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415A -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415A
KR20020055415A KR1020010085931A KR20010085931A KR20020055415A KR 20020055415 A KR20020055415 A KR 20020055415A KR 1020010085931 A KR1020010085931 A KR 1020010085931A KR 20010085931 A KR20010085931 A KR 20010085931A KR 20020055415 A KR20020055415 A KR 20020055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strap
hinge
electronic device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치가츠노부
데라사와다이
마츠모토노부히데
비토요시노리
이토다카시
하시모토하루오
오다기리히로시
Original Assignee
핫토리 쥰이치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핫토리 쥰이치,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핫토리 쥰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5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2C-spring-type bracelets or wrist-watch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10T24/4782Watch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착탈이 용이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본체와 경질재료의 스트랩으로 구성된다. 일방의 스트랩의 선단에는 수납부가 설치되고, 회동가능한 타방의 스트랩의 피수납부에 수납된다. 피수납부에는 로드부재가 관통하고 있고, 수납부의 소경 구멍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손목에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스트랩의 힌지에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고, 스트랩이 맞물리지 않는 한, 스트랩이 본체의 캐비넷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WRIST MOUNTING TYP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손목에 장착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8은, 종래의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110)의 장착부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110)는, 시계, 계산기, 통신기기 등을 전자회로로 구성하고, 손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화한 것이다. 이와 같은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110)는, 이것이 갖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본체(111)와,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체(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장착체(112)는, 본체(111)와 결합부에 갖는 힌지(113) 중심으로 회동하고, 손목에서 장착,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장착체(112)의 힌지(113)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손목으로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맞물림부(114)를 갖고 있다. 이 맞물림부(114)는, 개구가 좁은 삽입구(115)에, 탄성변형에 의해 폭 변화가 가능한 대략 체크 부호의 판금재(116)를 삽입하는 형태이다.
상기 대략 체크 부호의 판금재(116)는, 선단이 예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고, 삽입구(115)에 가압하면, 삽입구(115)의 개구벽을 따라, 상기 개구의 폭까지 탄성 축소 변형한다. 상기 대략 체크 부호의 판금재(116)는, 이 탄성 변형에 의해, 폭이 좁게 되고, 삽입구(115)를 통과한다. 통과한 후에는, 판금재(116)는 삽입구(115)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 원래 폭에 탄성 회복하고,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공간에는, 외부와 통하는 탈착창(117)이 설치되고, 이 탈착창(117)의 외부에서 상기 대략 체크 부호의 판금재(116)가 개구 폭과 동일 폭이 될 때까지 가압되면, 다시 장착체가 삽입구(115)에서 빠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자중을 이용하여 개폐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힌지의 위치가 적절치 않으면 개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인간의 손으로 장착체를 개폐하고, 손목에서 착탈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 이 장착체는, 손목 등으로 장착될 때에, 개방된 장착체가 요동되므로, 그위에 장착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장착체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도 요동하지 않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질재로 형성된 스트랩, 상기 스트랩과 본체의 캐비넷의 결합부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의 캐비넷에 대해 상기 스트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힌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된 푸시버튼, 및 상기 스트랩이 손목에 장착된 상태로 맞물리고, 상기 푸시 버튼에 의해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는 맞물림수단을 포함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본체와 스트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는, 경질재의 상기 스트랩을 손목 둘레에 장착하기 위한 맞물림수단을 갖는다. 상기 맞물림수단은 축 두께의 상이함을 이용하여 구멍에 축을 삽입하는 삽입 맞물림, 홈에 바이팅편을 고정하기 위한 오목 및 돌기 맞물림, 또는 래치에 의한 회동부를 고정하는 래치 맞물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맞물림 수단을 설치하는 위치는, 상기 본체의 캐비넷 단부 또는 스트랩의 결합부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캐비넷 단부에 설치된 푸시버튼은, 가압하면 상기 맞물림수단이 해제되도록 설치된다. 또, 푸시버튼이 설치되는 수는, 1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푸시버튼과 맞물림수단과의 연결은 상기 맞물림수단에 따라 기계적으로 삽입을 해제하고, 홈으로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거나 맞물림수단에 의해 래치가 해제될 수 있다. 맞물림수단이 해제될 때, 상기 스트랩이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힌지에 의해 개방되고,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으로 부터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선단에 수납부를 갖고, 본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스트랩, 그 선단에 상기 수납부에 의해 삽입되는 피수납부를 갖고,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스트랩, 및 상기 피수납부에 상기 수납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피수납부를 해제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의 적어도 일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스트랩을 스프링으로 가압시키는 것에 의해, 스트랩을 손목에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외형의 내측에 설치된 홈과, 이 홈의 종단에 상기 홈 보다 큰 구멍을 가지며, 상기 피수납부에는 테이퍼 형상의 축을 갖는 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축은 구멍의 중앙과 동축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수납부의 구멍과 버튼의 축이 맞물리는 것에 의해, 버튼을 가압하면 구멍보다 작은 축 반경을 갖는 축 부분이 구멍에서 이동되어, 수납부와 피수납부가 해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손목에서 해제할 수 있다.
또,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는 힌지에 결합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상기 힌지와 반대측 엣지부를 갖는 평탄부를 구성하고, 소경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엣지부에서 상기 소경 구멍에 소통하는 홈을 갖는 수납부, 캐비넷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보다 다소 큰 슬롯부를 갖는 피수납부, 및 상기 피수납부에 부착된 푸시버튼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구멍과 거의 동일 직경의 축(A)과 상기 홈보다 작은 폭을 직경을 갖는 축(B)을 상기 푸시버튼측에 직경이 작게 되는 테이퍼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 부분이 노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될 때에는, 상기 맞물림 슬롯에 축(B)이 노출하는 로드부재를 구비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스트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캐비넷측에, 타단을 스트랩에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판스프링의 단부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스트랩이 맞물리는 한, 스트랩은 본체 캐비넷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삽입부의 평탄부에 갖는 홈은, 상기 홈보다도 폭이 작은 반경을 갖는 바아부재를 통과시킨다. 통과시킨후, 바아부재의 반경이 증가되므로 상기 홈에서 역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에 바아부재는 상기 홈에 소통하는 소경 구멍에 정체한다.
상기 수납부는 푸시버튼에서 연장되는 바아부재가 노출되는 피수납부의 슬롯부에 삽입된다. 푸시버튼이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바아부재는, 상기 슬롯에 축(A)과 상기 테이퍼 부분이 노출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유지된다. 또,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될 때,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슬롯에 축(B)을 노출시킨다.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부는, 상기 테이퍼부분에 접촉할 때에, 바아부재를 스프링으로 가압시켜, 축(B)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홈을 통과시킨다. 통과한 후, 스프링에 의해 바아부재가 복귀되고, 축(A)이 상기 소경구멍에 고정되고, 삽입부가 슬롯부에서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수납부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부의 일 단부에 상기 스트랩(C)과 반대측 힌지를 통해 결합된 스트랩(D)에 설치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양측에 스트랩(C) 및 (D)가 힌지를 통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D)에 피수납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스트랩(D)이 서로에 맞물리게 된다. 맞물림이 해제될 때, 상기 본체 양측에 스트랩(C) 및 (D)을 개방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일방의 면(E)에 평면과 곡면을 조합하여, 타방의 면(F)에 스프링에 의해 직선 이동하고, 상기 면(E)을 가압하는 가압핀을 설치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면(F)에 설치되고, 직선 이동하는 가압핀은, 힌지의 반대측의 면이 되는 면(E)이 곡면이면, 견고하게 되지 않고 회동을 원활하게 하고, 자유로운 움직임을 방지한다. 또, 면(E)이 평면이면, 그 각도에서 힌지에 결합하는 스트랩이 회전하게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해 스트랩은, 편리한 위치에 안착하기가 좋아진다.
또,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힌지에 연결된 스트랩, 상기 힌지를 구성하는 일 힌지편에 설치된 구멍(A)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개구측에 가압한 래치, 상기 구멍(A)에 대면하는 힌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래치가 고정되는 구멍(B), 캐비넷 표면으로 돌출하는 푸시버튼과 일체화하고, 상기 구멍(B)의 하부 부근에서 개구부까지 상하 이동가능하고, 또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되지 않을 때, 스프링에 의해 하부 부근에 유지되는 푸시아웃 바(push out bar)를포함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스트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캐비넷측에, 타단을 스트랩에 설치할 수도 있고, 판스프링의 단부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스트랩이 맞물리는 동안, 스트랩은 본체 캐비넷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힌지는 2개의 힌지편을 회동 쌍을 구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구멍(A)의 개구측에 가압되는 래치가 구멍(B)에 고정시, 스트랩이 고정된다. 푸시아웃 바아는, 구멍(B)에 고정된 래치를 압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푸시아웃 바아가 구멍(B)에서 압출되면, 스트랩은 회동가능하고,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의해 캐비넷 본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스트랩은 1개이어도 좋고, 2개이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회동중, 축부와 상기 축부를 덮는 커버부가 슬라이드하는 구조를 갖는 힌지에 결합하는 스트랩, 상기 축부의 일부에 설치된 홈, 및 상기 커버부 표면과 상기 축부를 소통하는 창(窓)부에 힌지를 지점으로 시소(seesaw) 형상으로 설치되고, 돌기가 상기 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에, 상기 돌기와 반대측의 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맞물림이 해제되는 바이트 바아(bite bar)를 포함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는, 2개의 힌지편이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회동하는 구조에는, 오목 및 돌기 결합 또는 축부와 이를 덮는 커버부와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 표면에는 창부가 설치되고, 이로부터 상기축부가 노출된다. 바이트 바아는 이 창부에 설치되고, 돌기가 축부의 홈에 맞물리는 방향에 스프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축부에 홈이 없을 때에는, 돌기가 맞물리지 않고, 힌지의 회동은 자유롭게 된다. 스트랩이 회동하고, 창부에 홈이 노출하는 각도로 될 때에 상기 바이트 바아의 돌기는 홈에 맞물리고, 스트랩의 회동이 고정된다.
바이트 바아의 돌기와 대향하는 측면에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바이트 바아는 힌지를 지점으로 시소 형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돌기가 홈에서 해제되고, 스트랩의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스트랩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회동이 자유롭게 되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바이트 바아가 설치되는 창부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캐비넷일 될 수 있고, 스트랩부이어도 된다.
다음에,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는 힌지에 결합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을 구성하는 돌기부의 내부구멍에 상기 내부 구멍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도약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또 상기 내부 구멍 형상과의 조합으로 회동을 속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부와 회동을 함께 하고, 또, 상기 스트랩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오목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동일 방향으로 되는 것이 하나의 각도로 구성하는 측면 형상을 갖는 래치, 상기 힌지의 오목부에 설치된 내부 구멍 형상과 조합에 의해 회동으로 속박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하나의 각도를 구성할 때 래치에 고정된 측면 형상을 갖는 래치 수납부, 및 일체화하는 축이 상기 래치 수납부를 관통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고정된 상기 래치를 상기 볼록부 내부 구멍까지 복귀하도록 가압하는 동시에, 오목부 측면에서 탈락하지 않고 해제하지 않도록 돌출하는 푸시버튼을 갖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힌지를 구성하는 돌출부의 내부 구멍에 설치된다. 이 내부구멍은 단순한 원통 공동으로 구성되지 않고, 홈이나 돌기를 형성된다. 상기 래치는, 회동을 속박하고, 상기 돌출부와 회동을 함께 한다. 또, 상기 래치는, 상기 내부 구멍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도약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가압된다. 한편, 래치 수납부는, 래치와 동일하게, 상기 힌지의 오목부에 설치하는 내부 구멍 형상과의 조합으로 회동을 속박한다. 래치는, 상기 스트랩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오목부측을 기준으로 할 때에, 동일 방향으로 되는 것이 하나의 각도로만 되지 않는 측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소망의 각도로 래치가 고정되도록 래치 수납부의 측면 형상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이 실행될 때, 그 각도에서 스트랩이 고정된다. 푸시버튼과 일체화하는 축은, 상기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고정된 상기 래치를 상기 볼록부 내부 구멍까지 복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래치가 내부 구멍까지 놓이면, 힌지 자체는 스프링으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스트랩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캐비넷에 대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푸시버튼은, 오목부 측면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플랜지를 설치하거나, 축을 래치 수납부에 로크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래치는, 원통형 축의 일방의 단부에 2면 폭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반대측 단부에 직선 홈을 조각하고, 상기 래치 수납부는 상기 직선 홈에 고정된 2면 폭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키이와 일체화하고 상기 오목부 내부 구멍 내면에 맞물리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원통축의 일방의 단부에 2면 폭부를 설치하고, 이것이 고정가능하게 되는 형상을 내부 구멍이 가지면, 래치는, 힌지의 볼록부와 회동을 함께 한다.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스트랩은 적어도 120도 이하의 회동으로 그 역할을 다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트랩 또는 힌지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래치의 단부에 조각하는 직선 홈은, 상기 힌지의 오목부측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이 되는 것이 하나의 각도만 되는 형상을 이룬다.(180도 회전하여 처음과 동일 방향으로 구성된다.)
래치 수납부는, 상기 직선 홈에 고정하는 2면폭부를 설치한다. 이 고정에 의해, 래치는 내부 구멍에서 도약한다. 래치 수납부는, 키이를 일체화하여 상기 오목부 내부 구멍 내면에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고정된 래치도 회동을 속박하고, 고정된다. 래치가 고정되면, 이면폭에 의해 고정 상태인 힌지도 고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캐비넷 내부에 부착되고,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와 스트랩이 결합된 힌지의 일편에 연결하는 축을 갖는 모터, 상기 힌지를 소망의 각도로 고정하는 힌지고정수단, 및 상기 힌지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모터의 스위치로서도 기능하는 푸시버튼을 갖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푸시버튼은, 모터의 스위치를 구성하기 때문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킨다. 힌지고정수단은, 홈에 바이팅편을 고정하는 오목 및 돌기 맞물림, 회동부를 래치로 고정하는 래치 맞물림, 또는 모터의 축에 부착하는 치차에 로크하는 맞물림으로 실현한다. 푸시버튼은, 이들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동시에, 모터를 회전시킨다. 모터가 회전하면, 그 회전은, 축을 통해 힌지에 전달되고, 스트랩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착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수납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피수납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로서, 도 3a는 푸시버튼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푸시버튼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수납부와 피수납부가 서로 맞물리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와 스트랩을 결합하는 힌지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외관도로서, 도 5a는 일방의 힌지 배면측을 도시하는 외관도이고, 도 5b는 타방의 힌지 배면측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및 힌지를 도시하는 측방단면도로서, 도 6a는 전자기기 전체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힌지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체측 힌지편에 천공된 구멍을 도시하는 확대도로서, 도 7a는 힌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7b는 힌지가 고정된 상태를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9는 힌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상하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스트랩측 힌지편을 도시하는 상하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케이스 배면을 도시하는 상하부 평면도 등이다.
도 12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측 힌지편을 도시하는 상하부 평면도 등이다.
도 13은 상하 분할한 스트랩의 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힌지부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5는 힌지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 5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17은 모터 구동방식의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51, 78, 90, 103 : 본체
2, 3, 32, 33, 52, 79, 91. 104, 105 : 스트랩
4, 34, 38, 48, 50, 106, 113 : 힌지
6 : 수납부7 : 피수납부
12, 49, 71, 98, 108 : 푸시버튼
13 : 로드부재19, 45, 74, 75 : 코일스프링
22 : 가압핀42, 63 : 래치핀
56 : 바이트 바아(bite bar)
64 : 이면폭65, 66 : 직선 홈
68 : 래치 수납부69 : 키이
92 : 모터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대략 L자 형으로 절곡된 본체(1)와 경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트랩(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면에서, 본체(1)의 양측에 2편의 스트랩(2)(3)이, 힌지(4)(5)에 의해 결합되어 있지만, 1편의 형태나, 다편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일방의 스트랩(2)의 선단에는 삽입부(6)가 설치되고, 회동가능한 타방의 스트랩(3)의 피수납부(7)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맞물린다. 이에 의해, 손목에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삽입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삽입부(6)는 평탄 형상으로, 그 중앙 부근에 소경 구멍(8)이 천공되어 있다. 선단의 테두리(9)에서 소경 구멍(8)까지는, 상기 소경구멍(8)보다도 작은 폭으로 소통하는 홈(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 소경구멍의 천공위치는 상기 도면과 같이 중앙 부근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 소경구멍의 천공되는 수는 1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삽입부(6)를 형성하는 부품이 스트랩의 가운데까지 연장되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반드시 연장될 필요는 없고, 스트랩의 선단에 삽입부(6)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피수납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푸시버튼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로서, 도 3a는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피수납부(7)는, 수납부보다도 약간 높은 슬롯부(11)를 갖고 있다. 슬롯부(11)의 내부에는 푸시버튼(12)으로 연장되는 로드부재(13)가 관통하고 있다. 또, 여기서는, 피수납부(7)가 스트랩(3)의 캐비넷에 설치되어 있지만,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캐비넷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로드부재(13)는, 수납부의 소경구멍과 거의 동일 반경인 축부(14)와, 상기 소경구멍에 소통하는 홈 보다도 작은 폭을 직경으로 한 축부(15)와 푸시버튼(12)측에 반경이 작게 되는 테이퍼(16)로 연결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푸시버튼(12)이 가압되지 않을 때에는, 슬롯부(11)에 축부(14)와 테이퍼(16)가 노출되도록, 스프링(17)에 의해 유지되고, 푸시버튼(12)이 가압될 때에는, 슬롯부(11)에 축부(15)가 노출한다. 또, 로드부재(13)는 푸시버튼(12)측에서 빠지지 않도록 슬롯부(11) 내부의 축부(15)에 록킹 링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수납부와 피수납부가 맞물리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삽입부(6)가 피수납부(7)의 슬롯부에 수납되면, 삽입부(6)의 테두리부가 로드부재(13)의 테이퍼에 접촉하고, 로드부재(13) 자체가 가압될 수있다. 그리고, 삽입부(6)의 평탄부에 갖는 홈은, 상기 홈보다도 폭이 작은 반경을 갖는 로드부재를 통과시킨다. 통과된 후, 로드부재는,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삽입부(6)의 소경구멍에 관통하는 로드부재의 반경이 크게 되어 홈에서 역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에 로드부재는 소경구멍에 유지한다.
도 5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와 스트랩을 결합하는 힌지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5a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와 스트랩을 갖는 스트랩과의 결합부인 힌지를 도시하는 외관도이고, 도 5b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와 피수납부를 갖는 스트랩과의 결합부인 힌지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를 갖는 스트랩(2)의 힌지(4)에는, 코일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9)의 양단에 있는 돌출부(20, 21)를, 각각 스트랩(2)과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1)에 접한다. 이에 의해, 스트랩(2)이 맞물리지 않는 동안, 스트랩(2)은 본체(1) 캐비넷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스트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서는, 판스프링의 단부를 동일하게 하여도 좋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1)와 스트랩(3)을 결합하는 힌지(5)에는, 코일스프링을 부착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힌지(5)를 형성하는 일방의 면(23)에는 평면과 곡면이 조합되고, 타방의 면(24)에는 스프링에 의해 직선 이동하고, 면(23)을 가압하는 가압핀(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핀(22)은, 면(23)이 곡면이면, 견고하지 않게 회동을 원활히 하고, 자유로운 움직임을 방지한다.
또, 면(23)이 평면이면, 그 각도에서 힌지(5)에 결합하는 스트랩(3)이 회전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해 스트랩은, 편리한 위치에서 잘 안정된다. 또, 자유로운 움직임을 방지하고, 회동을 원활히 하는 관점에서, 도 5a에 도시한 힌지(4)에 가압핀(2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착탈이 한 손으로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푸시버튼에 의해 수납부와 피수납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스트랩이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서 분리할 수 있다.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통신기능을 갖는 등, 그 기능에 의해, 손목에서 신속하게 착탈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경우에 본 발명은 굉장히 편리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랩이 경질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손목으로 장착도 극히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수납부와 피수납부의 조합에 의해 스트랩이 맞물리기 때문에, 용이하게 맞물림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그 취급도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는, 스트랩이 2 파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맞물림이 분리될 때에, 본체 양측에 스트랩(C) 및 (D)을 개방한 상태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랩(C) 및 (D)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 사이의 길이의 유사성으로부터, 손목에 장착시와 귀와 입 사이에 접촉시 양자의 모드에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쉽게 된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및 힌지를 도시하는 측방단면도로서, 도 6a는 전자기기 전체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힌지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30)는 본체(31)와 2편의 스트랩(32)(33)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 지면(紙面)을 향해 좌측의 스트랩(32)은 닫힌 상태, 우측의 스트랩(33)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31)와 스트랩(32)(33)은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스트랩(32)(33)측의 힌지편(34)(35) 표면에는, 구멍(36)(37)이 반경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상기 구멍(36)(37)에 대면하는 힌지편(38)(39)에도, 구멍(40)(41)이 설치된다. 힌지의 기구는 좌우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편의상, 좌측의 힌지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측에 힌지편(34)의 구멍(36)에는, 스프링으로 개구측에 가압된 래치핀(42)이 수납된다. 스트랩(32)의 회동, 즉 힌지편(34)의 회동에 의해, 구멍(36)에도 회동한다. 그리고, 구멍(36)이 대면하는 힌지편(38)의 구멍(40)과 서로 대향할 때에, 래치핀(42)이 대향하는 구멍(4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힌지편(34)과, 이와 일체의 스트랩(32)이 고정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편(34)(38)은, 스프링 바아(43)와 고정나사(44)에 의해 회동 대향 쌍으로 연결된다. 스프링바아(43)에는, 코일스프링(45)이 관통하고, 그 양단 돌출부(46)(47)가 각각의 힌지편(34)(38)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힌지편(34)(38)은 스트랩이 개방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또, 스트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은, 판스프링이어도 좋다.
도 7은, 본체측 힌지편에 천공되는 구멍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a는, 힌지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7b는 힌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33)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래치핀(42)은, 대면하는 힌지편(39)이 장해가 되고, 구멍(37)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도 7b에서, 래치핀(42)은 구멍(40)에 고정되고, 개방하고자 하는 스트랩(32)의 힘에 의해, 구멍(40)의 일측벽에 래치핀(42)을 가압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트랩(32)은,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
또, 푸시아웃 바아(48)는, 상하운동을 하고, 구멍(40)(41)에 고정된 래치핀(42)을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푸시버튼(49)과 일체화된다. 래치핀(42)이 구멍(40) 또는 (42)에서 가압되면, 스트랩(32) 또는 (33)은 회동가능하게 되고,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의해 캐비넷 본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스트랩은 1개 이어도 좋고, 2개 이어도 좋다. 푸시아웃 바아(48)의 선단에 큰 단면적의 플레이트(P)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푸시버튼(49)은, 스프링에 의해 본체 외측을 향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가압되면 가압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푸시버튼에 의해 래치와 구멍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고, 스트랩이 개방상태를 유지하므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서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시, 힌지에 설치된 구멍과 래치로 스트랩을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위치와 상태를 별다른 신경없이 스트랩을 손목에서 간단히 가압할 수 있다. 또, 스트랩을 2개 구비하면, 각각의 스트랩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 사이의 거리 사이의 유사성으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 장착시와 귀와 입에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놓는 두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2개의 힌지편이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 구조에는, 오목부와 돌기 고정이나, 회동축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축부와 이를 덮는 커버부와의 슬라이드 구조가 열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적어도 후자의 구조를 갖는 힌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도면에서, 힌지(50)가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51)에서 분리되어 부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축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50)는, 반드시 본체(51)와 스트랩을 결합하고 있다.
스트랩(52)은 상하로 분할 가능하고, 힌지의 축방향으로 길다란 축부(53)를 덮도록 커버하는 커버부(54)를 갖고 있다. 이 커버부(54) 표면에는 창부(55)가 설치되고, 이로부터 축부(53)가 노출된다. 바이트 바아(56)는 이 창부(55)에 설치되고, 돌기(57)가 축부(53)의 홈(58)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스프링(59)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창부(55)에서 노출하는 축부(53)에 홈(58)이 없을 때는, 돌기(57)가 맞물리지 않고, 힌지의 회동은 자유롭게 된다. 스트랩(52)이 회동하고, 창부(55)에홈(58)이 노출하는 각도로 될 때에 상기 바이트 바아(56)의 돌기는 홈(58)에 맞물리고, 스트랩(52)의 회동이 고정된다.
바이트 바아(56)의 돌기(57)는 반대측의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바이트 바아(56)는 핀을 지점으로 시소(seesaw) 형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돌기(57)가 홈에서 해제되고, 스트랩(52)의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스트랩(52)은, 스프링에 의해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회동이 자유롭게 되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본체(51)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바이트 바아(56)가 설치되는 창부(55)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51)의 캐비넷이어도 좋고, 스트랩(52)이어도 좋다.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스프링의 부착은, 실시 형태 1 또는 2와 동일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힌지부는 복잡하게 되기 쉽기 때문에, 실시하고, 참고가 되는 각 부품을 도시하는 개략도를 여기서 도시한다. 도 9는, 힌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상하부 평면도이다. 힌지편은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돌기에 의해 고정되지만, 이들 중 중앙의 고정부는 축부를 형성한다. 축부의 상대측은, 이를 덮는 커버부를 형성한다. 바이트 바아(57)는, 스트랩을 관통하는 관통핀을 지점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스트랩측 힌지편을 도시하는 상하부 평면도이다. 커버부는, 축부의 상반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에는 창부(55)가 부착되어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케이스 배면을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하부 평면도, 측면도, B-B 단면도, 및 C-C 단면도이다. 단면이 반원형의 돌기부에 끼워지고, 동일한 단면이 반원형인 축부는 본체측의 축부와 결합하여, 원통형의 축부가 된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측 힌지편을 도시하는 상부 평면도, 하부 평면도, 측면도, 및 각 기준간의 단면도이다. 본체측 힌지편은, 도 11의 상측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축부에는 바이트 바아가 맞물리는 바이트 홈(5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상하 분할한 스트랩의 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 하부는 축부를 덮고, 외관상, 매끄러운 곡면처럼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바이트 바아의 돌기는 반대측의 단부를 가압하면, 간단히 스트랩의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스트랩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회동이 자유롭게 되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목에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시, 힌지에 설치되어 있는 홈과 바이트 바아에 의해 장착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바이트 위치와 상태를 신경쓰지 않고, 간단히 스트랩을 손목에 가압할 수 있다. 또, 스트랩을 2개 구비하면, 각각의 스트랩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과의 거리의 유사성에서, 손목에 장착시와 귀와 입과의 접촉시 양 모드에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가 구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4는,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힌지부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힌지는, 오목부와 돌기부를 갖는 2편의 힌지편(60)(6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측 힌지편(60)의 내부 구멍(62)에는, 래치(63)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축인 래치(63)의 단부에는, 2면 폭부(64)가 설치되고, 내부 구멍(62) 내부의 직선 홈(65)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래치(63)는, 내부 구멍(62) 내에서의 회동을 속박하고, 상기 오목부측 힌지편(60)과 돌기부측에서 회동을 동시에 한다. 또, 래치(63)는, 개구측으로 도약하는 방향으로 구멍(62)의 내측에 의해 스프링으로 가압되고, 래치(63)에서 돌출하는 방향의 단부에는 직선 홈(66)이 조각된다.
오목부측 힌지편(61)에서 회동축방향으로 천공된 내부 구멍(67)에는, 래치 수납부(68)가 내장된다. 이 래치 수납부(68)는 키이(69)와 일체화되고, 이 키이는 상기 내부 구멍(67)의 키이 홈(70)과 맞물린다. 이에 의해, 래치 수납부(68)는, 내부 구멍(67)에서 회동이 속박되고, 오목부측 힌지편(61)과 일체화한다. 또, 래치 수납부(68)는, 상기 직선 홈(66)에 고정하는 2면 폭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측 힌지편(60)과 함께 회동하는 래치(63)의 직선 홈(66)과 래치 수납부의 2면 폭부가 서로 일치할 때에 래치(63)는 내부 구멍 측면 부근에서 축방향으로 도약하고, 래치 수납부(68)에 고정한다. 이 고정에 의해 힌지가 고정될 수 있다.
오목부측의 힌지편(61)에 삽입되는 푸시버튼(71)은, 래치 수납부(68)에 천공된 구멍(72)을 관통하고, 반대측에 로크 링(73)으로 맞물린다. 이 푸시버튼(71)은, 고정된 래치(63)를 돌기측 내부 구멍(52)방향으로 복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코일스프링(74)이 푸시버튼(71)과 래치 수납부(68) 사이에 개재되면, 푸시버튼(71)은 항상 가압되어 가압이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일측 스트랩에 관해서 고려한 경우, 스트랩은, 적어도 120도 이하의 회동으로 그 역할을 다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트랩 또는 힌지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래치(63)의 단부에 조각하는 직선 홈(66)은, 상기 힌지의 오목부측을 기준으로서, 동일 방향에 의해서만 동일 방향을 구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180도 회전하여 동일 방향으로 된다.) 이에 의해, 스트랩은 일정 각도에서만 고정된다. 이 고정되는 각도가 사용자의 손목 크기에 적합하지 않을 때, 그 상태와 스트랩이 스프링에 의해 최대로 개방된 상태와 2 지점에서 스트랩은 고정된다.
또, 여기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측의 힌지편(61)을 오목부측에 설치하고, 스트랩측의 힌지편(60)을 돌기측에 설치하였다. 이들을 서로 반대로 하여도 푸시버튼의 위치가 스트랩측에만 놓이고 원리적으로 차이점은 없다. 게다가, 푸시버튼(71)은, 본체 또는 스트랩의 측면의, 좌우 측면 중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5는, 힌지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의 돌기측과 오목부측은, 회동축 핀(74)과 돌기측에서 약간 도약한 래치(63)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회동축 핀(74)에는, 코일스프링(75)이 통과하고, 코일스프링(75)의 양 단에 설치된 돌출부(76)(77)는, 각각 본체(78), 스트랩(79)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체(78)와 스트랩(79)은, 항상 개방하도록 가압될 수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힌지의 돌기부와 오목부의 래치 맞물림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이 해제되면, 힌지 자체는 스프링에 의해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에 결합되는 스트랩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캐비넷에 대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즉석에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서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시, 힌지의 내부 구멍에 설치될 수 있는 래치와 래치 수납부로 장착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내부에 발생하는 래치 고정 상태를 별 어려움 없이, 간단히 스트랩을 손목에 가압할 수 있다.
또, 스트랩을 2개 구비하면, 각각의 밴드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가 통신기능을 가질 때,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과의 거리의 유사성에서, 손목에 장착시와 귀와 입과의 접촉시 양 모드에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가 구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6은 본 실시 형태 5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90)와 스트랩(91)을 결합하는 힌지를 그 중심에 도시하고 있다. 본체(90)의 캐비넷 내부에는, 모터(92)가 부착되어 있다. 모터(92)의 축(93)에는 피니언(94)이 설치되고, 모터(92)의 회전은, 감속기(95)를 통해 스트랩측 힌지편(96)에 전달된다. 피니언(94)에는 치 로크 갈고리(teeth lock claw, 97)가 맞물린다. 이 치 로크 갈고리(97)는, 이동가능하고, 푸시버튼(98)의 가압에 의해, 모터(92) 축(93)의 축방향으로 탈출할 수 있다. 푸시버튼(98)의 가압이 제거되면, 스프링(99)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갈고리(97)가 복귀한다.
또, 푸시버튼(98)은, 전기접점(100)을 갖고, 모터(92)의 스위치도 겸하고 있다. 따라서, 푸시버튼(98)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피니언의 치차 록킹이 해제되고 모터가 회전될 수 있다. 또, 감속기(95)는, 모터 회전수, 토오크를 조정하기 위해서 설치한 것으로서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스트랩측 힌지편(96)에 고정하는 축(101)은 회전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면을 다각형으로 하거나, 키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터(92)의 회전을 록킹하는 방법은 다양하고, 양 방향의 록킹을 하는 형태나 일측면 회전만으로 역전을 방지하는 형태가 있다. 예컨대, 힌지를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록킹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용도에 대응하여 적당한 형태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모터 구동방식의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102)는, 본체(103)와 2편의 스트랩(104)(105)이 힌지(106)(107)를 통해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 도면에서, 푸시버튼(108)이 측면에 1개 설치되어 있다. 푸시버튼(108)은, 이와 같이 1개로 좌우의 스트랩(104)(105)의 회동을 지배하여도 좋다. 각각의 스트랩(104)(105)용으로 2개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5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푸시버튼에 의해, 힌지편이 회동하고, 스트랩이 개폐하기 때문에,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손목으로 탈착이 용이하게 된다. 손목장착용 전자기기가 통신기능을 갖는 경우로서 착신이 있을 때, 전자기기를 모두 손으로 잡거나, 귀에 놓일 필요가 발생한다는 것도 상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손목에서 착탈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 특히 유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푸시버튼에 의해 맞물림 수단의 맞물림이 푸시버튼에 의해 해제되고 스트랩은 개방상태가 되므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손목에서 신속하게 해제될 수 있다.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통신 기능을 갖는 경우, 통신기능과 같이, 손목에서 신속하게 착탈하고, 이 경우 본 발명은 극히 편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스트랩은 경질재로 형성되므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손목에 매우 용이하게 장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수납부와 피수납부 사이의 맞물림은 푸시버튼에 의해 해제되고, 스트립은 개방상태가 되므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손목에서 신속하게 해제될 수 있다.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통신 기능을 갖는 경우, 손목에서 신속하게 착탈하고, 이 경우 본 발명은 극히 편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스트랩은 경질재로 형성되므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손목에 매우 용이하게 장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스트랩은 수납부와 피수납부의 결합에 의해 맞물리므로, 맞물림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수납부와 피수납부 사이의 맞물림은 푸시버튼에 의해 해제되고, 스트립은 개방상태가 되므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손목에서 신속하게 해제될 수 있다.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는, 손목에서 신속하게 착탈하고, 통신 기능을 갖는 경우, 귀와 입에 고정되는 두 가지 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맞물림이 해제될 때, 본체 양측에 스트랩(C) 및 (D) 를 개방한 상태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랩(C) 및 (D)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의 길이의 유사성에서, 손목에 장착할 때 귀와 입에 접촉할 때와의 양 모드에서 손목장착용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쉽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효과를 달성하면서, 또한, 힌지의 양측에 위치하는 캐비넷 또는 스트랩의 회동을 안정화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스트랩의 각도를 맞물리기 쉬운 각도로 체결하고 스트랩의 양호하게 안정된다. 이에 의해, 손목장착용 전자기기를 한 손으로 탈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푸시버튼에 의해 래치와 구멍(B)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스트랩은 개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서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할 때, 힌지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과 래치로 장착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위치와 상태를 가볍게, 간단힌 스트랩을 손목에 가압할 수 있다. 또, 스트랩을 2개 구비하면, 각각의 스트랩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과의 거리 유사성에서, 손목에 장착할 때와 귀와 입이 접촉할 때의 양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가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바이트 바아의 돌기는 반대측의 단부를 가압하면, 간단히 스트랩의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스트랩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회동이 자유로우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즉석에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서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시, 힌지에 설치된 홈과 바이트 바아로 장착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내부에서 돌출하는 래치 고정의 상태를 가볍게, 간단히 스트랩을 손목에 접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게다가, 스트랩을 2개 구비하면, 각각의 스트랩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과의 거리의 유사성에서, 손목에 장착시와 귀와 입에 접촉할 때의 양방의 모드에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가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힌지의 돌기부와 오목부의 래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맞물림이 해제되면, 힌지 자체는 스프링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에 결합되는 스트랩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캐비넷에 대해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즉석에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서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시, 힌지에 설치된 홈과 바이트 바아로 장착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내부에서 돌출하는 래치 고정의 상태를 가볍게, 간단히 스트랩을 손목에 접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게다가, 스트랩을 2개 구비하면, 각각의 스트랩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손목 둘레 길이와, 귀와 입과의 거리의 유사성에서, 손목에 장착시와 귀와 입에 접촉할 때의 양방의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가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래치가, 원통축의 일방의 단부에 2면 폭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반대측 단부에 직선 홈이 조각되고, 상기 래치 수납부가 상기 직선 홈에 고정하는 2면 폭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키이 홈과 일체화하여 상기 오목부 내부 구멍 내면에 맞물리기 때문에, 힌지편이 서로에 대해 소망 각도로 구성될때에만 래치 수납부에 래치가 고정될 수 있다. 래치의 위치가 고정되면, 힌지의 위치도 고정되고, 또 스트랩의 위치도 고정된다. 스트랩의 위치가 고정되면,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 장착·유지할 수 있다. 또, 직선 홈과 2면 폭부의 맞물림은 2면 폭부를 형성하는 단부를 관통하는 축을 푸시버튼에 의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즉석에서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를 손목에서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에 따르면, 푸시버튼에 의해, 스트랩이 개방되기 때문에,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의 손목으로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손목 장착형 전자기기가 통신기능을 갖는 경우로서 착신이 있을 때, 전자기기를 손으로 바로 잡고, 귀에 놓는 것이 필요한 경우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목으로 착탈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Claims (12)

  1. 경질재로 형성된 스트랩,
    상기 스트랩과 본체의 캐비넷의 결합부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의 캐비넷에 대해 상기 스트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힌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된 푸시버튼, 및
    상기 스트랩이 손목에 장착된 상태로 맞물리고, 상기 푸시 버튼에 의해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는 맞물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2. 그 선단에 수납부를 갖고, 본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스트랩,
    그 선단에 상기 수납부에 의해 삽입되는 피수납부를 갖고,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스트랩, 및
    상기 피수납부에 상기 수납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피수납부를 해제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의 적어도 일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그 외형의 내측에 설치된 홈과, 이 홈의 종단에 상기 홈 보다 큰 구멍을 가지며,
    상기 피수납부에는 테이퍼 형상의 축을 갖는 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축은 구멍의 중앙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5.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는 힌지에 결합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상기 힌지와 반대측 엣지부를 갖는 평탄부를 구성하고, 소경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엣지부에서 상기 소경 구멍에 소통하는 홈을 갖는 수납부,
    캐비넷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보다 다소 큰 슬롯부를 갖는 피수납부, 및
    상기 피수납부에 부착된 푸시버튼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구멍과 거의 동일 직경의 축(A)과 상기 홈보다 작은 폭을 직경을 갖는 축(B)을 상기 푸시버튼측에 직경이 작게 되는 테이퍼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 부분이 노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될 때에는, 상기 맞물림 슬롯에 축(B)이 노출하는 로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납부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일 단부에 상기 스트랩(C)과반대측의 힌지를 통해 결합된 스트랩(D)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일방의 면(E)에 평면과 곡면을 조합하여, 타방의 면(F)에 스프링에 의해 직선 이동하고, 상기 면(E)을 가압하는 가압 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8.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힌지에 연결된 스트랩,
    상기 힌지를 구성하는 일 힌지편에 설치된 구멍(A)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개구측에 가압한 래치,
    상기 구멍(A)에 대면하는 힌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래치가 고정되는 구멍(B),
    캐비넷 표면으로 돌출하는 푸시버튼과 일체화하고, 상기 구멍(B)의 하부 부근에서 개구부까지 상하 이동가능하고, 또,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되지 않을 때, 스프링에 의해 하부 부근에 유지되는 푸시아웃 바(push out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9.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회동중, 축부와 상기 축부를 덮는 커버부가 슬라이드하는 구조를 갖는 힌지에 결합하는 스트랩,
    상기 축부의 일부에 설치된 홈, 및
    상기 커버부 표면과 상기 축부를 소통하는 창(窓)부에 힌지를 지점으로 시소(seesaw) 형상으로 설치되고, 돌기가 상기 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에, 상기 돌기와 반대측의 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맞물림이 해제되는 바이트 바아(bite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10.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는 힌지에 결합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을 구성하는 돌기부의 내부구멍에 상기 내부 구멍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도약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또, 상기 내부 구멍 형상과의 조합으로 회동을 속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부와 회동을 함께 하고, 또 상기 스트랩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오목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동일 방향으로 되는 것이 하나의 각도로 구성하는 측면 형상을 갖는 래치,
    상기 힌지의 오목부에 설치된 내부 구멍 형상과 조합에 의해 회동으로 속박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하나의 각도를 구성할 때 래치에 고정된 측면 형상을 갖는 래치 수납부, 및
    일체화하는 축이 상기 래치 수납부를 관통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고정된 상기 래치를 상기 볼록부 내부 구멍까지 복귀하도록 가압하는 동시에, 오목부 측면에서 탈락하지 않고 해제하지 않도록 돌출하는 푸시버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원통형 축의 일방의 단부에 2면 폭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반대측 단부에 직선 홈을 조각하고, 상기 래치 수납부는 상기 직선 홈에 고정된 2면 폭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키이와 일체화하고 상기 오목부 내부 구멍 내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12.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의 캐비넷 내부에 부착되고,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본체와 스트랩이 결합된 힌지의 일편에 연결하는 축을 갖는 모터,
    상기 힌지를 소망의 각도로 고정하는 힌지고정수단, 및
    상기 힌지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모터의 스위치로서도 기능하는 푸시버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KR1020010085931A 2000-12-28 2001-12-27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KR20020055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400162 2000-12-28
JP2000400162A JP2002199915A (ja) 2000-12-28 2000-12-28 腕装着型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415A true KR20020055415A (ko) 2002-07-08

Family

ID=1886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931A KR20020055415A (ko) 2000-12-28 2001-12-27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8631B2 (ko)
JP (1) JP2002199915A (ko)
KR (1) KR20020055415A (ko)
CN (1) CN13626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6452B2 (en) * 2001-12-06 2008-09-16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ual protocol handheld field maintenance tool with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TW536668B (en) * 2002-10-30 2003-06-11 Echowell Electronic Co Ltd Structure of pulse watch transmitt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WO2004081686A2 (en) * 2003-03-06 2004-09-2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Heat flow regulating cover for an electrical storage cell
US7512521B2 (en) * 2003-04-30 2009-03-3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Intrinsically safe field maintenance tool with power islands
US6925419B2 (en) * 2003-05-16 2005-08-0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Intrinsically safe field maintenance tool with removable battery pack
US7526802B2 (en) * 2003-05-16 2009-04-28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mory authentication for intrinsically safe field maintenance tools
US7036386B2 (en) * 2003-05-16 2006-05-0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ultipurpose utility mounting assembly for handheld field maintenance tool
KR100651411B1 (ko) * 2004-05-1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 휴대용 단말기
FI120957B (fi) * 2005-02-17 2010-05-31 Suunto Oy Kiinnityssovitelma
JP4806958B2 (ja) * 2005-05-16 2011-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装着構造、装置、及びバンド固定棒
USD558614S1 (en) * 2007-03-29 2008-01-01 Florian Strasser Watch case
US9765551B2 (en) * 2009-06-15 2017-09-19 Universal Surveillance Corporation Article surveillance tag
US20140292475A1 (en) * 2011-10-31 2014-10-02 Jun Guo Personal mini-intelligent terminal with combined verification electronic lock
US9703322B2 (en) 2014-04-01 2017-07-11 Htc Corporation Wearable device
CN104238349B (zh) * 2014-07-25 2017-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手表
US9775414B2 (en) * 2014-11-05 2017-10-03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388103B (zh) * 2015-07-31 2017-12-26 叶嘉庆 头戴式装饰面罩
US9461386B1 (en) * 2015-10-09 2016-10-04 Pebble Technology, Corp. Spring pin electrical connector
CN106793603B (zh) * 2017-02-16 2022-10-25 曹磊 一种用于佩戴式设备的连接和翻转使用结构组件
KR102514256B1 (ko) * 2017-09-28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1053339A (zh) * 2020-01-07 2020-04-24 成都理工大学 独臂人士专用手表
CN112293887A (zh) * 2020-11-20 2021-02-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及其连接组件
CN114145548A (zh) * 2021-12-08 2022-03-08 深圳市众鑫百合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防摔的手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6451B1 (fr) 1988-01-28 1991-09-27 Lascor Spa Fermoir pour bracelet
US5235560A (en) 1992-10-16 1993-08-10 Timex Corporation Wristwatch radiotelephone
US5260915A (en) 1992-10-16 1993-11-09 Timex Corporation Wristwatch radio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99915A (ja) 2002-07-16
CN1362650A (zh) 2002-08-07
US20020104200A1 (en) 2002-08-08
US6748631B2 (en) 200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5415A (ko) 손목 장착형 전자기기
DE19956708B4 (de) Tragbares Funktelefon vom Typ einer Armbanduhr
US6148480A (en) Hinge construction with a snap-open, snap-shut feel, for a folding mobile phone handset
US11357293B2 (en) Wearable devices, watchband and connector
US5987122A (en) Portable phone with cover actuating hinge assembly
EP1205828A1 (en) Hinge unit of mounting strap
JP2689913B2 (ja) 自動開放型折畳み携帯無線機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P1484920B1 (en) Poratable communication device
DE19953312A1 (de) Tragbares Funktelefon nach Art einer Uhr
JP4205367B2 (ja) 電子機器
GB2384388A (en) Portable radio device with sliding cover having locking mechanism
JPH1141328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20050120515A1 (en) Hing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JP3764092B2 (ja) 電子機器用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341992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드 커버 개폐장치
JPWO2008084881A1 (ja) バンド用中留具
EP1219199A2 (en) Wrist mounting type electronic apparatus
JP4676870B2 (ja) 携帯機器
KR10052996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810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200235866Y1 (ko) 귀걸이형 이어셋
JPH1031985A (ja) 電池蓋のロック構造
JP3627117B2 (ja) ワイヤレス送信器
KR100537992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