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863A - 파이프 보링 머신 - Google Patents

파이프 보링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863A
KR20020057863A KR1020020024544A KR20020024544A KR20020057863A KR 20020057863 A KR20020057863 A KR 20020057863A KR 1020020024544 A KR1020020024544 A KR 1020020024544A KR 20020024544 A KR20020024544 A KR 20020024544A KR 20020057863 A KR20020057863 A KR 2002005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boring machine
front body
rot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
유애권
김관태
변인석
Original Assignee
유애권
주식회사 티.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애권, 주식회사 티.비.아이 filed Critical 유애권
Priority to KR102002002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7863A/ko
Publication of KR2002005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86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는 전단면 회전수단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유압을 통하여 자체를 하수관 내벽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클램프가 설치된 중공형의 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와 실린더로 연결되어 그 위치가 축소나 연장되며 외주에는 자체를 하수관 내벽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클램프가 설치된 중공형의 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조정 및 동작시키는 전기 제어수단과 유압수단을 이루는 유틸리티 호스류와; 상기 유틸리티 호스류를 통하여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작동시키는 전기에너지와 유압을 발생시키고,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에 구비되는 여러 장치들을 조정 및 모니터링 하는 지원차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보링 머신{Pipe bor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하수관에 퇴적 및 부착되어 고형화된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퇴적물은 물론 장기간 퇴적으로 고형화된 퇴적물도 파쇄를 통하여 준설할 수 있도록 전단면 회전날이 구비된 파이프 보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내의 하수에 섞여흐르는 각종 오물은 하수관내의 정체 구간에서 쉽게 쌓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하수관을 막아 물의 흐름을 방해한다. 하수관이 점차 막히게 되면, 하수관 단면축소에 의해 관내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관 이음부나 크랙등과 같은 틈새에서 하수가 유출되어 토양은 물론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막기위해서는 하수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함으로써 하수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하수관을 청소함에 있어서 딱딱하게 굳은 상태가 아닌 토사나 슬러지 등의 퇴적물은 기존의 준설장치로 준설이 가능하였지만, 장기간의 퇴적으로 인해 고형화된 퇴적물이나 시멘트풀, 몰탈, 연결관 돌출물, 기타 얇은 금속 관통물 등 고형정도가 심한 덩어리는 준설할 수 없었다. 즉, 기존의 준설장치는 물의 고압분사에 의한 반작용힘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분사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퇴적물을 인버터로 흘려 보내 준설을 수행하므로, 하수관내에 딱딱하게 굳은 퇴적물이 덩어리져 있을 경우 퇴적물측으로 더 이상 전진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준설을 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수관 내의 고졍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해 굴착공사를 시행하거나, 또는 하수관의 지상에 있는 기시설물로 인해 굴착공사가 불가할 경우 새로운 하수관을 신설해야 하며, 하수관내의 고형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이 복잡하며 지저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내를 이동하면서 일시에 하수관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을 전단면 준설할 수 있는 파이프 보링 머신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보링 머신의 지원차량과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일부 단면도로서, 본체의 전방몸체와 회전날 고정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가 하수관의 굴곡부를 통과할 때 회전날 고정체가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정단면도로서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에 설치되는 견인바퀴와 회전날 고정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에 설치되는 견인바퀴가 힌지 설치되고, 그 힌지부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 고정체에 다이아몬드 회전날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전방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비디오 카메라와 조명등 및 노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보링 머신이 하수관 내에서 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가 하수관 내에서 준설할 때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의 이동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지원차량
105 : 전방몸체 110 : 후방몸체
115 : 이동실린더 120 : 회전날 고정체
120a : 가이드 롤러 125 : 볼 스프라인
130 : 회전날 135 : 비디오 카메라
140 : 유압모터 145 : 물분사 노즐
150 : 유압실린더 155 : 클램프
160 : 연결대 165 : 견인바퀴
170 : 힌지 175 : 스프링
180 : 조명등
205 : 하드케이스 210 : 발전기
215 : 물펌프 220 : 유압유니트
225 : 유틸리티 공급관 230 : 견인윈치
235 : 컨트롤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에는 전단면 회전수단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유압을 통하여 자체를 하수관 내벽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클램프가 설치된 중공형의 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와 실린더로 연결되어 그 위치가 축소나 연장되며 외주에는 자체를 하수관 내벽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클램프가 설치된 중공형의 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조정 및 동작시키는 전기 제어수단과 유압수단을 이루는 유틸리티 공급관류와; 상기 유틸리티 공급관류를 통하여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작동시키는 전기에너지와 유압을 발생시키고,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에 설치되는 여러 장치들을 조정 및 모니터링 하는 장치들이 구비된 지원차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를 장거리 이동시키거나 본체를 작동시키는데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지원차량(200)으로 이루어진다.
지원차량(200)에는 각종 장치들이 안착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하드케이스(205)가 설치되고, 상기 하드케이스 내에는 발전기(210), 물펌프(215), 유압유니트(220), 유틸리티 공급관류(225), 견인 윈치(230), 컨트롤러(235) 등 각종 지원장치들이 설치된다.
발전기(210)는 엔진 타입으로 하드케이스(205)내에 설치된 각종 장치 및 본체(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생산한다.
물펌프(215)는 플런져형으로 본체에 의해 하수관의 전단면을 준설할 때 노즐을 통하여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유압유니트(220)는 전기동작식으로 본체의 유압계통을 담당한다.
유틸리티 공급관(225)은 유압호스(225a), 물공급호스(225b), 제어선(225c), 견인로프(225d)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일측과 연결된다.
견인윈치(230)는 전동식으로서 본체를 하수관에서 꺼낼때 견인로프가 감겨 있어 본체를 끄집어 당겨 견인한다.
컨트롤러(235)는 전기식으로서 본체에 의해 하수관이 전단면 준설될 때 준설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그 상황에 따라 본체를 제어한다.
상기한 본체(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110)로 이루어지고, 이동실린더(115)를 통하여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 (110)가 일체로 연결된다.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110)는 유압에 의해서 작동되는 원통형의 이동실린더(115)에 의해 상호간에 밀거나 당겨진다, 즉 전방몸체(105)를 고정하고 이동실린더(115)를 작동시키면 후방몸체(110)가 밀거나 당겨지고, 후방몸체(110)를 고정하고 이동실린더(115)를 작동시키면 전방몸체(105)가 밀거나 당겨진다.
전방몸체(105)의 전면에는 회전날 고정체(1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날 고정체(120)에는 전방몸체(105)의 중공부에 설치된 유압모터(125)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며 전단면 절삭을 담당하는 다이아몬드 회전날(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날(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 고정체 (1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회전날(130)을 회전날 고정체(120)의 중심에서 부터 차례로 연결하면 전체적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회전날(130)과 회전날(13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날(130)과 회전날(13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면 이 부분에 해당되는 단단한 오염물질은 파쇄되지 않을 수가 있다.
전방몸체(105)의 중공부 전면 중앙에는 비디오 카메라(135)(CCTV 카메라, 이하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로 통칭한다)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비디오 카메라(135)가 회전날 고정체(120)의 가장 중심에 있는 회전날(130)에 의해서 전방이 일부 가려지나 준설시에는 회전날(130)의 회전으로 가려진 부분이 보이게 된다.
그리고 전방몸체(105)의 중공부에는 회전날 고정체(120)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140)와, 전방몸체(105)의 전면을 조명하는 조명등(180)과, 전방몸체(105)의 전면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135)와, 전단면 준설된 오염물질에 고압의 물을 분사시키는 고압 물분사 노즐(145)이 내장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135)는 전방몸체(105)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는 조명등(180)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분사 노즐(145)은 중공부의 내벽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데,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증감시킬 수 있고, 상기 물분사 노즐은 전방몸체의 후단 외주에도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준설시 전후 방향으로 물분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회전날 고정체(120)는 전방몸체(105)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수관의 내경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방몸체(105)의 외주에는 전방몸체(105)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50)와 연결되어 외측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클램프(155)가 다수 설치된다.
후방몸체(110)에는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몸체(105)와 연결되어 전진 후진시 길이가 가변되는 이동실린더(11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동실린더(115)는 그 구조가 동심원 형태를 갖는 다단형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가변시킨다.
후방몸체(110)의 외주에도 후방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50)와 연결되어 외측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클램프(155)가 다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몸체(110)는 준설시 전방몸체(105)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날(130)의 구동으로 구동력에 의한 회전토크가 발생되어도 클램프(155)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안티-토크 기능을 한다. 또한 전방몸체(105)의 회전날 고정체(120)가 회전할 때 관성에 의한 회전토크가 발생되어도 전방몸체(105)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110) 사이를 연결하여 전방몸체(105)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대(160)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몸체(105)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대(160)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한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110)에는 본체(100)를 견인할 때 사용하는 견인바퀴(165)가 설치되는데, 그 설치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후방몸체(1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견인바퀴(165)는 후방몸체(110)의 외주에 균형을 위해서 120°간격으로 3개 설치되고, 그 설치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몸체(110)의 외주에 힌지(170) 결합하고 힌지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탄성회전된 후 복귀되도록 스프링((175)을 설치한다. 즉, 견인바퀴(165)에 일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힌지(170)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탄성회전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작동 및 운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차량(200)에 본체(100)를 싣고 이동하여 준설하고자 하는 하수관(300) 주위에 주차한 상태에서 맨홀(400)을 통하여 본체(100)를 하수관(300) 안으로 이동시킨다.
본체(100)가 하수관의 준설장소에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100)를 구동시키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몸체(110)의 클램프(155)가 유압실린더(150)의 작동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수관(300)의 내벽에 일정한 압력으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전방몸체(105)가 이동실린더(115)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전방몸체(105)에 설치된 회전날(130)이 회전되어 하수관(300)의 전단면을 준설한다. 상기에서 전방몸체(105)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는 조명된 상태에서 전단면 준설되는 하수관(300)을 촬영하여 컨트롤러(235)로 영상테이터를 출력하고, 물분사 노즐(145)에서는 고압의 물이 분사되어 파쇄된 오염물질을 하수관(300)의 뒷편으로 흘려보낸다.
회전날(130)에 의한 파쇄 과정에서 도 5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300)이 굴곡되어 있거나 하수관내로 철근(500)과 같은 강도가 큰 다른 이물질이 돌출되어 있으면 순간적으로 회전날(13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진다. 이러한 충격으로 회전날(130) 및 회전날 고정체(120)의 고장의 원인이 되기고 하고, 회전날(130)이 하수관(300)에 끼여서 작동되지 않는 잼 상태가 되기도 하는데, 회전날 고정체(120)가 전방몸체(105)와 볼 스프라인(125) 결합되어 전후로 약 10°정도 회전 가능하므로 충격이나 과부하에 의한 잼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 고정체(120)의 외주에 다수 형성된 가이드 롤러(120a)는 회전날 고정체(120)가 준설중 곡면 부분이나 돌출부를 만났을 때 하수관(300)의 벽면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날 고정체(120)가 전방으로 부드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b는 준설이 진행되어 이동실린더(115)가 최대한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실린더(115)가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다.
이동실린더(115)가 최대한 연장되면 그 이상은 준설이 안되므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몸체(105)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50)에 의해 클램프(155)가 연장되어 하수관(300) 내벽에 고정되므로서 전방몸체(105)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하수관(300) 벽면에 고정된 후방몸체(110)의 클램프(155)를 해제시킨 후 이동실린더(115)를 작동시키면 후방몸체가 이동실린더(115)를 따라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고,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후방몸체(105)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50)를 작동시켜 클램프(155)를 연장하여 하수관(300)에 후방몸체를 고정한 후 하수관(300)의 벽면에 고정된 전방몸체(105)의 클램프(155)를 동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하여 다시 준설을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110)를 하수관(300) 내벽에 교대로 반복되어 고정과 해제되면서 준설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수관(3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준설은 본체(100)가 지원차량과 일정거리 떨어지면 유틸리티 공급관류(225)의 길이의 한계나 하수관(300)의 분기 등으로 더 이상 준설하지 못할때에는 맨홀(400)을 통하여 본체(100)를 끄집어 낸 후 지원차량(200)을 이동시켜 본체(100)를 다시 하수관에 집어 넣어 준설한다. 상기에서 본체(100)를 끄집어 낼때 다음 맨홀(400)을 통하여 크랭크 등으로 들어올리기도 하고, 윈치를 이용한 견인로프를 당겨 본체를 끌어 내기도 하며, 본체를 견인로프에서 분리하여 본체(100)는 견인하지 않고 유틸리티 공급관류(225)만 위치이동시킬 수 도 있다.
상기에서 다음 맨홀(400) 까지 준설작업이 끝나지 않았거나 여러가지 상황으로 견인로프를 통하여 본체(100)를 끄집어 내는 경우에는 준설을 중지하고,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110)에 설치된 클램프(155)를 하수관(300)벽에서 천천히 해제시키면 본체(100)는 중력에 의하여 하수관(300) 바닥으로 서서히 내려오게 된다. 이때 자세가 조정되지 않은 본체(1000는 전방몸체(105)와 후방몸체(110)에 각각 설치된 3개의 견인바퀴(165)중 2개의 견인바퀴(165)가 바닥에 접촉되면 견인로프를 당겨서 본체(100)를 끄집어 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나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로 이루어지고 이동실린더를 통하여 상호간에 이동이 가능하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하수관벽에 각각 고정과 해제가 가능하여 하수관내에서 본체를 단단히 고정한 상태로 준설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준설하므로 전단면 준설시 발생되는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근본적으로는 전단면 준설이 가능하게 한다.

Claims (12)

  1. 전면에는 전단면 회전수단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유압을 통하여 자체를 하수관 내벽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클램프가 설치된 중공형의 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와 실린더로 연결되어 그 위치가 축소나 연장되며 외주에는 자체를 하수관 내벽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클램프가 설치된 중공형의 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조정 및 동작시키는 전기 제어수단과 유압수단을 이루는 유틸리티 공급관류와; 상기 유틸리티 호스류를 통하여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작동시키는 전기에너지와 유압을 발생시키고,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에 설치된 여러 장치들을 조정 및 모니터링 하는 장치들이 구비된 지원차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차량의 조정 및 모니터링 장치는 본체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기키는 발전기와; 본체의 노즐을 통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플런져형 물펌프와;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유니트와; 본체를 견인하는 견인윈치와; 지원차량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고, 본체를 제어 및 모니터링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는 전면에 설치되어 하수관의 전단면을 파쇄하는 회전날이 설치된 회전날 고정체와; 상기 회전날 고정체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와; 외주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그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클램프와; 중공부에 설치되어 하수관의 전단면부를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와; 중공부의 원주를 따라 설치되어 하수관의 전단면부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는 상기 전방몸체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전후 이동가능라도록 하는 이동실린더와; 외주에 설치되어 중공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그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 공급관류는 상기 본체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호스와,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에 설치되는 노즐로 고압을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 호스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본체를 끌어 당길 수 있는 견인로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 등의 전기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 사이에는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를 일체로 연결하되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실린더의 연장시에는 함께 연동되나 원주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전방몸체에 설치된 회전날 고정체나 회전할 때 그 회전토크에 의하여 전방몸체 까지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의 외주에는 120°간격으로 3개 설치되어 하수관내에서 전방몸체의 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고, 본체를 당길 때 사용되는 견인바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의 외주에는 전방몸체에 설치된 견인바퀴와 평행을 이루면서 120°간격으로 3개 설치되어 후방몸체의 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고, 본체를 당길 때 사용되는 무구동의 견인바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머신.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 고정체는 하수관의 내경 크기에 따라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에 설치되는 견인바퀴는 전방몸체에 설치시 힌지결합하여 힌지부에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서 힌지부을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소정량 탄성회동된 후 복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에 설치되는 견인바퀴는 후방몸체에 설치시 힌지 결합하여 힌지부에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소정량 탄성화동된 후 복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 고정체에 설치되는 회전날은 나선형을 이루도록 다수 설치하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하수관의 전단면이 파쇄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보링 머신.
KR1020020024544A 2002-05-03 2002-05-03 파이프 보링 머신 KR20020057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44A KR20020057863A (ko) 2002-05-03 2002-05-03 파이프 보링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44A KR20020057863A (ko) 2002-05-03 2002-05-03 파이프 보링 머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628U Division KR200286367Y1 (ko) 2002-05-03 2002-05-03 파이프 보링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863A true KR20020057863A (ko) 2002-07-12

Family

ID=2772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544A KR20020057863A (ko) 2002-05-03 2002-05-03 파이프 보링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7863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68B1 (ko) * 2004-06-29 2007-06-20 정영진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100802917B1 (ko) * 2006-04-10 2008-02-13 최인환 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방법
CN103352513A (zh) * 2013-07-26 2013-10-16 孙凤宝 下水道疏通机
KR101400380B1 (ko) * 2013-10-29 2014-05-27 (주)로터스지이오 반전방식 uv 경화 관로 보수를 위한 회전식 uv 램프를 가지는 uv광 발생장치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101508205B1 (ko) * 2014-05-07 2015-04-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고정식 지그장치
CN105689785A (zh) * 2016-05-01 2016-06-22 羊丁 一种钢带管管内支撑环切机器人
CN106312172A (zh) * 2016-10-08 2017-01-11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支撑装置
CN106363228A (zh) * 2016-10-08 2017-02-01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切割设备
CN106424901A (zh) * 2016-10-08 2017-02-22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切割装置
CN106891374A (zh) * 2017-03-14 2017-06-27 覃小倩 一种埋管切割装置及其切割方法
CN108978813A (zh) * 2018-07-26 2018-12-11 张日胜 一种装修施工用pvc水管弯管接头疏通装置
CN110714526A (zh) * 2019-10-26 2020-01-21 厦门大学嘉庚学院 市政排水管道清理装置与清理方法
CN111983720A (zh) * 2020-08-26 2020-11-2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电气套管堵塞点定位装置
CN111997177A (zh) * 2020-08-10 2020-11-2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蠕动式城市管道清淤机器人
CN114108599A (zh) * 2022-01-17 2022-03-01 潍坊学院 一种盲沟回收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849A (en) * 1976-07-03 1978-01-19 Tsugio Matsumura Traction device of earth and sand sucking tool and method that use this device
JPS5322216A (en) * 1976-08-10 1978-03-01 Tsugio Matsumura Dredging and dehydrating vehicle
JPS5336864U (ko) * 1976-09-04 1978-03-31
JPS63223239A (ja) * 1987-03-13 1988-09-16 住吉重工業株式会社 下水道内堆積物排出装置
JPH0616129A (ja) * 1992-04-17 1994-01-25 Masuda Denki Kk 管内移動装置
JPH06122367A (ja) * 1992-10-12 1994-05-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管内ロボットの移動装置
JPH07251137A (ja) * 1994-03-17 1995-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管内水中清掃装置
KR20030041297A (ko) * 2001-11-19 2003-05-27 모악개발 주식회사 관로 보오링 장치 및 그 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849A (en) * 1976-07-03 1978-01-19 Tsugio Matsumura Traction device of earth and sand sucking tool and method that use this device
JPS5322216A (en) * 1976-08-10 1978-03-01 Tsugio Matsumura Dredging and dehydrating vehicle
JPS5336864U (ko) * 1976-09-04 1978-03-31
JPS63223239A (ja) * 1987-03-13 1988-09-16 住吉重工業株式会社 下水道内堆積物排出装置
JPH0616129A (ja) * 1992-04-17 1994-01-25 Masuda Denki Kk 管内移動装置
JPH06122367A (ja) * 1992-10-12 1994-05-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管内ロボットの移動装置
JPH07251137A (ja) * 1994-03-17 1995-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管内水中清掃装置
KR20030041297A (ko) * 2001-11-19 2003-05-27 모악개발 주식회사 관로 보오링 장치 및 그 공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68B1 (ko) * 2004-06-29 2007-06-20 정영진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100802917B1 (ko) * 2006-04-10 2008-02-13 최인환 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방법
CN103352513A (zh) * 2013-07-26 2013-10-16 孙凤宝 下水道疏通机
KR101400380B1 (ko) * 2013-10-29 2014-05-27 (주)로터스지이오 반전방식 uv 경화 관로 보수를 위한 회전식 uv 램프를 가지는 uv광 발생장치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101508205B1 (ko) * 2014-05-07 2015-04-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고정식 지그장치
WO2015170868A1 (ko) * 2014-05-07 2015-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피삭물의 절단에 이용되는 지그장치
CN105689785A (zh) * 2016-05-01 2016-06-22 羊丁 一种钢带管管内支撑环切机器人
CN106424901B (zh) * 2016-10-08 2018-11-16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切割装置
CN106312172A (zh) * 2016-10-08 2017-01-11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支撑装置
CN106363228A (zh) * 2016-10-08 2017-02-01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切割设备
CN106424901A (zh) * 2016-10-08 2017-02-22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切割装置
CN106312172B (zh) * 2016-10-08 2018-11-16 北京轩宇智能科技有限公司 支撑装置
CN106891374A (zh) * 2017-03-14 2017-06-27 覃小倩 一种埋管切割装置及其切割方法
CN108978813A (zh) * 2018-07-26 2018-12-11 张日胜 一种装修施工用pvc水管弯管接头疏通装置
CN110714526A (zh) * 2019-10-26 2020-01-21 厦门大学嘉庚学院 市政排水管道清理装置与清理方法
CN110714526B (zh) * 2019-10-26 2021-04-27 厦门大学嘉庚学院 市政排水管道清理装置与清理方法
CN111997177A (zh) * 2020-08-10 2020-11-2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蠕动式城市管道清淤机器人
CN111997177B (zh) * 2020-08-10 2021-12-1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蠕动式城市管道清淤机器人
CN111983720A (zh) * 2020-08-26 2020-11-2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电气套管堵塞点定位装置
CN111983720B (zh) * 2020-08-26 2023-10-20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电气套管堵塞点定位装置
CN114108599A (zh) * 2022-01-17 2022-03-01 潍坊学院 一种盲沟回收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7863A (ko) 파이프 보링 머신
US6128799A (en) Conduit interior smoothing device
EP2139621B1 (en) Cleaning apparatus for large diameter pipes
KR100991326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CN110080380B (zh) 管内淤堵清淤设备及工艺
JPH06500607A (ja) パイプ清掃用の装置および方法
JPH11114513A (ja) 配管用のカメラ付き高圧ジェット洗浄装置
KR101124065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060083097A (ko) 관로의 세척장치
KR20040053756A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CN114472391B (zh) 隧道施工中泥浆管道用管道清渣装置
KR200286367Y1 (ko) 파이프 보링 머신
CN113802685B (zh) 一种水利工程用水污染治理管道清淤装置及管道清淤方法
JPH1024271A (ja) 管路内異物除去装置
KR20110007917A (ko) 지하 매설관 내 고형물의 파쇄 방법
KR100549673B1 (ko) 지하매설관용 자주식 굴착장치
CN112267551A (zh) 工业废水处理用的管道疏通装置
CN218060687U (zh) 管道清淤机器人
KR102025829B1 (ko) 관로 지장물 제거장치
KR200378376Y1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KR20100111535A (ko) 회전체를 이용한 차집관로의 세정공법
KR100553031B1 (ko) 하수관 유지보수 장치
KR100192160B1 (ko) 하수관 청소기
GB2206173A (en) Method of buried pipe replacement
CN213296630U (zh) 一种清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