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957Y1 -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 Google Patents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957Y1
KR200157957Y1 KR2019970007812U KR19970007812U KR200157957Y1 KR 200157957 Y1 KR200157957 Y1 KR 200157957Y1 KR 2019970007812 U KR2019970007812 U KR 2019970007812U KR 19970007812 U KR19970007812 U KR 19970007812U KR 200157957 Y1 KR200157957 Y1 KR 200157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module
module
tft
main body
not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316U (ko
Inventor
김희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7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9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이하, TFT-LCD라 한다) 모듈 구조는, 액정판넬과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구비된 액정표시소자 모듈의 본체 백면 소정 부분에 부착된 케이블을 매체로 하여 유저 커넥터가 상기 모듈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에 TFT-LCD 모듈 장착시 유저 커넥터의 연결상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별도의 커넥터 연결 없이도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의 두께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본 고안은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이하, TFT-LCD라 한다) 모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CD를 사용하는 노우트 북 컴퓨터의 경박단소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TFT-LCD 모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이하, PC라 한다)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LCD를 사용한 노우트 북 PC가 유행하고 있으며, 그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LCD를 사용한 노우트 북 PC는 소형으로서 휴대가 가능하고 내장된 축전지로서 별도의 전원없이도 일정 시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최근의 노우트 북 PC는 일반 데스크 톱(desk top) PC가 갖고 있는 모든 기능(예컨대, CD-ROM, MODEM, SPEAKER 등)을 내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LCD 제조 기술의 발달로 화면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로는, 약 13" 정도까지 노우트 북 PC에 채용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노우트 북 PC(A4용지 사이즈)의 개념을 넘은 스케치 북의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의 사이즈가 점차 대화면화될 경우, LCD 모듈의 사이즈도 커지게 되므로,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과 LCD 모듈 사이의 갭 여유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1에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TFT-LCD 모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를 제시해 놓았다. 상기 개략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에는 LCD 모듈(10)의 백면(back side) 소정 부분에 유저 커넥터(user connector)(12)가 부착되도록 LCD 모듈이 제작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CD 모듈(10)은 도 2의 개략도에서 알 수 있듯이, 노우트 북 PC 본체(18)에 연결된 컨넥터 케이블(14)과 상기 유저 커넥터(12)가 노우트 북 PC의 캐비넷(16) 내에서 연결될 때 최소한 d에 해당되는 여유 갭(gap)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PC 내에 장착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PC 본체(18)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컨넥터 케이블(14)을 통해 상기 LCD 모듈(10)의 백면에 부착된 유저 커넥터(12)로 입력되면, 이 신호에 의해 상기 LCD 모듈(10)이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저 커넥터(12)가 LCD 모듈(10)의 백면에 위치하도록 LCD 모듈을 제작할 경우 다음과 같은 두가지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첫째, PC 본체(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저 컨넥터(12)가 LCD 모듈(10)의 백면에 위치한 관계로 인하여 조립 업체에서의 PC 조립시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둘째, LCD 모듈(10)의 컨넥터(12)가 최소한의 사이즈를 갖는다고 가정하더라도, 컨넥터 케이블(14)과 유저 커넥터(12)가 연결될 때 상기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16) 내에서 적어도 d에 해당되는 여유 갭이 요구되므로, LCD 모듈이 장착되는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따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LCD 모듈이 점차 대화면화되어 감에 따라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16)과 LCD 모듈(10) 사이의 갭 여유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 경우 더욱 문제시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TFT-LCD 모듈 제작시, 상기 모듈의 본체에 부착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저 커넥터가 상기 모듈의 본체 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모듈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작해 주므로써, 상기 TFT-LCD 모듈이 장착되는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의 두께를 별도의 커넥터 없이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TFT-LCD 모듈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TFT-LCD 모듈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제시된 TFT-LCD 모듈을, 노트북 컴퓨터의 화면부 캐비넷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TFT-LCD 모듈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에 제시된 TFT-LCD 모듈을, 노트북 컴퓨터의 화면부 캐비넷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액정판넬과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구비된 LCD 모듈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본체 백면 소정 부분에 부착된 케이블을 매체로 하여 유저 커넥터가 상기 모듈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TFT-LCD 모듈 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유저 커넥터를 연결해줄 경우, LCD 모듈을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에 장착해줄 때, 상기 유저 커넥터가 캐비넷 내부가 아닌 노우트 북 PC 본체에서 직접 연결되도록 조립되게 된다. 이로 인해, PC 조립시 야기되던 불편함이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의 두께를 별도의 커넥터 연결 없이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LCD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개략도를 참조하여 그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략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경우 LCD 모듈 본체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던 유저 커넥터(104)를, LCD 모듈(100) 본체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상기 LCD 모듈(100) 본체의 백면 소정 부분에 케이블(102)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102)과 유저 커넥터(104)가 연결되도록 LCD 모듈을 제작해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저 커넥터(104)가 상기 모듈(100)의 본체 상에 위치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모듈(100)과 일체로 연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LCD 모듈(100)은 도 4의 개략도에서 알 수 있듯이,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106) 내에 LCD 모듈(100) 장착시, 상기 LCD 모듈(100)의 본체 백면에 부착된 케이블(102)을 매체로하여, 유저 커넥터(104)가 상기 PC의 화면부 캐비넷(106) 내부가 아닌 노우트 북 PC의 본체(108)에서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PC와 조립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PC 본체(108)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유저 커넥터(104)를 통해 상기 LCD 모듈(100)의 백면에 부착된 케이블(102)로 입력되면, 이 신호에 의해 상기 LCD 모듈(100)이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LCD 모듈(100)과 노우트 북 PC를 조립할 경우, 상기 캐비넷(106) 내에 LCD 모듈(100) 장착시 요구되던, 여유 갭 사이즈를 기존의 d에서 d'으로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의 두께를 별도의 커넥터 없이도 용이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TFT-LCD 모듈 제작시 유저 커넥터가 LCD 모듈의 본체 상에 위치하지 않고 본체 밖에서 케이블을 통해 상기 LCD 모듈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작해 주므로써, 1) 상기 LCD 모듈을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에 장착해 줄 때 유저 커넥터가 상기 캐비넷 외부에서 PC 본체에 연결되므로, 유저 커넥터의 연결상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2) 상기 캐비넷 내에서의 LCD 모듈과 캐비넷 간의 여유 갭 사이즈를 기존의 d에서 d'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커넥터 연결 없이도 노우트 북 PC의 화면부 캐비넷의 두께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노우트 북 PC의 경박단소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액정판넬과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구비된 액정표시소자 모듈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본체 백면 소정 부분에 부착된 케이블을 매체로 하여 유저 커넥터가 상기 모듈 본체와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KR2019970007812U 1997-04-15 1997-04-15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KR200157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12U KR200157957Y1 (ko) 1997-04-15 1997-04-15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12U KR200157957Y1 (ko) 1997-04-15 1997-04-15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16U KR19980063316U (ko) 1998-11-16
KR200157957Y1 true KR200157957Y1 (ko) 1999-10-01

Family

ID=1949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812U KR200157957Y1 (ko) 1997-04-15 1997-04-15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9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8481A (zh) * 2021-07-29 2021-10-2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笔记本电脑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16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1576B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moun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6525790B1 (en) Liquid crystal module mounting structure
US6229695B1 (en) Palm-sized computer with a frame to hold device plates
US5619396A (en) Modular PCMCIA card
KR100453852B1 (ko) 인쇄회로기판 장착기구를 갖는 전자 시스템
JP2006301561A (ja) 2重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100268665B1 (ko) 휴대용통신단말기의액정표시기(lcd)를인쇄회로기판(pcb)에실장시키는방법및장치
KR200157957Y1 (ko)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KR20020058712A (ko) 액정표시모듈
US20100182746A1 (en) Thin notebook computer
KR10083129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00036685A (ko) 개인용컴퓨터의 슬림화 구조
KR100434048B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엘시디 모듈 연결장치
JP2001033762A (ja) 平面表示装置
US69470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pace-saving conversion module
JP3191326B2 (ja) 情報処理装置
KR100623968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0304189B1 (ko) 회로기판의장착구조및그장착구조가적용된휴대용컴퓨터
KR19980059739U (ko) 액정표시소자를 적용한 노우트 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구조
KR100281532B1 (ko) 휴대형 컴퓨터의 보조 기기 장착기구
KR20010030319A (ko) 소자 구성형 인터페이스 제어 보드를 가진 박막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러한 모듈을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44796Y1 (ko)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하는 자가장착 타입 터치 스크린 모듈
US20040145685A1 (en) Conversion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200259283Y1 (ko) 모니터 일체형 키보드 및 그를 이용한 개인용 컴퓨터
KR20030080125A (ko)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