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8144A -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8144A
KR20020058144A KR1020000085379A KR20000085379A KR20020058144A KR 20020058144 A KR20020058144 A KR 20020058144A KR 1020000085379 A KR1020000085379 A KR 1020000085379A KR 20000085379 A KR20000085379 A KR 20000085379A KR 20020058144 A KR20020058144 A KR 2002005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ethoscope
patient
cyber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학림
이근철
김우성
김석동
Original Assignee
고학림
이근철
김우성
김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학림, 이근철, 김우성, 김석동 filed Critical 고학림
Priority to KR102000008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8144A/ko
Publication of KR2002005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을 이용하여 청진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사이버 청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사이버 청진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감지하고 증폭하는 청진센서 모듈(1)과; 이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가 아날로그 입력단(line in)으로 입력되어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아날로그 신호의 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청음신호의 분리 및 파일링을 실행하여 전송하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 및; 이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인가 받아 청진 정보를 분석하는 의사측 서버 컴퓨터(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의사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정확한 처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A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STETHOSCOPE SOUND/NOISE SOUND AND A CYBER STETHOSCOPY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진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진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의사에게 더욱 정확한 환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진료상담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또한 앞으로 인터넷 진료에 의한 처방전 발행이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화상통신이 대중화된다 하더라도 의사가 접할 수 있는 정보는 시각 정보와 문진 외에는 불가능하므로, 이 정보만을 이용한 처방전의 발행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병원에서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보고, 문진하고, 청진함으로써 그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처방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청진 정보가 필요하며, 현재 청진기를 사용하여 약 70%의 환자에 대한 처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상통신이 대중화된다고 하여도 인터넷상에서 의사가 병원에서와 같이 환자를 직접 보고, 문진하고, 청진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과 같은 정확한 환자의 상태의 파악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즉, 인터넷상에서는 환자를 직접 청진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컴퓨터 통신을 이용하여 청진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의사가 더욱 정확하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두 개의 입력 단을 사용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아날로그 입력단과 디지털 입력단을 동시에 사용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전송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디지털 포트를 사용하여 화상정보, 음성정보, 청진 정보 및 기타 의료정보를 청진모듈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청진센서 모듈과 멀티플렉서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멀티플렉서와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청진모듈과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무선으로 연결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
도 9는 청음신호의 특징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개요도,
도 10은 묵음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청음 분리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2는 청음을 분리하고 파일링하여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시각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청음 전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플로우챠트이다
1 -- 청진센서 모듈2 -- 마이크
3 -- 의료기기4 -- 스위치
5 -- 카메라10 --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
20 -- 의사측 서버 컴퓨터30 -- 멀티플렉서
40 -- 청진모듈41 -- A/D 변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청진 시스템은,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사이버 청진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감지하고 증폭하는 청진센서 모듈(1)과;
이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가 아날로그 입력단(line in)으로 입력되어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아날로그 신호의 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청음신호의 분리 및 파일링을 실행하여 전송하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 및;
이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인가 받아 청진 정보를 분석하는 의사측 서버 컴퓨터(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의사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정확한 처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입력단(mic in)에 연결된 마이크(2)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전단에 위치하고, 청진센서 모듈(1)과 마이크(2) 및 의료기기(3)가 동시에 연결되며, 내장된 스위치(4)의 절환에 의해 상기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 또는 마이크(2)로부터의 신호, 또는 의료기기(3)로부터의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진센서 모듈(1), 마이크(2) 및 기타 의료기기(3)가 동시에연결되어, 내장된 스위치(4)의 절환에 의해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 또는 마이크(2)로부터의 신호, 또는 의료기기(3)로부터의 신호를 멀티플렉서(30)를 통하여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입력단으로 입력하며, 카메라(5)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화상 정보를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디지털 입력단에 동시에 입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5), 마이크(2), 청진센서 모듈(1) 및, 필요 의료기기(3)가 부착되고, 카메라(5), 마이크(2), 청진센서 모듈(1) 및 필요 의료기기(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내장된 A/D변환기(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입력포트에 인가하는 청진모듈(40)을 더 구비하여, 청진신호와 음성정보 및 화상정보를 동시에 전송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진센서 모듈(1)과 멀티플렉서(30), 또는 멀티플렉서(3)와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 또는 청진 모듈(40)과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가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파일로 저장한 후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된 신호를 파일로 저장한 후 전송하는데에는 대량 자료 전송을 위해 FTP 방식 또는 소켓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측 서버 컴퓨터(20)로 전송된 문진 및 청음 파일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관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음/묵음 구별방법은, 약한 신호를 신뢰성있게 구별하기 위해 입력된 청음 신호를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주파수로 변환된 청음신호를 멜 스케일로 정규화하는 단계 및; 정규화된 신호를 다시 시간적으로 역변환된 캡스트럼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음신호를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으로 나누고, 인접한 프레임에서 변화점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칭 크로스 앤트로피로 측정함으로써 신호의 급격한 변화점을 찾아 청음신호의 시작점을 찾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견한 변화점이 청음의 시작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청음인 경우 이동범위 폭이 크고 에너지 비율이 높고, 묵음인 경우 이동 범위 폭과 에너지 비율이 작도록 된 이동범위와 에너지 비율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청음의 시작점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청음분리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전송원리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청음(청진기에 의한 청진시 발생하는 음, 즉 본 발명에서는 청진센서 모듈에 의한 청진시 발생하는 음)과 묵음(일반 잡음)을 구별하는 방법은 청음 신호의 에너지, 즉 시간에 따른 신호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신호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방식은 청음의 신호가 뚜렷하면 간단한 방법이 되지만, 신호가 약한경우 구별이 잘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시간의 변화를 주파수 분석으로 변환하고, 이를 가공하여 다시 시간적으로 역변환시킨 캡스트럼 방식으로 구분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표본화된 청음을 특성의 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분석하기 위해 우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주파수 형태로 변환시킨다. 사람의 귀는 낮은 주파수(예컨대, 1Khz 이하) 이내에서는 민감하고, 그 이상 올라갈수록 덜 민감하므로, 멜 스케일(Mel Scale)로 변환된 파일링을 거쳐 이 여과된 주파수를 대상으로 역으로 시간축 신호로 변환시켜 캡스트럼 분석을 통해 프레임별 특징을 추출한다.
또한, 신호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는 점을 발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신호의 변화량, 즉 미분 값을 이용하지만, 센서의 충격 등과 같이 다른 일시적인 요인에 의해 뜻하지 않은 값을 찾아낼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신뢰성있게 검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환자측 청음신호에서 청음과 묵음을 구별하기 위해 우선 신호의 변화가 크게 이루어지는 지점을 찾는다. 이를 위해 청음 신호를 프레임(Frame)으로 불리워지는 일정한 크기(예컨대, 300msec)로 나누어 각 프레임에서 통계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인접한 프레임에서 변화점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칭 크로스 엔트로피로 측정한다.
여기서, A는 앞 프레임, B는 뒷 프레임, σ는 표준편차, μ는 평균값을 의미한다. 이 값의 크기에 따라 변화점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변화점으로 판단된 신호가 묵음과 청음의 경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직화살표로 나타내는 이동 범위(dynamic range)와 수평화살표로 표현되는 에너지 비율등 두가지 방법으로 해결한다. 즉, 묵음 검출을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음인 경우 이동 범위 폭이 크고 에너지 비율이 높으며, 이와 반대로 묵음인 경우 이동범위의 폭과 에너지 비율이 작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화점과 묵음검출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청음과 묵음을 구별하여 청음 부분의 시작점을 발견하게 된다. 이 과정을 도식화하면 청음분리과정을 플로우챠트로서 나타낸 도 11과 같이 된다.
즉, 일단 청음이 받아드려지면 의사측(Server)에 전송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대량의 자료 전송에 널리 사용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또는 소켓방식을 사용한다. 이 때, 전송중의 시간정보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출된 청음신호를 압축하고 파일화한 후 의사측 서버 컴퓨터에게 전달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한 환자측에서 받는 청음입력 부분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부분 및, 의사측에서 청음을 보고 들을 수 있도록 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의사측 컴퓨터(20)에 전달된 청진 정보를 담당 의사가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더욱 정확히 파악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정확한 처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진료를 원하는 환자는 환자 자신의 몸(일반적으로 청진기를 대는 위치)에 증폭기를 포함하는 청진센서 모듈(1)을 부착하고,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를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입력단인 입력포트(mic in 또는 line in)에 연결한다.
상기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 출력된 출력신호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입력포트(mic in 또는 line in)에 아날로그 신호로서 입력되고,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에 내장된 사운드카드(도시되지 않았슴)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해서 의사측 서버 컴퓨터(20)에 전달된다. 이 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해서 의사측 서버 컴퓨터(2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한 청음분리 및 압축과정을 수행한다.
도 2는 2개의 입력단을 사용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2)와 청진센서 모듈(1)을 서로 다른 아날로그 입력단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가 의사와 상담을 하면서 청진 정보를 담당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청진센서 모듈(1)을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입력포트(line in)에 연결하고, 마이크(2)를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입력포트(mic in)에 연결하여 환자가 직접 의사와 상담을 하면서 필요시 청진 정보를 음성 정보와 함께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된다.
도 3은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2)와 청진센서 모듈(1)등을 따로 연결하지 않고 멀티플렉서(30)를 이용하여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 멀티플렉서(30)의 출력신호는 멀티플렉서(30)에 내장된 스위치(4)에 의해 조정된다. 예컨대, 멀티플렉서(30)의 입력으로서 마이크(2), 청진센서 모듈(1), 그 이외의 필요한 의료기기(3)들을 연결하고, 의사와의 인터넷 진료 도중에 의사가 청진을 원하면 청진센서 모듈(1)을 환자의 몸의 일정 부위에 부착한 다음, 멀티플렉서(30)에 설치된 스위치(4)를 청진센서 모듈(1)쪽으로 절환하면, 멀티플렉서(30)의 출력이 청진센서 모듈(1)의 출력신호가 된다. 또한, 스위치(4)를 마이크(2)쪽으로 다시 절환하면, 멀티플렉서(30)의 출력신호가 음성신호가 된다. 또한, 스위치(4)를 의료기기(3)쪽으로 절환하면 필요한 의료기기(3)와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도 4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포트를 사용하여 음성정보, 청진정보 및 기타 의료기기로부터의 정보를 전송하고, 디지털 포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화상정보(환자의 얼굴 상태나 몸의 각 부위에 대한 화상)를 전송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2)로부터의 음성신호, 청진센서 모듈(1)의 청진신호 및 기타 의료기기(3)로부터의 신호를 멀티플렉서(30)를 사용하여 환자측 컴퓨터(10)의 아날로그 포트를 사용하여 전송하고, 화상정보는 USB 포트나, 병렬포드 또는 캡쳐(capture)보드를 사용하여 함께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도 5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디지털 포트를 사용하여 화상정보, 음성정보, 청진정보 등을 동시에 전송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2)로부터의 음성신호, 청진센서 모듈(1)의 출력신호,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환자의 얼굴 상태나 몸의 각 부위에 대한 화상) 및 기타 의료기기(3)로부터의 신호를 청진모듈(4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청진모듈(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디지털 포트인 USB포트, 병렬포트, 캡쳐보드와 같은 다른 카드에 연결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청진신호, 음성정보 및 화상정보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청진 모듈(40)에는 카메라(5), 마이크(2), 청진센서 모듈(1) 및 그 이외에 진료에 필요한 의료기기(3)를 부착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청진 모듈(40)에 내장된 A/D 변환기(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USB포트, 병렬포트, 또는 캡쳐보드에 인가되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의사측 서버 컴퓨터(20)에 전송된다. 의사측 서버 컴퓨터(2)에 전송된 데이터는 화상 프로그램을 통해 담당 의사가 시각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스피커등을 이용하여 청각적으로도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청진센서 모듈(1)과 멀티플렉서(30)를 무선으로 연결한 사이버 청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멀티플렉서(30)와 환자측 클라이언트컴퓨터(10)를 무선으로 연결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8은 청진모듈(40)과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를 무선으로 연결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진센서 모듈(1)과 멀티플렉서(30), 멀티플렉서(30)와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 또는 청진 모듈(40)과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청진 정보등을 인터넷을 통해 담당 의사에게 전송함으로써 상당수의 환자가 병원에 가지 않고 집이나 직장등에서 실시간으로 사이버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사이버 청진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몸에 부착되어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감지하고 증폭하는 청진센서 모듈(1)과;
    이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가 아날로그 입력단(line in)으로 입력되어 환자의 상태와 관련한 아날로그 신호의 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청음신호의 분리 및 파일링을 실행하여 전송하는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 및;
    이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인가 받아 청진 정보를 분석하는 의사측 서버 컴퓨터(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의사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정확한 처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입력단(mic in)에 연결된 마이크(2)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전단에 위치하고, 청진센서 모듈(1)과 마이크(2) 및 의료기기(3)가 동시에 연결되며, 내장된 스위치(4)의 절환에 의해 상기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 또는 마이크(2)로부터의 신호, 또는 의료기기(3)로부터의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센서 모듈(1), 마이크(2) 및 기타 의료기기(3)가 동시에 연결되어, 내장된 스위치(4)의 절환에 의해 상기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의 신호, 또는 마이크(2)로부터의 신호, 또는 의료기기(3)로부터의 신호를 멀티플렉서(30)를 통하여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아날로그 입력단으로 입력하며, 카메라(5)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화상 정보를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디지털 입력단에 동시에 입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5), 마이크(2), 청진센서 모듈(1) 및, 필요 의료기기(3)가 부착되고, 상기 카메라(5), 마이크(2), 청진센서 모듈(1) 및 필요 의료기기(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내장된 A/D변환기(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의 입력포트에 인가하는 청진모듈(40)을 더 구비하여, 청진신호와 음성정보 및 화상정보를 동시에 전송 할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센서 모듈(1)과 상기 멀티플렉서(30), 또는 상기 멀티플렉서(3)와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 또는 상기 청진 모듈(40)과 상기 환자측 클라이언트 컴퓨터(1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센서 모듈(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파일로 저장한 후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파일로 저장한 후 전송하는데에는 대량 자료 전송을 위해 FTP 방식 또는 소켓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의사측 서버 컴퓨터(20)로 전송된 문진 및 청음 파일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관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청진 시스템.
  10. 약한 신호를 신뢰성있게 구별하기 위해 입력된 청음 신호를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주파수로 변환된 청음신호를 멜 스케일로 정규화하는 단계 및;
    정규화된 신호를 다시 시간적으로 역변환된 캡스트럼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묵음 구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청음신호를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으로 나누고, 인접한 프레임에서 변화점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칭 크로스 앤트로피로 측정함으로써 신호의 급격한 변화점을 찾아 청음신호의 시작점을 찾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묵음 구별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발견한 변화점이 청음의 시작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청음인 경우 이동범위 폭이 크고 에너지 비율이 높고, 묵음인 경우 이동 범위 폭과 에너지 비율이 작도록 된 이동범위와 에너지 비율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청음의 시작점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묵음 구별방법.
KR1020000085379A 2000-12-29 2000-12-29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 KR20020058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379A KR20020058144A (ko) 2000-12-29 2000-12-29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379A KR20020058144A (ko) 2000-12-29 2000-12-29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144A true KR20020058144A (ko) 2002-07-12

Family

ID=2768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379A KR20020058144A (ko) 2000-12-29 2000-12-29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81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001A (ko) * 2001-09-11 2003-03-19 고학림 인터넷 청진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이버 진료방법 및프랜차이즈형태로 운영되는 사이버 진료시스템
KR20040012155A (ko) * 2002-08-01 2004-02-11 (주) 굿커뮤니케이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건강을 진단하고 처방하는동양의학 처방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938A (ja) * 1996-03-08 1997-09-16 Hitachi Ltd 遠隔診断装置
US6014432A (en) * 1998-05-19 2000-01-11 Eastman Kodak Company Home health care system
KR20000008795A (ko) * 1998-07-16 2000-02-15 천승환 원격진맥검진장치및검진방법
JP2000206991A (ja) * 1999-01-13 2000-07-28 Ntt Electornics Corp 音遠隔送信装置及び音遠隔受信装置
KR20000054411A (ko) * 2000-06-05 2000-09-05 남궁석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진료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938A (ja) * 1996-03-08 1997-09-16 Hitachi Ltd 遠隔診断装置
US6014432A (en) * 1998-05-19 2000-01-11 Eastman Kodak Company Home health care system
KR20000008795A (ko) * 1998-07-16 2000-02-15 천승환 원격진맥검진장치및검진방법
JP2000206991A (ja) * 1999-01-13 2000-07-28 Ntt Electornics Corp 音遠隔送信装置及び音遠隔受信装置
KR20000054411A (ko) * 2000-06-05 2000-09-05 남궁석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진료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001A (ko) * 2001-09-11 2003-03-19 고학림 인터넷 청진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이버 진료방법 및프랜차이즈형태로 운영되는 사이버 진료시스템
KR20040012155A (ko) * 2002-08-01 2004-02-11 (주) 굿커뮤니케이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건강을 진단하고 처방하는동양의학 처방진단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3847B2 (en) Mobile device-based stethoscope system
DE112005003445T5 (de) Mobiltelefon mit einem Stethoskop
EP2980788A1 (en) Speech recognition device,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JP4638558B2 (ja) 語音明瞭度評価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205884A3 (en) Individual authentication method, indivi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apparatus, and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EP1398994A3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upling hearing aids to electromagnetic signals
EP1484942A3 (en) Automatic detection in hearing aids
CA2444633A1 (en) Diagnosing system and mobile phone
US20150088021A1 (en) Vital signs sens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CN111292859A (zh) 一种智能音箱设备及其家庭健康监护方法和装置
US10716479B2 (en) Signal synchronization device, as well as stethoscope, auscultation information output system and symptom diagnosis system capable of signal synchronization
CN106419953A (zh) 一种基于双频采集及振动还原的无线听诊系统
EP1496499A3 (en) Apparatus and method of voice recognition in an audio-video system
CN212489919U (zh) 视频生物电采集系统
KR20020058144A (ko) 청음/묵음 구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청진 시스템
EP4144101A1 (en) Smart headphone system and method
US10271815B2 (en) Device for digitizing the sound of a stethoscope and sending it to an electronic instrument
CN111631703A (zh) 视频信号与生物电信号同步的方法及视频生物电采集系统
US20160366514A1 (en) Power stethoscope with integrated speaker
KR100416402B1 (ko) 휴대용 심폐음 진단장치
US11432790B2 (en) Multi-channel digital stethoscopy system
GB25332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scultating inaudible signals
WO2017171532A9 (fr) Systeme amovible de capture et d'exploitation des sons provenant d'un stéthoscope
EP4061211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analysing cough
KR200204716Y1 (ko) 휴대용 전자 청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