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89Y1 - 디스펜서 용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89Y1
KR200200589Y1 KR2020000008090U KR20000008090U KR200200589Y1 KR 200200589 Y1 KR200200589 Y1 KR 200200589Y1 KR 2020000008090 U KR2020000008090 U KR 2020000008090U KR 20000008090 U KR20000008090 U KR 20000008090U KR 200200589 Y1 KR200200589 Y1 KR 200200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tube
contents
container
dischar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연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연우
Priority to KR2020000008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8Vacuum chambers acting lik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의 립스틱을 용이하게 토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내벽을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12)과, 상기 용기부(10) 상단에 결합되어 토출부(22)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20)와, 상기 펌핑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30)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용기부(10) 내부의 내용물까지 하향연장되며 상기 토출부(22)와 연통되는 탄성튜브(40)와,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를 수 있도록 누름부(16)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튜브(40)를 둘러싸는 하우징(14)과, 상기 탄성튜브(40)의 입구(46)와 출구(42)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구(42)쪽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흡입밸브(48)와 배출밸브(44)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부(20)의 토출부(22) 외주면에는 다공성의 흡수부재(50)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4)의 누름부(16)를 통해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되어 상기 흡수부재(50)에 흡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용기{dispenser}
본 고안은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립스틱을 용이하게 토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립스틱은 거의 대부분이 딱딱한 고형의 스틱으로 되어, 립스틱을 용기외부로 승강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틱형 립스틱은 사용시 용기 외부로 승강되면서 공기와 빈번하게 접하게 되므로 그 성분들이 쉽게 변질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립스틱은 천편일률적으로 스틱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소비자들 중에는 이러한 스틱형 제품에 식상해 하는 이들도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립스틱이 요구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점에 대해 액상의 립스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종래 액상의 립스틱은 브러쉬와 같은 솔부재에 립스틱을 묻혀서 사용하도록 되어 사용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질될 염려가 없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액체형 립스틱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부 12. 피스톤
18. 펌프부 20. 펌프
30. 캡 40. 탄성튜브
44. 배출밸브 48. 흡입밸브
50. 흡수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내벽을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12)과, 상기 용기부(10) 상단에 결합되어 토출부(22)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20)와, 상기 펌핑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30)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용기부(10) 내부의 내용물까지 하향연장되는 탄성튜브(40)와,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를 수 있도록 누름부(16)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튜브(40)를 둘러싸는 하우징(14)과, 상기 탄성튜브(40)의 입구(46)와 출구(42)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구(42)쪽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흡입밸브(48)와 배출밸브(44)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4)의 누름부(16)를 통해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핑부(20)의 토출부(22) 외주면에는 다공성의 흡수부재(50)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4)의 누름부(16)를 통해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되어 상기 흡수부재(50)에 흡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액체형 립스틱 용기로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내벽을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12)과, 상기 용기부(10) 상단에 결합되어 토출공(21)이 형성된 토출부(22)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20)와, 상기 펌핑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용기부(10) 내부의 내용물까지 하향연장되며 상기 토출부(22)와 연통되는 탄성튜브(40)와, 상기 탄성튜브(40)를 둘러싸서 외주면 일측에 상기 누름부에 해당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된 하우징(14)과, 상기 탄성튜브(40)의 입구(46)와 출구(42)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구(42)쪽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흡입밸브(48)와 배출밸브(44)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부(20)의 토출부(22) 외주면에는 다공성의 흡수부재(50)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4)의 관통공(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탄성튜브(40)를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되어 상기 흡수부재(50)에 흡수되도록 된 것이 다.
상기 용기부(10)는 상단이 개방된 슬림한 원통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됨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용기부(10)의 상단 개구부에는 펌핑부(20)가 결합된다.
상기 펌핑부(20)는 액상의 립스틱이 토출되는 토출공(21)이 형성된 토출부(22)가 상단에 구비되며, 이 토출부(22)의 하측으로는 이 토출부(22)와 연통되며 용기부(10)의 내용물까지 하향연장되는 탄성튜브(40)와, 이 탄성튜브(40)를 둘러싸는 하우징(14)과 상기 탄성튜브(40)의 입구(46)와 출구(42)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구(42)쪽으로만 배출되도록 하는 흡입밸브(48)와 배출밸브(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펑핑부(20)의 토출부(22)의 외주면에는 다공성의 흡수부재(5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튜브(40)는 고무재나 실리콘 등으로 되어 외주면을 누른 다음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자체탄성력에 위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흡수부재(50)는 흡수성이 우수한 다공질의 스폰지 등으로 되어, 상기 토출부(22)를 통해 토출된 액상의 립스틱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하는데, 그 형상을 환봉형상으로 하여 사용자가 립스틱을 용이하게 바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탄성튜브(40)의 상하단에 형성된 출구(42)와 입구(46)에는 배출밸브(44)와 흡입밸브(48)가 구비되는데, 이 배출밸브(44)와 흡입밸브(48)는 탄성튜브(40)를 작동함에 따라 액상의 립스틱이 역류되지 않고 출구(42) 쪽으로만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밸브(44)와 흡입밸브(48)는 원판형상의 디스크로 되어 탄성튜브(40)의 작동압에 따라 탄성튜브(40)의 출구(42) 와 입구(46)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4)에는 외부에서 상기 탄성튜브(40)를 눌러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누름부가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그 외주면 일측에 누름부에 해당하는 관통공(16)을 형성하여 탄성튜브(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노출부(18)를 누르면 탄성튜브(40) 내의 액상의 립스틱이 가압되어 상기 배출밸브(44)를 통해 토출부(22)의 토출공(21)으로 토출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튜브(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16)을 형성하는 대신에, 상기 하우징(14)의 일부를 플렉시블한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누름부를 만들고, 이 누름부를 누르면 탄성튜브(40)가 동시에 눌려서 내용물이 가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탄성튜브(40)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형성하면, 탄성튜브(40)내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4)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30)은 상기 흡수부재(50)가 건조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결합되는데, 캡(30)의 내주면 하단과 이 캡(30)이 결합되는 하우징(14)의 외주면에 결합홈(32)과 결합돌기(19) 등을 형성하여 캡(30)의 내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4)의 외부로 노출된 탄성튜브(40)의 노출부(18)를 누르면 탄성튜브(40) 내부의 액상의 립스틱이 가압되어 배출밸브(44)를 통해 배출되어 흡습부재(50)에 흡수된다. 이어서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탄성튜브(40)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확관되면서 그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흡입밸브(48)를 통해 용기부(10)의 액상의 립스틱이 탄성튜브(40) 내로 흡입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12)이 상승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액상의 립스틱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용기로서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탄성튜브(40)를 눌러 내용물을 토출시키므로 작동이 부드러워 여성들의 취향에 알맞다.
또한, 상기 탄성튜브의 색상을 립스틱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면 굳이 내용물을 토출시켜 그 색상을 확인해 보지 않고도, 탄성튜브(40)의 노출부(18)을 통해 립스틱의 색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펌핑부(18)가 용기전체의 포인트가 되므로 외관도 미려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스틱형 립스틱 용기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로서,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새로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액체형 립스틱 용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용기는 액상의 립스틱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필요한 만큼 토출시켜 사용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쉽게 변질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2)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내벽을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12)과, 상기 용기부(10) 상단에 결합되어 토출부(22)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20)와, 상기 펌핑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30)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용기부(10) 내부의 내용물까지 하향연장되는 탄성튜브(40)와,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를 수 있도록 누름부(16)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튜브(40)를 둘러싸는 하우징(14)과, 상기 탄성튜브(40)의 입구(46)와 출구(42)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출구(42)쪽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흡입밸브(48)와 배출밸브(44)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4)의 누름부(16)를 통해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20)의 토출부(22) 외주면에는 다공성의 흡수부재(50)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4)의 누름부(16)를 통해 상기 탄성튜브(40)를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되어 상기 흡수부재(50)에 흡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KR2020000008090U 2000-03-22 2000-03-22 디스펜서 용기 KR200200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90U KR200200589Y1 (ko) 2000-03-22 2000-03-22 디스펜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90U KR200200589Y1 (ko) 2000-03-22 2000-03-22 디스펜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9Y1 true KR200200589Y1 (ko) 2000-10-16

Family

ID=1964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090U KR200200589Y1 (ko) 2000-03-22 2000-03-22 디스펜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2718B2 (ja) 自動装填アプリケータを備えた収容塗布装置
JP3338685B2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JP6514339B2 (ja) 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KR200452889Y1 (ko) 화장품 도포장치
US20170347772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discharge plate made of ceramic
JP6166757B2 (ja) 行程距離の短いポンプ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KR20100009882U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크림화장품용기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JP2007502755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装置
JP2018523523A (ja) 行程距離の短いポンプと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JP3612079B2 (ja) 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物質の分配装置
KR200481241Y1 (ko)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200200589Y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947714B1 (ko)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JP2018027168A (ja) 臨時貯蔵所を有するフロックチップを具備したスポイト容器
KR200393943Y1 (ko) 다용도 용기
KR101570199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30005050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200417200Y1 (ko) 디스펜서
KR200200606Y1 (ko) 디스펜서 용기
KR20100008358U (ko) 마름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장도구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20000006252U (ko) 액상 입술연지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