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563A -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563A
KR20020054563A KR1020000083696A KR20000083696A KR20020054563A KR 20020054563 A KR20020054563 A KR 20020054563A KR 1020000083696 A KR1020000083696 A KR 1020000083696A KR 20000083696 A KR20000083696 A KR 20000083696A KR 20020054563 A KR20020054563 A KR 2002005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cd
circuit
driving
voltage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496B1 (ko
Inventor
정병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8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는 제1,제2 LCD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전압을 승압하는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원 전압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1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LCD를 구동하는 제1 LCD 드라이버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승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컨버터 주변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조정 주변회로와, 상기 제1 LCD 드라이버의 상기 제1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2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2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LCD를 구동하는 제2 LCD 드라이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PORTABLE TELEPHONE USING DUAL LCD}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듀얼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형 단말기가 대중화되면서, 1세대 폴더의 단점을 보완한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 듀얼 LCD는 휴대형 단말기의 폴더를 닫은 상태에서도 휴대형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달린 LCD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는 2개의 LCD를 구동하기 위해 2개의LCD 드라이버(때때로, "LDI"라고도 함)를 채용하여 각 LCD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휴대형 단말기의 듀얼 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CPU(10)은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폴더의 열림이나 닫힘 상태의 감지에 따라 제1 및 제2 LCD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키패드(12)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LCD 구동부(15,17)는 CPU(10)의 제1 및 제2 LCD 구동 제어 신호를 받아 휴대형 단말기의 동작 상태나 다이얼링 데이터를 제1 LCD(16) 및 제2 LCD(18)에 표시되도록 구동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LCD 구동부(15,17)는 LCD 드라이버와 그 주변 회로를 포함한다. LCD 드라이버의 주변 회로는 LCD 드라이버의 동작에 필요한 회로를 말한다. RF 처리부(20)는 CPU(10)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센서(22)는 폴더의 열림(open)과 상기 폴더의 닫힘(close)상태를 검출하여 그 감지 신호를 CPU(10)로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휴대형 단말기의 화면을 구성하는 STN(Super Twisted Nematic) LCD의 경우, 화면에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구동 전압을 승압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때 승압을 위해서 LCD 드라이버는 전압 컨버터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LCD를 구동하는 듀얼 LCD의 경우 각각의 LCD 드라이버에 화면 표시를 위한 전압 컨버터 회로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즉, 기존의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에서는 LCD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압을 승압하고, 이 승압된 전압을 이용하여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원하는 전압으로 바꾼 다음, 화면에 원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이용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CD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LCD 구동부(15,17)는 LCD 드라이버 회로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압 레벨을 발생시킨다. 이 LCD 구동부(15,17)는 각각 전압 컨버터 회로(2,2'), 전압 조정 회로(4,4') 및 전압 플로워 회로(6,6')를 포함한다. 전압 컨버터 회로(2,2')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데, 전압을 승압하기 위해 그 소망 전압에 따라 몇 개의 콘덴서가 접속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전압 컨버터 회로용 콘덴서 및 주변 소자들을 "전압 컨버터 주변 회로"라고 한다. 이러한 전압 컨버터 주변 회로(8)는 도 2에서는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의 콘테서만을 나타내었다. 전압 조정 회로(4,4')는 저항을 조정함으로써 LCD 동작 전압을 결정한다. 이 전압 조정 회로(4,4')에도 전압 컨버터 회로와 유사하게, 전압 조정 주변 회로(10,10')가 접속되어 있다. LCD 동작 전압은 저항적으로 몇 개의 전압 레벨로 나누어지고, 이들 출력 임피던스는 구동 능력을 증대하는 전압 플로워 회로(6, 6')에 의해 변환된다.
도 2에서 제1 LCD(16)은 제1 구동부(15)에 의해 구동하고, 제2 LCD(18)은 제2 구동부(17)에 의해 구동한다. 각 구동부의 제1 및 제2 LCD 드라이버는 전압 컨버터 회로(2,2'), 전압 조정 회로(4,4') 및 전압 플로워 회로(6,6')를 각각 포함한다. 이에 따라 LCD 드라이버(15,17)는 전압 컨버터 회로(2,2')에 의해 전압을 3∼5배까지 승압하여 사용하다. 이때, 안정적인 승압을 위해서 콘덴서가 필요하고, 따라서 2개의 LCD 드라이버에서 각각 필요한 전압을 승압할 경우, LCD 드라이버 각각에 콘덴서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휴대형 단말기는 점점 박형화 및 소형화되고 있고,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는 각각의 LCD를 위해서 각각의 드라이버에 전압 컨버터가 사용되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LCD 드라이버에 대해 콘덴서가 각각 들어가게 되면 그 비용도 상승하고 부품이 실장될 공간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부품들을 실장해야 한다면, 휴대형 단말기가 점점 박형 및 소형화되는 추세에서 문제점이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종래에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LCD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 컨버터 회로를 공용으로 하여 부품의 수를 감소하고 그에 따라 부품의 실장 공간을 줄인 휴대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의 휴대형 단말기의 듀얼 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LCD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LCD 구성을 나타낸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제2 LCD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전압을 승압하는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원 전압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1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LCD를 구동하는 제1 LCD 드라이버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승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컨버터 주변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조정 주변 회로와, 상기 제1 LCD 드라이버의 상기 제1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2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2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LCD를 구동하는 제2 LCD 드라이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에서는 LCD를 구동하기 위한 2개의 LCD 드라이버에 전압 컨버터 회로, 전압 조정 회로 및 전압 플로워 회로를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은 듀얼 LCD를 구동하는 2개의 LCD 드라이버에서 2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중 하나를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압 컨버터 회로에 필수적인 콘덴서 등의 주변 회로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 내의 부품 실장 공간이 작아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LCD 구동 블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2개의 LCD 드라이버가 이들 LCD 드라이버 중 어느 하나의 LCD 드라이버에 구비된 전압 컨버터 회로(12)를 공용하고 그에 따라 전압 컨버터 주변 회로(7)도 1개만 사용함으로써 제1 LCD 드라이버의 전압 컨버터 회로(2)에 의해 승압된 승압 전압을 제2 LCD 드라이버의 전압 조정 회로(4')에도 인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는 2개의 LCD용 LCD 드라이버 IC를 포함한다. 통상 LCD 드라이버는 전압 컨버터 회로, 전압 조정 회로 및 전압 플로워 회로를 포함하는 원칩으로 패키지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LCD 드라이버와 제2 LCD 드라이버중 제1 LCD 드라이버의 전압 컨버터 회로(2)를 2개의 LCD 드라이버가 공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제2 LCD의 전압 컨버터 회로(2')가 공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LCD 드라이버가 1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2)를 공용함으로써 전압 컨버터 회로에 필요한 콘덴서 등의 전압 컨버터 주변 회로(7)는 1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에 대해서만 설치하면 된다.
계속 도 3을 참조하면, 제1 LCD 드라이버는 전압 컨버터 회로(3), 전압 조정 회로(4) 및 전압 플로워 회로(6)를 포함한다. 제2 LCD 드라이버는 전압 조정 회로(4') 및 전압 플로워 회로(6')를 포함하며, 동작시 제1 LCD 드라이버의 전압 컨버터 회로(2)를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LCD 드라이버는 제2 LCD를 구동할 때 제1 LCD 드라이버의 전압 컨버터 회로(2)로부터 출력을 전압 조정 회로(4')에 제공한다. 즉, 제2 LCD 드라이버에는 전압 컨버터 회로(2)와 그 주변 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압 Vout이 직접 공급된다. 제2 LCD 드라이버의 각 구성요소는 제1 LCD 드라이버에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LCD를 채용한 폴더형 핸드폰에서, 듀얼 LCD를 구동하는 2개의 LCD 드라이버에서 2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중 하나를 공용하고, 그에 따라 1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에 대한 주변 회로(7)만을 설치함으로써 전압 컨버터회로에 필수적인 콘덴서 등의 주변 회로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 내의 부품 실장 공간이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듀얼 LCD를 채용한 폴더형 핸드폰에서, 각 LCD를 구동하는 2개의 LCD 드라이버에서 전압 컨버터 회로뿐만 아니라 전압 조정 회로 및 전압 플로워 회로도 공용할 수 있다. 이때, 각 LCD는 동일한 사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압 조정 주변 회로(9)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에서 각 LCD를 구동하는 2개의 LCD 드라이버에서 1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를 공용하고, 그에 따라 1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에 대한 주변 회로만을 구비하여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LCD 주변 회로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즉,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에서 2개의 LCD 드라이버는 1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에서 승압된 전압을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주변 회로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의 부품 단가를 줄일 수 있고, 그 실장 공간을 절약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외형을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LCD를 채용한 폴더형 핸드폰에서, 각 LCD를 구동하는 2개의 LCD 드라이버에서 1개의 전압 컨버터 회로를 공용함으로써 콘덴서 등의 그 주변 회로가 간단해지고 그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의 부품 단가를 줄일 수 있고, 그 실장 공간을 절약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외형을 더 소형화할수 있다.

Claims (2)

  1. 제1,제2 LCD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전압을 승압하는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원 전압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1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LCD를 구동하는 제1 LCD 드라이버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승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컨버터 주변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조정 주변회로와,
    상기 제1 LCD 드라이버의 상기 제1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2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2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LCD를 구동하는 제2 LCD 드라이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2. 제1,제2 LCD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전압을 승압하는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에의해 승압된 전원 전압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1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LCD를 구동하는 제1 LCD 드라이버와,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승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컨버터 주변회로와,
    상기 제1전압 조정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1전압 조정 주변회로와,
    상기 제1 LCD 드라이버의 상기 제1전압 컨버터 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원 전압을 디스플레이를 위해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회로와, 상기 제2전압 조정회로에 의해 조정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제2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제2전압 플로워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LCD를 구동하는 제2 LCD 드라이버와,
    상기 제2전압 조정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소자로 이루어지는 제2전압 조정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KR1020000083696A 2000-12-28 2000-12-28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KR100350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696A KR100350496B1 (ko) 2000-12-28 2000-12-28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696A KR100350496B1 (ko) 2000-12-28 2000-12-28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563A true KR20020054563A (ko) 2002-07-08
KR100350496B1 KR100350496B1 (ko) 2002-08-29

Family

ID=2768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696A KR100350496B1 (ko) 2000-12-28 2000-12-28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05B1 (ko) * 2005-06-17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KR101102035B1 (ko) * 2004-12-29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평판 표시장치 및 그 모드 선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83B1 (ko) * 2003-07-31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035B1 (ko) * 2004-12-29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평판 표시장치 및 그 모드 선택 방법
KR100669205B1 (ko) * 2005-06-17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US7889190B2 (en) 2005-06-17 2011-02-15 L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496B1 (ko)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5236B2 (e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7280104B2 (en) Display drive control device, for which drive method, electronics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EP0992876A2 (en) Method for adjusting power comsumption
JP4139786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EP1139330A2 (en)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US7190357B2 (en) Signal line drive circuit, imag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US20080122818A1 (en) Driver circuit for driving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2530972A (ja) 携帯電話とその電源投入方法
EP1139551B1 (en) Charge pump type power supply circuit and driv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such power supply circuit
US5901223A (en) Wireless telephone with extension having peripheral devices provided thereon
KR100350496B1 (ko)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US20070120503A1 (en) Open protection circuit for backlight module
JP2002237886A (ja) 表示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における電力削減装置及びその方法
JP382700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US7084864B1 (en) Computer display with switched capacitor power supply
KR1002378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형 개인 휴대통신
KR200400055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12745A (ko)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 엘시디 구조를 갖는휴대용 단말기
KR200157957Y1 (ko)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JP3083491B2 (ja) 携帯用通信装置
JP2007236079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移動通信端末、通信装置
JPH10107883A (ja) 携帯電話機
KR20060086468A (ko) 펄스폭변조 신호를 이용한 백라이트 밝기 제어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KR20010019501A (ko) 측면 엘씨디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
JP2663783B2 (ja) 携帯通信機の電源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