 데이터를 삭제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판단계는,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 수행 후 출판하기가 선택되면,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작업자 메뉴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 메뉴 삭제 후 전자앨범을 볼 수 있는 사용자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메뉴 출력 후 CD-타이틀로 전자앨범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D-타이틀로 전자앨범을 출력하는 단계는,
    책자형 인쇄 명령을 호출하면, 고해상도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화면 출력되는 순서를 미리 결정하고, 데이터의 최대해상도와 프린터의 최대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전자앨범용 데이터에 의해 개인별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는,
    데이터 중 입출력이 가능한 데이터만을 검색하고, CD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는 사용 후 상주 메모리에서 삭제하며, 검색어 입력시 데이터의 필요 부분만 메모리에 임시로 상주시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분류화된 주소록 입력을 수행하는 주소록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개인별로 제공된 이메일을 통해 메일전송을 수행하는 이메일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관련 사이트를 링크시키고, 제작 협찬사의 배너광고를 클릭하여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홈페이지 링크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 제작방법.
  13.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과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고 디렉토리를 구성하는디렉토리 구성단계와;
    상기 디렉토리 구성단계에서 구성된 디렉토리에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포맷과 입/출력에 규칙에 따라 전자앨범용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 후 프로그램 상의 창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선택하고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전자앨범 작성단계와;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에서 작성된 전자앨범을 출판하는 출판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구성단계는,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와;
    디렉토리와 데이터의 입/출력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와;
    전자앨범의 작성에 필요한 디렉토리를 구별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포맷과 입/출력 규칙에 따라 상기 구별된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는,
    졸업앨범을 작성할 경우 학생별 사진과 데이터, 단체사진과 데이터, 담임선생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반 폴더와;
    학교행사의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폴더와;
    교가, 교기, 교훈을 포함한 학교 폴더;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변경 단계는,
    작업자 메뉴 상의 새로만들기를 선택한 다음 미리 설정된 포맷과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디렉토리별로 입력하고, 입력된 디렉토리와 데이터가 전자앨범의 구성요소로 인식되도록 각각의 폴더 및 파일명에 의해 구분하여 폴더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특정 위치로의 이동 후 프로그램에서 전자앨범용 데이터를 호출하면 폴더 내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 로딩시키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는,
    사용자가 전자앨범 작성 프로그램에서 테마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하면, 새로운 테마디자인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딩하고 이전 테마디자인 데이터를 삭제한 다음 변경된 테마디자인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테마디자인 변경 후 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하면, 파일관리기에서 파일을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시킨 다음 이전 데이터를 삭제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판단계는,
    상기 전자앨범 작성단계 수행 후 출판하기가 선택되면, 전자앨범을 작성하는 작업자 메뉴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 메뉴 삭제 후 전자앨범을 볼 수 있는 사용자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메뉴 출력 후 CD-타이틀로 전자앨범을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CD-타이틀로 전자앨범을 출력하는 단계는,
    책자형 인쇄 명령을 호출하면, 고해상도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화면 출력되는 순서를 미리 결정하고, 데이터의 최대해상도와 프린터의 최대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전자앨범용 데이터에 의해 개인별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는,
    데이터 중 입출력이 가능한 데이터만을 검색하고, CD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는사용 후 상주 메모리에서 삭제하며, 검색어 입력시 데이터의 필요 부분만 메모리에 임시로 상주시켜 검색하는 것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분류화된 주소록 입력을 수행하는 주소록 입력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개인별로 제공된 이메일을 통해 메일전송을 수행하는 이메일전송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앨범 제작방법은,
    관련 사이트를 링크시키고, 제작 협찬사의 배너광고를 클릭하여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홈페이지 링크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02450A 2001-01-16 2001-01-16 전자앨범 제작방법 KR20020061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450A KR20020061394A (ko) 2001-01-16 2001-01-16 전자앨범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450A KR20020061394A (ko) 2001-01-16 2001-01-16 전자앨범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394A true KR20020061394A (ko) 2002-07-24

Family

ID=2769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450A KR20020061394A (ko) 2001-01-16 2001-01-16 전자앨범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39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178A (ko) * 2003-03-21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이미지 배치방법 및 장치
KR100602143B1 (ko) * 2004-03-05 2006-07-19 자프린트닷컴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도서 제작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49844B1 (ko) * 2006-12-22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앨범 구성 장치 및 방법과 앨범의 커버 이미지 관리장치 및 방법
WO2014000295A1 (zh) * 2012-06-30 2014-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盘文件存储方法及服务器
US8839094B2 (en) 2007-01-23 2014-09-16 Jostens, Inc. System and method for yearbook creation
US10445391B2 (en) 2015-03-27 2019-10-15 Jostens, Inc. Yearbook publish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178A (ko) * 2003-03-21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이미지 배치방법 및 장치
KR100602143B1 (ko) * 2004-03-05 2006-07-19 자프린트닷컴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도서 제작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49844B1 (ko) * 2006-12-22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앨범 구성 장치 및 방법과 앨범의 커버 이미지 관리장치 및 방법
US8839094B2 (en) 2007-01-23 2014-09-16 Jostens, Inc. System and method for yearbook creation
WO2014000295A1 (zh) * 2012-06-30 2014-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盘文件存储方法及服务器
US10445391B2 (en) 2015-03-27 2019-10-15 Jostens, Inc. Yearbook publish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1586B1 (en)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objects
JP4936719B2 (ja) データのタイムラインベースの視覚化のための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エンジン
AU2005229677B2 (en) File management system employing time-line based representation of data
US8341555B2 (en) Image managing apparatus, image managing method and image managing program
US20080281776A1 (en) Interactive System For Creating, Organising, and Sharing One's Own Databank of Pictures Such as Photographs, Drawings, Art, Sketch, Iconography, Illustrations, Portraits, Paintings and Images
Wempen PowerPoint 2010 Bible
JPH07182366A (ja) 静止画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10009608A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2002335487A (ja) 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ならびに該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サーバ
JPH09179870A (ja) 電子化書籍システム
KR20020061394A (ko) 전자앨범 제작방법
JP2007156680A (ja) ファイル管理装置
US20060236260A1 (en) Journal display having three dimensional appearance
JP6701268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Vestberg Picture Research: The Work of Intermediation from Pre-Photography to Post-Digitization
JPH09244847A (ja) コンピュータ装置
Gregory et al. World Wide Web page design: A structured approach
JPH0793520A (ja) 画像データの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S61217831A (ja) 文書画像フアイル検索方式
Pogue et al. iPhoto'09: The Missing Manual: The Missing Manual
Wolper Photoshop Elements 2018: From Novice to Expert
Flynn et al. The MARC Format and Electronic Reference Images: Experiences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Prints and Photographs Division
Carlson Adobe Photoshop Elements 2020 Classroom in a Book
Grey Adobe Photoshop Lightroom Workflow: The Digital Photographer's Guide
Evans et al. Adobe Photoshop Elements 2018 Classroom in a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