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919A -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 Google Patents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919A
KR20020054919A KR1020000084184A KR20000084184A KR20020054919A KR 20020054919 A KR20020054919 A KR 20020054919A KR 1020000084184 A KR1020000084184 A KR 1020000084184A KR 20000084184 A KR20000084184 A KR 20000084184A KR 20020054919 A KR20020054919 A KR 20020054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floss
tongue
stator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식
Original Assignee
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102000008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4919A/ko
Publication of KR2002005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9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청결을 위하여 치아와 혓바닥을 하나의 기구로서 동시에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치실을 사용하는 치실 기구와 혓바닥을 청결하게 하는 기구를 일체화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이나 프라그 제거와 혓바닥의 설태 제거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구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하향 경사각을 이루면서 분기되어 치실을 걸어 사용되게 하는 가이드 턱과 가이드 홈이 형성된 두 개의 지지대를 가진 치실사용부와, 상기 치실사용부와 근접하여 몸체에 형성된 고정자조립구멍에 설치되어 치실을 감아 고정시키는 치실고정자와, 상기 몸체의 끝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태를 제거할 수 있는 날이 형성된 설태 제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Dental Floss Handle with Tongue Cleaner}
본 발명은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치실은 칫솔이나 이쑤시개로서 제거할 수 없는 치주질환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치아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 플라그 및 유해 박테리아를 제거하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치실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치실 기구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치실을 사용하기 위한 기구로서 발명된 치실 기구의 전체적인 유형을 구분하면 치실을 거는 머리부분이 "Y" 자형이나 "F" 자형을 이루고, 일회용과 상시용 기구로 구분되며, 치실이 내장된 것과 내장되지 않은 것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상기 유형을 각각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편의성과 유용성을 제안하면서 발전되어 왔다.
한편 종래의 치실 기구에서 치실의 고정수단은 몸체에 나팔형으로 돌출되어 몸체와 일체로 사출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바, 이들은 실을 여러 번 감아 고정하여도 사용 시 느슨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 하나의 예로, 나팔형 고정수단의 상단을 절개하여 가운데에 고무를 삽입한 것이 있으나, 치실을 나팔형 고정부에 감은 후 다시 상단 절개부의 고무 사이로 치실을 끼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에 있을뿐더러 사용 치실면에 힘을 주었을 시 고무의 탄성이 이완되어 느슨해지기는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설태를 제거하는 기구로는 대체로 원형이나 삼각형의 끝 단에 날까로운 날을 형성하고 손잡이가 형성된 것들이 있다.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그를 제거한다고 하여 구강 내가 완전하게 청결한 상태가 되어 입 냄새가 없어지고 유해 박테리아가 제거된 것은 아니며, 따라서 혓바닥에 낀 설태도 동시에 깨끗이 제거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기구가 필요함에 따라 본 발명은 치실을 사용하는 기구에 혓바닥을 청결하게 하는 기구를 일체화하여 구강에서의 입 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없애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치실질(Flossing)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치실 기구로서 치실사용부에 치실을 거는 수단과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치실고정자와, 이 치실 기구의 손잡이 끝단에 혓바닥의 설태를 깨끗이 제거하여 주는 설태 제거기를 일체화시켜 사용자에게 구강위생을 위한 편의를 제공하는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실의 표면은 왁스로 코팅이 되어 있어 미끄럽기 때문에 실을 고정시켜 놓아도 사용 시 힘을 주면 이완되기가 쉽다. 치실을 걸어 주는 양 지지대의 측면에 치실걸이홈을 형성하여 치실을 용이하게 걸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나, 종래의 치실의 고정수단은 치실을 여러 번 감아 고정하여도 사용 시 느슨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좀더 개선된 것으로 나팔형 고정수단의 상단을 절개하여 가운데에 고무를 삽입한 것이 있으나 측면에서 치실을 여러 번 감은 후 다시 상단의 절개부의 고무사이로 치실을 끼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뿐더러 치실 사용면에 힘을 주었을 때 고무의 탄성으로 느슨해지지는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 한 개의 부품으로 된 치실고정자로서, 상부, 중간부, 하부로 구성되되, 하부의 중앙에는 기구 몸체부에 끼울 때 탄성적으로 오므라지면서 조립되도록 일자 형태로 갈라진 슬릿이 형성되며, 조립 후에는 몸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차가 있도록 턱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원통형으로 몸체의 조립구멍보다 직경이 약간 작도록 하여 조립 후 약간의 유격이 형성되고록 하며, 상부에는 원통형으로 하되 치실을 감을 때 가이드가 되도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하고 상부 원통형 외측으로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돌출부가 중간부와 만나도록 한다. 이 돌출부는 몸체의 조립구멍의 주위에 형성된 키홈과 결합하게 된다.
사용 시에는 먼저 치실을 치실고정자에 걸어 2-3회 감아 당기고, 지지대에 치실을 건 후 다시 치실고정자로 와서 치실을 2-3회 감은 후 당기면, 치실고정자와 몸체 사이에 치실이 끼어 고정이 된다. 이때 지지대 쪽에서 치실을 당기고 있기 때문에 치실고정자는 약간 앞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치실고정자의 돌출부와 몸체 사이가 더욱 좁아지면서 치실이 치실고정자를 매개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기에서 치실고정자가 앞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은 하부에 형성된 슬릿과 함께 중간부의 원통부 치수가 조립구멍보다 약간 작아 유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혓바닥에 낀 설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태 제거 도구를 구비하여야 하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실 사용과 더불어 하나의 기구로서 동시에 혓바닥 청소가 가능하도록 몸체 후미에는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의 결합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의 결합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의 치실 사용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를 구성하는 치실고정자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예시된 치실고정자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11 : 고정자조립구멍
12 : 키홈20 : 치실사용부
30 : 치실고정자34 : 돌출부
40 : 설태 제거기41 : 날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10)의 선단으로부터 하향 경사각을 이루면서 "??"형으로 분기되어 치실(100)을 걸어 사용되게 하는 가이드 턱(21)과 가이드 홈(22)이 형성된 두 개의 지지대(23)를 가진 치실사용부(20)와, 상기 치실사용부(20)와 근접하여 몸체(10)에 형성된 고정자조립구멍(11)에 설치되어 치실(100)을 감아 고정시키는 치실고정자(30)와, 상기 몸체(10)의 끝 단부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태를 제거할 수 있는 날(41)이 형성된 설태 제거기(4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조립구멍(11)의 주위에는 치실고정자(30)의 돌출부(34)가 안착되어 치실(100)을 감아 당겼을 때 치실(100)이 치실고정자(30)와 몸체(10) 사이에 끼어지고 돌출부(34)와 키홈(12) 사이에서는 "U"자로 꺾여지면서 끼워져 치실(10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과 더불어, 이 치실고정자(30)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켜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의 사용 예시도로서, 일정 길이로 자른 치실(100)의 한 쪽 끝을 잡고 치실고정자(30)에 2-3회 당기면서 감아 고정시킨 후, 치실사용부(20)의 한 쪽 지지대(23) 가이드 턱(21)을 거쳐 가이드 홈(22)을 따라 치실(100)을 유도하여 맞은편 지지대(23)의 단부에 걸고 가이드 홈(22)을 거쳐 가이드 턱(21)을 따라 유도한 후 다시 치실고정자(30)에 2-3회 당기면서 감아 고정시킨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고정자(30)는 상부(31), 중간부 (32), 하부(33)의 세 부분으로 하여 일체로 구성하되, 하부(33)의 가운데에는 일자형태로 갈라진 슬릿(35)이 형성되고 그 둘레는 경사진 원통으로서 몸체(10)의 고정자조립구멍(11)과 조립 후 빠지지 않도록 단차가 있는 턱이 형성되고, 중간부(32)는 원통형을 이루되 그 직경은 몸체(10)에 형성된 고정자조립구멍(11)보다 약간 작도록 하여 조립 후 유격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부(31)는 원통형으로서 치실을 고정시킬 때 가이드가 용이하도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하고 중간부(32)와 연결되는 곳에는 단차를 형성하며, 이 상부(31) 원통형 외부로는 한 개 이상의 돌출부(34)를 형성하여 그 돌출부(34)가 중간부(32)와 만나도록 한다. 이 돌출부(34)는 고정자조립구멍(11)의 주위에 형성된 키홈(12)과 결합하여 치실고정자(30)가 고정자조립구멍(11)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치실(100)을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b에 도시된 설태 제거기(40)는 몸체(10)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사용 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10)를 손으로 부여잡고 입 속에 넣어 혓바닥을 부드럽게 긁어서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날(41)이 궁형을 이루면서 직각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강청결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에 치실사용부와 설태 제거기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치아의 청결을 위하여 치실질에 의한 치아사이에 낀 음식물이나 프라그를 제거하고 동시에 혓바닥에 낀 설태를 제거함으로서 구강 청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치실고정자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치실을 2-3회 정도 감고도 슬립되지 않고 단단히 고정되어 치실의 소모를 줄이게 되고 동시에 치실사용부에 걸린 치실이 느슨해지지 않게 되어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10)의 선단으로부터 하향 경사각을 이루면서 분기되어 치실(100)을 걸어 사용되게 하는 가이드 턱(21)과 가이드 홈(22)이 형성된 두 개의 지지대(23)를 가진 치실사용부(20)와, 상기 치실사용부(20)와 근접하여 몸체(10)에 형성된 고정자조립구멍(11)에 설치되어 치실(100)을 감아 고정시키는 치실고정자(30)와, 상기 몸체(10)의 끝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태를 제거할 수 있는 날(41)이 형성된 설태 제거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고정자(30)는 상부(31)에 한 개 이상의 돌출부 (34)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34)가 몸체(10)의 고정자조립구멍(11)에 형성된 키홈 (12)과 조립되게 하여 치실(100)이 돌출부(34)와 키홈(12)에서 "U"자형으로 꺾어지면서 고정되게 하고, 하부(33)에 슬릿(35)을 형성하고 고정자조립구멍(11)에서 빠지지 않도록 단차가 형성된 턱을 형성하며, 중간부(32)의 직경은 고정자조립구멍 (11)보다 약게 작게 하여 조립후 치실고정자(30)가 고정자조립구멍(11)에서 유격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태 제거기(40)에 형성된 날(41)은 궁형을 이루면서 직각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KR1020000084184A 2000-12-28 2000-12-28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KR20020054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184A KR20020054919A (ko) 2000-12-28 2000-12-28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184A KR20020054919A (ko) 2000-12-28 2000-12-28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919A true KR20020054919A (ko) 2002-07-08

Family

ID=2768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184A KR20020054919A (ko) 2000-12-28 2000-12-28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4919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677A (en) * 1974-12-12 1975-09-30 Delore A Beach Dental floss holder
US4883080A (en) * 1988-08-05 1989-11-28 Lang Dennis R Combination nozzle and dental floss assembly for oral hygiene flushing apparatus
JPH0371470A (ja) * 1989-08-09 1991-03-27 Nec Eng Ltd ライトプロテクト装置
JPH0513414U (ja) * 1991-08-07 1993-02-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清掃具
KR940024016U (ko) * 1993-04-19 1994-11-16 오원식 설태 제거기능을 갖는 치솔
KR970012128U (ko) * 1995-09-11 1997-04-25 정관영 치간 청소구
KR19990030694A (ko) * 1997-10-02 1999-05-06 장지일 플로스 홀더
KR19990039016U (ko) * 1998-04-03 1999-11-05 임양래 설태제거기
KR200200016Y1 (ko) * 2000-05-15 2000-10-16 이유신 치실홀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677A (en) * 1974-12-12 1975-09-30 Delore A Beach Dental floss holder
US4883080A (en) * 1988-08-05 1989-11-28 Lang Dennis R Combination nozzle and dental floss assembly for oral hygiene flushing apparatus
JPH0371470A (ja) * 1989-08-09 1991-03-27 Nec Eng Ltd ライトプロテクト装置
JPH0513414U (ja) * 1991-08-07 1993-02-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清掃具
KR940024016U (ko) * 1993-04-19 1994-11-16 오원식 설태 제거기능을 갖는 치솔
KR970012128U (ko) * 1995-09-11 1997-04-25 정관영 치간 청소구
KR19990030694A (ko) * 1997-10-02 1999-05-06 장지일 플로스 홀더
KR19990039016U (ko) * 1998-04-03 1999-11-05 임양래 설태제거기
KR200200016Y1 (ko) * 2000-05-15 2000-10-16 이유신 치실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9853A (en) Dental flosser
US4832063A (en) Flossing device
US5482466A (en) Flossing tool
US5094256A (en) Dental cleansing device and interdental floss for such a device
US5125424A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and/or gaps between the teeth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amp; methods of use thereof
ES2168738T3 (es) Aparato de limpieza de los dientes con una empuñadura.
US5927299A (en) Hygienic tooth cleansing device
JP2001170083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KR20020054919A (ko) 설태 제거기가 부설된 치실 기구
KR20200052539A (ko) 치실 홀더
KR101966592B1 (ko) 치실 조립체
KR100420228B1 (ko) 치간 청소용 견사 홀더
JP2000139961A (ja) デンタルフロス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EP1455677B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SU1766393A1 (ru) Зубочистка
KR102583463B1 (ko) 치아 세정장치
KR20040031566A (ko) 치실홀더
KR101813975B1 (ko) 양손으로 이용 가능한 치간 세정기
KR101020097B1 (ko)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JP2645353B2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KR102567142B1 (ko)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치실 겸용 치간칫솔
KR20040072309A (ko) 치실 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