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14B1 -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14B1
KR101947714B1 KR1020170070996A KR20170070996A KR101947714B1 KR 101947714 B1 KR101947714 B1 KR 101947714B1 KR 1020170070996 A KR1020170070996 A KR 1020170070996A KR 20170070996 A KR20170070996 A KR 20170070996A KR 101947714 B1 KR101947714 B1 KR 101947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ontainer body
cosmetic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750A (ko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7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71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304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일측 단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화장도구(12)가 구비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물용기(20)와,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설치되어 내용물용기(2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30)과, 상기 배출수단(30)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토출관(41)이 구비된 가압부재(40)와,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내용물용기(20)와 배출수단(3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moving up and down of exhaust tube}
본 발명은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겔상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내용물용기와, 상기 내용물용기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단에 화장도구를 구비한 용기본체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는 용기본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용기의 배출수단 상단에 토출관이 형성된 가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은 용기본체 상단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내용물용기 하단을 가압하면 상기 내용물용기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 끝단이 화장도구를 관통하여 이동한 후 상기 화장도구의 끝단과 일치하게 되고 이때, 가압부재 상단은 용기본체 내측 상부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여 겔상 내용물을 토출관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겔상 내용물을 화장도구 끝단에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또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에는 내용물이 도포부위에 효과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겔상 내용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겔상 내용물은 유리 용기나, 튜브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자가 겔상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손에 덜거나, 튜브용기로부터 짜내어 내용물을 퍼프, 면봉과 같은 도구 또는 손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과 같이 퍼프나 면봉과 같은 도구로 겔상 내용물 도포 시 사용한 퍼프나 면봉이 겔상 내용물이 묻혀진 채로 버려지게 되므로 겔상 내용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가 겔상 내용물을 손을 이용하여 도포할 때에는 사용 시마다 손에 겔상 내용물을 묻히게 됨으로써 매번 손을 씻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겔상 내용물이 묻은 손을 씻음에 따라 내용물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 들어 겔상 내용물이 충전된 펌프용기에 화장도구를 형성하여 겔상 내용물 토출과 동시에 화장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펜슬형 펌프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펜슬형 펌프용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4602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용기본체 내부에 겔상 내용물을 충전하며, 상기 겔상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1)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브러시(3)를 형성하되, 상기 펌핑수단(1) 상단에 펌핑수단(1)에 의해 토출되는 겔상 내용물을 브러시(3)의 가운데에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관(2)이 브러시(3) 중간지점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펌핑수단(1)을 이용하여 겔상 내용물을 브러시(3)에 토출하여 상기 브러시(3)를 이용하여 화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토출관(2)이 브러시(3) 중간지점까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써, 겔상 내용물이 브러시 끝단에 토출되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여러번 겔상 내용물을 토출하여 브러시에 겔상 내용물을 묻혀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토출관(2)을 브러시(3)의 끝단과 일치하게 형성한다면 브러시(3)를 사용할 때 상기 토출관(2)이 피부에 닿고 긁혀서 화장을 하는데 방해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겔상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내용물용기와, 상기 내용물용기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단에 화장도구를 구비한 용기본체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는 용기본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용기의 배출수단 상단에 토출관이 형성된 가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은 용기본체 상단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내용물용기 하단을 가압하면 상기 내용물용기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 끝단이 화장도구를 관통하여 이동한 후 상기 화장도구의 끝단과 일치하게 되고 이때, 가압부재 상단은 용기본체 내측 상부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여 겔상 내용물을 토출관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겔상 내용물을 화장도구 끝단에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 하단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용기본체와 내용물용기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에 의해 내용물용기는 하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도 화장도구 하단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피부 화장을 할 때 토출관이 화장을 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한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화장도구(12)가 구비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용기(20)와;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설치되어 내용물용기(2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30)과;
상기 배출수단(30)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토출관(41)이 구비된 가압부재(40)와;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내용물용기(20)와 배출수단(3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화장도구(12)는 브러시 또는 퍼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하부캡(6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20)는 하부에 걸림턱(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2)은 하부캡(60)에 형성된 관통공(61)의 테두리에 걸려 내용물용기(2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20)의 일부분은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30)은 에어리스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내용물용기(20)를 가압하면 내용물용기(20)와 가압부재(40)가 전진하면서 가압부재(40)의 토출관(41)이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을 관통하여 화장도구(12)의 끝단에 위치되고, 그 이후에 가압부재(40)에 의해 배출수단(30)이 가압되어 내용물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이 화장도구(12)의 끝단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기 겔상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내용물용기와, 상기 내용물용기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단에 화장도구를 구비한 용기본체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는 용기본체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용기의 배출수단 상단에 토출관이 형성된 가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은 용기본체 상단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내용물용기 하단을 가압하면 상기 내용물용기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 끝단이 화장도구를 관통하여 이동한 후 상기 화장도구의 끝단과 일치하게 되고 이때, 가압부재 상단은 용기본체 내측 상부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여 겔상 내용물을 토출관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겔상 내용물을 화장도구 끝단에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 하단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용기본체와 내용물용기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에 의해 내용물용기는 하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토출관도 화장도구 하단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피부 화장을 할 때 토출관이 화장을 하는데 방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용기를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용기의 가압을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용기를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용기의 가압을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일측 단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화장도구(12)가 구비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물용기(20)와,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설치되어 내용물용기(2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30)과, 상기 배출수단(30)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토출관(41)이 구비된 가압부재(40)와,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내용물용기(20)와 배출수단(3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일측 단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장착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은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압부재(40)의 토출관(41)이 관통 위치한다.
상기 관통홀(11)의 외측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도구(12)가 구비된다.
상기 화장도구(12)는 일반적으로 브러시 또는 퍼프인 것이 바람직하나,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장착공(13)으로 내용물용기(2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용기(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내용물용기(20)의 일부분은 용기본체(10)에 결합될 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돌출된 내용물용기(20)를 쉽게 가압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내용물용기(20)는 상부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 걸림턱(2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공기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용기(20)의 내측에는 피스톤(25)이 장착되며, 상기 피스톤(25)은 내용물용기(20)의 개구부(21)를 통해서 주입된 겔상 내용물을 배출수단(30)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25)이 내용물용기(20)의 겔상 내용물을 배출수단(30)으로 밀어낼 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25)이 올라간 만큼 공기구멍(23)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내용물용기(20)의 내측으로 주입되어 상기 내용물용기(20)의 내측 압력을 외부와 동일하게 해준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하부캡(60)이 더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60)은 가운데 관통공(61)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용기(2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22)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캡(60)에 형성된 관통공(61)의 테두리에 걸려 내용물용기(2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용물용기(20)의 개구부(21)에는 배출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수단(30)은 내용물용기(2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수단(30)은 일반적으로 에어리스 펌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내용물용기(20)의 겔상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딥튜브 타입의 펌프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수단(30)의 상부에는 가압부재(40)가 결합된다.
상기 가압부재(40)는 상부에 토출관(41)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4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에 삽입된다.
상기 토출관(4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용물용기(20)의 하단을 가압하면 상기 내용물용기(2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토출관(41) 끝단이 용기본체(10)의 화장도구(12)를 관통하여 이동한 후 상기 화장도구(12)의 끝단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40)의 상단은 용기본체(10) 내측 상부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배출수단(30)을 가압하여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을 토출관(41)으로 토출시킨다.
상기 토출관(41)의 끝단과 화장도구(12)의 끝단이 일치하게 되면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이 화장도구(12)의 끝단에 용이하게 토출되어 겔상 내용물이 화장도구(12) 내측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용기(20)의 가압을 해제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와 내용물용기(20)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50)에 의해 내용물용기(2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40)의 토출관(41)도 화장도구(12) 하단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화장도구(12)를 이용하여 피부 화장을 할 때 토출관(41)이 화장을 하는데 방해되지 않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상부캡(70)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70)은 용기본체(10)의 화장도구(1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 내용물용기(20)의 내측에 피스톤(25)을 장착한 다음, 겔상 내용물을 내용물용기(20)에 주입한 후, 상기 내용물용기(20)의 상부에 배출수단(3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30)의 상부에 토출관(41)이 구비된 가압부재(40)를 결합한다.
이후, 배출수단(30)과 가압부재(40)가 결합된 내용물용기(20)를 용기본체(10)의 장착공(13)으로 삽입 장착하되, 상기 내용물용기(20)는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부재(40)의 토출관(41)은 용기본체(10)에 형성된 관통홀(11)에 위치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와 내용물용기(20) 사이에 탄성부재(50)가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내용물용기(20)가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 단부에 하부캡(60)을 결합하되, 상기 하부캡(60)의 관통공(61)의 테두리에 내용물용기(20)의 걸림턱(22)이 걸려 상기 내용물용기(2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상부캡(70)을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내용물용기(20)를 가압하면 내용물용기(20)와 가압부재(40)가 전진하면서 가압부재(40)의 토출관(41)이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을 관통하여 화장도구(12)의 끝단에 위치되고, 그 이후에 가압부재(40)에 의해 배출수단(30)이 가압되어 내용물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이 화장도구(12)의 끝단으로 토출된다.
상기 내용물용기(20)의 겔상 내용물이 화장도구(12)의 끝단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화장도구(12) 내측에 겔상 내용물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용기(2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50)에 의해 내용물용기(20)와 가압부재(40)가 후퇴하면서 가압부재(40)의 토출관(41)이 화장도구(12)의 안쪽으로 이동되어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화장도구(12)를 이용하여 피부 화장을 할 때 토출관(41)이 화장을 하는데 방해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20:내용물용기
30:배출수단 40:가압부재
50:탄성부재 60:하부캡
70:상부캡

Claims (7)

  1. 일측 단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화장도구(12)가 구비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용기(20)와;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설치되어 내용물용기(2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30)과;
    상기 배출수단(30)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토출관(41)이 구비된 가압부재(40)와;
    상기 용기본체(10)으로부터 내용물용기(20)와 배출수단(3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용물용기(20)는 하부에 걸림턱(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2)은 하부캡(60)에 형성된 관통공(61)의 테두리에 걸려 내용물용기(20)가 용기본체(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2. 일측 단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화장도구(12)가 구비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용기(20)와;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설치되어 내용물용기(20)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30)과;
    상기 배출수단(30)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토출관(41)이 구비된 가압부재(40)와;
    상기 용기본체(10)으로부터 내용물용기(20)와 배출수단(3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내용물용기(20)를 가압하면 내용물용기(20)와 가압부재(40)가 전진하면서 가압부재(40)의 토출관(41)이 용기본체(10)의 관통홀(11)을 관통하여 화장도구(12)의 끝단에 위치되고, 그 이후 가압부재(40)에 의해 배출수단(30)이 가압되어 내용물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된 겔상 내용물이 화장도구(12)의 끝단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화장도구(12)는 브러시 또는 퍼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하부캡(6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20)의 일부분은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30)은 에어리스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7. 삭제
KR1020170070996A 2017-06-07 2017-06-07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94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96A KR101947714B1 (ko) 2017-06-07 2017-06-07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96A KR101947714B1 (ko) 2017-06-07 2017-06-07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750A KR20180133750A (ko) 2018-12-17
KR101947714B1 true KR101947714B1 (ko) 2019-02-13

Family

ID=6500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996A KR101947714B1 (ko) 2017-06-07 2017-06-07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626B1 (ko) * 2019-05-30 2019-08-09 최경애 효율적 폐기가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포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04B1 (ko) 2020-03-23 2020-06-09 김진우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0720A1 (en) 2000-10-07 2002-04-11 Byun Young Kwang Cosmetic brush
US20030000544A1 (en) 2001-06-28 2003-01-02 Byun Young Kwang Foundation injector and foundation filled cosmetic implement therewith
KR200459837Y1 (ko) 2009-12-15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JP2016049334A (ja) 2014-09-01 2016-04-11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0720A1 (en) 2000-10-07 2002-04-11 Byun Young Kwang Cosmetic brush
US20030000544A1 (en) 2001-06-28 2003-01-02 Byun Young Kwang Foundation injector and foundation filled cosmetic implement therewith
KR200459837Y1 (ko) 2009-12-15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JP2016049334A (ja) 2014-09-01 2016-04-11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626B1 (ko) * 2019-05-30 2019-08-09 최경애 효율적 폐기가 가능한 에어리스 타입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750A (ko) 201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55Y1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436568B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101242196B1 (ko) 사이드버튼에 의한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KR101947714B1 (ko) 토출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80199Y1 (ko) 겔상 내용물 배출 어플리케이터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81241Y1 (ko)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20140026694A (ko) 측면 버튼 가압식 화장품용기
CN107847037B (zh) 具有与泵的侧面水平联接的内容物储存容器的紧凑型容器
JPH024074Y2 (ko)
KR100696364B1 (ko) 액상체 화장기구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688623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100043324A (ko) 립글로즈용 화장도구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JP3212377U (ja) 溶液ボトル構成
KR20120005597U (ko) 립 글로스 용기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KR200367724Y1 (ko) 액상 립스틱 용기
KR101671419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KR20160000760U (ko) 화장도구를 가지는 펌프식 스틱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