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964A -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964A
KR20020059964A KR1020010001147A KR20010001147A KR20020059964A KR 20020059964 A KR20020059964 A KR 20020059964A KR 1020010001147 A KR1020010001147 A KR 1020010001147A KR 20010001147 A KR20010001147 A KR 20010001147A KR 20020059964 A KR20020059964 A KR 2002005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neighborhood
trader
serv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길
Original Assignee
김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길 filed Critical 김재길
Priority to KR102001000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9964A/ko
Publication of KR2002005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9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Abstract

본 발명은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온라인으로 상품을 거래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제 1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에 대한 거래 조건을 입력하고, 거래상품을 배달받을 수취처의 근린(近隣)지역을 선택하여 거래를 신청하고, 거래 신청된 상품에 대해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근린지역별로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작성하고, 제 2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근린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근린지역에 대해 작성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고, 제 2 거래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보고 수락 가능한 거래조건을 신청하고,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고, 근린지역에서 거래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에 입찰한 모든 제 1 거래자들에게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한다. 따라서, 판매자는 구매자의 근린 지역내에 위치한 영업소나 가맹점을 통하여 구매한 상품을 배달할 수 있으므로 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각 근린 지역 내에서 판매자들끼리 판매 경합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ERCALLY TRANSACTING BETWEEN BUYERS AND SELLERS BY DESIGNATION OF VICINITY AREA}
본 발명은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매자의 생활영역인 근린 지역에 구매상품의 배달이 가능한 판매자들이 경쟁적으로 지역 판매권을 놓고 경쟁 판매에 나서도록 함으로써 판매가격의 인하를 유도하고 판매자는 근린 지역 내의 영업소, 가맹점 또는 배달 전문업자들을 통하여 각구매자들에게 구매상품을 배달함으로써 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0-13436호, 제2000-14572호, 제2000-14573호의 "쌍방향 경매방법 및 장치", 특허출원 제2000-31935호의 "거래신청 등록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특허출원 제2000-37186호 "경매시스템의 구매신청처리방법 및 장치", 특허출원 제2000-37187호 "전자상거래의 즉시낙찰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 상거래가 소개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를 유형별로 구분하면 쇼핑몰방식, 경매방식, 역경매방식, 중매방식 등이 있다.
대부분의 전자 상거래는 쇼핑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쇼핑몰방식은 판매희망자가 인터넷 상에 가상상점을 개설하고 개설된 가상상점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전시함으로써, 구매자가 가상상점을 방문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방식이다. 쇼핑몰 방식은 판매자 중심으로, 판매자가 제시한 판매가를 보고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이므로, 구매자가 복수의 쇼핑몰들의 동일 상품에 대한 가격을 조사하여 가장 저렴한 쇼핑몰을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매자가 가격조사를 하여 각 상품별로 가장 값이 싼 쇼핑몰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각 쇼핑몰 마다 결재 방식 및 주문방식, 배달기간, 배송료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 모든 조건들을 구매자가 정리하여 센스있는 구매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경매방식은 판매자가 상품을 경매에 붙이면, 다수의 구매자들이 각각 다양한구입가를 제시하고 제시된 다양한 구입가 중에서 가장 고가의 구입가를 제시한 구매희망자를 최종 구입자로 확정하여 거래를 성사시키는 방식이다. 즉, 경매방식은 복수의 구매자들을 경쟁시켜서 최고가를 확정하는 방식이므로 관련된 상품의 경매장소 및 경매시간을 찾아서 구매자들이 경매정보의 획득과 경매 참가의 노력이 요구된다.
역경매방식은 미국특허 5,794,2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가 구매조건을 제시하면 다수의 판매자들이 제시된 구매조건을 참조하여 수용 가능한 판매자 중 가장 먼저 승인한 판매자를 결정함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거래가 성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경매방식은 하나의 구매조건에 대해서 다수의 판매자들이 경합을 벌이는 것이므로, 구매자 중심의 거래이므로 구매자 입장에서는 편리하다. 그러나, 판매자 입장에서는 매 거래 건마다 한 구매자와 거래가 성사되므로 다량의 상품거래를 기대할 수 없다.
중매방식은 한국특허공개 1999-787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와 판매자가 다같이 상품 및 구매희망가격과 상품 및 판매가를 등록하면, 중매인이 구매수량보다 적은 판매수량 중 구매가로부터 가장 낮은 판매가를 체결가격으로 결정하여 구매자와 판매자의 거래가 성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중매방식은 구매자와 판매자를 동시에 등록하도록 하여 구매가로부터 가장 낮은 판매가를 찾아서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역경매와 마찬가지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매 거래 건마다 한 구매자와 거래가 성사되므로 다량의 상품거래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판매자가 반드시 판매등록을 하여야 거래가 가능하므로 보다 많은 판매자의 참가가 제한된다. 또한, 판매자가 판매량 및 판매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중매자가 판매시점을 결정하기 때문에 판매자 입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판매전략을 가져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상에 운용되고 있는 경매 사이트(www.auction.co.kr) 중 시너지 경매는 일종의 공동구매방식으로 일정 시간동안 상품/판매수량/구매수량/현재가를 표시하고, 구매등록에 따라 해당 상품의 구매수량이 증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일정액이 할인되는 경매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이 방식은 판매물건의 수량이 미리 한정되고, 구매자의 해당 상품에 대한 등록에 의해 가격이 일정 비율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할인 가능금액이 한정되어 있다.
상술한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구입한 상품의 배달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판매자가 배달비용을 부담하는 방식과 구매자가 부담하는 두 가지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배달비용의 판매자 부담방식은 배달비용만큼 판매자의 수익이 떨어지게 되고, 구매자 부담방식은 구매자가 배달비용만큼 더 비싼 값으로 상품을 구매한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구매자들은 판매자 부담방식을 더 선호하게 된다. 하여튼 누가 배달비용을 부담하던지 간에 전자상거래의 장점은 구매자가 실제 오프라인 상의 매장을 찾아가지 않고 원격지에서 온라인으로 구매신청하면 구매상품이 원격지로 배달되는 이점 때문에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등유와 같이 주유소나 지역 등유판매점을 통하여 판매되는 지역특성을 가진 상품의 경우에는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배달장소가 각 구매자의 가정이나 특정한 장소인 경우에는 처음 찾아가는 장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배달자가 각 가정이나 특정한 장소를 찾아가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배달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정된근린 지역 내에서는 판매자들의 단합이 이루어져 소비자들이 비싼 값으로 구입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품의 판매가 보다도 배달비용이 더 높은 상품, 예컨대 라면 등과 같은 생활 필수품의 경우에는 낱개로 주문하면 이를 각 구매자의 가정으로 배달한다는 생각은 판매자로써는 생각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생활 필수품들은 근린 지역의 창고형 백화점인 E-마트, 킴스클럽 등을 이용하여 구매자가 오프라인으로 구매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매희망자가 배달지역, 즉 근린지역을 선정하면, 해당 지역에 배달이 가능한 판매희망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를 성사시킴으로써 지역 판매권을 놓고 경쟁이 이루어지므로 판매가격의 인하를 유도할 수 있고, 판매자에게 특정 지역에서 보다 많은 구매 수량을 제공하고 판매자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다량의 판매수량이 확보됨으로써 배달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구매회원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판매회원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구매등록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구매등록 표시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판매신청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판매확정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등록상품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15 내지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단말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서버110 : 저장수단(데이터 베이스)
120 : 인터넷130, 140 : 단말기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거래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제 1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에 대한 거래 조건을 입력하고, 거래상품을 배달받을 수취처의 근린(近隣)지역을 선택하여 거래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거래 신청된 상품에 대해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근린지역별로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제 2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근린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근린지역에 대해 작성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거래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보고 수락 가능한 거래조건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린지역에서 거래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에 입찰한 모든 제 1 거래자들에게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근린지역은 제 1 거래자(구매자)가 생활하는 행정구역상의 시, 구, 동, 군, 읍 또는 면 단위를 의미하고, 제 2 거래자(판매자)는 근린 지역에 직접 배송이 가능한 자, 예컨대 트럭을 가지고 지역 판매권을 받아서 상품의 직송이 가능한 자이거나, 상기 근린지역 내에 주소지를 가진 판매 영업소, 물류센터, 제휴 배송업자, 대리점 또는 체인점을 가진 판매자로 한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품은 등유, 라면 , 쌀 또는 원거리 배송시 배송료 부담이 크거나 원거리 배송이 곤란한 상품을 그 대상으로 한다.
상기 근린 지역 거래신청정보의 표시는 각 가격대별로 상위가 거래수량을 누적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거래 확정은 온라인 신청순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거래 확정시에 제 2 거래자는 거래조건의 거래가격과 일치하는 거래가격 이상의 모든 가격대의 거래수량에 대한 거래권한을 동시에 부여받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근린지역을 통합하여 판매신청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통합된 근린지역의 거래신청정보를 통합한 총괄 거래신청정보가 판매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는 전자상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수단과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제 1 거래자의 거래상품을 배달받을 수취처를 포함하는 근린(近隣)지역의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신청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거래신청정보를 근린지역별로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고, 제 2 거래자의 특정 상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근린지역의 선택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근린지역 선택정보에 응답하여 작성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에 의해 제 2 거래자의 거래의사 신청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의 모든 제 1 거래자들에게 거래상품을 제 1 거래자의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하도록 거래 확정 결과를 제 2 거래자에게 통보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매시에 구매자가 근린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조건에 포함된 수취처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근린지역이 할당되어 구매신청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은 구매자들 A~N(10)들이 각각 자신의 근린 생활권인 근린 지역(22)을 선택하여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서버(30)에 구매신청을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매자 A, B, C, D는 근린 지역 A를 선택하고, 구매자 E, F, G는 근린 지역 B를 선택하고, 구매자 H, I,, J는 근린 지역 C를 선택하고, 구매자 K, L, M, N은 근린 지역 D를 선택하여 구매 신청한 경우를 나타낸다.
근린 지역 A, D에는 판매자 X, Y가 동시에 상품배달이 가능한 지역이고, 근린지역 B는 판매자 X 가, 근린지역 C는 판매자 Y가 각각 상품 배달이 가능한 지역이다. 판매자 X, Y는 특정 지역에 상품의 직송이 가능한 딜러이거나, 각각 상품 배달이 가능한 지역에 판매 영업소, 대리점, 체인점, 물류센터 또는 배달전문 제휴업소 등을 가지고 있다.
판매자 A와 B(20)는 서버(30)에 접속하여 자신이 직접 배송이 가능한 근린 지역을 선택하여 모아진 구매수요를 보고 서버(30)에 판매낙찰을 경쟁적으로 신청하게 된다. 예컨대, 판매자 A가 근린 지역 A에 모아진 구매수요에 대해 판매의사를 신청하여 거래 확정되었다면, 판매자 A는 근린지역 A에 직접 배송하거나 근린 지역에 거주지를 가진 영업소 X에 거래 확정된 상품들을 배달하고, 영업소 X에서 거래 확정된 구매자 A, B, C, D의 각 수취처에 구매 상품을 배달하게 된다.
따라서, 판매자는 잘 인지된 장소인 근린 지역까지만 상품을 배달하면 되므로 배달이 용이하고, 다량의 상품을 한번에 배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달일정을 잡기가 용이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상품 배달이 가능하므로 배달비용을 매우 절감할 수 있다.
특히.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을 가진 자가 자신이 직접 배송이 가능한 근린 지역의 지역 판매권을 먼저 확보하고, 자신이 확보한 판매권의 가격대로 상품을 공장에서 직접 구입한 다음에 각 구매자들에게 직송하는 딜러방식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적인 영업소가 없더라도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만을 갖고서도 판매 사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근린 지역내의 영업소 X는 근린지역 내에서만 배달책임을 지게 된다. 그러므로, 영업소 X가 곧 판매자인 경우에는 근린지역 내의 구매자들에게만 구매상품을 배달하게 되므로 원거리 배달이 요구되는 구매자들이 없으므로 그만큼 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근린 지역 내의 구매수요를 모을 수 있으므로 판매자는 다량의 상품 판매가 가능하므로 비록 배달비용에 비해 갑이 싼 제품이라 하더라도 한꺼번에 많은 수량을 배달할 수 있게 되므로 경쟁력이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는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탑재된 서버(100)와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 저장수단(110)을 포함한다. 서버(100)는 저장수단(11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 베이스들을 참조하거나 갱신 처리하면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데이터 베이스는 구매회원 데이터 베이스(BMDB : BUYER MEMBER DATA BASE)(111), 판매회원 데이터 베이스(SMDB : SELLER MEMBER DATA BASE)(112), 구매등록 데이터 베이스(PRDB : PURCHASE REGISTRATION DATA BASE)(113), 구매등록 표시 데이터 베이스(PBDDB : PURCHASE REGISTRATION DISPLAY DATA BASE)(114), 판매신청 데이터 베이스(SODB : SELLING OFFER DATA BASE)(115), 판매확정 데이터 베이스(SDDB : SELLING DECISION DATA BASE)(116), 등록상품 데이터 베이스(RGDB : REGISTED GOODS DATA BASE)(117) 등을 포함한다.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는 인터넷(120)과 같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100)에 연결되는 단말기(130, 140),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핸드 컴퓨터, 인터넷 휴대폰, 인터넷 텔레비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의 예를 나타낸다.
구매등록 단말기(130) 및 판매신청 단말기(140)에는 구매등록 및 판매신청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구매등록 및 판매신청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배포된 CD(Compact Disc)와 같은 기록매체로부터 단말기(130, 140)의 하드 디스크 상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매회원 데이터 베이스(111)는 ID/한글이름/비밀번호/생년월일/주민번호/이메일/직업/휴대폰/홈페이지/우편번호/주소/전화번호/직장명/부서명/직장주소/직장우편번호/직장전화번호/팩스밀리/가입경로/취미/관심분야/권한/신용도/사이버머니/등록일/추천자 ID 등의 필드를 포함한다.
신용도는 해당 구매희망자의 구매등록 후 취소횟수, 반품횟수, 구매실적 등을 반영하여 구매희망자의 신용등급이 자동적으로 주어져 구매희망자 관리에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판매회원 데이터 베이스(112)는 ID/회사명/비밀번호/대표자/사업자등록번호/이메일/담당자/담당자 휴대폰/홈페이지/우편번호/주소/회사전화번호/낙찰건수/반품건수/낙찰총액/담당자 전화번호/팩스밀리/가입경로/업태/업종/권한/신용도/사이버머니/등록일/낙찰시 인증코드 등의 필드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매등록 데이터 베이스(113)는 구매입찰 테이블(도 5a) 및 근린 지역 선택 테이블(도 5b)을 포함한다.
도 5a의 구매입찰 테이블은 입찰코드/상품코드/상품명/회원 ID/회원명/입찰가/개수/옵션가/총액/우편번호/주소/전화번호/수취인/지불방법/계약금/입찰일/낙찰시 낙찰코드/유효시점/낙찰자연락처(이메일/전화)/옵션선택유무/정회원유무/유사상품/색상/통합상품코드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5b의 근린 지역 선택 테이블은 입찰코드/구매회원 ID/근린 지역(주유소)/플래그 등의 필드를 가진다. 플래그는 근린 지역 경쟁방식임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매등록 표시 데이터 베이스(114)는 상품별 동일 가격에 대한 누적합계 테이블(도 6a)과 상품별 입찰현황 테이블(도 6b)을 포함한다.
도 6a의 누적합계 테이블은 상품코드/상품명/기준금액/누적수량/누적구매자수/누적금액/상위가누적수량/상위가누적구매자수/상위누적금액/최종갱신일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6b의 입찰현황 테이블은 상품코드/상품명/현참가자수/현수량/현총가격/최조갱신일/유사상품/그래프생성시간 등의 필드를 가진다.
구매등록 표시 데이터는 단말기(130, 140)에 실시간적으로 제공되어 구매희망자 및 판매희망자가 실시간적으로 구매등록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매수량은 해당 구매희망가격에 등록된 총 구매수량이고, 상위가 누적 구매희망수량은 해당 구매희망가격 이상의 고가 구매희망가격들의 총 구매수량을 누적한 구매수량을 나타낸다.
총액은 상위가 누적 구매희망수량과 구매희망가격의 승산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산되고, 판매희망자에게 이 총액 개념에서 판매여부를 결정하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당일이 지나면 구매기간이 종료되는 구매수량을 총 상위가 누적 구매희망수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판매희망자의 판매시점 결정에 도움을 주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판매신청 데이터 베이스(115)는 낙찰테이블(도 7a)과 낙찰합계 테이블(도 7b)을 포함한다.
도 7a의 낙찰 테이블은 입찰코드/상품코드/상품명/낙찰코드/판매자 ID/구매자 ID/낙찰가/낙찰개수/낙찰금액/총액/우편번호/모든 입찰자주소1/주소2/연락처/수취인/지불방법/계약금/입찰일/동일인유무/낙찰일/잔금/지불확인/배달정보/배달확인/수취거부/반품/배달회사연락처/판매회사연락처/옵션유무/정회원유무/배송업자/입찰가/색상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7b의 낙찰합계 테이블은 낙찰코드/상품코드/상품명/참가자수/총수량/총가격/최종갱신날짜/현참가자수/현수량/수취거부자수/수취거부자수/수취거부총액/반품자수/반품수량/반품총액/낙찰시 URL/낙찰업체 아이디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8을 참조하면, 판매확정 데이터 베이스(116)는 낙찰코드/상품코드/상품명/구매자 ID/낙찰가/낙찰개수/낙찰금액/총액/우편번호/모든 입찰자주소1/주소2/연락처/수취인/지불방법/계약금/입찰일/동일인유무/낙찰일/반품확인/배달정보/배달확인/반품신청/반품일/반품사유/배달회사연락처/판매회사연락처/옵션유무/배송업자/입찰가/색상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등록상품 데이터 베이스(117)는 상품코드 테이블(도 9a), 상품테이블(도 9b), 동종상품테이블(도 9c) 등을 포함한다.
도 9a의 상품코드 테이블은 상품코드/상품명/현상품수/등록일/등록자/누적상품수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9b의 상품테이블은 상품코드/상품명/모델명/제조사/원산지/가격변동폭/시중최저가/판매지역/제품상세정보/추가옵션정보/결제방법/인기상품/기획상품/추천자 ID/등록일/수량/유사상품/AS처/배달정보/배달비용분담정보/등록자/색상유무/하위입찰/인지도/통합상품/통합상품가격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9c의 동종상품 테이블은 상품코드/동종키/등록일/등록자 등의 필드를 가진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서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를 나타낸다.
서버(100)는 매일 특정한 시간, 예컨대 24시가 체크되면(1002), PRDB(113)를 참조하여 당일 구매기간이 종료된 구매등록 건은 삭제하고, 익일 구매기간이 종료되는 구매등록 건의 구매수량을 조사한다(1004). 여기서, 관련된 구매등록의 삭제시 복수모드로 등록된 상품들에 대해서도 동시에 삭제된다. 삭제된 구매등록 건에 관련하여 각 상품들의 PRDDB의 구매수량/상위가 누적 구매희망수량/총액 등을 갱신한다. 익일 만료되는 구매등록 건에 관련되어 조사된 구매수량을 참조하여 각 상품들의 총 상위가 누적 구매희망수량 중 당일 구매기간 마감 수량의 %를 계산하여 PRDDB를 갱신한다(1006). 이어서, 관련된 BMDB 및 SMDB에 등록한다(1008).
1002단계에서 체크시간이 아니면, 단말기(130, 140)로부터 회원가입신청이 있는가를 체크한다(1010).
1010단계에서 회원가입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구매회원가입인지 판매회원가입인지를 체크한다(1012). 1012단계에서 구매회원가입이면, 구매회원 데이터를 입력하고(1014) 입력된 구매회원 데이터를 BMDB에 등록한다(1016). 1012단계에서 판매회원가입이면, 판매회원 데이터를 입력하고(1018) 입력된 판매회원 데이터를 SMDB에 등록한다(1020).
1010단계에서 회원가입이 아니면, 단말기들(130, 140)로부터 구매등록신청이 있는가를 체크한다(1022).
1022단계에서 구매등록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신규등록인가를 체크한다(1024). 1024단계에서 신규등록이면 신규상품등록인가를 체크한다(1026). 1026단계에서 신규상품등록이면 상품 및 모델명/구매희망가격/구매수량/구매기간/구매희망자 ID/신용카드번호/카드유효기간/카드상의 성명/근린 지역 선택정보 등을 입력한다(1028). 입력된 상품 및 모델을 DGDB에 등록한다(1030).
1026단계에서 신규상품등록이 아니면, 구매희망가격/구매수량/구매기간/구매희망자 ID/신용카드번호/카드유효기간/카드상의 성명/근린 지역 선택정보 등을 입력한다(1032).
1024단계에서 신규등록이 아니면, 구매수량/구매기간/구매희망자 ID/신용카드번호/카드유효기간/카드상의 성명/근린지역 선택정보 등을 입력한다(1034).
1030, 1032 또는 1034단계를 거쳐서 입력된 신용카드번호의 결재구좌로부터 구매계약금을 요청하여 입금확인여부를 체크한다(1036). 1036단계에서 입금이 안된 경우에는 에러처리를 한다(1038). 1036단계에서 구매계약금이 입금된 경우에는 PRDB에 입력된 구매등록내용을 등록하고(1040), PRDDB의 관련된 내용을 갱신하고(1042), 관련된 ID의 BMDB 또는 SMDB에 구매등록내용을 등록한다(1044).
1022단계에서 구매등록신청이 아니면, 판매신청이 있는가를 체크한다(1046).1046단계에서 단말기들로부터 판매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판매희망자 ID/신용카드번호/카드유효기간/카드상의 이름/근린지역 선택정보 등을 입력한다(1048). 입력된 판매신청 데이터를 SODB에 등록한다(1050).
이어서, 입력된 판매신청자의 신용카드 결재구좌로부터 판매계약금의 결재를 요청하고 입금여부를 체크한다(1052). 1052단계에서 입금이 안된 경우에는 에러처리한다(1054). 1052단계에서 판매계약금이 입금된 경우에는 가장 먼저 계약금이 입금된 지정 판매희망자를 결정한다(1056).
지정 판매희망자가 결정되면, PRDB, SODB를 참조하여 SDDB에 등록하고, PRDDB에서 판매 확정된 구매등록내용을 갱신처리하고, PRDB에서 구매등록내용을 삭제하고, 확정된 지정 판매희망자와 확정된 구매희망자들의 판매확정내용을 BMDB, SMDB에 등록한다(1058). 이어서, 관련된 구매희망자들의 각 신용카드 결재구좌들로부터 구매대금의 계약금 이외의 잔금을 입금시켜서 구매대금결재를 처리한다(1060).
관련된 모든 구매희망자들의 배달 리스트를 BMDB를 참조하여 작성하고 작성된 배달 리스트를 지정 판매희망자에게 제공한다(1062).
1046단계에서 판매신청이 아니면, 데이터 출력요청이 있는가를 체크하고(1064), 있으면,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관련 데이터를 출력한다(1066).
1064단계에서 데이터 출력요청이 없으면, 배달완료신고가 있는가를 체크하고(1068), 배달완료신고 접수시에는 SDDB를 참조하여 관련된 판매희망자의판매대금 및 판매계약금을 결재된 구매대금으로 판매희망자에게 지급한다(1070).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장치의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를 나타내고, 도 15 내지 도 는 화면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30, 140)에서는 윈도우 시작화면에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아이콘을 클릭하면,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전화접속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사이트(www.biauction.com)에 접속한다(1102). 1102단계에서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접속되면 서버(100)와 단말기(130, 140)가 인터넷(120)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게 된다.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서버(100)에서는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단말기 상에 홈페이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04).
홈페이지 화면상에서 회원가입 메뉴를 클릭하면(1106) 회원가입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08). 회원가입화면에서 구매회원을 클릭하면, 구매회원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고, 판매회원을 클릭하면, 구매회원 입력창과 유사한 판매회원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입력창에 회원정보를 입력하고, 화면상의 회원가입단추를 클릭하면 입력된 회원정보가 서버(100)에 전달되어 데이터 베이스(110)의 BMDB 또는 SMDB에 등록처리된다(1110).
1106단계에서 회원등록이 아니면, 상품검색명령이 있는가를 체크한다(1112). 상품검색명령은 화면상의 상품 분류 중의 한 카테고리를 클릭하거나, 화면 좌측의검색도구를 이용하여 입력된다. 등록상품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1114), 상품선택 여부를 체크한다(1116)
먼저, 구매입찰 신청은 다음과 같다.
홈페이지 화면에서 회원 로그인을 클릭하면, 도 15의 회원 로그인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로그인 창에서 구매회원을 선택하고,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클릭하면 로그인된다.
1116단계에서 상품에서 주유권 "등유"를 클릭하면, 도 16의 등유의 구매등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18).
도 16의 화면에서, 입찰상황 그래프 상에서 원하는 구매가격을 클릭하면(1120) 각 그래프의 하단의 입력창에 클릭한 구매가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종 유사품목에 대해서 모두 구매가를 선택한 다음에 화면 하단의 "입찰가 가져오기" 단추를 클릭하면, 각 상품의 입찰가가 입력창에 표시된다. 다음에 우측의 구매수량 입력창에 구매수량을 입력한 다음에 확인단추를 클릭하거나(1122), 1124단계에서 구매 등록이면 도 17의 "구매자 입찰하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26).
도 17의 화면에서,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들의 상품명/수량/단가/회원이름/회원 id/계약금지불방식/잔금지불방식 등이 표시된다. 계약금의 지불방식을 선택하면 우측에 계약금 및 잔금이 표시된다. 우측의 "배달지역을 선택해 주세요"를 클릭하면 도 18의 근린 지역의 선택창이 디스플레이된다(1128).
도 18의 근린지역 선택창에서, 시 또는 도와 구 또는 동을 선택하고 확인 단추를 클릭하면 근린 지역, 즉 배달지역이 선택된다. 다음에 확인단추를 클릭하면, 도 19의 "구매자 입찰처리"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30).
도 19의 구매자 입찰처리 화면에서는 구매자가 입찰한 내역이 디스플레이된다. 자신이 구매입찰한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입찰 ok 완료" 단추를 클릭하면, 도 20의 "구매자 입찰확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구매자는 "구매자 입찰확정"화면상에서 입찰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20의 화면에서 "나의 사무실"단추를 클릭하면, 도 21의 "나의 사무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1에는 구매자 개인의 입찰내력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입찰내력 리스트는 순번/상품명/입찰금액/수량/입찰일/상세정보/경쟁/변경신청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입찰내력 리스트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클릭하면, 도 22의 입찰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22의 입찰정보는 입찰코드/상품명/상품코드/계약금/계약금 결제방식/입찰일/입찰금액/입찰수량/옵션금액/합계금액/잔금결제/만기일/배달장소/수취인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입찰이 완료되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프상에 입찰 내용이 추가되어 표시된다. 각 상품 그래프에서 LG 정유는 구매수량이 23개에서 24개로 증가되어 표시되고, S-oil의 구매수량은 23개에서 24개로, 오일뱅크의 구매수량은 34개에서 35개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판매낙찰신청은 다음과 같다.
1132단계에서 홈페이지 화면에서 회원 로그인을 클릭하면, 도 24의 회원 로그인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로그인 창에서 판매회원을 선택하고,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클릭하면 로그인된다.
판매자가 주유권 "등유"를 클릭하면, 도 25의 등유의 구매등록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34). 도 25의 화면에서 그래프는 상술한 구매자가 구매입찰한 수량"1"이 가산된 구매수량의 그래프가 나타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자가 자신이 판매 가능한 상품, 예컨대 "LG 정유"의 그래프에서 우측 판매누적수량 표시영역 상에서 커서를 움직이면 커서위치에서 낙찰가능수량/낙찰단가 등을 포함하는 표시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다라서,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 가능한 상품에 대하여 각 구매입찰가 별로 구매수요를 보고 판매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판매자가 판매의사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그래프 상에서 클릭하면, 도 26의 "LG 정유 실내등유를 판매합니다. 배달 가능한 지역을 선택하세요"라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6의 화면에서, 판매자가 경기/경기도 가평군/'경기도 고양시 덕양/서울특별시강북구/강서구/관악구 등을 배달 가능한 지역으로 선택한다.
도 27에서는 판매자가 선택한 배달 가능지역들에 구매신청된 정보를 가격대 별로 디스플레이된다.
구매입찰 리스트는 각 가격대별로 수량/상위누적수량/단가별 총액/상위 옵션/상위 총액/판매선택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 배달 지역별로 해당 배달지역을 선택한 구매입찰건들이 집계되어 해당 배달지역의 구매수요로 나타나게 된다.
도 27의 구매입찰 리스트상에서 원하는 판매가 의 "판매낙찰" 단추를 클릭하면, 도 28의 "판매자 낙찰하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8의 "판매자 낙찰하기" 화면에서는 상품명/상품코드/구매자수/낙찰수량/낙찰단가/합계금액/옵션금액/전체금액/현재잔고/계약금/잔고차액/판매업체/등록 id/인증코드/낙찰일 등을 포함한다(1136). 도 28의 "판매낙찰확정" 단추를 클릭하면, 도 29의 "판매자 낙찰확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38).
도 29의 "판매자 낙찰확정" 화면은 상품명/상품코드/낙찰수량/낙찰단가/합계금액/전제금액/현재잔고/계약금/잔고잔액/낙찰업체/등록 id/대표이사/낙찰일 등을 포함하고, 낙찰 확정 축하 메세지를 표시한다.
도 29에서 "낙찰자 명단확인"단추를 클릭하면, 도 30의 "낙찰자 내역보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140). 낙찰자 내역보기 화면에서 낙찰자 리스트를 참조하여 낙찰 확정된 판매자가 각 구매자들에게 해당 상품을 각 배달지역의 영업소(주유소), 가맹점(등유소매점) 또는 전문 배송차 등을 통하여 직접 배달하게 된다.
도 30의 낙찰자 리스트는 순번/입찰코드/낙찰수량/낙찰액/옵션액/낙찰총액/수취인/지불방법 등을 포함한다.
도 31은 낙찰확정 후 확정된 낙찰수량이 삭제된 거래신청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5의 그래프와 비교하면 오일뱅크의 구매수량은 35개에서 22개로 줄고, LG 정유의 구매수량은 24개에서 11개로 줄어들고, S-oil의 구매수량은 24개에서 11개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2는 도 30에서 "나의 사무실" 단추를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된다. 낙찰자 명단은 구매회원/연락처/낙찰가/수량/옵션/총액/잔금/반품/색상/상세정보 등을 포함한다.
1142단계에서 구매등록 리스트 선택시에는 1118단계를 수행하고, 1144단계에서 등록상품 리스트 선택시에는 111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등유와 같이 배달지역특성을 가진 상품에 있어서, 구매희망자가 선택한 배달지역 내에서 배달 가능한 판매희망자들끼리만 경쟁적인 낙찰 신청에 의해 거래 확정하고, 구매 희망자가 확정된 판매희망자로부터 직접 상품을 배달 받음으로써 판매자는 배달지역 내에서 충분한 판매수량의 확보가 가능하여 배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구매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온라인 구매 및 배달 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거래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제 1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에 대한 거래 조건을 입력하고, 거래상품을 배달받을 수취처의 근린(近隣)지역을 선택하여 거래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거래 신청된 상품에 대해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근린지역별로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제 2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근린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근린지역에 대해 작성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거래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보고 수락 가능한 거래조건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린지역에서 거래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에 입찰한 모든 제 1 거래자들에게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린지역은 제 1 거래자가 생활하는 행정구역상의 시, 구, 동, 군, 읍 또는 면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래자는 상기 근린지역에 직접 배송이 가능한 자이거나 근린지역 내에 주소지를 가진 판매 영업소, 물류센터, 제휴 배송업자, 대리점 또는 체인점을 가진 판매자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등유, 라면 , 쌀 또는 원거리 배송시 배송료 부담이 크거나 원거리 배송이 곤란한 상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린 지역 거래신청정보의 표시는 각 가격대별로 상위가 거래수량을 누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확정은 온라인 신청순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확정시에 제 2 거래자는 거래조건의 거래가격과 일치하는 거래가격 이상의 모든 가격대의 거래수량에 대한 거래권한을 동시에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8.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제 1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에 대한 거래 조건을 입력하고, 거래상품을 배달받을 수취처의 근린(近隣)지역을 선택하여 거래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거래 신청된 상품에 대해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근린지역별로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제 2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복수의 근린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복수의 근린지역에 대해 작성된 총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거래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총괄 거래신청정보를 보고 수락 가능한 거래조건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린지역에서 거래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에 입찰한 모든 제 1 거래자들에게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방법.
  9.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는 전자상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수단; 및
    상기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제 1 거래자의 거래상품을 배달받을 수취처를 포함하는 근린(近隣)지역의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신청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거래신청정보를 근린지역별로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고, 제 2 거래자의 특정 상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근린지역의 선택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근린지역 선택정보에 응답하여 작성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에 의해 제 2 거래자의 거래의사 신청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의 모든 제 1 거래자들에게 거래상품을 제 1 거래자의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하도록 거래 확정 결과를 제 2 거래자에게 통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장치.
  10.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제 1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의 배달받을 수취처를 포함하는 거래 조건을 입력하여 거래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거래자의 거래조건에 포함된 수취처에 응답하여 상기 수취처를 포함하는 근린지역별로 거래신청된 상품에 대해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제 2 거래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근린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근린지역에 대해 작성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거래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보고 수락 가능한 거래조건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린지역에서 거래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에 입찰한 모든 제 1 거래자들에게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방법.
  11.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하는 전자상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수단; 및
    상기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제 1 거래자의 거래상품을 배달받을 수취처를 포함하는 거래신청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거래신청정보 중 수취처에 응답하여 수취처를 포함하는 근린지역별로 거래가격대 별 거래수량을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거래신청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고, 제 2 거래자의 특정 상품에 대한 거래가 가능한 근린지역의 선택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근린지역 선택정보에 응답하여 작성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를 상기 제 2 거래자의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근린지역별 거래신청정보에 의해 제 2 거래자의 수락 가능한 거래조건에 대해 신청된 거래의사 신청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거래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거래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거래성사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제 2 거래자를 확정하고, 상기 근린지역에서 확정된 제 2 거래자가 상기 거래조건에 신청한 모든 구매자들에게 거래상품을 제 1 거래자의 거래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배송하도록 거래확정 결과를 제 2 거래자에게 통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장치.
  12.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서버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등유를 거래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구매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등유를 선택하고, 구매 조건을 입력하고, 등유를 배달받을 수취처의 근린(近隣)지역을 선택하여 거래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거래 신청된 등유에 대해 구매가격대 별 구매수량을 근린지역별로 분류하여 근린지역별 구매신청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등유판매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등유에 대한 배달이 가능한 근린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선택된 근린지역에 대해 작성된 근린지역별 구매신청정보를 상기 등유판매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등유판매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근린지역별 구매신청정보를 보고 수락 가능한 판매조건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근린지역에 대해 판매를 신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유판매자들끼리 경합에 의해 판매조건을 만족하는 한 명의 등유판매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린지역에서 판매 확정된 등유판매자가 상기 판매조건에 입찰한 모든 구매자들에게 구매조건에 기재된 수취처까지 등유를 배송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린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 방법.
KR1020010001147A 2001-01-09 2001-01-09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KR20020059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147A KR20020059964A (ko) 2001-01-09 2001-01-09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147A KR20020059964A (ko) 2001-01-09 2001-01-09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964A true KR20020059964A (ko) 2002-07-16

Family

ID=2769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147A KR20020059964A (ko) 2001-01-09 2001-01-09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99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4636B1 (en) Purchasing systems and methods wherein a buyer takes possession at a retailer of a product purchase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6671674B1 (en) Computer-based auction and sale system
US8447658B2 (en) Electronic bearer bond online transaction system
US200100321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auctioning between buyers and sellers using a computer network
US20130226726A1 (en) Purchasing, redemption and settlement systems and methods wherein a buyer takes possession at a retailer of a product purchase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7366684B1 (en) Blind-supply open commerce business system
KR20090027467A (ko) 온라인 마켓에서 공개 견적을 통한 효율적인 전자 상거래방법 및 시스템
US20130006805A1 (en) Online Marketplace for Collective Buying
WO20010715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ly auctioning between buyers and sellers using a computer network
CA2416675A1 (en) Method of selling or purchasing merchandise over network
KR100370432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쌍방향 경매방법 및 장치
JP2002032587A (ja) 与信機能を備えた匿名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074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d managing transactions of fractional ownership interests in assets
KR20210001496A (ko) 구매자와 판매자의 매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
KR10092094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역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252937B1 (ko)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할인 구매 시스템 및 방법
JP2002074235A (ja) オンライン決済システム、サービスポイント決済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159416B1 (ko) 거래 상대방 및 물품 대금 지급 비율의 선택이 가능한 온라인 안전거래 시스템
KR100369621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쌍방향 경매방법 및 장치
KR20210001498A (ko) 상품 거래 중개 방법
KR20020059963A (ko) 근린 배급소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및 물품배달방법
KR20020059964A (ko) 근린 지역 경쟁방식 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KR100421588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거래신청 등록정보 제공방법 및장치
KR100421590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경매시스템의 구매신청 처리방법및 장치
KR100421592B1 (ko) 전자 상거래의 즉시 낙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