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515A -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515A
KR20020054515A KR1020000083630A KR20000083630A KR20020054515A KR 20020054515 A KR20020054515 A KR 20020054515A KR 1020000083630 A KR1020000083630 A KR 1020000083630A KR 20000083630 A KR20000083630 A KR 20000083630A KR 20020054515 A KR20020054515 A KR 20020054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gent
status
fom
circum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4515A/ko
Publication of KR2002005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using redundant or spare channel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은,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과 페일오버 모듈과 마스터 프로세스 모듈 및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관리망의 이중화된 에이전트에서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이 시스템내 각 리소스를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상태정보를 페일오버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페일오버 모듈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여 장애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로 장애상황을 전달하는 단계와; 페일오버 모듈로부터 장애상황을 전달받은 유저 인터페이스는 장애상황이 임계수준을 넘어 절체상황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절체 시나리오에 따라 액티브 쪽은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스탠바이 쪽은 액티브로 천이 하도록 하여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기능별로 해당 블록들이 관리하는 유기적인 구조로 이중화 에이전트를 구성하여 시스템 구성 환경에 따라 감시 및 제어 기능을 유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Duplication method of agent in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리적으로 별개인 2개의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각 워크스테이션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통신관리망 에이전트의 연속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며, 액티브/스탠바이 형태로 운용하여 외부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통신 시스템은 점차 기능이 복잡해지고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교환기 뿐 아니고 전송 장치도 프로세서에 들어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어되기 때문에 그것을 관리하는 데에는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할 요구에 부응하여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을 운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통신망의 환경 변화에 따른 합리적인 통신망 운용과 다양화된 통신 서비스 욕구를 충족하고 기존의 통신망 관리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총체적이고 일원화된 통신망 운용 관리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통신망 운용관리 기술을 구현한다.
TMN의 관리기능으로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표준에서는 통신망 관리 기능으로 장애 관리, 구성 관리, 보안 관리, 성능 관리, 회계 관리의 5개 항목을 규정하고 있다.
장애관리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원인 규명 작업을 지원하는 것이다. 가동 중인 시스템의 동작이 이상을 일으키면 긴급 복구해야 한다.
구성 관리는 장애의 원인 규명에도 필요하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로서 어떠한 것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고 상호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하는 정보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보안 관리는 정보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컴퓨터 범죄인 해커, 지적재산권 침해 등 새로운 사회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나 정보의 안전 보호도 통신망 관리의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이다.
성능 관리는 시스템의 동작 상태가 위험한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거나 미리 예고하는 기능이다. 과잉 설비인지 시스템에 요구되는 성능을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인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회계 관리는 요금 계산의 근거가 되는 이용 데이터를 정확히 수집하고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정하여 총비용을 적정하게 배분하는 것이 시스템의 건전한 운영을 위해서 필요하다.
이러한 TMN은 상위 매니저와 하위의 NE(Network Element), 그리고 상기 매니저 및 NE간 데이터 교환을 매개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TMN에서 에이전트는 매니저와 NE 사이의 어댑터와 매개자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보장을 위한 안정적인 운용환경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시스템의 구성환경에 따라 감시 및 제어기능을 유동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에이전트의 신뢰성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으로 별개인 2개의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각 워크스테이션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통신관리망 에이전트의 연속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며, 액티브/스탠바이 형태로 운용하여 외부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한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은,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과 페일오버 모듈과 마스터 프로세스 모듈 및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관리망의 이중화된 에이전트에서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이 시스템내 각 리소스를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상태정보를 페일오버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페일오버 모듈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여 장애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로 장애상황을 전달하는 단계와; 페일오버 모듈로부터 장애상황을 전달받은 유저 인터페이스는 장애상황이 임계수준을 넘어 절체상황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절체 시나리오에 따라 액티브 쪽은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스탠바이 쪽은 액티브로 천이 하도록 하여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관리망의 이중화 구성 예시도 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전트의 이중화 모듈의 블록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의 자료 흐름도 이고,
도5는 도3에서 페일오버 모듈의 자료 흐름도 이며,
도6은 도3에서 각 모듈간에 교환되는 패킷 구성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매니저20, 20A, 20B : 에이전트
30 : N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관리망의 이중화 구성 예시도 이고, 도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전트의 이중화 모듈의 블록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의 자료 흐름도 이고, 도5는 도3에서 페일오버 모듈의 자료 흐름도 이며, 도6은 도3에서 각 모듈간에 교환되는 패킷 구성 예시도 이다.
도1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TMN망에서 물리적으로 2개의 워크스테이션을 1개의 에이전트로 수행되도록 유기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중화된 에이전트(20)는 하위 NE(Network Element)와는 RS-422 통신을 하는 4중화 형상을 갖게 되며, 상위 매니저(10)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단일 시스템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2에 따르면, 이중화된 에이전트의 각 에이전트(20)는 4개의 모듈로 구현된다. 4개의 모듈은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이하, SRM), 페일오버 모듈(이하, FOM), 마스터 프로세스 모듈(이하, MPM), 및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이하, UIM)이다. 각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는 각 모듈의 특성을 처리해 줄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며, 모듈들은 독립적으로 운용된다.
상기 SRM은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한다. 파일 시스템 관리, 로그 관리, 프로세스 수행관리, 랜 관리, NE와의 연결관리 기능을 포함하게 된다. 각각의 관리기능들은 별도의 기능블록으로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FOM에 상태를 알리며, 자체적으로 파일시스템 및 로그를 제어하는 역할과 FOM의 지시에 따른 프로세스 재 기동, NE 링크 절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FOM은 SRM으로부터 수신된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상대 시스템의 FOM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종합, 판단하여 시스템 장애 상태를 결정한 후, 장애 등급에 다라 대기중인 시스템으로 자동 절체 도는 장애 발생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체 및 장애 상태를 UIM으로 전송하여 운용자의 신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UIM으로부터 명령도 수행한다.
상기 MPM은 에이전트 전체 소프트웨어 형상을 관리하는 모듈로 MPM을 통하여 모든 소프트웨어들은 수행, 종료, 운용상태 감시, 운용 로그제어 기능들이 수행된다.
상기 UIM은 SRM, FOM, MPM의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추가되는 기능으로써,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모듈이다. 시스템간의 절체를 수행하는 기능, 각각의 소프트웨어들을 제어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중화된 시스템 구성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3에 따르면, 이중화된 에이전트의 액티브측(20A)과 스탠바이측(20B)의 SRM은 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FOM으로 전달한다(ST21).
도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RM은 시스템의 리소스를 관리하는 모듈로 리소스 제어기, 프로세스 모니터, 랜 모니터, NE 링크 모니터의 기능 블록을 가지고 있다.
각 기능 블록들은 시스템 리소스들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한다. 임계치 설정은 구성 참조 파일을 사용하며, 운용 상황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각 기능 블록들은 구성 참조 파일을 주기적으로 참조하여 자신의 임계치 저장소에 값을 업데이트하며 저장된 내용과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장애 및 절체 여부를 판단한다.
그래서 리소스 제어기는 디스크 및 파일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여 장애 발생시 FOM에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임계치 값을 기준으로 로그를 줄이는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스 모니터는 지정된 프로세스의 정상 동작 유무를 감시하여 장애 발생시 FOM에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임계상황의 프로세스는 재 기동할 수 있도록 한다.
랜 모니터는 상위 매니저와의 연결을 위한 랜과 라우터의 상태를 감시하여 FOM에 상태정보를 보낸다.
NE 링크 모니터는 NE와의 연결을 감시 후, FOM에 상태정보 전송 및 NE 링크를 절체하는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용된 SRM의 구성참조 파일을 예시하면 아래와 같다.
[Disk][Memory]
Partition =/Minor=90
Partition =/varMajor=95
Minor=80Critical=99
Major=90
Critical=95[Process]
[CPU]Process=pmd
Minor=90Process=gopmd
Major=95[Network]
Critical=99Ping=router
이처럼 단계 ST21에서 SRM이 시스템의 상태정보를 FOM으로 전송하게 되면, FOM은 시스템의 장애상황을 판단한다(ST22).
도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OM은 시스템 절체상황 판단 및 장애를 UIM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태 제어기와 페일오버 제어기의 기능블록을 가지고 있다.
상태 제어기는 SRM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스템 상태를 판단하고, 일부 SRM 기능블록에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며, 상대 시스템의 FOM과 직렬 통신을 통해 상대 시스템의 상태 및 제어를 수신하고, UIM으로부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받는다. 판단의 우선 순위는 UIM에서 페일오버 제어기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데이터가 최우선이고, 그 외의 것들은 시간적인 우선 순위에 따른다.
상태 제어기는 각 모듈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내부 저장소에 입력하고, 또 장애 및 절체 상황을 판단한다. 장애 상황의 경우에는 마이너, 메이저 상황에 UIM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계 ST22에서 장애상황이 판단되면, FOM의 상태제어기가 UIM으로 장애상황 및 절체상황을 전달하게 된다(ST23).
그래서 장애상황에 해당하지만 절체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액티브측(20A)과 스탠바이측(20B)의 기능은 유지된다.
한편, 절체상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절체 시나리오에 따른 이중화 절체를 수행한다.
상기 절체 시나리오는 임계상황 및 UIM의 명령, 상대 FOM의 명령에 따르는 것으로, 액티브측(20A)과 스탠바이측(20B)에서 각각 달리 수행된다.
절체 시나리오에서 액티브측(20A)은 상태 제어기가 상대 시스템의 상태를 비교하여 절체 가능하면 상태 저장소의 시스템 상태를 변경한다. 변경된 상태를 상대 FOM에 페일오버를 포함하여 통지한다. 또, 자기 시스템의 페일오버 제어기로는 절체 페일오버를 보낸다. 페일오버 제어기는 MPM이 기타 기능 모듈(이하, OFM)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도록 한다. 상태 제어기는 SRM의 NE 링크 모니터에게 제어 명령을 보내 NE와의 연결상태를 상대 시스템으로 옮기도록 한다.
절체 시나리오에서 스탠바이측(20B)은 액티브측(20A)으로부터 받은 페일오버로 상태 제어기가 페일오버 제어기와 SRM에 각각 액티브로의 천이를 명령한다. 페일오버 제어기는 MPM이 OFM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도록 명령한다. NE 링크 모니터는 링크를 액티브로 변경한다. 모든 상태가 정상적으로 변경되면, 상태 제어기는 공통 상태 저장소의 시스템 상태를 액티브로 변경한다.
이러한 상태 저장소의 데이터 구조는 도6과 같다. 그래서 각 리소스들의 상태와 자기 시스템, 상대 시스템의 상태를 모두 공유 메모리를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상태 변경시 업데이트를 용이하게 하며 각 블록간의 실시간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6에서 4바이트의 타입(Type)은 SRM/MPM/UIM의 각 기능블록 및 상대 워크스테이션의 FOM과 교환되는 패킷의 소스를 지시한다. 그리고 4바이트의 상태(Status)는 정규/비정규(Normal/Abnormal)와액티브/스탠바이/불명(Active/Standby/Unknown)과 가동/다운(Alive/Down) 등과 같은 해당 기능블록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16바이트의 Noti Reasion은 장애상태의 원인을 나타낸다.
시스템 상태 데이터를 예시하면, 상대 시스템 호스트명, 자기 시스템 초기상태, 자기 시스템 현재상태, 상대 시스템 현재상태, 디스크 사용상태, 프로세스 가동상태, NE 링크 가동상태, NE 포트 가동상태, 랜 상태, 라우터 상태, 직렬케이블 접속상태, 및 페일오버 타임 등이 있다.
더불어 MPM과 UIM은 시스템 소프트웨어 형상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태 기동을 모듈 및 블록별로 기동, 종료,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참조 파일을 이용하여 데몬과 자동 재기동 기능 등을 부여한다. UIM을 통해 MPM의 기능들이 수행되며, UIM은 자동화된 이중화 시나리오에 운용자에 의한 시스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에 따르면, 각 기능별로 해당 블록들이 관리하는 유기적인 구조로 에이전트를 구성하여 시스템 구성 환경에 따라 감시 및 제어 기능을 유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임계치 설정 및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외부 참조파일을 통해 설정함으로써 운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내부 시나리오에 따라 자체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또 UIM을 통해 긴급상황에서 운용자의 개입을 유도함으로써 통신관리망 에이전트의 운용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

  1.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과 페일오버 모듈과 마스터 프로세스 모듈 및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관리망의 이중화된 에이전트에서 시스템 리소스 모니터 모듈이 시스템내 각 리소스를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상태정보를 페일오버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페일오버 모듈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여 장애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로 장애상황을 전달하는 단계와;
    페일오버 모듈로부터 장애상황을 전달받은 유저 인터페이스는 장애상황이 임계수준을 넘어 절체상황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절체 시나리오에 따라 액티브 쪽은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스탠바이 쪽은 액티브로 천이 하도록 하여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KR1020000083630A 2000-12-28 2000-12-28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KR20020054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630A KR20020054515A (ko) 2000-12-28 2000-12-28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630A KR20020054515A (ko) 2000-12-28 2000-12-28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515A true KR20020054515A (ko) 2002-07-08

Family

ID=2768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630A KR20020054515A (ko) 2000-12-28 2000-12-28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45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6B1 (ko) * 2006-02-07 2008-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중화 통신 시스템의 페일 오버 및 원복 처리 방법
KR20150102591A (ko) * 2014-02-28 2015-09-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고가용성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6B1 (ko) * 2006-02-07 2008-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중화 통신 시스템의 페일 오버 및 원복 처리 방법
KR20150102591A (ko) * 2014-02-28 2015-09-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고가용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2125B (zh) 集群结构及其控制单元
EP19824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covering from virtual switch link failures
US20140185429A1 (en) Communication system, path switch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868278B (zh) 一种轨道交通综合监控系统通信前置机双机冗余的方法
EP2471220B1 (en) Automatic redundant logical connections
EP2090950A1 (en) Critical device with increased availability
JP4343282B2 (ja) 複合通信端末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複合通信端末装置
US20100061229A1 (en) Fast ring redundancy of a network
KR20020054515A (ko) 통신관리망에서 에이전트의 이중화 방법
CN114979036A (zh) 一种基于心跳和隔离交换矩阵的网闸的双机热备系统
CN1350242A (zh) 信息桥网络安全隔离装置
JPH04172842A (ja) Isdn通信システムの障害処理方法およびisdn通信システム
US7079481B2 (en) Redundant network controller management system
CN109510725B (zh) 通信设备故障检测系统及方法
US10491544B2 (en) Consistency control of a logical path passing through a relay device
JPH02292932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0237370B1 (ko) 이중화된 운용 워크스테이션 포트의 절체방법
KR102335995B1 (ko) 광통신 경로 우회 시스템
US20110153886A1 (en) Device that uses parameters to provide multi-channel serial data transmissions and method thereof
CN115250232B (zh) 一种主管理口的配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783805B (zh) 一种fc交换网络的传输方法及系统
KR100953965B1 (ko) 브랜치 프로세서의 회선 접속방법
CN115549947A (zh) 密钥分发系统、主备份切换方法及服务器
JP2804876B2 (ja) 多重系装置を含む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通信方法
CN117857250A (zh) 基于树状网络与环状网络结合的高可用网络系统及改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