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772A -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772A
KR20020052772A KR1020000082217A KR20000082217A KR20020052772A KR 20020052772 A KR20020052772 A KR 20020052772A KR 1020000082217 A KR1020000082217 A KR 1020000082217A KR 20000082217 A KR20000082217 A KR 20000082217A KR 20020052772 A KR20020052772 A KR 20020052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wll
slick
ring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652B1 (ko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송문섭
주식회사 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섭, 주식회사 큐리텔 filed Critical 송문섭
Priority to KR102000008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6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수신자의 전화기만 링을 울리게 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저장한 보이스 롬과 전화기의 수와 동일한 개수의 슬릭을 구비하고, 보이스 롬에서 나오는 메시지에 따라 송신자가 통화를 원하는 수신자의 번호를 선택하여 누르면, 단말기 내의 MSM에서는 요청한 번호의 전화기가 연결된 슬릭(SLIC)으로만 링 테이터(ring data)를 송출하고, 상기 링 데이터를 받은 슬릭은 해당 전화기의 링을 울려서 선택된 전화기만 울리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Fixed Subscriber Unit of WLL which is able to distinguish the receiver telephone and distingquishing method}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협대역 무선 가입자망, 즉 N-WLL(Narrow WLL)시스템의 분리형 단말기에서 다수의 전화기마다 슬릭을 구비하고 원하는 수신자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담은 보이스 롬(ROM)을 구비하여 수신 당사자의 전화기만 울리도록 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은 기존의 유선 가입자망이 교환기와 개개의 일반 가입자를 유선의 가입자선로를 통하여 연결하던 것과는 달리 무선으로 가입자 선로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1970년대에 들어 RF 기술이 발달하고 1980년대 후반에 반도체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주파수 효율, 무선 채널 품질, 가입자당 구축비용등 이전의 문제점이 해결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WLL은 기존의 유선가입자망에 비해 가입자 선로 구축이 시간적으로 용이하고, 천재지변 발생에 대비한 비상용 가입자 회선으로도 이용 가능하며 POTS, 데이터, ISDN등의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WLL은 신규 사업자가 조기에 가입자망을 확보하고, 도심지역에서도 신속하게 새로운 가입자를 구축 할수 있으며, 특히 유선통신망 구조가 빈약한 개발 도상국의 통신 하부 구조로 각광을 받고 있다. WLL용으로 개발된 제품으로는 위성을 이용한 시스템, 고정용 마이크로 웨이브를 응용한 시스템, 셀룰라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 코드리스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셀룰라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셀룰라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에는 3가지의 다중 접속방식, 즉 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FDMA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시분할다중접속방식(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코드분할다중 접속 방식(CDMA : Code Dvision Mutiplex Access) 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나온 상용제품으로는 FDMA방식과 TDMA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다른 접속 방식에 비해 가입자 수용 용량이 월등히 큰 CDMA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WLL은 무선채널을 통신매체로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이동통신망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지만 이동성이 없으므로 WLL망의 전파환경이 이동통신망의 전파환경보다는 훨씬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고 이외에도 이동 통신망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이동 통신망의 전파환경은 안테나의 높이가 주변 건물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비가시거리(Non-Line-Of- Sight) 환경이 되어 주변 건물에 의한 직진파의 차단, 반사,회절로 전파경로손실이 40dB/decade 정도이나, WLL망의 전파환경은 단말기의 안테나를 건물 옥상과 같이 높은 곳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가시경로(Line-Of-Sight) 환경이 확보되어 전파경로손실이 20dB/decade 정도로 작아 동일한 송신전력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
둘째, WLL망의 전파환경은 점 대 점방식의 고정통신이기 때문에 점 대 이동국 방식의 이동 통신망의 전파환경보다 다중경로로 인한 페이딩현상이 훨씬 적다는 점이다. 30KHz 채널대역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전파환경하에서 요구되는 Eb/No는 18dB이나, 동일한 채널대역폭을 사용하는 WLL망의 전파환경하에서 요구되는 Eb/No는 대략 14dB 정도만 요구되어 저전력 송신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셋째, WLL망은 고정 무선 통신망이므로 핸드오프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 통신망에서 호단절 없는 통신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여분의 핸드오프용 무선채널의 확보가 WLL망에서는 필요 없게 되며, 이 여분의 무선채널을 일반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무선채널의 효율 증가 및 가입자 수용 용량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건물과 기지국간의 무선 링크는 특정한 가입자에게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구축할 수도 있으며, 설치된 후에 가입자가 너무 많이 증가한다던가 또는 셀 분할을 하는 경우가 아니면 무선링크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WLL망의 설계는 이동 통신망보다는 훨씬 간단하다.
넷째, WLL망은 고정 무선통신이기 때문에 순/역방향 링크에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개개의 가입자에게 미치는 동일채널 간섭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파수 재사용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주파수 재사용 거리의 감소는 단위면적당 가입자 수용 용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상기한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은, 가입자 접속장치로서 가입자의 댁내에 위치되는 분리형 단말기, 상기 분리형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유선신호로 바꾸어주는 기지국, 및 송신측을 수신측과 연결해주는 교환기로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리스 로컬 루프 시스템의 분리형 단말기는, 포트를 통해서 외부장치인 일반전화기·팩시밀리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된다.
상기한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은 협대역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Narrowband WLL)과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Wideband WLL)으로 구분될 수 있고, 두 가지모두 CDMA방식을 이용한다. 특히 상기한 협대역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은 이동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시스템 및 단말기의 가격하락과 전화보급율이 낮은 개도국의 전화수요증가에 따라 90년 중반이후 이동통신 기술에 적용된 시스템에서 단지 이동성 만을 제거하고 "고정된 일반전화기(Fixed Subscriber)"로 개발하여, 개발도상국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협대역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은 주로 음성을 위주로 처리하며, 저속 Data,Fax등을 처리할 수 있고, 음성의 경우는 기존 유선품질과 동등한 레벨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이동통신 보다 고정된 가입자를 수용하므로 가입자 수용용량도 증대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분리형 단말기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무선 가입자망(WLL) 기지국과 가입자 정합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처리하는 RF부(10)와, 회로를 제어하는 CPU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RF부(10)의 각 회선에 대한 전송속도 변환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부(12)와, 상기 MSM(Mobile Station Modem)부(1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아날로그 신호를 각각 아날로그/디지털로 변환하는 코덱부(14)와, 아날로그 라인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고 링(ring)신호 및 각종 톤(tone)신호를 제공하는 슬릭(SLIC;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부(16)와, 상기 슬릭부(16)에 아날로그 라인을 통해 접속되는 다수의 일반전화기(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협대역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일반전화기(18)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는 라인포트(미도시)와 슬릭부(16)를 거쳐 코덱부(14)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MSM부(12)에 내장된 CPU의 제어에 따라 RF부(10)거쳐 기지국으로 송출되고, 반대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음성데이터는 RF부(10), MSM부(12), 코덱부(14), 슬릭부(16)를 거쳐 가입자의 일반전화기(18)로 송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슬릭부(16)에 다수의 일반전화기(18)이 브리지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화가 걸려오면 전화기의 구분 없이 슬릭부(16)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일반전화기에 링(ring)이 울리게 되고, 따라서 수신자가 누구인지 구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저장한 보이스 롬(Voice ROM)과 전화기의 수와 동일한 개수의 슬릭을 구비하여 보이스 롬(Voice ROM)에서 나오는 메시지에 따라 송신자가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는 해당 슬릭으로 하여금 링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거치지 않고 원하는 사람과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의 특징은,
각 수신자의 내선 번호를 안내해주는 음성메시지를 저장한 보이스 롬(Voice ROM)과;
착식 링이 도래하면 상기 보이스롬으로부터 수신자의 내선번호 안내 메시지를 인출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임의의 내선번호가 선택되면 해당 슬릭(SLIC)으로만 링신호를 전송하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전화기(수신자)만 링을 울리게 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슬릭(SLIC)을 구비한 슬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방법의 특징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링을 수신하면 단말기 내부의 보이스 롬(Voice ROM)에 저장된 내선번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자에게 내보내는 단계와;
상기 송신자에 의해 수신자 번호가 선택되면, 단말기의 MSM내부에 있는 DTMF 수신기에서 송신자가 선택한 번호를 대한 데이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수신자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가 연결된 슬릭(SLIC)으로 링 테이터(ring data)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링 데이터를 받은 슬릭에서 해당 전화기의 링을 울려서 선택된 전화기만 울리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링 송출 후 수신자가 훅 오프(Hook Off)하면 코덱부와 상기 슬릭을 연결하여 통화로를 형성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분리형 단말기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RF(Radio Frequency)부
22: MSM(Mobile Station Modem)부
24: 보이스 롬(Voice ROM)
28: 슬릭(SLIC)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가입자망(WLL) 기지국과 가입자 정합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처리하는 RF부(20)와, 회로를 제어하는 CPU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RF부(20)의 각 회선에 대한 전송속도 변환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부(22)와, 상기 MSM(Mobile Station Modem)부(22)의 명령에 따라 송신자에게 내보낼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보이스 롬(Voice ROM)(24)과, 상기 MSM(Mobile Station Modem)부(2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아날로그 신호를 각각 아날로그/디지털로 변환하는 코덱부(26)와, 아날로그 라인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고 링(ring)신호 및 각종 톤(tone)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슬릭(SLIC;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부(28)와, 상기 다수의 슬릭부(28)에 아날로그 라인을 통해 접속되는 다수의 일반전화기(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슬릭부(28) 및 다수의 일반전화기(30)은 표기의 편의상 두개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협대역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일반전화기(3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는 라인포트(미도시)와 슬릭부(28)를 거쳐 코덱부(26)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MSM부(22)에 내장된 CPU의 제어에 따라 RF부(20)거쳐 기지국으로 송출되고, 반대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음성데이터는 RF부(20), MSM부(22), 보이스 롬(Voice ROM)(24), 코덱부(26), 슬릭부(28)를 거쳐 가입자의 일반전화기(30)로 수신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수신자를 구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송신자가 전화를 걸어 기지국에서 순방향 링크를 시도하면, 무선가입자망 단말기는 이를 수신한다(S11).
이어, 전화를 수신하면 단말기 내부의 보이스 롬(Voice ROM)에 저장된 메시지를 송신자에게 내보낸다(S13).
상기 보이스 롬(Voice ROM)에 담긴 메시지는 수신 전화기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A와의 통화는 1번, B와의 통화는 2번을 누르십시오" 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상기 S13단계에 이어, 상기 보이스 롬(Voice ROM)에서 송출된 메시지를 들은 송신자는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고, 단말기의 MSM내부에 있는 DTMF 수신기에서는 송신자가 누른 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CPU에 보낸다(S15). 여기서 DTMF(Dual ToneMulti Frequency)는 일반 전화기의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이어, CPU는 상기 DTMF 수신기에서 보낸 데이터로 송신자가 요청한 사람이 사용하는 전화기가 연결된 슬릭(SLIC)으로 링 테이터(ring data)를 송출한다(S17).
이어, 상기 링 데이터를 받은 슬릭은 해당 전화기의 링을 울려서 선택된 전화기만 울리도록 한다(S19).
이어, 링이 울려서 수신자가 전화를 받으면 코덱부와 수신자의 전화기쪽 슬릭을 연결하여 정상 통화 모드를 진행한다(S21)
결국, 본 발명은 단일 슬릭에 다수의 전화기가 동시에 연결되어 모든 전화가 동시에 울리던 것을 각각의 전화기마다 슬릭을 따로 구비하여, 보이스롬에 저장된 메시지로 송신자가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하고, 송신자의 선택에 따라서 해당 슬릭에 링데이터를 보내고, 따라서 모든 전화가 울리는 것과는 달리 특정 전화기만 울리도록 하는데 그 핵심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안내 메시지를 저장한 보이스 롬(Voice ROM)과 전화기의 수와 동일한 개수의 슬릭을 구비하여 보이스 롬(Voice ROM)에서 나오는 메시지에 따라 송신자가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는 해당 슬릭으로 하여금 링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거치지 않고 원하는 사람과 직접 통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한대로 여러 대의 동작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 수신자의 내선 번호를 안내해주는 음성메시지를 저장한 보이스 롬(Voice ROM)과;
    착식 링이 도래하면 상기 보이스롬으로부터 수신자의 내선번호 안내 메시지를 인출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임의의 내선번호가 선택되면 해당 슬릭(SLIC)으로만 링신호를 전송하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전화기(수신자)만 링을 울리게 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슬릭(SLIC)을 구비한 슬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2.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링을 수신하면 단말기 내부의 보이스 롬(Voice ROM)에 저장된 내선번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자에게 내보내는 단계와;
    상기 송신자에 의해 수신자 번호가 선택되면, 단말기의 MSM내부에 있는 DTMF 수신기에서 송신자가 선택한 번호를 대한 데이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수신자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가 연결된 슬릭(SLIC)으로 링 테이터(ring data)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링 데이터를 받은 슬릭에서 해당 전화기의 링을 울려서 선택된 전화기만 울리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링 송출 후 수신자가 훅 오프(Hook Off)하면 코덱부와 상기 슬릭을 연결하여 통화로를 형성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방법.
KR1020000082217A 2000-12-26 2000-12-26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349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217A KR100349652B1 (ko) 2000-12-26 2000-12-26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217A KR100349652B1 (ko) 2000-12-26 2000-12-26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772A true KR20020052772A (ko) 2002-07-04
KR100349652B1 KR100349652B1 (ko) 2002-08-24

Family

ID=2768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217A KR100349652B1 (ko) 2000-12-26 2000-12-26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6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31B1 (ko) * 2001-05-19 200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의 내선 전환 장치 및방법
KR100439234B1 (ko) * 2001-08-28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무선가입자망의 내선선택 방법
KR100456113B1 (ko) * 2001-12-27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인루프 선택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더불유엘엘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31B1 (ko) * 2001-05-19 200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의 내선 전환 장치 및방법
KR100439234B1 (ko) * 2001-08-28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무선가입자망의 내선선택 방법
KR100456113B1 (ko) * 2001-12-27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인루프 선택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더불유엘엘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652B1 (ko) 200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7979B1 (e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JP2952857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003131B2 (ja) コードレステレホン
KR100349652B1 (ko)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JPH07245650A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US20030119442A1 (en) Wireless local loop communication system
KR100469247B1 (ko) 아날로그 통신 장비와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무선 가입자망시스템
KR100349018B1 (ko) 일반전화기와 연동시킨 일체형 무선가입자망 단말 장치 및그 제어방법
CA2226431C (en) Call set-up for f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20071536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전화 번호 송출 방법
KR10026075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KR100365734B1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 다이얼 톤 송출 방법
KR100349651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모뎀 통신 방법
KR20010045585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 내선기능을 갖는 가입자접속장치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KR100304934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KR200183598Y1 (ko) 인터폰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
KR20020057261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전화번호 발신 방법
KR100334557B1 (ko) 통화중인 이동국의 톤 신호 전송방법
KR100248102B1 (ko) 구내교환기에서 씨티-2국선 및 일반국선 선택사용장치 및 방법
KR100248610B1 (ko) 개인통신시스템에서 비동기데이터에 대한 발신방법
JPH0923462A (ja) 電話装置及びその発信方法
JPS61177038A (ja) 移動通信方式
JPH08182036A (ja) 無線電話装置
KR20020044947A (ko) 기지국의 로컬 루프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