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247A -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247A
KR20020055247A KR1020000084662A KR20000084662A KR20020055247A KR 20020055247 A KR20020055247 A KR 20020055247A KR 1020000084662 A KR1020000084662 A KR 1020000084662A KR 20000084662 A KR20000084662 A KR 20000084662A KR 20020055247 A KR20020055247 A KR 2002005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board
unit
slave unit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051B1 (ko
Inventor
이민재
박웅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0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7Fault tolerance and recovery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유토피아 버스를 하나로 통합하고, 다수 개의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를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를 이용하여 보드 간 이중화를 간단하게 구현하도록 한 ATM 교한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토피아 버스(UTOPIA BUS)에 연결된 마스터부(Master Part)와 슬레이브부(Slave Part) 중 한 개의 보드(Board) 만이라도 이상이 발생하면 유토피아 버스 전체가 절체되어야 하며, 해당 절체 시, 다량의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며, 절체 후에는 해당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 간의 연결을 다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레이브부가 이중화가 필요치 않는 보드인 경우에도 유토피아 버스 전체가 절체가 되므로 반대편에서도 같은 기능을 가진 보드를 장착해야만 했었다.
본 발명은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에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를 구성하여 유토피아 버스의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이상 발생으로 절체가 이루어질 경우, 이상이 발생한 보드만 절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드의 교체나 수리를 위하여 절체할 경우, 데이터의 유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System of Matching Between Board and Board in ATM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ATM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유토피아 버스를 하나로 통합하고, 다수 개의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를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를 이용하여 보드 간 이중화를 간단하게 구현하도록 한 ATM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UTOPIA BUS)에 한 개의 마스터부(Master Part)와 다수 개의슬레이브부(Slave Part)로 구성하고, 해당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는 각각 별개의 보드로 구성하며, 별도의 버스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이중화한다.
해당 마스터부의 A와 마스터부 B는 액티브(Active)와 스탠바이(Stand-By) 관계로 이중화되어 있다.
또한, 해당 슬레이브부 1A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레이브부 1B와, 슬레이브부 2A는 슬레이브부 2B와, 슬레이브부 3A는 슬레이브부 3B와, 슬레이브부 nA는 슬레이브부 nB와 이중화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ATM에서 보드 간 정합을 위한 유토피아 버스의 신호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부인 ATM 교환기와 슬레이브부인 물리적 계층 간 정합에서 보여준다.
송신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는 8 비트의 병렬 버스 형태를 가지면서, 나머지 송신 인에이블 신호(Transmit Enable Bit Signal : TXENB), 수신 인에이블 신호(Receive Enable Bit Signal : RXENB), 송신 셀 유효 신호(Transmit Cell Avilable Signal : TXCLAV), 수신 유효 신호(Receive Cell Avilable Signal : RXCLAV), 송신 패러티 신호(Transmit Parity Signal : TXPRTY), 수신 패러티 신호(Receive Parity Signal : RXTRTY), 송신 클록 신호(Transmit Clock Parity Signal : TXCLK), 수신 클록 신호(Receive Clock Signal : RXCLK)와 같은 신호들은 표준 유토피아 정합을 위한 제어 신호들이다.
유토피아 A와 유토피아 B는 이중화 개념을 갖지만, 실제 동작에서는 유토피아 버스 A와 유토피아 B가 모두 동작하는 이중화 상태이다.
슬레이브부 1A, 슬레이브부 2A, 슬레이브부 3A, 슬레이브부 nA의 상태 신호 송신 셀 유효 신호 및 수신 셀 유효 신호를 마스터부 A가 감지하고, 송수신 데이터가 있는 슬레이브부와 통신이 이루어진다.
현재, 유토피아 A가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다면, 그에 해당하는 슬레이브부 1A, 슬레이부부 2A, 슬레이브부 3A, 슬레이브부 4A, 슬레이브부 nA도 액티브로 동작하여야 한다. 또한, 유토피아 A에 해당하는 보드 즉, 물리적 계층과 ATM이 동작 중 이상이 발생할 경우, 버스 전체의 절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해당 절체하는 순간,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버퍼에 쌓여있던 데이터는 유실되었다.
그리고, 유토피아 버스의 슬레이브부의 이중화가 필요없는 보드의 경우, 이중화 필요 여부에 관계없이 반드시 여분의 보드를 실장해야 했었다.
또한, 한 개의 마스터부와 다수 개의 슬레이브부 간의 통신 경로인 유토피아 버스는 데이터만 공통이며, 나머지 제어 신호들이 모두 분리되므로, 많은 수의 제어 신호가 필요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에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를 구현하여, 해당 유토피아 버스의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이상 발생으로 절체가 이루어질 경우, 이상이 발생한 보드만 절체시키는데 있다.
또한, 보드의 교체나 수리를 위하여 절체할 경우, 데이터의 유실을 줄이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ATM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를 나타낸 도.
도2는 유토피아 버스의 신호를 나타낸 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를 나타낸 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는 다수의 버스를 하나로 통합한 유토피아 버스와; 상기 통합된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에 다수 개의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개의 버스에 두 개의 마스터부와 다수 개의 슬레이브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스터부 1과 마스터부2는 이중화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순간에 액티브 만이 버스를 점유하고 슬레이브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해당 슬레이브부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레이브부 1과 슬레이브부 2, 슬레이브부 3과 슬레이브부 4, 슬레이브부 5와 슬레이브부 6, 슬레이브부 7과 슬레이브부 8을 이중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슬레이브부 n과 슬레이브부 n+1은 이중화가 필요하지 않는 슬레이브부를 의미한다.
해당 마스터부 1과 마스터부 2는 별도의 이중화 채널이 필요하며, 해당 이중화 채널을 통하여 서로의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액티브와 스탠바이 상태를 결정한다.
해당 액티브와 스탠바이가 결정되면 버스의 제어 신호에 대해서 송신하는 신호는 하이 인피던스(High Inpedence) 상태로 하여 액티브 보드나 다른 슬레이브부가 인터페이스하는데 영항이 없도록 구성한다.
만일, 액티브 보드에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보드만 절체하여 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므로, 절체 시, 해당 보드와 송/수신 중인 데이터만 유실된다.
버스 신호로 통신을 할 경우, 종래의 데이터 신호 뿐만 아니라, 나머지 제어 신호도 공통으로 사용하고, 또 한 개의 버스에 마스터부를 두 개를 두어서 액티브 마스터부의 이상 발생 시에도 버스의 절체가 없이 마스터부만 절체시킨 후,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 간 연결만 새로 맺은 다음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현재 송수신 중인 데이터만 유실된다.
한편, 해당 슬레이브부 n과 슬레이브부 n+1은 이중화가 필요치 않은 물리적 계층의 보드이므로 종래에서 처럼 부가적인 보드는 필요하지 않다.
이중화 용도로 사용하는 슬레이브부가 이중화가 필요치 않을 경우, 해당 슬레이브부를 활성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버스의 제어 신호를 모두 활성화시키고, 마스터부와 연결만 정의하면 물리적 계층의 개수를 증가시켜 번경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현재 유토피아 버스의 성능이 부족할 경우, 해당 유토피아 버스를 이용하여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용량에 따라 병렬 데이터인 송신 데이터 및 수신 데이터를 8비트에서 32비트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슬레이브부의 개수는 표준 유토피아를 따를 경우, 송신 데이터를 전송한 주소 및 수신 데이터를 전송한 주소의 비트 수에 따라 결정되므로, 32개까지 확장 가능하다.
버스 한 개에 여러 보드를 이중화시킴으로써, 각 보드에서 동작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의한 이중화가 가능한 구조이다.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 간 동작은 유토피아 버스의 멀티 물리적 계층 인터페이스(Multi-PHY(Physical Layer) Interface) 방식에 따른다.
해당 멀티 물리적 계층 인터페이스 방식에는 각각의 슬레이브부의 상태를 별개의 상태 신호 즉, 송신 셀 유효 신호와 수신 셀 유효 신호를 감지하는 다이렉트 상태 폴링(Direct-Status Polling) 방식과 여러 슬레이브부를 한 개의 상태 신호로 감지하는 멀티플렉스드 폴링(Mulitiplexed Polling)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멀티플렉스 폴링 방식은 슬레이브부의 개수는 데이터를 송신한 주소, 데이터를 수신할 주소의 비트 수에 따라 결정되므로, 32 개의 슬레이브부를 수용하는 능력을 갖는다. 단, 이중화 슬레이브부 중 스탠바이측은 비활성 상태이므로, 수용 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에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를 구현함으로써, 유토피아 버스의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이상 발생으로 절체가 이루어질 경우, 이상이 발생한 보드만 절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드의 교체나 수리를 위하여 절체할 경우, 데이터의 유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유토피아 버스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버스를 하나로 통합한 유토피아 버스와;
    상기 통합된 한 개의 유토피아 버스에 다수 개의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유토피아에 포함되는 마스터부 또는 슬레이브부를 이중화할 경우, 상기 마스터부 또는 슬레이브부의 이상 발생 시에 해당 보드만을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KR10-2000-0084662A 2000-12-28 2000-12-28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KR10048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62A KR100485051B1 (ko) 2000-12-28 2000-12-28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62A KR100485051B1 (ko) 2000-12-28 2000-12-28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247A true KR20020055247A (ko) 2002-07-08
KR100485051B1 KR100485051B1 (ko) 2005-04-25

Family

ID=2768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662A KR100485051B1 (ko) 2000-12-28 2000-12-28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705A (ko) * 2002-04-10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유토피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705A (ko) * 2002-04-10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유토피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051B1 (ko) 200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1661A1 (en) Standby redundancy in IMA
US6639895B1 (en) Fault tolerant network switch
US7073088B2 (en) Data bus arrangement and control method for efficiently compensating for faulty signal lines
KR100216370B1 (ko) Atm 스위치 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US6333915B1 (en) On-line line monitor system
KR100485051B1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US72031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uplexing in an ATM switching system
KR100251740B1 (ko) 에이티엠 교환기의 셀 경로 이중화장치 및 방법
KR100296039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이중화된 링크를 선택하는방법
KR0152229B1 (ko) 시스팀의 이중화를 위한 저가형 이중화 노드
KR100464480B1 (ko) 광전송장비의 절체 서비스 장치
KR100306482B1 (ko) 엔 대 일 이중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제어 방법
KR100438547B1 (ko) Sonet 프레임 헤더를 이용한 물리 링크 이중화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03594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KR20000032945A (ko) 라인 절체 장치
KR100443015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심플렉스 스위치 이중화 장치및 그 운용방법
KR100428664B1 (ko) 교환기 시스템내 보드 및 노드의 이중화 절체 장치
KR100431464B1 (ko) 알람 신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JP3517164B2 (ja) 二重化切替機能を有した通信装置
KR200326001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JP2000295236A (ja) Atm伝送装置
KR200206030Y1 (ko)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KR19990030149U (ko) 교환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포트 이중화 장치
KR19990079403A (ko) 전자 경비시스템에서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다중화기와 그의이중화 동작방법
JPH07202904A (ja) セル切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