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862A -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862A
KR20020056862A KR1020020032761A KR20020032761A KR20020056862A KR 20020056862 A KR20020056862 A KR 20020056862A KR 1020020032761 A KR1020020032761 A KR 1020020032761A KR 20020032761 A KR20020032761 A KR 20020032761A KR 20020056862 A KR20020056862 A KR 20020056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puter
signal
subjec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구
Original Assignee
최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구 filed Critical 최준구
Priority to KR102002003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6862A/ko
Publication of KR2002005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카메라에 감지센서를 부가하여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사용자의 화상을 일시 획득하는 화상카메라와 이와같은 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화상 이미지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원 등을 컴퓨터의 진정 소유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전원이 켜지고 초기모드로 작동하게 되면,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캡쳐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의 특정서버에 전송하여 컴퓨터의 진정소유자가 확인하도록 함으로서, 자신이 컴퓨터를 켠 시간을 확인이 가능하고, 다른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 또한 확인이 가능하여 컴퓨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 유출 및 무단 삭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COMPUTER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CAMERA}
발명은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상카메라에 감지센서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키게 되면, 사용자의 화상을 일시획득하는 화상카메라와 이와같은 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화상 이미지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원 등을 컴퓨터의 진정 소유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진정소유자 이외의 타사용자가 사용하면 기분이 매우 불쾌하고, 불법으로 자료가 유출되거나 또는 삭제될 유려가 있으며, 설령 자료가 유출되거나 삭제되더라도 언제 누구에 의해서 삭제 및 유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아울러, 일단 한번 컴퓨터를 켜보고 사양을 컴토해본 타사용자가 탐을 내어 절취하게 된 경우에도 육안으로 확인하기 전에는 범인으로 단정할 수도 없게 되어 주위 사람을 의심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화상채팅 및 화상회의 등을 위해컴퓨터용 화상카메라가 많이 보급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영상을 획득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택 등의 집합건물이나 사무실에 불법 침입자 및 불법사용자의 침입여부를 보안업체 및 경비실 등지에서 확인이 가능한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진정소유자가 아닌 자가 컴퓨터를 켜면 이를 감지하여 컴퓨터의 사용자의 얼굴 등의 영상을 획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별도 저장하여 진정사용자가 확인이 가능한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임의 삭제하거나 불법사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의 처리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컴퓨터의 처리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상카메라12 : 수광부
14 : 영상센서16 : A/D컨버터
18 : 컴퓨터 20 : 컴퓨터 인터페이스
22 : 중앙처리장치 23 : 메모리
24 : 감지센서26 : 스위치
28 : 네트워크30 : 서버
본 발명은 화상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받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사체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영상센서와; 상기 영상센서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와; 상기 A/D컨버터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컴퓨터로 전송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피사체가 일정거리 이상 접근하면 상기 렌즈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도록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의 피사체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서버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센서가 일측에 장착되어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신호가 자체 마이컴에 전송되어 자체 카메라 랜즈를 통해 화상을 캡쳐하는 화상카메라와; 상기 화상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자체전원을 온(ON)시키면 상기 화상카메라가 작동하여 피사체의 화상을 캡쳐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의 처리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컴퓨터의 처리흐름도이다.
도1 내지 도2를 참고로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상카메라(10)는 컴퓨터(18)의 모니터에 올려놓고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카메라의 렌즈인 수광부(12)가 모니터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전면 하단에는 감지센서(24)가 외부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화상카메라(10)는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렌즈 등으로 이루어진 수광부(12)와, 상기 수광부(12)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사체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영상센서(14)와, 그 영상센서(14)로 부터 입력받은 피사체의 아날로그(Analog) 영상신호를 디지털(Digital)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16)와, 그 A/D컨버터(16)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개인용 피씨(Personal Computer) 등의 컴퓨터(18)로 유에스비 포트(USB Port) 등의 컴퓨터인터페이스(20)를 통해 전송시키는 중앙처리장치(22)와, 영상신호의 디지털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메모리(23)와 피사체가 일정거리 이상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에 감지신호를 인가하여 수광부(12)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24) 및, 컴퓨터(18)로 투입되는 전원을 영상카메라(10)에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스위치(26)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중 감지센서(24)를 온/오프 용도로 이용시에 스위치(26)를 제외하고 사용함도 바람직하다.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영상카메라의 구성을 살펴본다.
렌즈와 같은 수광부(12)를 통해 들어온 피사체의 영상은 영상센서(14)에 의해서 획득된다.
영상센서(14)는 전기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로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ID(Charge Injection Device)등이 있다.
영상센서(14)의 출력은 A/D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16)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A/D컨버터(16)를 통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영상정보는 중앙처리장치(22)를 통해서 메모리(23)에 임시로 저장된다.
메모리(23)는 영상 정보가 A/D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속도보다 컴퓨터(18)로 전송되는 속도가 느릴 경우에 임시로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저장된 영상정보는 컴퓨터 인터페이스(Computer Interface)(20)를 통하여 컴퓨터(18)로 전송되어 영상을 출력하거나 GIF, PCX 등의 특정포멧의 파일로 저장하여 사용된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고로 화상카메라의 작동을 설명한다.
(A)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화상카메라(10)에 전원이 투입되고 자체 작동하게 되어 피사체 중에 살아있는 생물체를 감지가 가능한 적외선 감지센서 등의 감지센서(24)를 동작시키게 된다.(100)
(B) 감지센서 작동중에 이동물체가 감지되는지를 계속하여 감시하게 된다.(102)
(C) 감시하던 중 이동물체가 감지되면, 그 즉시 감지센서는 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로 인가하게 된다.(104)
(D)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중앙처리장치는 영상센서가 작동하도록 동작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동작신호를 입력받은 영상센서는 그에 따라 수광부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시켜주게 된다.(106)
(E) 영상신호를 획득한 후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이는 A/D컨버터를 토애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로 입력된다.(108)
(F) 중앙처리장치로 인가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는 컴퓨터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된다.(110)
이하, 도4를 참고로 상기한 컴퓨터용 영상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감지센서(24)는 피사체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는 중앙처리장치(22)에 인가된다.
중앙처리장치(22)는 항상 외부의 네트워크와 직접 연결되는 별도의 랜카드 등의 네트워크접속장치(25)를 구비하고 접속여부를 계속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접속장치(25)는 중앙처리장치(22)와 데이터 통신시에 호환이 되는 랜카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사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서버 및 보안업체 그리고, 아파트 등의 집합건물의 관리자인 경비실의 모니터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해주게 되어 관리자 및 경비자 등이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지역 보안업체나 아파트 경비실 등에서는 감지센서(24)가 감시모드로 작동시에 점등램프 등의 상태 표시장치 등을 설치해 두어 감시 대상을 확인이 가능하다.
이때,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특정 허용자 만이 이 영상데이터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도5를 참고로 상기한 컴퓨터용 영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을 설명한다.
화상카메라(10)는 컴퓨터(18)의 모니터에 올려놓고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카메라의 렌즈인 수광부(12)가 모니터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전면 하단에는 감지센서(24)가 외부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은 상기 도1 내지 도3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컴퓨터(18)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되는 특정 서버(Server)에 화상카메라(10)로 부터 획득한 영상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즉, 감지센서가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수광부(12)를 통해 화상을 캡쳐하고, 이를 컴퓨터(18)가 수신하여 네트워크(28)로 연결된 서버(3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5 내지 도6을 참고로 상기한 컴퓨터용 영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G) 도3의 영상카메라로 부터 획득한 영상인 디지털 데이터가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200)
(H) 일단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컴퓨터의 임의의 특정 저장장소에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202)
(I) 다음으로 특정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204)
(J)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네트워크 접속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접속여부를 다시 비교하는 단계(204)로 분기한다.(206)
(K) 이와 같이 접속여부를 확인한 후 네트워크 접속이 이루어져 있으면, 특정 서버 즉, 컴퓨터의 진정 소유자의 메일 주소(Mail Address)로 전송한다.(208)
이와같이 처리함으로써, 컴퓨터의 진정소유자가 제3의 지역에서도 누가 자신의 컴퓨터를 켜보있는지를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용 감시카메라에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침입자의 영상을 획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 전송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를 특정 서버나 보안업체 및 집합건물의 경비실에서도 사용하여 침입자 등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컴퓨터에 영상카메라가 직접 연결되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컴퓨터의 전원이 켜지고 초기모드로 작동하게 되면,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캡쳐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의 특정서버에 전송하여 컴퓨터의 진정소유자가 확인하도록 함으로서, 자신이 컴퓨터를 켠 시간을 확인이 가능하고, 다른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 또한 확인이 가능하여 컴퓨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 유출 및 무단 삭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컴퓨터 사용자가 일단 전원을 켜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캡쳐된 영상을 전송하여 줌으로써 컴퓨터가 도난당하더라도 누가 범인인지를 찾아내는 단서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받는 수광부;
    상기 수광부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사체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는 영상센서;
    상기 영상센서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
    상기 A/D컨버터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컴퓨터로 전송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피사체가 일정거리 이상 접근하면 상기 렌즈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도록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피사체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서버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카메라.
  4. 감지센서가 일측에 장착되어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신호가 자체 마이컴에 전송되어 자체 카메라 랜즈를 통해 화상을 캡쳐하는 화상카메라;와
    상기 화상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자체전원을 온(ON)시키면 상기 화상카메라가 작동하여 피사체의 화상을 캡쳐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는 컴퓨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20020032761A 2002-06-12 2002-06-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20020056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761A KR20020056862A (ko) 2002-06-12 2002-06-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761A KR20020056862A (ko) 2002-06-12 2002-06-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863U Division KR200287660Y1 (ko) 2002-06-12 2002-06-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862A true KR20020056862A (ko) 2002-07-10

Family

ID=2772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761A KR20020056862A (ko) 2002-06-12 2002-06-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6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013B1 (ko) * 2008-09-29 2014-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웹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6653A (ja) * 1986-03-07 1987-09-11 Nippon Kokan Kk <Nkk> コンピユ−タシステムの不正使用防止装置
KR20000001985A (ko) * 1998-06-16 2000-01-15 구자홍 감시시스템 및 그의 감시데이터 저장방법
KR20000036672A (ko) * 2000-03-24 2000-07-05 김남중 디지털 화상감시 시스템
KR20000038878A (ko) * 1998-12-09 2000-07-05 윤종용 사용자를 인식하는 화면 보호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화면 보호기 처리 방법
KR20010001221A (ko) * 1999-06-02 2001-01-05 송길섭 휴대형 컴퓨터의 도난방지장치 및 도난방지방법
KR20010005010A (ko) * 1999-06-30 2001-01-15 이 건 감시시스템의 화상정보 저장장치
KR20010007949A (ko) * 2000-10-28 2001-02-05 손상형 건물의 외부침입 감지시스템
KR20020012685A (ko) * 2000-08-08 2002-02-20 함유미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 방범 방재 장치 및 방법
KR20020094335A (ko) * 2001-06-11 2002-12-18 한국디지탈정보통신(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6653A (ja) * 1986-03-07 1987-09-11 Nippon Kokan Kk <Nkk> コンピユ−タシステムの不正使用防止装置
KR20000001985A (ko) * 1998-06-16 2000-01-15 구자홍 감시시스템 및 그의 감시데이터 저장방법
KR20000038878A (ko) * 1998-12-09 2000-07-05 윤종용 사용자를 인식하는 화면 보호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화면 보호기 처리 방법
KR20010001221A (ko) * 1999-06-02 2001-01-05 송길섭 휴대형 컴퓨터의 도난방지장치 및 도난방지방법
KR20010005010A (ko) * 1999-06-30 2001-01-15 이 건 감시시스템의 화상정보 저장장치
KR20000036672A (ko) * 2000-03-24 2000-07-05 김남중 디지털 화상감시 시스템
KR20020012685A (ko) * 2000-08-08 2002-02-20 함유미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 방범 방재 장치 및 방법
KR20010007949A (ko) * 2000-10-28 2001-02-05 손상형 건물의 외부침입 감지시스템
KR20020094335A (ko) * 2001-06-11 2002-12-18 한국디지탈정보통신(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013B1 (ko) * 2008-09-29 2014-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웹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302B2 (en) Secure implementation of network-based sensors
JP4750927B2 (ja) 遠隔監視方法および監視制御サーバ
TWI596270B (zh) 遠端門禁管控系統
CN103280009A (zh) 一种多功能门禁装置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JP3733924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8059327A (ja)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080316316A1 (en) Digital camera capable of transmitting image data remotely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096153A1 (en) Smart digital door lo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536127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Bulusu et al. Smart and secure home automation using internet of things enabling technologies
KR200287660Y1 (ko)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감시시스템
KR20020056862A (ko)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및 그 화상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JP2004343438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Mahajan et al. Automatic Door Opening System
KR1005956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문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4345A (ko) 휴대형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 시스템
TWI533260B (zh) 保全監視系統
JP4743566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を利用した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ホーム・セキュリティ・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402694B1 (ko)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Shimpi et al. Door Surveillance with Smart Bell
KR101741240B1 (ko) 통합 네트워크 카메라 장치
KR20110071335A (ko) 촬상장치를 이용한 영상보안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