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934B1 -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934B1
KR100304934B1 KR1019990013920A KR19990013920A KR100304934B1 KR 100304934 B1 KR100304934 B1 KR 100304934B1 KR 1019990013920 A KR1019990013920 A KR 1019990013920A KR 19990013920 A KR19990013920 A KR 19990013920A KR 100304934 B1 KR100304934 B1 KR 10030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terminals
subscriber
w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661A (ko
Inventor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1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93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LL 단말기에서 유선으로 연결된 송수화기를 국가별로 허용되는 무선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분리시키고 WLL 단말기의 착 발신 및 일부 기능을 무선으로 분리된 단말기에 내장하여 무선화시키는 것과 여러 대의 무선 단말기를 WLL 단말기 본체와 구성하여 멀티유저(Multi User)기능을 구현한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가입자 접속 장치와,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모듈부로 구성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상기 무선 가입자 망 단말기와 분리되어 멀티유저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 구성되므로써, 무선으로 분리된 다수의 송수화기를 멀티 유저로 확장이 가능하고 일정 주거지역내 휴대 및 이동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 for Network Interface Unit and Multi Terminal in Wireless Local Loop}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이하 WLL이라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LL 단말기의 송수화기(Handset)부분을 무선으로 분리시켜 다수의 사용자에게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LL시스템은 가입자와 전화국간 제공되는 가입자 선로(Subscriber line)를 무선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음성 통신 서비스, 모사전송(Fax) 서비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필요시 제공할 수 있다.
WLL 시스템은 1970 연대에 발전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기술에 1980년대에 후반에 발전한 반도체 및 무선 통신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주파수 효율, 무선 채널 품질, 가입자당 구축비용 등의 문제가 해결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WLL 시스템의 장점은 종래의 유선망에 비하여 구축비용, 시간, 유지비가 절감되며 우수한 통화 품질, 데이터, ISDN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가입자망을 확보하기를 원하는 신규 사업자에게나, 유선 통신망 구조가 빈약한 개발 도상국에게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WLL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화기와, 전화기와 교환기간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가입자 접속장치(Network Interface Unit : NIU)로 이루어진다. 또한, WLL 시스템은 전화기와 가입자 접속장치간 연결관계에 따라 분리형 WLL시스템과 일체형 WLL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분리형 WLL 시스템은 기존의 유선망에 연결된 고정 전화기를 갖고있는 가입자가 WLL 시스템에 가입시 전화기는 구매하지 않고 단지 가입자 접속장치만 구매할 수 있도록 고정 전화기와 가입자 접속장치간 유선으로 연결된 것이다. 반면, 일체형 WLL 시스템은 기존의 유선망에 연결된 고정 전화기를 갖고있지 않는 가입자가 WLL 시스템에 가입시 편리하도록 전화기와 접속장치가 하드웨어적으로 하나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및 일체형 WLL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고정 전화기(10)와, 고정 전화기(10)에 연결되어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가입자 접속 장치(20)와, 가입자 접속장치가 내장된 일체형 전화기(30)와, 가입자 접속장치(20) 또는 일체형 전화기(30)와 무선 접속하는 기지국(40)과, 기지국(40)과 유선 접속하여 호 처리 및 메시지 전달의 기능을 하는 기지국 제어기(50)와, WLL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하는 운용장치(60)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50)에는 교환국(7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WLL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각각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 접속 장치(20)는 WLL 시스템의 최종단에 위치하여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기능, 무선 주파수에서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가입자로 전달하는 기능 및 그 역과정을 수행하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기능, 통신망과의 신호 프로토콜 처리기능, 음성 신호 처리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40)은 가입자 접속장치(20) 또는 일체형 단말기(30)와 무선 접속하여 무선주파수 신호를 처리하여 무선 신호의 변조 및 복조, 채널 코딩 및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고, 기지국 제어기(50)와는 특정 트렁크(E1/HDSL)를 통하여 유선 접속한다.
기지국 제어기(50)는 기지국(40)과 교환기(70)사이에 위치하여 여러 개의 기지국을 관장하여 제어하고, 신호 메시지의 전달 기능, 호 처리기능, 코드 변환 기능 및 기지국(40)과 교환국(70)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운용장치(60)는 가입자 접속장치(20), 기지국(40) 및 기지국 제어기(50)의 운용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하여 망 구성 관리 기능, 망 요소 관리 기능, 성능 관리 기능, 자료 처리 기능, 소프트웨어 관리 기능 및 보안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WLL 시스템의 송수신 동작을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 동작에서는 발신측 가입자가 고정 전화기(10)를 사용하여 착신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고정 전화기(10)에 연결된 가입자 접속 장치(20)는 입력된 전화 번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 링크 구간을 통해 기지국(40)으로 송출한다. 이때, 착신측 전화 번호는 가입자 접속 장치(20)에 의해 일괄 송신방식(en-bloc 또는 functional address signaling) 또는 중첩 송신방식(overlap 또는 stimulus address signaling)을 사용하여 기지국(40)으로 전송된다.
일괄송신방식은 전화 번호에 해당되는 각 숫자 정보를 차례로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전체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블럭 개념으로 한번에 기지국(40)으로 전달하는 방식이고, 중첩 송신방식은 전화 번호에 해당되는 각 숫자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기지국(40)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어, 가입자 접속장치(20) 또는 일체형 단말기(30)에서 전송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40)은 수신된 신호를 교환국(70)으로 전송한다. 교환국(70)은 착신측 가입자가 자신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다른 교환국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통신 경로를 결정하고,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와 데이터를 착신측 가입자로 전송한다. 이후의 동작은 일반적인 동작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WLL 시스템을 이용한 종래의 단말기는 WLL 단말기와 가입자 접속장치의 착발신시에 유선으로 연결된 송수화기(Handset)로만 응답이나 통화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임의의 가입자 또는 외부로 착발신을 시도할 경우에 WLL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대하여 이동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상용화 되고 있는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기로서의 활용가치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 수만큼 WLL 단말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WLL 단말기에서 유선으로 연결된 송수화기를 국가별로 허용되는 무선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분리시키고 WLL 단말기의 착 발신 및 일부 기능을 무선으로 분리된 단말기에 내장하여 무선화시키는 것과 여러 대의 무선 단말기를 WLL 단말기 본체와 구성하여 멀티유저(Multi User)기능을 구현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가입자 접속 장치와,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모듈부로 구성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상기 무선 가입자 망 단말기와 분리되어 멀티유저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모듈부는, 외부 가입자망 또는 다수의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착발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미약전파 및 소전력 주파수대 RF단과, 인가되는 임의의 상기 착발신 신호에 대해 상기 무선 단말기간 제공되는 무선 구간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제어부(MC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에는 상기 멀티유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상기 무선 단말기에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및 일체형 WLL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LL 단말기 본체의 동작을 설명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WLL 단말기본체에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CDMA 기저대역 제어부 12 : 정적램(SRAM)
13 : 플래쉬 메모리 14 : 이이피롬(EEPROM)
15 : 신호변조부(CODEC) 16 : 음성압축부(EVRC)
17, 24 : 미약전파 및 주파수 RF단 18, 25 : 마이크로 제어부(MCU)
19 : 데이터제어부 21 : 발광다이오드(LEDs)
22 : RS-232 포트 23 : 무선 모듈부
26 : 액정표시창(LCD) 27 : 키 입력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LL 단말기 본체의 동작을 설명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 외부로부터 800Mhz, 1.8Ghz, 1.9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CDMA 디지털 셀룰러 방식으로 착신 신호 전달 과정을 기술하면, CDMA RF단(1)을 거쳐 CDMA 기저대역 제어부(11) 신호를 착신한 후 무선 모듈부(23)의 마이크로 제어부(MCU(18)로 착신제어신호를 전송하면, 무선 모듈부(23)의 미약전파 및 소전력 주파수대 RF단(17)을 거쳐 도 3의 무선 송수화기로 착신 신호를 재전송 하게 된다. 그 때, 도 3의 무선 송수화기로 미약전파 및 소전력 주파수대 RF단(24)을 거쳐 마이크로 제어부(25)는 부저구동부(28)을 구동시켜 착신 링 신호를 부저 스피커로 울리게 한다.신호 변조부(CODEC)(15)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주파수를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유선으로 연결된 송수화기를 제거하고 WLL 단말기 본체에 무선 모듈부(23)를 새로 구비하여 무선 송수화기와의 착발신 기능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무선 모듈부(23)는 도 2의 송수신 동작 과정을 통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는 미약전파 및 소전력 주파수대 RF단(17)과 CDMA 기저대역 제어부(11)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가입자 접속 장치로 전송하거나 무선 송수화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마이크로 제어부(MCU)(18)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WLL 단말기본체에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동작과정을 통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WLL 단말기 본체에 내장된 마이크로 제어부(MCU)(18)에서 무선으로 분리된 단말기로 전송된다.
무선으로 분리된 단말기는 WLL 단말기 본체의 착 발신 및 일부 기능을 실행하는 무선모듈부(23)와 같은 회로를 내장하여 다수의 무선 단말기가 WLL 단말기본체를 중심으로 멀티 유저 기능을 실행하게된다.
이와 같은 무선화 및 멀티 유저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WLL 단말기 본체의 CDMA 기저대역 제어부(11)에서 인가되는 착신 신호가 무선 모듈부(23)내에 구성된 마이크로 제어부(MCU)(18)로 인가되거나(메시지 또는 신호형태), 반대로 무선 단말기의 발신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제어부(MCU)(25)에서 인가된 신호를 WLL 단말기 본체의 마이크로 제어부(MCU)(18)가 메시지를 해독하여 CDMA 기저대역 제어부(11)로 발신 신호를 전송하거나, 무선으로 분리된 단말기로 착신 신호를 전송하여 통화접속을 이루는 방식이다.
또한, 멀티 유저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 단말기에 고유의 인식 ID를 부여하여 무선 단말기간 송수신, 인터컴(Intercome)기능 등이 가능하게 하고 WLL 단말기 본체에서는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WLL 단말기 본체와 구성된 무선 단말기들이 동시에 착신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WLL 단말기에서는 단말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싱글 유저 용도로 사용하는데 비해서 본 발명은 WLL 단말기에서 송수화기(Handset)를 무선으로 분리함으로써 멀티 유저로 확장이 가능하고 일정 주거지역내 휴대 및 이동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가입자 접속 장치와,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모듈부로 구성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상기 무선 가입자 망 단말기와 분리되어 멀티유저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듈부는,
    외부 가입자망 또는 다수의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착발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미약전파 및 소전력 주파수대 RF단과,
    인가되는 임의의 상기 착발신 신호에 대해 상기 무선 단말기간 제공되는 무선 구간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제어부(MC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는 다수의 상기 무선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제어부(MCU)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는 상기 멀티유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상기 무선 단말기에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990013920A 1999-04-20 1999-04-20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0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920A KR100304934B1 (ko) 1999-04-20 1999-04-20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920A KR100304934B1 (ko) 1999-04-20 1999-04-20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661A KR20000066661A (ko) 2000-11-15
KR100304934B1 true KR100304934B1 (ko) 2001-10-29

Family

ID=1958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920A KR100304934B1 (ko) 1999-04-20 1999-04-20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30B1 (ko) * 2002-02-01 200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무선 가입자 망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661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051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incoming call to a wireless telephone
US6021326A (en) Trunked multi-site dispatch network for trunking radios
US6813505B2 (en) Efficient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base-to-base communication
CN1595828B (zh) 连接包含蓝牙组件的移动终端和蓝牙接入点的方法
CN1945994B (zh) 蓝牙手机来电自动转到固话接听的方法
WO2004105422A1 (en) Integrated wireline and wireless service using a common directory number
KR100304934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다수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WO19910135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link with wireless telephone
KR20000066663A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호 설정 방법
JP2909356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469247B1 (ko) 아날로그 통신 장비와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무선 가입자망시스템
KR100349018B1 (ko) 일반전화기와 연동시킨 일체형 무선가입자망 단말 장치 및그 제어방법
JP4301639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0349652B1 (ko)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수신자 구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KR100339335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2375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운용 방법
KR100797921B1 (ko) 통신시스템의 콜러아이디 표시제어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KR200183598Y1 (ko) 인터폰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
KR100247254B1 (ko) 양방향 무선통신 단말장치
KR19990010665A (ko) 덱트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20020071536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전화 번호 송출 방법
KR20000018968U (ko) 안테나와 알에프단 일체형 무선가입자망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