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597A -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를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를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597A
KR20020055597A KR1020027006436A KR20027006436A KR20020055597A KR 20020055597 A KR20020055597 A KR 20020055597A KR 1020027006436 A KR1020027006436 A KR 1020027006436A KR 20027006436 A KR20027006436 A KR 20027006436A KR 20020055597 A KR20020055597 A KR 2002005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ve
user
link
commercial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반 충슝 황
Original Assignee
이반 충슝 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반 충슝 황 filed Critical 이반 충슝 황
Publication of KR2002005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운용 유무선 거래 단말기, 즉 상용 PDA를 통하여 동시접속 고객들에게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컴퓨터-기반 서버 어레이와 다수의 다수-링크 상용 PDA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대화식 광고-기반, 대화식 지불-기반 뿐만 아니라 주문형 콘텐츠-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상업적 장소내에서 작업이 중요하고 고도로 유용하며 규모의 확장이 가능한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다수-링크-기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이용하여, 수명부터 수천명에 이르는 다수의 동시접속 고객들을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n-site electronic purchasing using user-operated terminals}
컴퓨터기술과 다양한 오락 및 정보미디어의 출현은 고객집단을 포함시키는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의 자연스러운 기반을 제공하게 되었다. 상업적 장소에서의 이러한 고객 집단은 소매점에서의 고객들일 수도 있고 패스트푸드 레스토랑과 같은 서비스 지향적인 소매점의 고객들일 수도 있다. 상업적 시스템의 바람직한 형태는 "현장(onsite)"에서의 전자상점-기반 사업운영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고객-운용 거래 단말기, 즉 상용 PDA 등을 통하여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비즈니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소매점에 있어서, 소매상의 현행 온라인 전자상점-기반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상업적 시스템은 상점내 방문 고객들에게 다음과 같은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1. 판매전 서비스(Pre-sale Service) : 상점내 방문 고객들이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로부터 중개 전자화폐, 즉, 전자쿠폰, 전자포인트 및 전자리베이트를 받고 POS(Point-of-Sale)-기반 상용 PDA를 통하여 그들을 회수할 수 있어야 함.
2. 주문전 서비스(Pre-order Service) : 상점내 방문 고객들이 주문형 콘텐츠-기반 상용 PDA를 통하여 상업적 시스템내에 저장된 모든 개인별 중개 전자화폐의 명세서를 받을 수 있도록 함.
3. 지불서비스(Payment Service) : 상점내 방문 고객들이 POS-기반 상용 PDA를 통하여 지불할 수 있어야 함.
4. 주문 후 서비스(After-order Service) : 상점내 방문 고객들이 POS-기반 상용 PDA를 통하여 지불-기반의 중개 전자화폐를 수령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전자화폐는 차후 사용을 위하여 상기 상용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어야 함.
5. 판매 후 고객서비스(After-sale Customer Service) : 상점내 방문 고객들이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고, POP(Point-of-Purchase)-기반 상용 PDA를 통하여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서버상에서 개인기록들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함.
더욱이, 서비스형 소매점, 즉, 패스트푸드 식당과 같이 고객들이 장시간 머무르는 장소의 경우는, 인터넷/이메일, 공중전화/전화번호부, TV/뉴스/스포츠 및 주문형 오락과 같이 부가적인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개인별 서비스를 부가적인 휴대형 상용 PDA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다른 목적에 기초한 상용 PDA들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들면, 이상적인 상용 시스템에는 다음의 4가지 상용 PDA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1. iACT 장치(Interactive Advertising and customized Content Triggering Unit) :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로서, 주문형 콘텐츠-기반 서비스 제공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에는 스마트카드 판독기, 프린터 및 다수의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마그네틱-테이프 카드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다. 고객이 상점에 들어오면, 고객은 스마트카드를 스마트카드 판독기에 삽입하여 입력하거나,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마그네틱-테이프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마그네틱 테이프 카드를 접촉시키거나 흔들 수 있다. iACT 장치는 상점내 관련품목의 위치와 함께 모든 유용한 중개 전자화폐의 사본을 출력할 것이다. 만약 상점내 TV상의 광고에 관심이 있다면, 고객은 iACT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부근의 마그네트테이프 카드 판독기에 접근하여, 이를 통하여 스마트카드를 간단히 접촉시킬 수 있다. 일단 처리내용이 기록되면, 대화식 광고-기반 데이터(즉, "A Syste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mart Card-Based E-Commerce Services Using E-Commerce Boxes"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90/154,900호에 설명된 E-Lead)가 iACT 장치에 생성, 저장되며, iACT 유니트는 후에 이 데이터를 온라인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온라인 서버는 E-Lead 데이터를 해독하고, 광고주의 요청에 따른 전자화폐를 생성할 수 있고, 그 전자화폐를 상기 상용시스템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즉,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60/154,900호에설명된 E-CommerceBoxes)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고객 데이타베이스(E-CommerceBox)로 전송할 수 있다.
2. iPOS 장치(interactive Point-of-Sale unit):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로서, 현장 지불-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을 가진다. 상기 장치에는 스마트카드 판독기와, 우측에 대화식 광고를 보여주는 13" 터치 스크린 LCD가 구비되어 있다. 고객은 광고와, iPOS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이후 중개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해 온라인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는 관련 E-Lead 데이타를 기초로 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는데, 이것은 iACT 장치가 제공하는 것과 유사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장치에는 캐시어의 POS 스테이션과 링크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고객들은 항목별 계산내역을 알고, 전자지불을 할 수 있으며, 거래동안 상환을 받기도 한다.
3. iPOP 장치(interactive Point-of Purchase Unit) :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로서, 온라인-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는 키보드, 스마트카드 판독기, 프린터,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와, 사용중이 아닐때 대화식 광고-기반 콘텐츠를 보여주는 19" 터치스크린 VGA 또는 TV 모니터가 구비되어 있다. 고객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를 접촉 또는 흔들어서, 전자화폐 서비스를 위해 이후 온라인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는 무언의 또는 사용자-선택 대화식 광고-기반 데이타를 생성시키는데, 이는 iACT 장치가 제공하는 것과 유사하다. 부가적으로, 온라인 전자상점 및 데이타베이스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상용 시스템에 의해 운용되는 iPOP 장치는, 고객들에게 쇼핑, 주문, 지불, 상환 및 온라인상에서의 개인 데이타의 관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4. iPOR 장치(interactive PORtable units):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로서, "현장에서의" 및 "온라인상에서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업적 장소내의 고객들은 먼저 iPOR 장치가 구비된 여러 대의 도킹 스테이션을 두고 있는 서비스 키오스크로 가게 된다. 고객은 도킹 스테이션에 설치된 스마트카드 판독기에 스마트카드를 삽입한다. 고객 인증절차를 거친 후, 도킹 스테이션은 합법적인 고객들에게 iPOR 장치를 내어놓게 되는데, 고객들은 그 장치를 상업적 장소내부의 어느 테이블이든 가지고 갈 수 있다. 유선 운용 시, 고객은 플러그를 테이블에서 iPOR 장치까지 연결할 필요가 있다. 무선 운용 시는, 고객은 상업적 장소의 영역 내에 머물러야 한다. iPOR 장치는 iPOP 장치와 유사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iPOR 장치에는 캐시어의 POS 시스템이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은 캐시어의 간섭없이 현장구매를 위하여 전자적으로 주문과 결제를 할 수 있고,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서비스처럼 제품 또는 서비스가 즉시 배달될 수 있다. 더욱이, 이는 개인-기반 오락 서비스, 즉, 인터넷/이메일, 공중전화, 전자 디렉토리, TV/뉴스/스포츠, 주문형 게임 또는 비디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화식 광고 콘텐츠들은 비디오 클립, 그래픽 페이지, 텍스트 페이지 및 대화식 오디오 클립 등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들은 대화식 멀티미디어 기능이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상용 시스템은 모든 부착된 상용 PDA들 사이에 적절한 동시접속 대화식 멀티미디어 교신이 가능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한 대화식 멀티미디어 성능을 토대로, 패스트푸드 레스토랑내 고객들은iPOR 장치 상의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주문 페이지를 통해 음식이나 음료를 직접 주문할 수 있다. 더구나, 고객들은 주문형 대화식 비디오-기반 오락 서비스를 즐길 수 있고, 중개 전자화폐로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으며, TV를 보고, 인터넷을 하며, 심지어 전화도 걸 수가 있다. 차를 탄 채로 패스트푸드를 주문하는 고객은 스마트카드와 함께 발행된 전자키 포브를 차량의 하방에 위치한 iPOS 장치를 향해 간단히 흔들어서 음식값을 전자적으로 결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거래 서비스는 필히 대화식 멀티미디어 성능을 갖추어야 하고, 이에 의해 고객들은 어떠한 방해도 없이 좀 더 빠른 전자구매 서비스를 이해할 수 있으며, 대화식 광고 및 전자구매 거래의 이점이 실현될 수 있다.
비지니스 관점에서 보면, 이상적인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거래 시스템은 설치가 용이하고 비싸지 않아야 하며, 전형적인 소매점내의 소수 고객들로부터 호텔내의 많은 고객들을 동시접속으로 수용하기에 충분히 규모확장이 가능하고 가격 효율성이 높아아 한다.
현재, 상업적 장소내의 다수 사용자 대확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들은 POP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서버와 함께 다수대의 독립적 클라이언트 컴퓨터(Stand-alone client computer)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전자구매 서비스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로서 기능을 하는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하여 직접 제공되는데, 여기에는 사용자-대화 주변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클라이언트-기반 및 서버-기반 네트워킹 컴퓨터를 사용하여 생성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 시스템을 이하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기반 전자구매시스템”이라 부르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클라이언트-서버-기반 전자구매 시스템은 대단위 다수 사용자 환경에서는 풀-모션(full-motion), 풀-스크린 비디오(full screen video)와 같은 필수적인 대화식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대하여 충분한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를 동시접속 공유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네트워크-기반 주문형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버들의 이러한 결함의 원인은 데이타를 읽어 내는데 필요한 하드디스크의 평균 접근시간이 느리기 때문이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로 구성되는 현재의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구성은, 다수의 주문형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버와 다수의 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응용 서버들을 생성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제안된 전자거래 시스템 내부에는 단지 하나의 네트워크만을 사용함에 의해, 대역폭은 생성되는 모든 트래픽을 수용하기에 충분해야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1.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다수개의 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응용/파일 서버들간의 데이터 통신;
2.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버로부터 모든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시 주문 배달;
3. 시스템 모니터링 및 관리조정의 결과로부터 유래된 여러 서버들과 여러 클라이언트 컴퓨터들간의 1:1 대화(peer-to-peer communication).
또 다른 거래적 서비스를 위한 거래/회계 서버와 같은 응용서버와, 시스템관리/보안 서버들은 네트워크 상에서 비 멀티미디어 데이터 트래픽을 끊임없이 생성시킨다. 반면, 디지털 오디오-기반 서버, 디지털 영상-기반 서버 및 대화식 게임 서버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버들은 클라이언트 컴퓨터들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 트래픽을 끊임없이 생성시킨다. 하나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로 기능하는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기반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지 한 사용자만의 대화식 접근을 허용하게 되며, 단지 한 사용자만을 위하여 모니터 상에 VGA 디스플레이를 생성시킨다. 그 결과,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버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들 사이의 트래픽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급속히 차지해 버린다. 더욱이, 이러한 두 가지 다른 그룹의 서버들을 함께 같은 네트워크 링크 상에서 연결된 모든 클라이언트 컴퓨터들과 통합하게 되면, 충돌이 생겨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키며, 결국은 불안정한 멀티미디어 전송이 일어나고 시스템 운용지연을 초래하게 된다.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로의 멀티미디어 동시전송 효율을 보장한다는 등시-프로토콜-기반 네트워크 통신에 있어서 조차도, 동시접속 고객 수는 훨씬 적은 수로 감소될 수 있다. 그 이유는, 현재의 LAN 대역폭은 같은 멀티미디어 및 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는 소수의 동시접속 고객들만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LAN 트래픽을 조절하기 위한 현재의 유일한 해결책은 값비싼 지능형 네트워크 스위치를 추가하는 것이다. 사용자 베이스가 크면 클수록, 시스템 네트워크 링크는 더 복잡해지고 비싸지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 차원의 내부 LAN-기반 서버들을 주문형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환함으로써 다른 쪽 응용 서버들에게 나쁜 영향을미치게 된다. 이러한 다자간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이 확정된 수의 고객들을 위해 가장 높은 대역폭과 가장 강력한 서버를 사용하여 구축된다 하더라도, 하나의 사용자가 추가되면 제안된 시스템은 모든 고객들에게 동시에 적정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불충분하게 될 것이다.
또다른 소수-클라이언트 서버 구성이 메인프레임이나 미니컴퓨터 같은 보다 큰 서버들을 위하여 이상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같은 문제가 존재하게 되며, 주문형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버로 네트워킹된 서버를 사용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효율을 만족스럽지 못하게 만들고 다른 응용서버들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아주 협소한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기반 전자구매 시스템이 소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소수의 동시접속 고객들에게 적절한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명의 사용자를 위한 하나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로 기능하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쉬거나 고장이 나면, 가격/성능 모두 덜 바람직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클라이언트-서버-기반 시스템의 고장허용성은 쉽게 실현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각 서버에는 추가로 번잡한 하드웨어와 고장안전 OS-기반 클러스터링 소프트웨어 팩키지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기반 구성은 소수 또는 다수 그룹의 고객들에게 동시에 저렴하게 주문형 고장허용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현재의 컴퓨터 플랫폼은 현장에서의 다자간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전자구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이상적인 구성블록이 아니다.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너무 비싸고, 패스트푸드 레스토랑내의 고객과 같은 좀 더 적은 수의 고객에게는 규모가 너무 크다. 미니 컴퓨터 역시 좀 더 적은 고객그룹을 만족시키는데는 너무 비싸고 규모가 맞지 않는다. 상위 워크스테이션 서버나 PC 서버만이 동시접속중인 소수 고객들에게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를 전달 할 수 있다. 더욱이, 많은 수의 고객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이들을 함께 연결하는 것도 쉽지 않다. 예를 들면, 룸 1,000개의 호텔에서 동시사용 고객들에게 대화식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클라이언트 서버 네트워크 콤퓨팅 상에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이 있기 때문이다.
클라이언트-서버-기반 전자구매 시스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들은 고정된 장소에 배치되기 쉽다. 그러나, 무선 휴대형은 더욱 실현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클라이언트 서버 구성을 기초로, 속도가 훨씬 느린 무선 링크를 시스템 네트워크에 연결한다면, 전체 네트워크 효율은 크게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무선 휴대형은 iPOR 장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동시에 많은 고객들이 보다 많은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운용상 보다 인체 공학적이고 사용자에 친숙하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클라이언트-컴퓨터-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는 개별적으로 대화식 멀티미디어 성능을 가진다. 그러나, 동시접속 대화식 멀티미디어 전자구매 서비스는 통상 서비스 센타 또는 주처리장치가 컴퓨터가 설치된 본부에 위치한 수 개의 중앙미디어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생성된다. 현재, 본부 서버의 주문형 결함과양방향 광대역 인프라가 없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컴퓨터-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중 어느 것도 본부 서버로부터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비록 클라이언트-서버-기반 전자구매 시스템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버와 네트워크 링크로서 양방향 광대역으로 가장 강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축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시스템의 고유한 결함은 해결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대한 결함중 하나는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를 규모에 맞고 적정가로 동시접속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클라이언트-서버-기반 전자구매시스템은 클라이언트-컴퓨터-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를 통하여 효율적인 가격으로 동시에 소수의 또는 다수 그룹의 동시접속 고객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 사용자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거래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수의 컴퓨터-기반 서버 어레이와 사용자-운용 거래용 단말기인 상용 PDA 뿐만 아니라, 상업적 장소에서 동시접속 고객군들에게 주어진 임무에 적합하게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AN INTERACTIVE MULTIMEDIA TRANSACTION SYSTEM WITH USER-OPERATED TERMINALS"라는 명칭으로 1999년 11월 19일자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60/166,548호를 근거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다. 본 출원은 또한 하기와 관련성이 있다.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람직한 구성 블록으로 사용되는 작업집단 컴퓨터(1996. 6. 25자에 등록된 미합중국 특허 제 5,530,892호; 1996. 11. 19자에 등록된 미합중국 특허 제 5,577,205호; 및 1998. 9. 1자에 등록된 미합중국 특허 제 5,802,39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음.);
2) 본 출원서에 나와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바람직한 시스템 구성(systemarchitecture)으로 사용되는 다수 링크 멀티미디어 구성("MULTI-SERVER, INTERACTIVE, VIDEO-ON-DEMAND TELEVISION SYSTEM UTILIZING A DIRECT-ACCESS-ON-DEMAND WORKGROUP"라는 명칭으로 2000. 4. 11자에 등록된 미합중국 특허 제 6,049,823호);
3)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및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ORKGROUP SERVER ARRAY"라는 명칭으로 1999. 5. 20 자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60/135,318호);
4) E-Leads 및 E-CommerceBoxes("A SYSTE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MART CARD-BASED E-COMMERCE SERVICES USING E-COMMERCE BOXES"라는 명칭으로 1999. 9. 20자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60/154,900호).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추가적 특징과 장점들은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례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의 관련 도면과 함께 봄으로서 보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수-링크 작업집단 컴퓨터-기반 프로세서, 즉,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요소중 하나인 팀프로세서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업집단 컴퓨터-기반 섀시, 즉,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요소중 하나인 팀섀시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1C는, 복수의 바람직한 작업집단 컴퓨터-기반 다이렉트-액세스 서버들, 즉,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요소중 하나인 팀서버들을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업집단 컴퓨터-기반 모듈 주변장치, 즉,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요소중 하나인 팀패널을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1E는,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를 구성하는 8-팀프로세서-기반 또는 8-팀프로세서-기반 이상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 종속 팀패널을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OS-204V)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여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2-팀프로세서-기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다수-링크-기반 주변장치 및 사용자-운용 상용 PDA가 구비된 주처리장치가 포함된다.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다수-링크 주변장치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RF-기반 모듈라 박스(MB-204V)를 설명하는 전자배선 블록 다이아그램.
도 2B는,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다수-링크 주변장치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케이블 분배박스(CDB-204V)를 설명하는 전자배선 블록 다이아그램.
도 2C는,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현장에서의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S-V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 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바람직한 iPOS-V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바람직한POS 인터페이스 주변장치를 설명하는 전자 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2E는,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현장에서의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P-V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2F는,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iACT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3은, 바람직한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OS-408)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여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4-팀프로세서-기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다수-링크-기반 주변장치 및 사용자-운용 상용 PDA가 구비된 주처리장치가 포함된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다수-링크 주변장치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RF-기반 모듈라 박스(MB-408)를 설명하는 전자배선 블록 다이아그램.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다수-링크 주변장치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케이블 분배 박스(CDB-408)를 설명하는 전자배선 블록 다이아그램.
도 3C는,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현장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S-R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3D는,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현장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P-R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3E는,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온라인 및 현장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R-C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3F는, 바람직한 iPOR-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 전체 개요도.
도 4는, 바람직한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OS-816)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여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8-팀프로세서-기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다수-링크-기반 주변장치 및 사용자-운용 상용 PDA가 구비된 주처리장치가 포함된다.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다수-링크 주변장치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RF-기반 모듈라 박스(MB-816)를 설명하는 전자배선 블록 다이아그램.
도 4B는,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다수-링크 주변장치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케이블 분배 박스(CDB-408 이서넷)를 설명하는 전자배선 블록 다이아그램.
도 4C는,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현장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S-RE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4D는,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현장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P-RE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4E는,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과 통합되는 사용자-운용 온라인 및 현장 전자구매-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R-W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5A는, 바람직한 WSA-기반 현장 전자구매 시스템을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5B는, 멀티-노드 서버 클러스터-기반 현장 전자구매 시스템을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5C는, 멀티-티어 서버 어레이-기반 현장 전자구매 시스템을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5D는, 바람직한 WSC-기반 현장 전자구매 시스템을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6A는, 바람직한 무선 및 휴대형 StorePDA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및 결합 트랜시버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6B는, 사용자-운용 현장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TVD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6C는, 사용자-운용 현장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MEC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6D는, 사용자-운용 현장 대화식 광고-기반 및 대화식 지불-기반 상용 PDA의 하나로서, 바람직한 다수-링크 iPOS 장치를 설명하는 전자기능 블록 다이아그램.
도 6E는, 전면도 및 배면도로 나타낸 바람직한 StorePDA를 설명하는 전체 개요도.
도 6F는, 상업적 장소에서의 바람직한 iMEC 키오스크 장치를 설명하는 전체 개요도.
도 6G는, 상업적 장소에서의 바람직한 iPOS 키오스크 장치를 설명하는 전체 개요도.
도 6H는, 상업적 장소에서의 바람직한 iACT 키오스크 장치를 설명하는 전체 개요도.
도 7A는, 바람직한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OS-204)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여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2-팀프로세서-기반 주처리장치, 다수-링크 멀티플렉서 장치 및 사용자-운용 상용 PDA가 포함된다.
도 7B는, 바람직한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OS-1224)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여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12-팀프로세서-기반 주처리장치, 다수-링크 멀티플렉서 장치 및 사용자-운용 상용 PDA가 포함된다.
도 7C는,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기반 전자구매 시스템(M10-OS-1224)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여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10개까지의 OS1224 시스템이 포함된다.
도 7D는, 바람직한 대형 대화식 멀티미디어 전자구매 시스템(M100-OS1224)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여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10개까지의 M10-OS1224 시스템이 포함된다.
전술한 컴퓨터 플랫폼, 즉, 메인 프레임, 미니컴퓨터, 상위 워크스테이션 및 PC들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성과 함께, 동시접속 고객군에게 효율적이고 가격면에서 효과적으로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자간 거래 시스템을 능률적으로 가격 효율적으로 구성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고, 다자간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거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혁신적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달성된다. 더우기, 본 발명은 다르게 구성된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복수의 장치들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통합 방식을 채택한다. 본 발명의 각 시스템은 다양하고 독특하게 설계된 유무선 사용자-운용 거래 단말기, 즉, 상용 PDA를 통하여 동시접속 고객들에게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서버-기반 주처리장치를 구축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축블록으로서 작업집단-컴퓨터-기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60/135,31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음)를 채택한다. 더우기, 주처리장치는 공통 내부 네트워크 링크와, 다양한 상용 PDA들과 인터페이스 하는 사용자-대화 링크와 영상-전달 링크를 포함하는, 다수-링크 멀티미디어 구성(미합중국 특허 제 6,049,823호에 기술됨)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업 장소에서 작업에 중요하고 규모에 맞는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다수-링크-기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효율성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상용 PDA들을 통해 많은 동시접속 고객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많은 "대화 채널"을 효율적으로 생성,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 3가지의 독특하게 설계된 장치들을 포함한다. 1) 다수-링크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기반 주처리장치, 2) 다수-링크-기반 멀티플렉서 장치, 3) 다수-링크-기반 상용 PDA. 각 다수-링크 상용 PDA들은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가 부착된 다수-링크-기반 셋톱박스로 구성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음의 3가지 종류가 있다: 1) 일반 공통장치, 즉, 시리얼-포트 터치스크린, 스마트카드 판독기 및 USB 포트-기반, 2) 블루투스 장치, 즉, 휴대폰 및 휴대형 PDA 등, 3) 독자설계 장치. 더우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발명은 대화식 광고-기반, 대화식 지불-기반 및 주문형 콘텐츠-기반 "현장에서의" 전자구매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독특한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응용을 위한 다른 구조의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른 장치들을 활용하여 전혀 다른 통합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주처리장치와 여기에 부착된 상용 PDA 간의 거리가 100피트 이하인 단거리 응용을 위하여는, VGA-기반 상용 PDA가 이상적이다. 100피트 이상의 경우는, NTSC/PAL-기반 상용 PDA가 더 적합한데, 이는 NTSC/PAL 시그널이 영상 리피터를 단순히 실행시킴으로써 쉽게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식당이나 편의점 같은 소형점의 경우는, 소형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이용하여 소형 전자거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데, 이는 4 내지 8개의 상용 PDA를 동시접속할 수 있는 소형 주처리장치로 구성된다. 호텔이나 경기장 같은 대형 장소의 경우는, 다수의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대형 전자거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데, 이는 수천 개의 상용 PDA를 동시접속할 수 있는 대형 주처리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대화식 키오스크를 개설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된 여러 개의 도킹 스테이션과 여러 개의 보안-기반 영상-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되므로써, 현장에서의 서비스와 실시간 대화식 보안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LAN-기반 서버 컴퓨터나 클라이언트 컴퓨터 같은 외부 컴퓨터 장치가, 유무선 네트워크 허브나 스위치를 이용하는 내부 네트워크 링크를 통해서 주처리장치와 직접 인터페이스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은 휴대폰 및 휴대형 PDA 같은 다수의 개인형 장치가, 유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링크를 통하여 상용 PDA와 인터페이스 하도록 해주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의 현장에서의 전자구매 서비스가 상기한 개인형 장치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선 또는 무선으로 WAN 연결을 허용함으로써, 본 시스템이 인트라넷(Intranet), 익스트라넷(Extranet) 및 인터넷(Internet)을 통하여 온라인 웹-기반 서버들과 통신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블록인 복수의 독특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업적 장소내의 동시접속 고객군에게 사용자-운용 유무선 거래 단말기(이하, 상용 PDA라 한다)를 통해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1) 다수-링크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기반 주처리장치; 2) 주처리장치와 다양한 다수-링크 상용 PDA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링크-기반 멀티플렉서 장치; 3) 다수-링크-기반 상용 PDA.
전형적인 다수-링크 상용 PDA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부착된 다수-링크-기반 셋톱박스로 구성되는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음의 3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1) USB 포트-기반 뿐만 아니라, 시리얼-포트 터치스크린과 스마트카드 판독기와 같은 일반(off-the shelf) 공통 장치; 2) 휴대폰과 휴대형 PDA와 같은 블루투스(Bluetooth) 장치; 3) 특수장치. 더구나, 본 발명은 대화식광고-기반, 대화식 지불-기반, 주문형 콘텐츠-기반 현장 전자구매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독특한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바람직한 시스템 구성에 다양한 장치를 포함시키고 있는데, 이에 따라 기능성, 변화성, 상호 관계가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련 모듈이나 부품들을 단순 명료하게 잘 설명하기 위하여 표준적인 파워와 다른 관련 모듈을 생략한다.
주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60/135,318호에 설명되어 있는 기본 구성블록으로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채택하는데, 이에 따라 작업이 중요하고 고도로 유용하며 규모의 조정이 가능한 거래 서비스가 설정될 수 있다. 더구나, 주처리장치는 다수-링크 멀티미디어 구조에 기초하여 구축되는데(미합중국 특허 제 6,049,823호), 상기 구조에는 공통 내부 네트워크 링크 뿐만 아니라, 영상전달 링크와 사용자-대화 링크를 포함한다.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 5,802,391호와 특허출원 제 60/135,318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전체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4개의 주요 작업집단-컴퓨터-기반 요소, 즉, 팀프로세서, 팀섀시, 팀서버 및 팀패널을 가진다. 이러한 요소들은 또한 변형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변형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가 바람직한 구성블록으로서 사용되어 주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축할 수 있다.
도 1A에는 전술한 다수-링크 멀티미디어 구조를 기초로 한,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를 구축하기 위한 바람직한 팀/작업집단 컴퓨터-기반 팀프로세서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다수-링크 팀프로세서에는 1방향(1-way), 2방향(2-way), 4방향(4-way)이나 8방향(8-way) Intel-Pentium PCI-기반 512MB RAM의 CPU 카드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플로피 디스크 인터페이스 모듈, IDE 인터페이스 모듈, NTSC/PAL 캡처 성능을 가지는 2개의 VGA 카드 모듈, MPEG-II 플레이백 카드 모듈, 사운드카드 모듈, USB 모듈, 병렬 인터페이스 모듈, RAP 모듈(COM1, COM2, 키보드, PS2 마우스, 리셋, 디스크 LED, 파워 LED, 파워 SW와 다양한 제어센서와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과 이서넷을 이용하는 복합 네트워크 링크 LAN 카드 모듈과 같은 기본적인 컴퓨팅 구성부품을 포함한다. SCSI-II를 이용한 복수 작업집단 서버 링크 카드모듈과 같은 작업집단-컴퓨팅-기반 구성부품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인 작업집단 일대일 링크 모듈과, 이서넷을 이용한 복수의 작업집단 일대일 링크카드 모듈로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그룹-기반 공통 사용자-대화 링크모듈 또는 복수의 지점 대 지점 사용자-대화 링크모듈과, VGA를 이용한 복수 지점 대 지점 영상전달 링크모듈과, NTSC/PAL-기반 영상을 이용한 공통 영상전달 링크모듈과 같은 다수-링크-기반 부품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다수-링크 팀프로세서는 또한, 1) 플로피 디스크, IDE 디스크, 광드라이브, USB-기반 디지털 카메라 및 모뎀, 마우스, 프린트, 네트워크 이서넷-기반 스위치/허브와 같은 기본-컴퓨터 외부 주변드라이브와; 2) SCSI-기반 RAID, 하드디스크, RAM 디스크, 테이프 및 광드라이브 및 작업집단 일대일 링크-기반 이서넷 스위치/허브와 같은 작업집단-컴퓨터-기반 외부 드라이브나 장치와; 3) 모듈레이터 박스, 개별적인 케이블 세트를 각각의 다수-링크 상용 PDA에 제공하는 케이블 분배박스와 같은 다수-링크-기반 외부 주변장치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도 1B에는 4개까지의 CPU 카드-기반 팀프로세서와, IDE-기반 디스크, 광 드라이브 및 PS-2 파워스플라이 모듈과 같은 다수의 모듈-기반 드라이브 및 장치와, 이하 설명할 팀서버와 팀패널을 밍봉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섀시인 팀섀시가 도시되어 있다. 팀섀시에는 내부 여분 파워 스플라이, 보안경보장치, 스마트-파워 관리부, 고온의 교환가능 디스크 및 팬이 또한 장착되어 있다. 더구나, 만약 팀프로세서가 컴팩트 PCI-기반이라면, 모든 추가되는(add-in) 카드가 또한 교체될 수 있다.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함께 형성하도록 작업그룹화 될 수 있는 팀프로세서들의 최대 개수는 다양한 팀서버들의 링크를 위해 사용되는 내부 작업집단 서버 링크에 의해 제한된다. 작업집단 서버 링크가 SCSI-II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채용한다면, 적절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유효길이는 6미터이고, 부착될 수 있는 노드의 개수는 16개이다. 이것은 적어도 두개의 팀프로세서를 밀봉할 수 있는 팀섀시가 SCSI 케이블 구조를 기초로 하여 좀 더 양호한 작업집단 서버링크를 지원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제 1 팀프로세서는 외부 포트로부터 케이블을 연결하고, 팀섀시 내의 제 2 팀프로세서에 링크되며, 이는 외부 연결을 위해 케이블을 더 연장시킨다. 상기 팀섀시는 4개의 CPU 카드-기반 팀프로세서를 또한 수용하여, SCSI 케이블을 훨씬 더 짧게 할 수 있다.
현재, 4개의 다른 SCSI 표준들, 즉, FAST SCSI, Ultra SCSI, Ultra2인 LVD SCSI와 Ultra3인 LVD SCSI(SCSI-III)가 있다. 각각의 표준은 협소(8비트)하고 넓은(16비트)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SCSI의 구현은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16MB/sec와 길이 12미터까지의 최대 케이블길이를 가지는 LVD SCSI-III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 5,802,391호의 칼럼 12, 43-48라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SCSI 표준에 부가적으로 Fiber Channel, Serial Storage Architecture (SSA) 및 IEEE 1394 FireWire와 같은 주변 버스-기반 프로토콜-표준이 다양한 작업집단 서버 링크 카드 모듈의 구현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각각 복수의 SCSI-III-기반 팀프로세서 콘트롤러 카드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8개의 바람직한 다수-링크 팀프로세서가 SCSI-III를 이용한 제 1 작업집단 서버 링크(S1)에 의해 모두 연결되어 있다. S1 작업집단 서버 링크는 4개의 다이렉트-액세스 SCSI-기반 팀서버(DASTS)에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SCSI-기반 RAID, 하드디스크, RAM-디스크, 테이프 및 광디스크가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팀프로세서-1(TP-1)과 팀프로세서-2(TP-2)는 또한 SCSI-디스크-기반 DASTS-A에 또한 연결되는 제 2 작업집단 서버링크(S-2)에 함께 연결되어져 페일-오버(fail-over) 서버쌍-1을 형성한다. 유사하게는, 페일-오버 서버쌍-2는 SCSI-디스크-기반 DASTS-B를 이용하여 TP-3과 TP-4에 의해 형성되고, 페일-오버 서버쌍-3은 SCSI-디스크 DASTS-C를 이용하여 TP-5와 TP-6에 의해 형성되며, 페일-오버 서버쌍-4는 SCSI-디스크 DASTS-D를 이용하여 TP-7와 TP-8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SCSI-디스크기반 팀서버 즉, DASTS-A, -B, -C는 SCSI 디스크 드라이브이고, 그 디스크 드라이브의 각각은 두개의 로지컬 드라이브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버쌍에서 두 팀프로세서 각각은 하나의 로지컬 드라이브로 할당되고 절대적인 읽기/쓰기 권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TP-1은 DASTS-A-로직 1에 대해 절대적인 읽기/쓰기 권한을 가지지만, DASTS-A-로직-2에 대해서는 고장안전의 목적을 위해 읽기권한마만을 가지는데, 이에 따라, 만약 TP-2가 고장이 난다면, TP-1은 TP-2에 의해 이전에 기록된 로그 파일을 읽음으로써 임무를 인계받아 고장없이 과정을 계속할 수 있다. 반면, TP-2는 DASTS-A-로직 2에 대해 절대적인 읽기/쓰기 권한을 가지지만, 고장안전 목적을 위해 DASTS-A-로직 1으로부터 읽기만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같은 방식이 다른 페일-오버 서버쌍에서도 적용된다.
보조 팀프로세서는 읽기전용 방식으로 팀서버에 접근할 수 있거나. 데이터 통합은 동일한 데이터 기록에 대해 이중 기록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사실때문에 절충되어야만 한다. 팀프로세서가 독점적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만 운용되는 순수한 독점적인 환경에서, 상기한 기준은 용이하게 충족될 수 있다. 그러나, 팀프로세서가 비독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운용되는 개방된 환경에서는 OS-기반 시스템 장치 드라이버는 모든 연결된 팀프로세서 사이에서 팀서버 접근권한을 동등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팀프로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좀 더 정교한 비 네트워크-기반 시스템 드라이버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특정의 팀프로세서가 그 주 팀서버에 대해서는 절대적인 권한이, 다른 팀서버에 대해서는 읽기전용 권한만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는 주 팀프로세서가 역동적으로 페일-오버 팀프로세서에 대해 그 절대적인 권한을 얻도록 해준다.
또한, 서버쌍 1은 주 프로세서로서의 TP-1과 페일-오버 프로세서로서의 TP-2를 가진 팀서버 DASTS-1에 대해 절대적인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정의되는데, 이는 만약 TP-1이 고장나지 않으면 TP-2는 DASTS-1에서 읽기전용으로만 단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팀서버 DASTS-1은 통상 작업집단-기반 분배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RAID이다. 따라서, TP-1에는 전기능이 모두 갖춰진 데이터 베이스 서버 엔진이 장착되어 있는 반면에, TP-2에는 읽기전용 장치만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 다른 서버쌍 팀프로세서에도 읽기전용 장치만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엔진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주 팀프로세서 TP-1를 방해하지 않고, 네트워크 트래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반적인 서비스 성능을 떨어뜨림이 없이, 작업집단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직접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 5,802,391호("DIRECT-ACCESS TEAM/WORKGROUP SERVER SHARED BY TEAM/WORKGROUPED COMPUTERS WITHOUT USING A NETWORK OPERATING SYSTEM")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이렉트-액세스 팀/작업집단 서버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이점이다. 마찬가지로, 같은 방식이 DASTS-2에 대해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는 서버쌍-2와 DASTS-4에 대해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는 서버쌍-4 에 적용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람직한 다수-링크 팀프로세서는 다음의 세개의 이서넷 모듈을 가진다: 1)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에서 모든 다른 팀프로세서와 연결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내부링크; 2) 같은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 내의 모든 다른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에서 모든 다른 상대 페일-오버 서버쌍과 연결되는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 내부링크; 3) 하나는 LAN 세그먼트 스위치/허브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다른 LAN 세그먼트 스위치/허브에 연결되어, 고장안전 LAN 연결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한 이중 LAN 링크.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WSA) 내부 링크를 실행하는 이유는 모든 팀프로세서 사이간의 일대일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따라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내의 어떠한 활동은 같은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에 속한 다른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들 모든 팀프로세서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내부링크에 연결되어 있고,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다이렉트-액세스 데이터베이스/파일 팀서버는 네트워크-액세스 드라이브로서 그 주 팀프로세서에 의해 매핑될(mapped) 수 있는데, 이는 작업집단 서버어레이에서 다른 팀프로세서가 클라이언트와 같이 행동하여 주 팀프로세서에 의한 읽기/쓰기 서비스를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만약 SCSI-III를 이용한 작업집단 일대일 링크가 결함이 있는 경우,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일대일 링크는 양자택일의 통신 링크로 이용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WSC) 내부 링크를 실행하는 이유는 작업집단간 서버어레이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따라 모든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내의 모든 분배된 데이터베이스는 같은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내에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모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는 10개의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로 구성되고, 각 작업집단 서버어레이는 4개의 페일-오버 서버쌍을 가지며, 각 서버쌍은 두개의 바람직한 다수-링크 팀프로세서를가진다. 그후, 제 1 작업그룹 서버 클러스터 링크는 10개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제 1 서버쌍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특정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제 1 서버쌍중 누구에게 전해진 몇몇 작업집단 클러스터-기반 데이타베이스 요청은 모든 다른 9개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제 1 서버쌍 중 하나에 관련될 것이다.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다른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다른 상대 팀프로세서에 대해 주 데이타베이스 서버의 잼현상의 발생없이 데이타베이스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장안전 및 좀 더 빠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의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S1링크는 다이렉트-액세스 쌍 중심의 로그 파일-기반 팀서버에 기초한 페일-오버 서버쌍을 만들며, S2 링크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에서 각 팀프로세서를 WSA 중심의 분산 데이터 베이스 팀서버에서 다이렉트-액세스 작업집단 데이터베이스 핸들러를 만들게 한다. 더욱이, WSA 내부 링크는 S1링크에 기반하여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내부의 페일-오버 동작을 만들며, WSC 내부 링크는 S2 링크에 기초하여, WSA 중심의 분산 데이터베이스 팀버서를 링크함으로써 WSC 작업집단화된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도 1D는 팀패널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4개의 기본 제어장치(CU)와 하나의 주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RAP, VGA, USB 및 오디오 포트를 통하여 4개의 팀프로세서에 연결된다. 상기 기본 제어장치에는 고장안전쌍으로서 COM1과 COM2를 사용하여 그 자체의 팀프로세서와 통신하고 I2C를 사용하여 다른 기본 제어장치와 주제어장치와통신하는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주 제어장치(MCU)는 내장형 감시 타이머-기반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통상 시리얼 LCD 디스플레이와 시리얼 스마트 카드 판독기와 같은 두개의 시리얼-기반 장치들과 인터페이스 하는데, 이에 따라 감독자가 MCU를 유지하고 제어하게 한다. MCU는 5개의 스위치를 또한 제어하는데, 상기 스위치는 선택된 VGA 시그날, PS/2 마우스, PS/2 키보드와 USB 시그날을 공통 VGA, 오디오, USB, PS/2 마우스와 키보드 버스위로 흐르게 해준다. 이들 버스들은 모든 기본 제어 장치와 작업집단 공유가능한 VGA 디스플레이, USB-기반 주변장치 및 PS/2-기반 마우스와 키보드 사이를 연결한다. 주 제어 장치(MCU)는 공통 버스와 주변 장치를 감독하기 위한 다양한 상태 및 사용 테이블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전혀 충돌없는 사용에 대해 점검한 후, 여러 팀프로세서로 부터의 요청에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주 제어 장치에는 EEPROM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상태 테이블이 유지될 수 있고,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심지어 비정상적인 리셋 후에도 상태를 정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기본 제어장치(CU)의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전면 패널에 연결되는 10개의 인터페이스 시그날을 생성시킨다. 전면 패널은 두개의 대화식 푸쉬버턴 스위치를 가진다; 그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외부 작업집단 공유가능 VGA-기반 모니터를 위해 선택되는 팀프로세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외부 공유가능 키보드 및 마우스를 제어하기 위한 팀프로세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LED가 장착된 제 2 패널은 선택된 팀프로세서를 파워 온/오프를 위한 것이다. 두세트의 LED를 갖추고 있는 바, 이들은 주 시스템 디스크 작동과 조작가능한 것을 선택하는 것을 가리킨다. 볼펜-조작가능한 리셋 스위치가 선택된 팀프로세서를 리셋하기 위해 포함된다. 팀패널 기능성 보드와 전면 패널은 팀섀시내에 밀봉되는데, 이에 따라 작업집단화된 팀프로세서에서 팀패널 기능성 보드까지와, 기능성 보드에서 전면 패널까지의 케이블링이 좀 더 단축되고, 관리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팀패널의 주제어장치(MCU)를 감독하는 디폴트 팀프로세서는 팀매니저로 불린다. 비록 MCU가 그 자신의 고유한 상태 및 사용 테이블을 유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팀매니저는 항상 MCU가 반응할 최고의 우선권을 가질 것이다. 팀매니저에 대한 작업집단의 통신에 관해서는, 팀프로세서는 메시지를 RAP의 COM2를 통하여 자체장착된 제어장치(CU)로 전송하고, 그후 상기 제어장치(CU)는 I2C 프로토콜 헤더로 상기 메시지를 재압축하고 I2C를 이용한 팀패널 내부링크를 통하여 주제어장치(MCU)로 알린다. 일단 주제어장치(MCU)가 링크를 허락하게 되면, 기본 제어장치는 팀패널 내부 I2C 링크를 통하여 팀매니저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예를들면 자체장착된 팀프로세서의 현재상태를 알릴 수 있다. 더구나, 팀패널 내부 링크는 SCSI-III 및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서버어레이 일대일 링크에 대한 대안적인 통신링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E는 8개의 바람직한 작업집단화된 팀프로세서를 연결하기 위해 함께 캐스케이드된 두개의 팀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팀패널인 TP-408M과, 상기 TP-408M에 대한 슬레이브로서 제 2 팀패널, 즉 TP-408C는 공통 VGA, Audio, USB 및I2C 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따라서 TP-408M의 주제어장치는 TP-408C의 모든 기본 제어장치를 감독할 것이다. 팀매니저는 제 1 팀패널을 제어하며 또한 제 2 팀패널의 팀매니저가 될 것이다. 팀매니저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제 2 팀패널의 팀프로세서는 먼저 메시지를 RAP의 COM2를 통하여 자체 장착된 제어장치로 전송하며, 제어장치는 그 메시지를 I2C 프로토콜 헤더로 재압축하고 내부 I2C 링크를 통하여 제 1 팀패널의 주제어장치에 알린다. 일단 주제어장치가 링크를 허락하게 되면, 제 2 팀패널의 특정 기본 제어장치는 팀패널 내부 I2C 링크를 통하여 제 1 팀패널의 팀매니저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나리오를 기초로 할때, 특별히 구성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단일 팀패널 또는 함께 캐스케이드된 상태의 다수의 팀패널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더구나, 팀패널은 각각의 팀섀시내에 밀봉되거나 또는 다수의 팀패널의 모니터링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외부 박스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작업집단-서버-어레이-기반 소자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작업집단-서버-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한 주처리 장치가 더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주처리 장치에는 복수의 팀프로세서, 팀서버, 및 팀패널이 장착되며, 그 모두가 복수의 팀 섀시내에 하우징된다.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에는 내장기능들이 장착되는데, 이는 이미 인용된 출원인의 특허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그 기능들은 물론 이에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작업집단 협동 및 감독 서비스, 작업집단 내부/현장/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작업집단 장치 공유, 작업집단 고장안전 도표 및 고장안전 소프트웨어, 작업집단 로드 밸런싱 서비스, 작업집단 파일 및 데이타베이스 서비스, 및 작업집단 보안 및 작업집단 규모조정가능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조블록으로서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사용함에 의해 구성된 주처리장치는, 보다 많은 동시연결 고객들을 위해 고도로 유용하고 규모조정이 가능하며 맡겨진 임무에 적합한 거래가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는 다양한 다수-링크 유무선 사용자-운용 거래 단말기, 즉 상용 PDA장치와 또한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주문형 고장허용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서비스가 동시에 그리고 규모조정가능한 형태로 현장방문 고객들에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 시스템을 통하여 현장에서의 전자구매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현장방문 고객들은 다음의 사용자-ID-기반 화폐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것이다: 1) 마그네틱 테이프-기반 멤버쉽 카드, 2) 비접촉식 마그네틱 테이프-기반 멤버쉽 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키-포브, 3) PKI-기반 개인키, 사용자 패스워드 및 사용자-기반 멤버쉽 ID# 및 E-Wallet을 이용하여 두가지 팩터의 인증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서-기반 스마트 카드. 비접촉식 마그네틱 테이프 성능이 장착된 다기능 스마트 카드를 가진 고객들은 이하 "스마트 카드 사용자"라 언급하기로 한다.
도 2는 바람직한 작업집단-서버-어레이-기반 다수 링크 전자구매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1) 2-팀프로세서-기반 주처리장치와, 2) 도 2A 및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많은 다수 링크-기반 멀티플렉서 장치와, 3) 도 2C, 도 2E 및 도 2F에 각각 도시된 iPOS, iPOP 및 iACT와 같은 많은 다수 링크-기반 상용 PDA장치와, 4)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목적용 iPOS-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주처리장치내의 각각의 팀프로세서에는 두개의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대화식 채널"을 제공하는 2개의 VGA카드가 장착되는데, 상기 채널상에서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전달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자체 컴퓨터의 파워가 유지되는한,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보다 많은 상용 PDA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능성을 기초로 볼때, 3가지 종류의 상용 PDA 장치가 있다. 이들은 1) 하나의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와 두개의 RS-422-기반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기반으로 한 다수 링크 대화식 POS 상용 PDA 장치(이하, iPOS-V 장치라 함)와, 2) 하나의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와 두개의 RS-422-기반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기반으로 한 다수 링크 대화식 POP 상용 PDA 장치(이하, iPOP-V 장치라 함)와, 3) 두개의 RS-422-기반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기반으로 한 주문형 콘텐츠-기반 상용 PDA 장치(이하, iACT 장치라 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의 시스템에는 두개의 iPOS-V 장치와, 두개의 iPOP-V 장치와, 4개의 iACT 장치가 있는데, 그 각각의 장치는 고장허용을 위한 두개의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주, 보조)에 링크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의 시스템에는 수많은 NTSC/PAL-기반 TV 뿐만 아니라, 보안-기반 캠코더와 DVD/VCR과 같은수많은 비대화식 채널 생성기가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두개의 VGA-기반 카드와 하나의 DVD/MPEG-II 플레이백 카드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함께 제 1 팀프로세서에 대해서는 채널 65, 66, 67로서 변조되고 제 2 팀프로세서에 대해서는 채널 68, 69, 70으로서 변조된 3개의 NTSC/PAL-기반 영상 시그날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는 3개의 보안-기반 캠코더와 하나의 VCR이 있는데, 상기 캠코더는 채널 71, 72, 73으로 더욱 더 변조될 수 있는 3개의 NTSC/PAL-기반 영상 시그날을 생성시키며, 상기 VCR은 채널 74로 변조될 수 있는 백업 또는 백그라운드 영상 시그날을 생성시킨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RF 모듈레이터 박스는 65 부터 74까지의 프리셋 채널번호를 갖는 10개의 RF 모듈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레이터 박스는 일군의 영상 콤바이너를 더 포함하는데, 이에 따라 이러한 변조된 채널들은 채널 1 부터 채널 64까지의 현행 케이블 TV 시그날과 함께, RF 케이블, 즉 공통 영상-전달 링크에 모두 조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케이블 분배 박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시스템의 모든 팀프로세서로부터 모든 RS-422-기반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하나로 묶어 정리하고 각각의 개별 케이블 세트를 각각의 자체 장착된 상용 PDA에 분배한다. 공통 RF-기반 영상-전달 링크는 또한 모든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각 팀프로세서는 보안 및 유지목적을 위해 채널 1로부터 채널 74까지 영상 또는 스틸상을 캡처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수 링크-기반 스테이션iPOS-V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지능형 셋톱박스, 13" VGA-기반 LCD 또는 모니터, I2C-기반 백업 LCD 디스플레이, VGA-기반 디스플레이용 터치 스크린과 같은 시리얼-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감열식 프린터, 키보드-포트-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 판독기를 포함한다.
iPOS-V 장치를 갖춘 셋톱박스 내부에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수많은 사용자-인터페이스 모듈이 장착된다. 키보드-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 터치 스크린 및 스마트 카드 판독기는 입력 모듈이고, 시리얼 프린터는 출력 모듈이며, VGA 모니터와 백업 LCD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온-보드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조작하고 이벤트 메시지를 개별 포인트 대 포인트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전송한다.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입력 메시지를 판독하여 처리하고,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며,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시그날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입력 메시지를 판독하여 처리할 수 있고, 텍스트-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며, 개별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데이타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전송하며, 이는 데이타를 출력 프린터까지 더욱 더 릴레이할 수 있다. 고장허용이 되기 위해서는, iPOS-V 장치의 셋톱박스에는 C-MOS/TTL-기반 스위치(SW)가 설치되며, 그 스위치는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두개의 RS-422 통신라인을 제어한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다면,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를 탐지하여 하나의 시그날을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할 것이며, 그 스위치는 주 팀프로세서와의 통신을 끊고 보조 팀프로세서와 재연결하는데, 이에 따라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는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비록 VGA 디스플레이 모듈이 주 팀프로세서로부터 어떠한 시그날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출력 프린터 모듈과 백업 LCD 디스플레이 모듈은 여전히 보조 팀프로세서로부터 처리결과를 받아 이에 반응할 수 있다.
iPOS-V 장치의 주요기능들은 고객들에게 현장에서의 POS-기반 전자 구매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iPOS-V 장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팀서버들과 주로 인터페이스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실시간 전자상거래 및 데이타베이스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서버들과 인터페이스한다. 고객들은 로그인 하기 위해 스마트 카드 판독기를 사용하고, 후속적인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터치한다. 상기 iPOS-V 장치는 대화식 광고-기반 영상이나 그래픽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상에 보여주는 대화식 광고 성능을 가진다. 스마트 카드 사용자는 스크린을 터치하여 대화식 광고-기반 E-Lead 데이타를 생성시킬 수 있는데, 그 데이타는 상기 장치내에 저장되고 이후 처리를 위해 대화식-광고-기반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다. E-Lead 데이타는 사유 정보로서, 광고 ID#, 채널 ID#, 시간-날짜, 사용자/스마트카드 ID#, 광고자/매각인 ID#, 쿠폰 ID#, 주소 ID# 및 상용 PDA ID#를 포함하지만 물론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E-Lead 데이타는 광고자와 서비스 집단 사이에 설정된다. E-Lead 데이타는 대화식 광고-기반 서버에 의해 판독될 수 있으며, 그 데이타는 서비스 집단과 광고자의 미리 약속된 요청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카드 사용자를위한 일련의 후속 서비스를 더욱더 트리거할 수 있다. 중개 전자화폐 및 이메일과 같은 그러한 서비스들은 생성되어, 스마트 카드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시스템, 온라인 웹-기반 서버내에 상주하는 스마트 카드 사용자의 데이타베이스(즉, E-CommerceBoxes)로 전송될 수 있다. 현장에서의 전자 구매-기반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대화식-광고-기반 E-Lead 및 중계 전자화폐에 관한 모든 상세한 내용은 "A SYSTE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MART CARD-BASED E-COMMERCE SERVICES USING E-COMMERCE BOXES"라는 명칭으로 1999년 9월 20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60/154,900호에 설명되어 있다.
통상의 POS 환경에 있어서, 캐시어는 POS 스테이션에 부착된 모든 장치들을 동작시킨다. 예를들면, 그러한 장치들은 제품 및 회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바코드 판독기, POS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키보드, 및 크레디트 또는 데빗 카드 지불을 처리하기 위한 다이알-업 지불장치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운용 iPOS 장치는 네트워크 링크를 통하여 상기 캐시어에 의해 동작된 상기 POS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자체 팀프로세서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상기 POS 스테이션에 입력된 데이타는 얻어진 후 상기 캐시어 앞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터페이스된 상기 iPOS 장치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POS 처리과정의 각 단계를 알 수 있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상기 POS 스테이션은 팀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변형된 POS-기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재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수 링크-기반 스테이션화 상용 iPOP-V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iPOP-V 장치는 지능형 셋톱박스, 19“VGA-기반 모니터, VGA-기반 디스플레이용 터치 스크린과 같은 시리얼-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감열식 프린터, 키보드-포트-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 판독기를 포함한다. iPOP-V 장치의 셋톱박스의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이벤트 메시지를 개별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주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한다. 상기 팀프로세서는 입력 메시지를 판독 및 처리하고,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며,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시그날들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팀프로세서는 또한 입력 메시지를 판독 및 처리하고, 텍스트-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며, 개별 시리얼-포트-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보내는데, 이는 데이터를 출력모듈까지 좀더 릴레이할 수 있다. 고장허용이 되기 위하여, iPOP-V 장치의 셋톱박스에는 C-MOS/T시-기반 스위치(SW)가 설치되는데, 이 스위치는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두개의 RS-422 통신라인을 제어한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나면,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를 탐지하여 하나의 시그날을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할 것이며, 그 스위치는 주 팀프로세서와의 통신을 끊고 보조 팀프로세서와 재연결하는데, 이에 따라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는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비록 VGA 디스플레이 모듈이 주 팀프로세서로부터 어떠한 시그날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출력 프린터 모듈은 보조 팀프로세서로부터 처리결과를 여전히 받을 수 있다.
iPOP-V 장치의 주요기능들은 고객들에게 온라인 전자구매 성능을 제공하는것이다. iPOP-V 장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내장형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온라인 서버들과 주로 인터페이스 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데이타베이스 서비스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의 팀서버들과 인터페이스한다. 고객들은 스마트 카드 판독기를 사용하여 로그인한 다음,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온라인 전자상점을 브라우징하는 것과 같이 후속적인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iPOP-V 장치는 대화식 광고-기반 영상이나 그래픽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상에 보여주는 대화식 광고 성능을 가진다. 스마트 카드 사용자는 스크린을 터치하여 대화식 광고-기반 E-Lead 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는데, 그 데이타는 상기 장치내에 저장되고 이후 E-Lead 처리 및 후속적인 온라인 및 현장에서의 전자 구매-기반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생성시키기 위한 온라인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스테이션 상용 iACT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지능형 셋톱박스와 자체의 물리적 유선-링크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LCD 디스플레이, 시리얼 프린터, 하나의 키보드-기반 및 시리얼-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 판독기와 같은 다수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주변장치를 포함한다.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이벤트 메시지를 개별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한다. 상기 팀프로세서는 메시지를 판독 및 처리하고, 텍스트-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며, 개별 시리얼-포트-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주문형 콘텐츠-기반 데이터를 출력 프린터와 LCD 모니터로 전송한다. 맡겨진 임무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iACT 장치의 셋톱박스에는 C-MOS/TTL-기반 스위치(SW)가 설치되는데, 이 스위치는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두개의 RS-422 통신라인을 제어한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나면,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를 탐지하여 하나의 시그날을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할 것이며, 그 스위치는 주 팀프로세서와의 통신을 끊고 보조 팀프로세서와 재연결하는데, 이에 따라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는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iACT 장치의 주요기능은 현장-기반 E-Lead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스마트 카드 사용자가 팀프로세서의 MPEG-II 플레이백 카드에 의해 생성되고 상점내 TV에 나타난 광고에 흥미가 있다면, 사용자는 바로 옆의 iACT 장치를 액세서하고 접촉식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를 간단히 접촉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 판독기에는 적어도 3개의 관심 버턴, 즉 현재 광고버턴, 1차 이전광고 버턴 및 2차 이전광고 버턴이 내장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버턴을 눌러 후속의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만약 선택버턴들중 하나가 눌러졌거나 또는 선택버턴이 없는 곳에서 단순히 스마트 카드만 접촉되었다면, 실행시간을 기초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E-Lead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그 데이터는 iACT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추후에 E-Lead 데이터를 E-Lead 처리를 위한 대화식-광고-기반 서버에 업로드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업집단-서버-어레이-기반 다수링크 전자구매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1) 4-팀프로세서-기반 주처리장치,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다수 링크-기반 멀티플렉서 장치, 3) 다수의 다수 링크-기반 상용 PDA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iPOS-V, iPOP-V 및 iACT 장치들에 부가적으로, RF-기반 공통 영상-전달 링크 및 두개의 RS-422-기반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기초로 한 세 개의 새로운 종류의 다수 링크 상용 PDA가 있다. 상기 세가지 종류의 상용 PDA는 1)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기반 대화식 POS 상용 PDA(이하, iPOS-R 장치라 함), 2)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기반 대화식 POP 상용 PDA(이하, iPOP-R 장치라 함), 3)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기반 무선 대화식 휴대용 상용 PDA(이하 iPOR-C 장치라 함)가 있다.
도 3에는 다수 링크-기반 멀티플렉서 장치, 즉 모듈레이터 박스 및 케이블 분배박스 뿐만 아니라, 두개의 RS-422 시리얼-기반 iPOS-R 장치, 두개의 RS-422 시리얼-기반 iPOP-R 장치, 8개의 RS-422 시리얼-기반 iACT 장치 및 4개의 RS-422 시리얼-기반 iPOR-C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장치는 고장허용을 위하여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인 주 및 보조 팀프로세서에 링크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의 시스템에는 다수의 NTSC/PAL-기반 TV 뿐만 아니라, 보안-기반 캠코더와 DVD/VCR과 같은 다수의 비대화식 채널생성기가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두개의 VGA 카드와 하나의 DVD/MPEG-II 플레이백 카드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함께 제 1 팀프로세서의 경우 채널 65, 66, 67로서, 제 2 팀프로세서의 경우 채널 68, 69, 70으로서, 제 3 팀프로세서의 경우 채널 71,72,73으로서, 제 4 팀프로세서의 경우 채널 74, 75, 76으로서 변조된 3 NTS/PAL-기반 영상 시그날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채널 77, 78, 79로서 더욱더 변조될 수 있는 3NTSC/PAL-기반 영상 시그날을 생성하는 3개의 보안-기반 캠코더와, 채널 80으로서 변조될 수 있는 백업 또는 백그라운드 영상 시그날을 생성시키는 하나의 VCR을 또한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RF 모듈레이터 박스는 65에서 80까지의 프리셋 채널번호를 갖는 16개의 RF 모듈레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레이터 박스는 또한 일군의 영상 컴바이너를 구비하는데, 이에 따라 이러한 모든 변조 채널들은 채널 1부터 채널 64까지의 현행 케이블 TV 시그날과 함께 RF 케이블, 즉 공통 영상-전달 링크에서 모두 컴바이닝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케이블 분배 박스는 모든 팀프로세서 및 공통 RF-기반 영상-전달링크로부터 모든 RS-422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하나로 묶어 정리하고, 각각의 개별 케이블 세트를 각각의 부착된 상용 PDA에 분배한다. 공통 RF-기반 영상-전달 링크는 또한 모든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보안 및 유지 목적을 위해 채널 1부터 채널 80까지 영상 또는 스틸상을 캡처할 수 있다.
도 3C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스테이션 iPOS-R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지능형 셋톱박스, 13“ VGA/TV-전환가능한 LCD 디스플레이 모니터, I2C-기반 튜너,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T) 장치, VGA/TV 디스플레이용 터치 스크린, 감열식 프린터, 키보드-포트-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 판독기와 같은 시리얼-포트-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포함한다.
iPOS-R 장치를 갖는 셋톱박스 내장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다수의 기능성 모듈이 장착된다. 키보드-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 터치 스크린 및 스마트 카드 판독기는 입력 모듈이고, 시리얼 프린터는 출력 모듈이며, VGA/TV 모니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자체 입력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이벤트 메시지를 개별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자체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한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그 메시지를 판독 및 처리하고,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며, 그 콘텐츠는 프리셋 채널번호를 갖는 RF 영상 시그날로 더욱 더 변조된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온보드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제공할 것이며, 이에 따라 공통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RF 영상 시그날을 받을 수 있고 올바른 채널로 튜닝되도록 내장형 I2C 온보드 튜너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또한 RF 영상 시그날을 복조하여 복합적인 영상을 VGA/TV 모니터위로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또한, 입력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며, 텍스트-기반 콘텐츠를 생성하고 개별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전송하는데, 이는 I2C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의 디스플레이 버퍼까지 릴레이할 수 있다. 상기 OSD 장치는 데이터 콘텐츠를 처리하고 그것을 들어오는 복합 영상과 합병하여, VGA/TV 모니터위로 표시될 수 있는 오버레이 효과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OSD 장치는 어떤 데이터콘텐츠를 또한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 또는 몇몇 팀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생성된 자가진단 또는 사용자-대화의 결과이다.
고장허용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iPOS-R 장치의 셋톱박스에는 C-MOS/TTL-기반 스위치(SW)가 내장되는데, 상기 스위치는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두개의 RS-422 통신라인을 제어한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난다면,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를 탐지하여 하나의 시그날을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하고, 주 팀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차단하고 보조 팀프로세서와 재연결할 것이며, 이에 따라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는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보조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하기 때문에, 공통 영상-전달 링크로부터 RF 영상 시그날을 수신하고 올바른 채널로 튜닝되도록 온보드 튜너를 더욱 더 제어한다.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이후 VGA/TV 모니터 위로 표시되고, 이에 의해 완벽한 고장안전 성능이 설정될 수 있다. iPOS-R 장치에는 VGA/TV-전환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장착되기 때문에, 주 팀프로세서의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가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난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를 VGA 모드에서 TV-기반 NTSC/PAL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iPOS-R 장치의 주요기능들은 iPOS-V 장치와 동일하다. 부가적으로, iPOS-R 장치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POS 인터페이스 장치에 인터페이스하며, 이에 따라 현행 POS 스테이션은 이미 설치된 POS-기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변형함이 없이 iPOS-R 장치와 완전하게 통합될 수 있다.
도 3D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스테이션 상용 iPOP-R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iPOP-R 장치는 지능형 셋톱박스, 19“ VGA/TV-전환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니터, I2C-기반 튜너 및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및 NTSC/PAL-기반 디스플레이용 터치스크린, 감열식 프린터, 키보드-포트-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 판독기와 같은 시리얼-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iPOP-R 장치가 내장된 셋톱박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다수의 입, 출력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온보드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자체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처리하고 개별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대화링크를 통하여 그 이벤트 메시지를 자체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한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각각의 이벤트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고,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이는 프리셋 채널번호를 갖는 RF 영상 시그날로 더욱 더 변조된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온보드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제공할 것이며, 이에 따라 공통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RF 영상 시그날을 수신하도록 하고 올바른 채널로 튜닝되도록 내장형 I2C 온보드 튜너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RF 영상 시그날을 또한 복조하고 복합 영상을 VGA/TV 모니터위로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또한 입력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고 텍스트-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며, 개별 RS-422 시리얼-기반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전송하는데, 이는 I2C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의 디스플레이 버퍼까지 릴레이할 수 있다. 상기 OSD 장치는 데이터 콘텐츠를 처리하고 그것을 들어오는 복합영상과 합병하여, VGA/TV 모니터위로 표시될 수 있는 오버레이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OSD 장치는 몇몇 데이터 콘텐츠를 좀 더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온보드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몇몇 팀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생성된 자가진단 또는 사용자-대화의 결과이다.
고장허용이 되기 위해서는, iPOP-R 장치의 셋톱박스에는 C-MOS/TTL-기반 스위치(SW)가 내장되어 있는데, 상기 스위치는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두개의 RS-422 통신라인을 제어한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다면,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를 탐지하여 하나의 시그날을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하고, 주 팀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차단하고 보조 팀프로세서와 재연결하며, 이에 따라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는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보조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통 영상-전달 링크로부터 RF 영상 시그날을 받고 올바른 채널로 튜닝하도록 온보드 튜너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이후 VGA/TV 모니터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완벽한 고자안전 성능이 설정될 수 있다. iPOP-R 장치에는 VGA/TV-전환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주 팀프로세서의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가또한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다면, 사용자는 모니터를 VGA 모드로부터 TV-기반 NTSC/PAL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iPOP-R 장치의 주요 기능들은 iPOP-V 장치의 기능과 동일하며, 이는 고객들에게 온라인 전자구매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공통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몇몇 영상 채널로부터 대화식 광고-기반 영상 또는 그래픽 페이지를 보여주는 대화식 광고성능을 갖추고 있다. 스마트 카드 사용자는 스크린을 터치하여 대화식 광고-기반 E-Lead 데이터를 생성시키며, 그 데이터는 상기 장치내에 저장되고, 이후 E-Lead 처리를 위해 대화식-광고-기반 서버에 후속적으로 업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4-팀프로세서 시스템에는 4개의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휴대형 상용 PDA가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휴대형 상용 PDA는 스마트 카드 도킹 스테이션과 자체의 무선 링크된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며, 터치스크린을 갖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 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및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와 같은 다수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주변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각각의 도킹 스테이션은 무선 영상-전달 링크와 무선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자체 휴대형 장치와 통신한다. 이러한 독특한 상용 PDA, 즉 대화식 휴대-기반 PDA로 분류될 수 있는 상용 PDA는 이하 iPOR-C라 하기로 한다.
도 3E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휴대형 iPOR-C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모든 대화식 및 비대화식 채널들을 액세스하기 위해 900MHz 무선 시리얼 및 2.4GHz 무선 베이스-밴드 복합 영상 및 오디오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스위치-개량 시리얼-기반 도킹 스테이션과 무선/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도킹 스테이션은 내장형 마이크로 콘트롤러 보드와 휴대형 장치를 하우징하기 위한 밀봉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휴대형 장치가 저장, 로킹 및 충전될 수 있다. 내장형 마이크로 콘트롤러 보드에는 배터리 충전장치, 솔레노이드-기반 로킹장치, 스마트 카드 판독기, 및 여러개의 푸쉬버턴 제어라인을 갖춘 제어-기반 LCD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상술한 iPOP-R 장치의 스위치와 유사하게도, 고장안전 목적을 위해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두개의 RS-422 통신라인을 제어하는 C-MOS/TTL-기반 스위치(SW)가 내장되어 있다. 더구나, 자체 지정된 휴대장치와 통신하고 그러한 특수 휴대장치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대화를 유선 RS-422-기반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자체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하기 위한 900MHz 무선 RS-232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튜너와 OSD(온-스크린-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튜너는 원하는 채널로 튜닝하여 베이스-밴드 영상 및 오디오 시그날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영상은 OSD 모듈로 채널링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몇몇 온-스크린 메시지가 베이스-밴드 영상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영상 시그날을 자체 지정된 휴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2.4GHz 무선 베이스-밴드 트랜스미터 모듈(WBBT)이 장착되어 있다.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보드, 터치 스크린, 6“ NTSC 또는 PAL-기반 LCD 디스플레이, 2.4GHz 무선 베이스-밴드리시버(쥬???), 900MHz 무선 RS232 모듈, OSD (온-스크린-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이어폰, 냉각 팬, 장소의 입구와 인터페이스 하는 경보장치, 온도센서 및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로킹장치를 갖춘 선택적인 코드리스 폰 핸드셋 뿐만 아니라 선택적인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다.
휴대장치의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생성하고 그 이벤트 메시지를 무선 RS232를 통하여 자체 호스트 도킹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이벤트 메시지를 받아 개별 RS-422 시리얼-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링크를 통하여 그 이벤트 메시지를 호스트 팀프로세서(주 또는 보조)로 재전송시킨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각각의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고,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그 콘텐츠는 프리셋 채널 번호를 갖는 RF 영상 시그날로 더욱 더 변조된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도킹 스테이션의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할 것이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내장형 I2C 튜너를 제어한다. 상기 튜너는 원하는 채널 또는 비대화식 채널로 튜닝시키고 RF 시그날을 OSD 모듈로 전달되는 베이스 밴드 복합 영상으로 복조시킨다. 복합 영상은 내장형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 콘텐츠와 들어오는 영상의 조합이다. 사용자-대화로부터 유래된 메시지 콘텐츠는 OSD 장치의 디스플레이 버퍼로 전송될 수 있다. OSD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고 그것을 베이스-밴드 복합영상으로 합병하여, 튜너로부터 생성된 복합 영상과 함께 WBBT로 전달될 수 있는 오버레이-기반 복합 영상을 생성시킨다. WBBT는 복합 영상 및 오디오를 합병하고, 2.4GHz 리시버를 통하여 상기 영상 및 오디오를 휴대장치로 전송한다. 휴대장치에는 복합 영상 및 오디오 시그날을 수신하는 WBBR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오디오 시그날은 내장형 스피커 또는 이어폰 잭에 링크되어 있다. 복합 영상 시그날은 자가진단 메시지를 생성하는 내장형 OSD에 링크되어 있다. OSD 시그날 처리후, 복합 영상은 휴대장치의 6“ LCD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3F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장치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핸들과, 코트없는 폰 핸드셋과, 선택적인 카드-스위핑 장치가 장착되도록 디자인된다.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는 분리가능한 코드리스 핸드셋은 장치의 핸들에 딱 들어맞는데, 이에 의해 장치에 로킹될때 핸들의 한 부분이 된다. 상기 장치가 표면상에 수직으로 셋팅되면, 분리가능한 코드리스 핸드셋은 로킹 해제되어, 고객들은 전화 서비스를 위해 이를 사용할 수 있다.그 자체가 경량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휴대장치는 비즈니스 시간동안 다수의 고객들에 의해 상업적 장소내 어디서나 용이하게 액세스되고 휴대되며 조작될 수 있다.
iPOP-C 장치의 주요 기능들은 고객들에게 현장에서의 POS-기반 전자구매 및 온라인 POP-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iPOR-C 장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팀서버와 온라인 서버에 인터페이스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iPOS 및 iPOP 기능들이 모두 수용될 수 있다. 고객들은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여 도킹 스테이션의 스마트 카드 판독기에 이를 삽입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적절한 인증확인후, 도킹 스테이션은 지정된 휴대장치를 내놓을 것이며, 이에 의해 고객들은 상업적 장소내 서비스 지역으로 그 휴대장치를 가지고 갈 수 있다. 고객들은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터치하여 후속적인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에 대화식 광고-기반 영상 또는 그래픽 페이지를 보여주는 대화식 광고성능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 카드 사용자는 스크린을 터치하여 대화식 광고-기반 E-Lead 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는데, 그 데이터는 상기 장치에 저장되어 이후 E-Lead 처리를 위해 온라인 대화식-광고-기반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좀 더 큰 환경에서 좀 더 많은 동시연결 고객들을 수용하기 위한 또다른 다수 링크 방법이 또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S-422-기반 상용 PDA부터 자체의 호스트 팀프로세서까지 개별-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실행하기 위해 RS-422 포인드 대 포인트-기반 시리얼-포트-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대화 링크를 실행하기 위해 다른 주변 버스들이 또한 채용될 수 있다. 이서넷-기반 상용 PDA는 이서넷 허브를 사용하여 자체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팀프로세서와 그들의 지정된 이서넷-기반 상용 PDA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그룹-기반 공통 사용자-대화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개별-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사용하는 몇몇 RS-422 시리얼-기반 공통 PDA의 경우, 내부 도킹 스테이션 또는 셋톱박스에는 두개의 호스트 팀프로세서(주 및 보조)에 연결되는 두개의 개별 RS-422 사용자-대화 링크를 제어하는 C-MOS/TTL-기반 스위치(SW)가 장착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장안전 성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서넷-기반 상용 PDA의 경우,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다면, 상용 PDA의 온보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여전히 기능하고 있는 팀프로세서를 찾아낼 때까지 같은 그룹에 링크되어 있는 모든 팀프로세서를 비우려는 시도를 할 것이다. 따라서, 몇몇 동작중인 상용 PDA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는 항상 고장없이 응답하게 될 것이다. 즉, "그룹-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는 이서넷-케이블을 사용하여 다수의 팀프로세서 이서넷-기반 상용 PDA에 연결되어 고장안전 그룹을 생성시킨다. 이서넷 허브-기반 케이블링 구성이 좀 더 단순해지며 고장안전 성능이 별도의 하드웨어의 추가없이 구성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CAT5와 같은 이서넷 케이블을 사용하는 그룹-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는 물리적인 츨을 위해서만 실행되며, 데이타-링크층 및 네트워크층 프로토콜들은 IEEE802.3 등과 같은 정상적인 이서넷 프로토콜과는 다르게 실행된다.
더구나, 도킹 스테이션을 지정된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시키는 공통 영상 전달링크의 일부로서 실행시키기 위해 2.4GHz의 RF 무선을 사용하는 이외에, 좀 더 거대한 환경에서 더 많은 동시연결 고객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RF 300-ohm 안테나쌍(이하 RFP라 함)을 사용하는 단거리 무선이 또한 실행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900MHz 범위 또는 2.4GHz 범위내의 소수 유효한 무선 영상 채널에만 한정됨이 없이 다수의 휴대-기반 상용 PDA가 수용될 수 있다. 각각의 채널은 다른 지역 채널과의 간섭없이 적어도 6MHz의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업그룹-서버-어레이-기반 다수링크 전자구매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시스템은 1) 8-팀프로세서-기반 주처리장치와, 2)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다수 링크-기반 멀티플렉서 장치와, 3) 다수의다수 링크-기반 상용 PDA를 포함한다.
상술한 iPOS-R, iPOP-R 및 iACT 장치에 부가적으로, RF-기반 공통 영상-전달 링크 및 이서넷-기반 그룹 사용자-대화 링크를 기반으로 한 세가지의 새로운 종류의 다수 링크 상용 PDA가 구비된다. 그들은 1) RF- 및 이서넷-기반 대화식 POS 상용 PDA(이하 iPOS-RE 장치라 함, 도 4C에 도시됨)와, 2) RF- 및 이서넷-기반 대화식 POP 상용 PDA(이하 iPOP-RE 장치라 함, 도 4D에 도시됨)와, 3) RF-유선/RFP 및 이서넷-기반 대화식 휴대형 상용 PDA(이하 iPOR-W라 함, 도 4E에 도시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링크-기반 장치, 예를들면 모듈레이터 박스와 두개의 케이블 분배장치가 구비된다. 부가적으로, 두개의 이서넷-기반 고장안전 그룹이 구비된다. 제 1 고장안전 그룹은 4개의 팀프로세서와, 4개의 iPOS-RE 장치와, 4개의 iPOP-RE 장치와, 8개의 iACT 장치를 포함한다. 제 2 고장안전 그룹은 4개의 팀프로세서와, 8개의 iPOR-W 장치와, 8개의 iACT 장치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에는 보안-기반 캠코더 및 DVD/VCR과 같은 다수의 비대화식 채널 생성기와 다수의 NTSC/PAL-기반 TV가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두개의 VGA 카드와 하나의 DVD/MPEG-II 플레이백 카드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함께 제 1 팀프로세서에 대해서는 채널 31, 32, 33으로서, 제 8 팀프로세서에 대해서는 채널 52, 53, 54로 변조된 3개의 NTSC/PAL-기반 영상 시그날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3개의 보안-기반 캠코더와 하나의 VCR이 구비되는데, 상키 캠코더는 채널 55, 56, 57로서 더 변조될 수 있는 3개의 NTSC/PAL-기반 영상 시그날을 생성시키며, 상기 VCR은 채널 58로서 변조될 수 있는 백업 또는 백그라운드 영상 시그날을 생성시킨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RF 모듈레이터 박스는 31부터 58까지의 프리셋 채널 번호를 갖는 28개의 RF 모듈레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스는 일군의 영상 컴바이너를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 이러한 모든 변조된 채널들은 채널 1부터 채널 30까지의 현행 케이블 TV 시그날과 함께 RF 케이블, 즉 공통 영상 전달 링크상에서 조합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8-팀프로세서-기반 시스템은 두개의 케이블 분배박스, 즉 CDB-408-이서넷을 배치하고 있다. 제 1 케이블 분배박스는 제 1 이서넷-기반 고장안전 그룹에 대해 실행되고, 제 2 케이블 분배박스는 제 2 고장안전 그룹에 대해 실행된다. 각 케이블 분배박스는 또한 개별 사용자-대화 링크와, 그룹 사용자-대화 링크와, 공통 RF-기반 영상-전달 링크를 하나로 묶어 정리하고, 각각의 개별 케이블 세트를 각각의 고장안전 그룹내 각각의 장착된 상용 PDA로 분배시킨다. 공통 RF-기반 영상-전달 링크는 또한 각각의 고장안전 그룹내 각각의 팀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보안 및 유지목적을 위해 채널 1부터 채널 58까지 영상 또는 스틸상을 캡처할 수 있다.
도 4C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스테이션 iPOS-RE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지능형 셋톱박스와, 13“ VGA/TV-전환가능 LCD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I2C-기반 튜너 및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와, VGA/TV 디스플레이용 터치스크린, 감열식 프린터, 스마트 카드 판독기, 및 키보드-포트-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와 같은 시리얼-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들을 포함한다.
iPOS-RE 장치가 내장된 셋톱박스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다수의 기능성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키보드-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와, 터치 스크린 및 스마트 카드 판독기는 입력 모듈이고, 시리얼 프린터는 출력 모듈이며, VGA/TV 모니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자체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처리하고 이서넷을 사용하는 공통 그룹-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그 이벤트 메시지를 자체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한다.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그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여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시키는데, 이것은 프리셋 채널번호를 갖는 RF 영상 시그날로 더욱 더 변조된다.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그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공통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RF 시그날을 수신하여 올바른 채널로 튜닝되도록 내장형 I2C 온보드 튜너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또한 RF 영상 시그날을 복조하여 복합 영상을 VGA/TV 모니터위로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또한 입력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고, 텍스트-기반 콘텐츠를 생성시키고, 그룹-기반 공통 이서넷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전송하는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I2C 링크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언-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의 디스플레이 버퍼로 릴레이시킬 수 있다. OSD 장치는 데이터 콘텐츠를 처리하고 그것을 들어오는복합 영상으로 합병하여, VGA/TV 모니터위로 표시될 수 있는 오버레이 효과를 생성시킨다. OSD 장치는 또한 몇몇 데이터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데, 그 데이터 콘텐츠는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 또는 몇몇 팀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 과정으로 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 또는 자가진단의 결과이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다면,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를 탐지하여, 기능중인 팀프로세서가 배치될 때까지 고장안전 그룹내의 모든 다른 팀프로세서를 검색할 것이다.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는 그후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를 처리할 수 있다.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하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공통 영상-전달 링크로부터 RF 영상 시그날을 수신하여 올바른 채널로 튜닝되도록 온보드 튜너를 제어한다.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이후 VGA/TV 모니터위로 표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완벽한 고장안전 성능이 설정될 수 있다. iPOS-RE 장치에는 VGA-TV-전환가능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장착되며, 주 팀프로세서의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가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를 VGA 모드에서 TV-기반 NTSC/PAL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iPOS-RE 장치의 주요 기능들은 iPOS-R 장치와 동일하다. 부가적으로, iPOS-RE 장치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POS 인터페이스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데, 이에 따라 현행 POS 스테이션은 이미 설치된 POS-기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변경함이 없이 iPOS-RE 장치와 통합될 수 있다.
도 4D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스테이션화된 상용 iPOP-RE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iPOP-RE 장치는 지능형 셋톱박스와, 19“ VGA/TV-전환가능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I2C-기반 튜너 및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와, NTSC/PAL-기반 디스플레이용 터치스크린, 감열식 프린터, 스마트 카드 판독기, 및 키보드-포트-기반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와 같은 시리얼-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들을 포함한다.
iPOP-RE 장치가 내장된 셋톱박스에는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다수의 입력, 출력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자체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처리하고 이서넷을 사용하는 그룹-기반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그 이벤트 메시지를 자체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한다.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각각의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여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시키는데, 이것은 프리셋 채널번호를 갖는 RF 영상 시그날로 더욱 더 변조된다.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그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공통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RF 영상 시그날을 수신하여 올바른 채널로 튜닝되도록 하는 내장형 I2C 온보드 튜너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또한 RF 영상 시그날을 복조하여 복합 영상을 VGA/TV 모니터위로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또한 입력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고, 텍스트-기반 콘텐츠를 생성시키고, 그룹-기반 공통이서넷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전송하는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I2C 링크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의 디스플레이 버퍼로 릴레이시킬 수 있다. OSD 장치는 데이터 콘텐츠를 처리하고 그것을 들어오는 복합 영상으로 합병하여, VGA/TV 모니터위로 표시될 수 있는 오버레이 효과를 생성시킨다. OSD 장치는 또한 몇몇 데이터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데, 그 데이터 콘텐츠는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 또는 몇몇 팀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 과정으로 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 또는 자가진단의 결과이다.
만약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다면,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를 탐지하여, 기능중인 팀프로세서가 배치될 때까지 고장안전 그룹내의 모든 다른 팀프로세서를 검색할 것이다.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는 그후 입력 모듈로부터 생성된 사용자-대화를 처리할 수 있다.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하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공통 영상-전달 링크로부터 RF 영상 시그날을 수신하여 올바른 채널로 튜닝되도록 온보드 튜너를 제어한다.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이후 VGA/TV 모니터위로 표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완벽한 고장안전 성능이 설정될 수 있다. iPOP-RE 장치에는 VGA/TV-전환가능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장착되며, 주 팀프로세서의 VGA-기반 개별 영상-전달 링크가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주 팀프로세서가 고장이 난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를 VGA 모드에서 TV-기반 NTSC/PAL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새로이 배치된 팀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iPOP-RE 장치의 주요 기능들은 iPOP-R 장치와 동일하AU, 고객들에게 온라인 전자구매 성능을 제공한다. iPOP-RE 장치는 또한 공통 영상-전달 링크를 통하여 몇몇 영상 채널로부터 대화식 광고-기반 영상 또는 그래픽 페이지를 보여주는 대화식 광고 성능을 가진다. 스마트 카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대화식 광고-기반 E-Lead 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장치에 저장되어 이후 E-Lead 처리를 위해 대화식 광고-기반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8-팀프로세서 시스템에는 또한 8개의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휴대형 상용 PDA가 장착되어 있다. 각 휴대형 상용 PDA는 스마트 카드 도킹 스테이션과 이의 무선-링크된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에는 터치 스크린을 갖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 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및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와 같은 다수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주변장치들이 내장되어 있다. 각각의 도킹 스테이션은 유선/RFP-무선 영상-전달 링크와 무선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자체의 다수 링크 휴대형 장치와 통신한다. 이러한 특정의 상용 PDA는 대화식 휴대형-기반 PDA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하 iPOR-W라 칭하기로 한다.
도 4E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고장안전 다수 링크-기반 휴대형 iPOR-W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모든 대화식 및 비대화식 채널들을 액세스하기 위한 900MHz 무선 시리얼과 유선/RFP-무선 RF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스위치-개량 시리얼-기반 도킹 스테이션과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내장형 마이크로 콘트롤러 보드와 휴대형 장치를 하우징하기 위한 밀봉부를 포함하는데, 이에 따라 휴대형 장치가 저장, 로킹 및 장전될 수 있다. 내장형 마이크로 콘트롤러 보드에는 배터리 충전장치, 솔레노이드-기반 로킹장치, 스마트 카드 판독기, 및 여러개의 푸쉬버턴 제어라인을 갖춘 제어-기반 LCD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는 900MHz 무선 RS-232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모듈은 자체 지정된 휴대형 장치와 통신하고 그러한 특수 휴대 장치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대화를 이서넷을 사용하는 그룹-기반 공통 사용자-대화 링크를 통하여 자체 호스트 팀프로세서로 재전송한다. 또한, RF 시그날을 자체 지정된 휴대 장치로 릴레이시키기 위한 유선/RFP-무선 모듈이 징착되어 있다.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단말기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보드, 터치 스크린, 16“ NTSC 또는 PAL-기반 LCD 디스플레이, 유선/RFP-무선 모듈, 900MHz 무선 RS232 모듈, 튜너, OSD (온-스크린-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이어폰 잭, 냉각 팬, 장소의 입구와 인터페이스 하는 경보장치, 온도센서 및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인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와, 선택적인 코드리스 폰과 이의 핸드셋 로킹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휴대 장치의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생성된 모든 대화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이벤트 메시지를 무선 RS232를 통하여 자체 호스트 도킹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이벤트 메시지를 받아, 이서넷을사용하는 공통 그룹-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링크를 통하여 그 이벤트 메시지를 호스트 팀프로세서(주 또는 보조)로 재전송시킨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각각의 이벤트 메시지를 판독, 처리하고, 대화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그 콘텐츠는 프리셋 채널 번호를 갖는 RF 영상 시그날로 더욱 더 변조된다. 상기 호스트 팀프로세서는 프리셋 채널번호 정보를 도킹 스테이션의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할 것이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무선 RS232를 통하여 그 정보를 지정된 휴대 장치로 전송한다. 휴대 장치의 온보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그 정보를 수신 받아 내장형 I2C 튜너를 제어한다. 상기 튜너는 또한 유선/RFP-무선 연결을 통하여 RF 영상 시그날을 끊임없이 수신한다. 상기 튜너는 들어오는 영상을 복조시키고, 원하는 대화식 또는 비대화식 채널로 튜닝시키고, 복합 영상을 LCD 디스플레이 위로 표시한다. 복합 영상은 내장형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장치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 콘텐츠와 들어오는 영상의 조합이다. 자가진단 또는 사용자-대화로부터 유래된 메시지 콘텐츠는 OSD 장치의 디스플레이 버퍼로 전송될 수 있다. OSD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고 그것을 들어오는 영상과 합병하여, LCD 디스플레이 위로 표시될 수 있는 오버레이 효과를 생성시킨다. 더구나, iPOR-W 장치의 물리적 외형은 iPOR-C 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iPOR-W 장치의 주요 기능들은 iPOR-C 장치와 동일하다.
서로 다른 주처리장치와, 다수 링크 멀티플렉서 장치 및 상용 PDA로 다양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 후, 표준 WSA-기반 현장 전자구매 시스템이 도 5A에 요약될수 있다. 주처리장치에는 m-쌍 팀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가 장착되어 있는데,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복수의 다수 링크 멀티플렉서 장치를 통하여 복수의 다수 링크-기반 셋톱박스와 연결될 다수 링크들을 가진다. 각각의 다수 링크 셋톱박스는 많은 오프-더-셀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와, 블루투스-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와 특수목적의 고객-제작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데, 모든 장치들은 다수 링크 상용 PDA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WSA-기반 전자구매 시스템은, 1) m-쌍 WSA-기반 주처리장치와, 2) 다수개의 다수 링크 멀티플렉서 장치와, 3) 제 1 상용 PDA-1부터 마지막 상용 PDA-n까지의 복수개의 다수 링크 PDA를 포함한다. WSA는 상업적 장소내에서 맡겨진 임무에 적합하고 고도로 유용하며 규모의 조정이 가능한 주문형 대화식 멀티미디어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며, n개의 번호를 조정함으로써 각 장착된 상용 PDA에 대해 양질의 서비스(QoS)가 보장될 수 있다.
도 5B는 멀티-노드 서버 클러스터-기반 현장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고, 도 5C는 멀티-티어 서버 어레이-기반 현장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멀티-노드 서버 클러스터는 고장안전 동작에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단일의 응용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멀티-티어 서버 어레이들은 맡겨진 임무에 따른 동작에 FFHEM-밸런싱, 응용 및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다수의 응용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다이렉트-액세스 팀서버-기반 데이터베이스 처리 능력을 갖는 다수 링크 페일-오버 서버-쌍 팀프로세서를 포함하지는 않는데, 이에 따라 그들은 복수의 네트워크 링크를 통하여 다수의 PC-기반 셋톱박스 또는 그들의 동등대상과만 단지 링크할 수 있다. 만약m이 두개의 경우에 좀 더 큰 수가 된다면, 규모확장 능력은 문제점이 있을 것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기반 현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WSA-1부터 WSA-K까지 복수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로 이루어진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기반 주처리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보장된 양질의 서비스(QoS)를 갖춘 모든 장착된 상용 PDA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수는 증가될 수 있으며 제한없이 확장될 수 있다. 더구나,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 링크 및 S2 링크를 기반으로 할때, 모든 분배된 WSA-기반 데이터베이스가 모여서 하나의 작업집단 서버 클러스터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기능을 하게 되며, WSA-1에서의 제 1 상용 PDA-1부터 WSA-K에서의 마지막 상용 PDA-NK까지 거대한 개수의 상용 PDA에 대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또 다른 그룹의 특수목적용 다수 링크 상용 PDA를 기초로 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특수목적의 상용 PDA는 1) 대화식 광고-기반, 2) 대화식 지불-기반, 3) 주문형 콘텐츠-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A는 바람직한 무선 및 휴대형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즉 StorePDA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장치는 방문 고객들에게 현장에서의 대화식 광고-기반 전자구매 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6A는 UART-기반 RS232 포트를 갖춘 몇몇 다수 링크 셋톱박스에 부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의 StorePDA 트랜시버를 또한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상업적 장소내에 설치될 수 있는 바람직한 대화식 TV 디스플레이(iTVD)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방문고객에게 공중관람-기반 TV 상업광고를 제공하여 StorePDA를 이용한 후속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6C는 제작자의 작업영역내에 배치될 수 있는 바람직한 대화식 제작자의 전자상거래 서비스(iMEC)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방문 고객들이 제작자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만 관계된 개인관람-기반 TV 상업광고와 대화가능하게 해준다. iMEC 장치에는 아이템화된 전자 표식 및 광고를 위해 다수개의 특수목적용 매트릭스-기반 그래픽 모드 LCD가 장착되어 있다. 도 6D는 StorePDA 트랜시버가 부착된 바람직한 iPOS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는 StorePDA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StorePDA를 사용하여 iTVD 및 iMEC 상용 PDA에 인터페이스 하는 방법은 대화식 광고 및 중개 전자화폐-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방문 고객들이 공중관람 광고와 개인관람 광고에 반응하게 해준다. 만약 방문 고객이 iTVD상의 현재의 상업광고에 관심이 있다면, 그 고객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AD-0 버턴을 누를 수 있다. 만약 이전의 상업광고에 관심이 있다면, 그 고객은 AD-1 버턴을 누를 수 있다. StorePDA는 그날의 시간을 기록하고 iTVD용 E-Lead 데이터를 생성시키며, 그 StorePDA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iTVD와 직접 통신할 필요는 없다.
그 다음, 방문 고객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EC 키오스크와 다수의 부착된 iLCD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제작자의 작업지역으로 갈 수 있다. 그 고객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개인관람-기반 iMEC 키오스크 장치에 인터페이스하여 영상이 나와 있는 모든 광고 페이지들을 훑어볼 수 있다. 일단 관심이 있는 광고가 나타나면, 그 고객은 StorePDA를 iMEC 키오스크 장치의 수납부에 놓고,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트리거링하여 E-Lead 데이터를 무선 IR을 통하여 StorePDA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 고객은 또한 IR 버턴을 통하여 StorePDA를 트리거링하고, 관심있는 아이템을 보여주고 있는 하나의 iLCD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를 직접 겨냥한 다음, E-Lead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디지털-영상-기반 TV 상업광고를 구현하는 팀프로세서-기반 대화식 및 비대화식 TV 채널 프로세서가 장착되어 있는 주처리장치는 어느 제작자의 어느 TV 상업광고가 어느 시간 프레임에 방송되는지에 대한 E-Lead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작자 또는 광고주의 요청에 기초한 후속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생성시킬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주처리장치가 다수의 공중관람 iTVD 키오스크와 개인관람 iMEC 키오스크를 동시에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방법이 미합중국 특허 제 6,049,823호에 설명되어 있다.
방문 고객은 이후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은 iPOS 키오스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체크아웃 카운터로 갈 수 있다. 그 고객은 그 장치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거나 또는 마그네틱 멤버쉽 카드를 그 장치에 접촉시킬 것이다. 캐시어는 각 아이템에 대한 체크아웃 과정을 시작하여, StorePDA 트랜시버위에 StorePDA를 놓은 다음, 모든 E-Lead 데이터를 iPOS 장치로 다운로드하는데, 이에 따라 iMEC, iLCD 및 iTVD에 의해 모아진 E-Lead 데이터는 스마트 카드 또는 멤버쉽 카드로부터 나온 고객의 ID에 기초하여 처리될 수 있다.
iPOS 장치는 현장에서의 지불-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이다. 상기 장치에는 대화식 광고를 오른쪽에 나타내는 13“터치 스크린 LCD 및 스마트 카드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다. 그 고객은 관심있는 광고와 관련된 E-Lead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다. 상기 E-Lead 데이터는 사용가능한 전자쿠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쿠폰은 iPOS 장치를 통하여 이미 체크아웃된 아이템에 대하여 즉시 교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장치에는 POS 인터페이스 장치가 장착되는데, 이에 의해 고객은 아이템의 가격을 듣고, E-Wallet을 사용하여 전자지불하고, 거래시간동안 e-coupons, e-points 및 e-rebates와 같은 보상-기반 중개 전자화폐를 받을 수 있다.
도 6H는 상업적 장소내의 입구에 설치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iACT 키오스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iACT 장치는 대화식 광고-기반 상용 PDA로서 주문형 컨텐CM-기반 서비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는 스마트 카드 판독기, 프린터 및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마그네틱 카드 판독기가 장착되어 있다. 상점에 들어갈때, 고객은 스마트 카드를 스마트 카드 판독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마그네틱-테이프 카드 판독기를 통하여 마그네틱 테이프-기반 멤버쉽 카드 또는 다기능 스마트 카드를 접촉시키거나 흔들 수 있다. iACT 장치는 e-coupons, e-certificates와 같은 모든 유효한 중개 전자화폐를 갖는 고객들을 위해 상점내 관련 아이템의 위치를 알 수 있는 하드 카피를 출력할 것이다.
E-CommerceBoxes를 사용하는 스마트카드-기반 E-Wallet 및 고객의 개인 데이타베이스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후속 전자상거래-기반 전자구매서비스 뿐만 아니라, E-Lead 데이타 생성 및 처리, E-ADMail 및 중개 E-Currencies 생성 및 처리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출원인이 출원중인 "A SYSTE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SMART CARD-BASED E-COMMERCE SERVICES USING E-COMMERCE BOXES"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60/154.900호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설명된 모든 상용 PDA장치들은 휴대용 전화와 컴팩형 PDA와 같은 개인-기반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장치들은 멤버쉽 카드 ID#를 전송함으로써 iACT 키오스크 장치와 인터페이스 가능하며, 이에 따라 주문형 콘텐츠-기반 전자구매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장치들은 E-Lead 데이타를 다운로드함으로써 iTVD, iMEC, iLCD 키오스크 장치들과 또한 인터페이스 가능하며, 따라서 대화식 광고-기반 전자구매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블루투스 장치들은 멤버쉬 카드 ID#와 수집된 E-Lead 데이타를 전송함으로써 iPOS 키오스크 장치와 인터페이스 할수 있고, 따라서 중개 전자화폐가 상환 및 재발행되어 대화식 광고-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개인-기반 블루투스 장치들이 PKI 개인키와 패스워드-보호 E-Wallet을 동작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칩들로 강화된다면, 대화식 광고 및 보안/고장안전 대화식 다중지불과 같은 전술한 모든 스마트카드-기반 현장 전자구매 서비스는 개시된 상용 PDA 장치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OS-204)을 나타낸 도식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2-팀프로세서-기반 주처리장치, 주변장치 및 사용자-운용 상업 PDA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은 통상 소규모 설치장소중 하나로서 소매점에 적합하며, 동시에 4명까지의 고객을 서비스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화식 멀티미디어-기반 전자구매 시스템(OS-1224)을 나타낸 도식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12-팀프로세서-기반 주처리장치, 주변장치 및 사용자-운용 상업적 PDA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은 통상 중간규모의 설치장소중 하나로서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 적합하며, 동시에 24명까지의 고객들을 서비스한다.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업집단-서버 클러스터-기반 전자구매 시스템 (M10-OS1224)을 나타낸 도식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10개까지의 OS-1224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통상 대규모의 설치장소중 하나로서 호텔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며, 동시에 240명까지의 고객들을 서비스한다.
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규모 대화식 멀티미디어 전자구매 시스템 통합(M100-OS1224)을 나타낸 도식도로서, 이는 10개까지의 M10-OS1224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통합은 통상 초대규모 설치장소중 하나로서 극장 또는 경기장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며, 동시에 2,400명 까지의 고객들을 서비스한다. 좀 더 큰 규모의 용량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온라인 및 현장에서의 전자구매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대화식 광고-기반 거래가능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실시내용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Claims (22)

  1. 상업적 장소용 대화식 멀티미디어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서버와;
    상기 서버들을 입출력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장치와;
    영상/오디오 전달 및 사용자 대화식 링크, 멀티플 시리얼, 이서넷, 화이버 채널 및 파이어 와이어로 구성된 데이타 전송링크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데이타 전송링크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상업적 장소의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장치에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복수의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적 장소용 대화식 멀티미디어 거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형 무선 장치, 고객-기반 키오스크,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스마트카드-기반 판독장치, 및 고객-기반 고정기억형 PDA 장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 정보 판독기를 구비한 기억영역내 PDA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억영역내 휴대형 PDA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무선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오디오/영상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상업적 장소용 대화식 멀티미디어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작업집단 링크들에 의해 상호연결된 복수의 데이타베이스 서버 및 복수의 작업집단 프로세서와;
    고정 기억형 PDA와 휴대 기억형 PD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로컬 거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거래장치는 셋톱박스를 통하여 상기 작업집단 프로세서와 상기 데이타베이스 서버와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적 장소용 대화식 멀티미디어 거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거래장치는 휴대형 무선장치, 고객-기반 키오스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카드-기반 장치, 및 고객-기반 고정 기억형 PDA장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거래장치는 사용자 정보 판독기를 구비한 기억형 PDA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거래장치는 휴대식 기억형 PDA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거래장치는 무선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거래장치는 오디오/영상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상업적 장소에서 멀티미디어-기반, 다수 사용자 대화식 시스템으로 광고 콘텐츠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장소-기반 PDA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오디오/영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링크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PDA 장치와 상기 오디오/영상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서버에 상호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적 장소에서 멀티미디어-기반 다수의 사용자 대화식 시스템으로 광고 콘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14. 상업적 장소에서 멀티미디어-기반 다수 사용자 대화식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자화폐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장소-기반 PDA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대화식 포스 단말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데이타 전송링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타 전송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PDA 장치와 상기 대화식 포스 단말기를 상기 상업적 장소의 복수의 서버에 상호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적 장소에서 멀티미디어-기반 다수 사용자 대화식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자화폐를 처리하는 방법.
  15. 상업적 장소에서 멀티미디어-기반 다수 사용자 대화식 시스템으로 현장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장소-기반 PDA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PDA장치를 선택된 사용자 ID 입력에만 응답하도록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PDA장치를 상기 상업적 장소의 복수의 서버에 상호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적 장소에서 멀티미디어-기반 다수 사용자 대화식 시스템으로 현장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소-기반 PDA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용 PDA장치와 관련 셋톱박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PDA 장치를 상기 상업적 장소에서 복수의 서버에 상호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PDA장치와 상기 서버 사이에 복수의 데이타 전송링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복수의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현장에서의 전자구매용 처리장치에 있어서,
    그 각각이 복수의 서버 콘트롤러를 가지며 모두가 제 1 서버링크에 의해 서로서로에 연결되고 복수의 데이타베이스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다수-링크 프로세서를 구비한 서버 어레이와;
    그 각각이 부가적인 서버링크에 연결되고 페일-오버 프로세서쌍을 형성하는 파일상태 서버에 연결된 상기 프로세서의 각각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현장에서의 전자구매용 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운용 단말기는 대화식 광고 및 콘텐츠 트리거장치; 대화식 POS 장치; 대화식 POP 장치; 대화식 휴대장치; 및 대화식 오디오/영상 장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현장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대화식 광고 및 콘텐츠 트리거장치; 대화식 POS 장치; 대화식 POP 장치; 대화식 휴대장치; 및 대화식 오디오/영상 장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거래장치는 대화식 광고 및 콘텐츠 트리거장치; 대화식 POS 장치; 대화식 POP 장치; 대화식 휴대장치; 및 대화식 오디오/영상 장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주문형 콘텐츠 배달, 대화식 광고, 및 대화식 지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상의 현장에서의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 및 내장형 칩-기반 블루투스 무선장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ID 인증자원을 구비한 복수개의 현장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콘텐츠 배달, 대화식 광고, 및 대화식 지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상의 현장에서의 전자상거래 방법.
KR1020027006436A 1999-11-19 2000-11-20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를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55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54899P 1999-11-19 1999-11-19
US60/166,548 1999-11-19
PCT/US2000/031888 WO2001037109A1 (en) 1999-11-19 2000-11-20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n-site electronic purchasing using user-operated termi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597A true KR20020055597A (ko) 2002-07-09

Family

ID=2260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436A KR20020055597A (ko) 1999-11-19 2000-11-20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를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34243A1 (ko)
JP (1) JP2003515222A (ko)
KR (1) KR20020055597A (ko)
CN (1) CN1391675A (ko)
AU (1) AU1783101A (ko)
CA (1) CA2390521A1 (ko)
WO (1) WO200103710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30B1 (ko) * 2011-04-20 2011-06-13 이성진 리어 범퍼를 이용한 공기 저항 보조 제동 장치
WO2013162224A1 (ko) * 2012-04-23 2013-10-31 에이에스지코리아 주식회사 휴대형 pos 단말기를 이용하는 pos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40141358A (ko) 2023-03-20 2024-09-27 (주)크리플루아 유저의 현장 데이터의 실시간 기록을 이용한 주류 출하량 로딩 시스템
KR20240141359A (ko) 2023-03-20 2024-09-27 (주)크리플루아 현장 판촉활동 데이터 기반의 거점별 소비자 주류 피드백 애널라이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5532C (zh) * 2004-06-25 2008-11-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即时通信的方法及系统
CN103516752B (zh) * 2012-06-25 2017-03-15 3M创新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其执行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2724A (en) * 1987-10-14 1989-11-21 Leo Vela Shopper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es relating thereto
US5250789A (en) * 1991-10-31 1993-10-05 Johnsen Edward L Shopping cart
US5577121A (en) * 1994-06-09 1996-11-19 Electronic Payment Services, Inc. Transaction system for integrated circuit cards
US5630204A (en) * 1995-05-01 1997-05-13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Customer premise wireless distribution of broad band signals and two-way communication of control signals over power lines
US5979757A (en) * 1996-09-05 1999-11-09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tem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data terminal
US6016476A (en) * 1997-08-11 2000-0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an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biometric authorization and digital certificate security
US6134548A (en) * 1998-11-19 2000-10-17 Ac Properties B.V.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dvanced mobile bargain shopp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30B1 (ko) * 2011-04-20 2011-06-13 이성진 리어 범퍼를 이용한 공기 저항 보조 제동 장치
WO2013162224A1 (ko) * 2012-04-23 2013-10-31 에이에스지코리아 주식회사 휴대형 pos 단말기를 이용하는 pos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40141358A (ko) 2023-03-20 2024-09-27 (주)크리플루아 유저의 현장 데이터의 실시간 기록을 이용한 주류 출하량 로딩 시스템
KR20240141359A (ko) 2023-03-20 2024-09-27 (주)크리플루아 현장 판촉활동 데이터 기반의 거점별 소비자 주류 피드백 애널라이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5222A (ja) 2003-04-22
CA2390521A1 (en) 2001-05-25
WO2001037109A1 (en) 2001-05-25
EP1234243A1 (en) 2002-08-28
CN1391675A (zh) 2003-01-15
AU1783101A (en) 200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0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locating and/or upgrading and/or selling tickets, other event admittance means, goods and/or services
US70319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locating and/or upgrading and/or rewarding tickets, other event admittance means, goods and/or services
KR101113061B1 (ko) 다기능 텔레커뮤니케이션 장치
US7627647B2 (en) Information terminal
US75620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or transmitting and/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user for providing, for example, concessions, tournaments, competitions, matching, reallocating, upgrading, selling tickets, and other event admittance mean
US72809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or transmitting and/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user for providing, for example, concessions, tournaments, competitions, matching, reallocating, upgrading, selling tickets, other event admittance means, goods and/or services
US75653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or transmitting and/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user for providing, for example, concessions, tournaments, competitions, matching, reallocating, upgrading, selling tickets, and other event admittance means, goods and/or services
US201403642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for multiple networked users in a shared venue
US20010039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within public spaces
WO2002029665A1 (en) A system for interactive information display on a billboard
JP2000242708A (ja) 家庭用通信装置
JP2001074248A (ja) 家電制御装置及び家電制御方法
CN104299540A (zh) 广告互动播放系统及其广告机终端
WO2003021508A2 (en) Backend commerce engine
JP2008518520A (ja) 表示媒体の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ユーザ端末
KR20020055597A (ko) 사용자-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전자구매를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11598A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종합서비스 시스템
CN101504744A (zh) 一种便携式购物系统
EP122259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e-commerce services
US20050160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ata processing and storage
EP1282271A1 (en) Interactive information delivery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an interactiv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JP2009200603A (ja) 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ITCS20090005A1 (it) Apparato multifunzione di telecomunicazione
ITCS20080016A1 (it) Computer virtuale multifunzione di telecomunic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