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967A - 소비자 전자 장치들용 인터넷 서비스들 - Google Patents

소비자 전자 장치들용 인터넷 서비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967A
KR20020060967A KR1020027006121A KR20027006121A KR20020060967A KR 20020060967 A KR20020060967 A KR 20020060967A KR 1020027006121 A KR1020027006121 A KR 1020027006121A KR 20027006121 A KR20027006121 A KR 20027006121A KR 20020060967 A KR20020060967 A KR 2002006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s
user
service application
functional elements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 새가르리차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6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가능한 기능 요소들(function elements)을 조사(survey)하고, 개개의 장치들로 구현할 수 없는 성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들 기능 요소들의 조합들을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한다.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들의 기능 요소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기능 요소들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한다. 사용자는 설치를 위해 이들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는 옵션을 갖는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에,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드라이버들, 및 다른 유용성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동작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장치들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뿐만 아니라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놓쳐지는 기능 요소들을 식별한다.

Description

소비자 전자 장치들용 인터넷 서비스들{Internet services for consumer-electronic devices}
(배경기술의 설명)
통상, 가정용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장치는 비록 시너지 효과들(synergistic effects)이 상기 언급된 가정용 자동화 네트워크들 또는 프로토콜들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통해 다중 장치들의 제어를 통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지만, 개별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하고, 또는 개별적으로 구성 가능하다. 하지만, 이들 시너지 효과들은 각 장치가 다른 것을 갖는 지식의 정도에 의존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중 장치 성능들을 갖는 지식의 정도에 의존한다. 예컨대, 방송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튜너(tuner), 표시 장치 및 오디오 장치를 필요로 한다. 다중매체 환경에서,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비디오카세트 리코더(VCR)에 제공되는 채널,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콘솔(console)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 및 일반적으로 AM/FM 스테레오 수신기에 제공되는 오디오 증폭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비네트워크 환경(non-networked environment)에서, 사용자는 적합한 접속 단자들(terminals)을 통해 서로에 대해 각 장치를 물리적으로 접속시키고, 각 장치 내에서 신호들의 적합한 루팅(routing)을 달성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들을 설정한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각 장치는 연속적인 처리 또는 사용자에의 렌더링을 위해 네트워크로부터 적합한 신호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각 장치의 적합한 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DVD 플레이어와 같은, 네트워크에의 또 다른 장치의 부가는 통상 부가된 장치를 지원하기 위해 표시 장치와 같은, 각각의 작용된 장치의 구성에 약간의 수정을 필요로 한다.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부가되고,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해 제공되므로, 구성 태스크(task)의 복잡성의 수준이 줄어들게 될 수 있으며, 이들 복잡성들을 다루는데 대한 무능(inability) 또는 내키지않음(unwillingness)으로 인해 홈 네트워크의 진정한 이점들을 잃어버릴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통해 이용가능한 장치들의 기능성들을 조합하는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지 못 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소비자 전자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가정용 네트워크 상에서 소비자 전자 장치들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상의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관련 기술의 설명
지금까지, 더욱 복잡한 전자 오디오/비디오(AV) 장비 및 가정용 자동화 장비가 소비자 전자장치(consumer electronics:CE) 시장에 소개되고 있다. 통상, 그 장치는 개인적인 선호도에 대한 수많은 기능성들 및 세팅들(settings)에 맞추기 위해서 그리고 사용자의 가정 내의 다른 장비와 함께 동작하도록 최종 사용자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각각이 Philips Electronics, Jini technology of Sun Microsystems, Inc 등으로부터의 기여와 관련된 HAVi 아키텍쳐, Home API 이니시어티브(initiative), 유니버셜 플러그 앤 플레이(Universal Plug and Play(UPnP)),홈아르에프 라이트(HomeRF Lite), 및 블루투스 표준(Bluetooth standard)이 가정용 네트워크 내의 다중 장치들의 상호운용(interoper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홈 네트워크 및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의 이용가능한 기능 모듈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의 요구된 기능 모듈들의 예시적인 비교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
(본 발명의 간단한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 상의 다중 장치들의 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간의 상호운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 상의 다중 장치들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선택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러 가지 목적들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가능한 기능 요소들(function elements)을 조사(survey)하고, 개개의 장치들로 구현할 수 없는성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들 기능 요소들의 조합들을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달성가능한 이익들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 기반이며, 장치들의 사용자 목록(inventory)의 성능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잠재적으로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버츄얼 글로벌 검색(virtual global search)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들의 기능 요소들과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에 상주하거나, 또 다른 소스로부터 이용가능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기능 요소들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한다. 사용자는 설치를 위한 기능 요소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는 옵션(option)을 갖는다.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에, 필요에 따라 그 어플리케이션, 드라이버들, 및 다른 유용성(utility)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하고, 필요에 따라 그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기 위한 장치들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또한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대해 놓쳐지는(missing) 기능 요소들을 식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 전체를 통해, 동일한 참조번호는 유사한 또는 대응하는 특징들 또는 기능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홈 네트워크(100) 및 인터넷 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을 도시한다. 홈 네트워크(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경로들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다양한 장치들 및 구성성분들(110-15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들간의 통신들은 상이한 상인들(vendors)의 장치들간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에 합치한다. 필요에 따라, 홈 네트워크는 상이한 표준들에 합치하거나 상이한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장치들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재포매터들(reformatters) 또는 번역기들(translators)을 포함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100)는 또한 다른 장치들(161-163)이 통신하는 것을 통해, 서브-네트워크(16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예시된다. 참조 및 이해를 돕기 위해서, 임의의 또는 모든 서브-네트워크들 내의 장치들 및 구성성분들은 본 명세서에서 홈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접속되는 장치들 및 구성성분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뤄진다.
네트워크(100)에서 각각의 장치 또는 구성성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텔레비전(120)은 동조, 또는 채널 선택, 기능을 행하는 튜너(121)와, 버츄얼 렌더링(rendering) 기능을 행하는 표시장치(122)와, 복조 또는 복호 기능들(133)을 행하는 비디오 프로세서(123)와 오디오 프로세서(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VCR(130)은 튜너(131), 부호기(132), 비디오 리코드 기능(133), 비디오 재생 기능(134), 오디오 리코드 기능(135), 및 오디오 재생 기능(136)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40)는 뷰어(viewer:142), 비디오 리코드 기능(143), 오디오 재생 기능(144), 오디오 리코드 기능(145) 및 오디오 재생 기능(14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 장치(appliance device"(110))라고 불리는 다른 장치들은 가전기기 제어 기능을 행하는 제어 모듈(111), 및 보고 기능(reporting function)을 행하는 상태 모듈(status module: 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을 위해, 기능 요소는 네트워크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갖는 임의의 요소이며, 포트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정의가능 기능(definable function)을 실행하고, 포트로부터 출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준들이 각 기능 요소에 의해 제공된 기능 또는 기능들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각 포트에서 이용가능하거나 요구된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발되거나 전개되고 있다. 효과적인 코딩(coding)을 위해서, 텔레비전(120)과 VCR(130) 각각은 각각 튜너(121,131)를 포함하고, 다른 장치들은 또한 각각이 유사하거나 다른 성능들을 갖는 튜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층적인 분류(hierarchical classification)는 가장 높은 수준에서 "튜너", 다음 수준에서 "주파수 대역", 또 다른 수준에서 "채널-유형"(예컨대 CD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류 기능들 및 성능들을 위한 기술들은 당업게에서는 공통적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들 기능들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180)에 홈 네트워크(100) 상에서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매치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인터넷(170)에 상주하거나 인터넷(170)에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80)의 소스들(190) 및 드라이버들(181)의 소스들(192)의 넓은 범위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또한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홈 네트워크 서버(150) 상의 어플리케이션들(180')과 같은, 홈 네트워크(100)와 함께 위치된다. 또한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비록 홈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들이 다운로드가능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지만, 통상 서버(150) 상의 어플리케이션들(180')로서, 홈 네트워크에 어플리케이션들(180)의 다운로딩을 용이하게 한다. HAVi의 특정 목적들 중 하나는 소프트웨어가 여러 가지 장치들을 가로질러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영상(image)의 움직임이 침입자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 어플리케이션(securityapplication)에서, 움직인 검출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 트래픽(traffic)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카메라(140) 상에서 직접 동작될 수 있다. 움직임이 검출되면, 카메라(140)는 텔레비전(120)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텔레비전(120) 내의 소프트웨어는 카메라(140)와 텔레비전(120)간의 적합한 "접속"을 선택하고, 표시장치(122) 상에 픽처-인-픽처(Picture-In-Picture: PIP) 윈도우를 가져오고, 그후에, PIP용 소스로서 카메라(140)를 설정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또한 단순히 어플리케이션에 웹 어드레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액세스될 때,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 내에서라기보다는, 자신의 인터넷 위치(location)로부터 실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예시적인 동작을 보여준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210,220)는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요소들(211-213, 221-222)을 포함한다. 예컨대, 장치(210)는 선택적인 MPEG 입력 또는 출력을 갖는 비디오카세트 테이프 리코더(VCR)일 수 있다. 이 VCR-MPEG 장치(210)는 예컨대 MPEG-비디오 기능 요소 FB1(211), 리코더 요소 FB2(212), 및 비디오-MPEG 요소 FB3(213)을 포함한다. 장치2(220)는 오디오 재생 요소 FB4와 비디오 표시 요소 FB5(245)를 갖는 종래의 다중매체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281,282,283) 각각은 각각 기능 요소들의 세트(241, 245), (242, 243, 246),(241', 243', 244, 245')를 요구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281)은 입력 재료(material)의 소스로서 MPEG-비디오 기능 요소 FB1(241), 및 출력에제공하기 위한 표시 기능 요소 FB5(245)를 요구하는 MPEG 뷰잉(viewing)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는 카메라 기능 요소 FB6(246), 원격 안전 상태에 대한 전송을 위한 비디오-MPEG 기능 요소 FB3(243), 및 리코딩 기능 요소 FB2를 요구하는 안전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3은 입력 재료의 소스로서 MPEG-비디오 요소 FB1(241'), 및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 요소 FB5(245')를 요구하고, 또한 예컨대 비디오-MPEG 출력 요소 FB3(243'), 및 오디오 재생 기능 요소 FB4(244)를 요구하는 MPEG 편집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비록 각각의 어플리케이션(281-283)이 요구된 기능 요소들의 단일 세트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구성가능 어플리케이션들이 각 세트가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성능을 제공하는 요구된 기능 요소들의 다중 세트들을 가질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입증될 것이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기능 블록(A)과, 블록(B) 또는 블록(C,D)(도시되지 않음)을 요구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세트들(A,B) 및 (A,C,D)은 각각이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다. 세트들의 철저한 수집(exhaustive collection)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이용가능한 그래머들(grammars) 중 임의의 하나 또는 특정 언어들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요소의 다양한 조합들을 연관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각각의 복수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요구된 기능 요소들(240)에 홈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가능한 요소들의 목록(230)을 비교한다. 이들 어플리케이션들은 프리웨어(free-ware), 또는 셰어웨어(share-ware)로서, 또는 구입가능 또는 자격취득가능(licensable) 어플리케이션들로서 인터넷상에서 이용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한 기능 모듈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의 요구된 기능 모듈들의 예시적인 비교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1(281) 및 어플리케이션3(283)의 요구된 기능 블록들(FB1, FB5) 및 (FB1, FB3, FB4, FB5)은 각각 도 2의 예시적인 홈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가능하다. 하지만, 홈 네트워크 기능 요소들의 목록(230)은 기능 요소(FB6), 어플리케이션2(282)(상기 예에서, 카메라 기능 블록)의 요구된 기능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에게 비교 결과를 알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고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구입 및/또는 다운로드를 용이하게 한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281-283)의 제공자, 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제공자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요구된 기능 요소들의 식별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을 가짐으로써 제공된 잠재적인 판매 기회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기능 요소들의 요구된 세트의 설명서(spec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장치들(210,220)의 제공자들은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제품들의 인지된 유용성(utility) 이용가능 기능들 및 관련된 I/O 명세서들의 식별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그들 제품들의 인식된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제공자는 인기있는(popular)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요구된 기능 요소들을 식별하고, 인기있는 장치들로부터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만들어, 유용성을 향상시키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사용을 장려한다. 어플리케이션들의 요구된 기능 요소들을 식별하는 일을 쉽게 하기 위해, 기술분야에서 공통적인 자동화된 방법들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로브 테이블들(load tables)"을 분석하여 사용된 기능 요소들을 자동적으로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제공자는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인일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구입을 직간접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업 기회들이 본 명세서를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입증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를 보여준다. 예시적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인터넷(170) 상에서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에 홈 네트워크의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비교하는 비교기(410), 및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사용자에게 이 비교 결과들을 보고하는 리포터(42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또한 홈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는 기능 식별기(430)와, 홈 네트워크(100) 상에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위치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엔진(440)과, 인터넷으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및 드라이버들의 다운로드를 용이하게 하는 다운로더(45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5의 흐름은 도 4에 제공된 것과 같이, 예시적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구성성분들을 기준으로 하여 제공된다. 편의를 위해서, 번호4로시작하는 기준 아이템들은 도 4의 아이템들과 관련되며, 번호5로 시작하는 기준 아이템들은 도 5의 아이템들과 관련된다.
51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결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기능 식별기(430)를 통해 홈 네트워크 상의 아이템들의 목록의 생성을 용이하게 한다. 목록의 생성은 자동적으로 완료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식별하는 일을 쉽게하는 체크리스트(check-list) 또는 유사한 입력 메커니즘을 통해 이용가능한 기능 요소들을 식별하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52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상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한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요구된 기능 요소들의 어플리케이션들 및 그것들과 관련된 세트를 선택하는 수동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더 복잡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인터넷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엔지(440)를 포함한다. 기술분야에서 공통인, 필터링 수단은 예컨대, 사용자의 목록 상의 내용들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상이한 분류들에 대해 있음직한 관련성을 결정하는 웨이팅(weighting) 방법을 이용하여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효과적인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또한 비록 수동 생성(manual creation)이 어플리케이션(예컨대, 기능들(A) 및 (B 또는 C)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요구된 기능들의 대안의 서브-세트들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지만,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요구들이 자동화된 결정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루프(loop: 530,590)는 사용자의 네트워크의 목록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호환성을 평가한다. 540에서, 각 어플리케이션의 요구된 기능들의 세트가 결정된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요구된 기능들은 설명서 언어(예컨대, "A 및 (B 또는 C))로 부호화될 수 있으며, 블록(540)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A,B)),(A,C)에 대해 요구된 기능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별 세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550에서, 기능들의 요구된 세트는 이용가능한 기능들과 비교되고, 요구된 기능들의 세트가 이용가능한 기능들의 서브세트(subset)이면, 56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보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들은 효과적인 비교가 용이하고, 이용가능한 요소들 및 각각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요구된 요소들의 세트들의 목록을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일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용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요구된 기능 요소들과 관련되어 유지된다. 계류중인 U.S. 특허 출원, 일련번호 09/160,490호(대리인 명부 PHA 23,500)로서, 1998년 9월 25일 출원된, Adrian Turner 등의 "CUSTOMIZED UPGRADING OF INTERNET-ENABLED DEVICES BASED ON USER-PROFILE"는 소비자 전자 네트워크 인에이블된 장치의 최종 사용자의 사용자 플로파일을 유지하는 서버 시스템 및 이러한 유형의 장비에 대한 기술적인 특징들의 데이터 베이스를 개시한다. 계류중인 U.S. 특허 출원. 일련번호 09/189,535호(대리인 명부 PHA 23,527)로서, 1998년 11월 10일에 출원된, Eugene Shteyn의 "UPGRADING OF SYNERGETIC ASPECTS OF HOME NETWORKS"는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 상에 장치 및 성능들의 목록에 액세스하는 서버를 개시한다. 목록은 예컨대 HAVi 또는 Jini 아키텍쳐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룩-업 서비스(loop-up service)이다. 서버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에 제공된 장치들의 시너지(synergy)가 목록의 리스팅(listing) 및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향상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리포터(420)를 통해 570에서 홈 네트워크의 현재 목록과 호환할 수 있는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홈 네트워크의 사용자에게 조언(advise)한다. 이들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가 인식하였을지도 모르는 어플리케이션들일 수 있으며, 또는 이롭게는,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와 함께 설치를 위해 사전에 고려되지 않았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존 장치들 및 기능적인 성능들의 공지되지 않은 성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참조된 계류중인 출원들에 제공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블록들(530-590)의 검색 및 보고 과정이 사용자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식별을 달성하도록 맞춤화(customize)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관심없어 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재추천들이 쇄도하지 않게 되며, 사용자의 표현되거나 암시된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매우 초점이 맞춰진 재추천들이 제공된다. 같은 방식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의 선택은 전술한 계류중인 출원들에서 사용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갱신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시너지-탐색(synergy-seeking) 기술들 및 처리들의 본 발명의 특징들의 조합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입증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58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또한 기능 블록들의 사용자 목록에 의해 현재 만족되지 못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요구된 기능 블록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590에서, 만약 평가될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있다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530으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다면 종료한다.
선택적으로, 595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또한 임의의 요구된 장치들 또는 다른 유용성 프로그램들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입 및/또는 다운로딩을 이용하게 한다. 상업적 트랜잭션들(transactions) 및 다운로드들에 대한 기술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통적인 것이다. 사용자에게는 또한 블록 580에서 식별된 놓쳐지는(missing)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장치를 구입하는 옵션이 제공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 또는 보조 어플리케이션은 또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과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 및 각각의 장치들의 임의의 요구된 재구성들을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 제공된 예는 각각이 몇 가지 방식으로 비디오 프로세싱과 관련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기능들을 처리하지만, 본 발명의 이익들은 명백히 관련이 없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기능들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면, 움직임 센서 및 텔레비전은 관련이 없이 나타날 수 있지만,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움직임 센서를 사용하고,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집소유자에게 경보를 발하기 위해 텔레비전 상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용가능하다. 유사하게, 어플리케이션은 홈 네트워크상의 가전기기들에 의해 제공되는 상태 리포트들에 응답하여 텔레비전 상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용가능하다. 이들 어플리케이션들이 공통적으로 이용가능하지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이 기능 요소들의 사용자의 현재 목록과 호환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조언함으로써 그들의 사용 가능성을 높인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상인들에게 상당한 판매 및 마케팅 기회들을 제공한다. 이용가능하고 호환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함으로써,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지 못하였을지도 모르거나 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 내의 기존 구성성분들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였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이들 어플리케이션들의 상인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면 놓칠 수 있었던 판매 기회가 제공된다.
다른 마케팅 기회들 및 이점들이 본 개시로부터 입증될 것이다. 예를 들면, 목록과 호환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들을 갖는 사용자 목록의 비교는 놓쳐지는 장치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구입하도록 사용자를 부추기기 위한 판촉들을 제공하는 기회를 제안한다. 상기 예에서 어플리케이션2(282)의 상인은 어플리케이션2의 구입을 위한 회답으로 카메라(상기 예에서 FB6)의 특정 구입가격을 제안할 수 있다. 또는, 아이템들 중 하나, FB6 또는 어플리케이션2의 상인은 상인의 아이템의 구입을 위한 회답 시에 사용자에게 무료로, 상보적(complementary)인 아이템, 어플리케이션2 또는 FB6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카메라(FB6) 상인은 리코딩 요소(FB2) 및 비디오-MPEG 요소(FB3)를 가지고 있는 카메라의 구매자에게 무료의안전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2)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들 부가적인 요소들(FB2, FB3)을 가지고 있지 않은 구매자들에게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의 목록의 지식에 기초하여, 장래의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장치들의 초점이 맞춰진 마케팅 및 판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는 이 검출된 마케팅 자료를 수신하지 않는 옵션이 제공된다.
상술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료하게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체화하는 여러 가지 장치들을 생각해낼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3)

  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281)의 요구된 기능 요소들(241,245)의 세트와 홈 네트워크(100) 상의 장치들(210,220)의 기존 기능 요소들(211-213, 221-222)의 목록(inventory:230)을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비교기(410)와,
    상기 비교기(410)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의 사용자에게 상기 비교기(410)로부터의 결과들을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리포터(reporter:420)를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100) 상에 기존 기능 요소들(211-213, 221-222)의 상기 목록(230)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기능 식별기(function identifier: 430)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281)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엔진(440)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가능한어플리케이션들(281)의 요구된 기능 요소들(241,245)의 세트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기능 식별기(430)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100) 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210,22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281) 중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다운로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다운로더(downloader: 450)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100) 상의 상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버들(drivers)의 다운로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다운로더(450)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00)은 인터넷 사이트 상에 위치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410)는 또한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요구된 기능 요소들(241,245)의 세트와 상기 목록(230)을 비교하기 위해 구성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9. 홈 네트워크(100) 상의 장치들(210,220)의 유용성(utility)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100) 상의 장치들(210,220)의 복수의 기능 요소들(211-213, 221-222)의 식별(510)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281)의 요구된 기능 요소들(241,245)의 세트와 복수의 기능 요소들(211-213, 221-222)의 비교(550)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100)와 관련된 사용자에게 상기 비교 결과들(570)의 보고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281)의 식별(520)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281)의 요구된 기능 요소들(241,245)의 세트의 식별(540)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되는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281)의 식별(520)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281) 중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입(purchase) 또는 다운로드(595)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027006121A 2000-09-14 2001-08-31 소비자 전자 장치들용 인터넷 서비스들 KR20020060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121200A 2000-09-14 2000-09-14
US09/661,212 2000-09-14
PCT/EP2001/010156 WO2002023802A2 (en) 2000-09-14 2001-08-31 Internet services for consumer-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67A true KR20020060967A (ko) 2002-07-19

Family

ID=2465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121A KR20020060967A (ko) 2000-09-14 2001-08-31 소비자 전자 장치들용 인터넷 서비스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30893A2 (ko)
JP (1) JP2004509400A (ko)
KR (1) KR20020060967A (ko)
WO (1) WO200202380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346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동적 컴포넌트 조립에 의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9861B2 (en) 2006-10-02 2014-05-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ynamic event data in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ystem
WO2023199443A1 (ja) * 2022-04-13 2023-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ービス設定装置、宅内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238A (ja) * 1998-01-06 2002-01-15 ソニ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ク オーディオ/ビデオ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6748428B1 (en) * 1998-12-08 2004-06-08 Sony Corporation Devic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 manager device, a program supply medium for supplying a device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an controller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346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동적 컴포넌트 조립에 의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0893A2 (en) 2003-07-30
WO2002023802A3 (en) 2003-05-22
JP2004509400A (ja) 2004-03-25
WO2002023802A2 (en)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370B1 (ko) 정보의 수집 방법 및 시스템
US9749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viewer feedback to a broadcast
US7653614B2 (en) Method of searching across media and source types
KR100842720B1 (ko) 홈 네트워크를 위한 콘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토픽컬서비스
US20020120932A1 (en) Omni menu for an audio/visual network
US7574723B2 (en) Home media network
US737977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40100490A1 (en) Skin button enhancements for remote control
US7574693B1 (en) Internet-based service for updating a programmable control device
US6931593B1 (en) Automatic channel generation for home network systems
US20100138761A1 (en) Techniques to push content to a connected device
US200702587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internet protocol remote control to non-internet protocol devices
US20070136778A1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edia retrieval, routing and playback
US6785720B1 (en) Method for connecting to server devices in browser-based home network apparatus therefor
WO2000028436A1 (en) Upgrading of synergetic aspects of home networks
JP2004519789A (ja) 赤外線コマンドコードを識別コードとインターリーブ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10014155A (ko) 브라우저 기반의 개선된 홈 네트웍 명령 및 제어
US20070101381A1 (en) IP remote
KR20010040272A (ko) 사용자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장치의개별화된 업그레이딩
KR20020060967A (ko) 소비자 전자 장치들용 인터넷 서비스들
WO20070184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of shared resources
US200701804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broadcast programs by tracking change of broadcasting time
US102504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ctivity of an electronic device
KR20030080279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