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099A -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099A
KR20020052099A KR1020000081373A KR20000081373A KR20020052099A KR 20020052099 A KR20020052099 A KR 20020052099A KR 1020000081373 A KR1020000081373 A KR 1020000081373A KR 20000081373 A KR20000081373 A KR 20000081373A KR 20020052099 A KR20020052099 A KR 2002005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rf
chute
tank
swap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임동원
최문환
박원상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8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2099A/ko
Publication of KR2002005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0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연마유와 스와프를 분리하여 연마캐빈에서 스와프 탱크로 이동되게 하고 스와프가 덩어리지기 전에 회수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는 스와프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며, 영역을 달리하여 배출공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이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종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연마캐빈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연마유 슈트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종방향을 따라 힌지 고정되며 끝단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스와프 슈트로 이루어지는 슈트부와; 콘베이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만곡된 판재가 상기 스와프 탱크와 필터 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된 면을 따라 스와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Abrasive fluid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압연공정에 사용되는 필터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연마캐빈에서 스트립의 연마시 사용된 연마유에 함유되어진 스와프를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는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열연 코일 생산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스트립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면 그라인더 설비를 이용하여 결함을 제거하고 있다.
그라인더 설비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 벨트를 이용하여 연마를 실시하며, 이러한 연마작업시 발생되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연마유를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연마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스와프(swarf)는 연마유와 혼합되어 필터레이션 장치로 유입된다.
이어서 필터레이션 장치에서 스와프와 연마유는 분리된 후 연마유는 회수되어 재사용되고, 스와프는 원심분리기로 투입된 후 나머지 연마유도 걸러내고 제강공장으로 보내져 재사용되고 있다.
도 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필터레이션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송되는 스트립(S)은 연마 캐빈(2)의 내부에서 연마가 이루어지며, 이때 사용된 폐연마유는 슈트(4)를 통해 스와프 탱크(6)로 유입된다.
스와프 탱크(6)에서는 폐연마유에 포함된 스와프를 콘베이어(8)로 이송하여외부로 배출시키고, 하부에 설치된 스크린(10)에서 스와프가 걸러진 폐연마유는 연접된 필터 탱크(12)로 유입되며, 여기서 다시 미세한 스와프를 콘베이어(14)로 걸러내어 외부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회수펌프(16)를 이용해 폐연마유를 클린 탱크(18)로 유입시켜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공급펌프(20)를 이용해 연마캐빈(2)으로 재공급하고 있다.
여기서 콘베이어(8)(14)는 스와프 탱크(6) 및 필터 탱크(12)와 연통된 경사덕트(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콘베이어(8)(14)의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송턱(24)으로 스와프를 끌고 가서 외측으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에 걸리는 스와프가 점차 증가하면서 결국에는 연마유가 필터 탱크 밖으로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와프가 제때 제거되지 못하면 필터 탱크 내부에 스와프가 다량 누적되어 연마유 보유량을 감소시키게 되고 결국에는 연마캐빈의 연마작업시 냉각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유와 스와프를 분리하여 연마캐빈에서 스와프 탱크로 이동되게 하고 스와프가 덩어리지기 전에 회수 가능하도록 하는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의 전기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는 종래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연마캐빈 32...스와프 탱크
34...필터 탱크 36...클린 탱크
38...경사덕트 40...모터
46...콘베이어 46a...이송턱
50...슈트부 52...연마유 슈트
52a...안내홈 54...스와프 슈트
54a...관통홀 56...삽입구
60...고정핀 66...스크린부
68...빅스크린 70...스몰스크린
72...가이드부 74...서브 콘베이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는 스와프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며, 영역을 달리하여 배출공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이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종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연마캐빈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연마유 슈트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종방향을 따라 힌지 고정되며 끝단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스와프 슈트로 이루어지는 슈트부와; 콘베이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만곡된 판재가 상기 스와프 탱크와 필터 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된 면을 따라 스와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필터탱크에 위치한 가이드부의 끝부분 하방에 스와프를 받아 상부로 이송시켜 상기 콘베이어로 낙하되도록 하는 서브 콘베이어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스와프 슈트와 대응되는 스크린부의 배출공 보다 상기 연마유 슈트와 대응되는 스크린부의 배출공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와프 슈트는 힌지 고정라인을 따라 좌우쪽으로 분리되고, 상가 좌우쪽 각각에 연결되는 실린더의 로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송중인 스트립(S)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연마캐빈(30)의 내부에는 스트립(S)과 접촉되는 연마롤이 다수개 설치되고, 이 연마롤과 스트립(S)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마유가 공급된다.
연마작업에 사용된 폐연마유는 연마캐빈(30)에 순차적으로 연접된 스와프 탱크(32), 필터 탱크(34) 및 클린 탱크(36)를 통과하면서 스와프와 폐연마유로 분리된다.
스와프 탱크(32)와 필터 탱크(36)에는 경사덕트(38)가 연결된다.
경사덕트(38)에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스프라켓(42)이 설치되고 스와프 탱크(32)와 필터 탱크(36) 각각에 피동 스프라켓(44)이 설치되며 구동 스프라켓(42)과 피동 스프라켓(44)은 체인(46)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체인(46)의 외측면에는 이송턱(46a)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스와프 탱크(32)와 필터 탱크(36)에 잔존하는 스와프를 긁어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폐연마유가 연마캐빈(30)에서 스와프 탱크(32)로 배출될 시 연마캐빈(30)과 스와프 탱크(32)에 동시에 연결된 슈트부(5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슈트부(50)는 연마유 슈트(52)와 스와프 슈트(54)로 이루어진다.
연마유 슈트(5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안내홈(52a)이 형성되어 그 횡단면이 대략 반호 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연마캐빈(30)의 하단에 위치하고 타단이 스와프 탱크(32)의 내부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연마유 슈트(52)에 스와프 슈트(54)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안내홈(52a)의 종방향 중심부에 소정 간격으로 삽입구(56)를 형성한다.
상기 스와프 슈트(54)는 연마유 슈트(52)의 삽입구(56)에 결합되는 바, 좀 더 바람직하게는 좌우측으로 분리된 스와프 슈트(54)의 하단 가장자리에 상기 삽입구(56)에 대응되는 보조 삽입구(58)를 좌우측 번갈아가면서 한번 건너뛰게 형성하고, 삽입구(56)와 보조 삽입구(58)를 통해 관통하는 고정핀(60)으로 일체화하여 결합시킨다.
좌우측 스와프 슈트(54)에는 다수의 관통홀(54a)이 형성되어 스와프가 굴러 내릴 때 스와프에 묻어 있던 폐연마유가 연마유 슈트(52)로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스와프 슈트의 좌우측이 중심의 향해 접혀졌다가 펼쳐지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스와프 슈트(54)의 좌우측 스와프 탱크(32)에 실린더(62)를 설치하고, 실린더(62)의 로드를 좌우측 스와프 슈트(54)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좌우측 실린더(62)가 동일한 폭으로 접힘과 펼쳐짐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실린더(62)에는 콘트롤 패널과 연결된 인센서(64a)와 아웃 센서(64b)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스와프 슈트(54)에 의해 분리된 스와프는 스와프 탱크(32)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크린부에서 걸려지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66)는 영역을 달리하여 배출공의 크기가 다른 2개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즉, 배출공(68a)의 크기가 큰 빅스크린(68)은 스와프 탱크(32)와 근접한 쪽에 설치되어 상방에 상기 연마유 슈트(52)의 타단이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배출공(70a)의 크기가 작은 스몰스크린(70)은 필터 탱크(34)와 근접한 쪽에 설치되어 상방에 상기 스와프 슈트(54)의 타단이 위치한다.
이러한 스크린부(66)는 필터 탱크(34) 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배치지며, 스크린부(66)의 표면에는 스와프 탱크(32)에서 필터 탱크(34)로 흘러가던 폐연마유가찰랑거리면서 항상 흘러내린다.
한편 스와프 슈트(54)에 의해 스몰스크린(70)의 위로 낙하된 스와프는 콘베이어(46)의 이송턱(46a)에 걸려서 이동하다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72)에 의해 안내되어 필터 탱크(34)로 유입된다.
상기 가이드부(72)는 만곡된 판재가 스와프 탱크(32)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콘베이어(46)의 하부 체인 상부에 배치되어 콘베이어(46)에 의해 이송되던 스와프가 가이드부(72)의 만곡된 면에 접촉되면 빅스크린(68)에서 스몰스크린(70) 쪽으로 흘러내리던 폐연마유에 의해 쓸려서 필터 탱크(34)로 유입된다.
필터 탱크(34)로 유입된 스와프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필터 탱크(34)의 내부에 설치된 서브 콘베이어(74) 위로 낙하된다. 이는 필터 탱크(34)의 내부로 스와프가 낙하되지 않게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서브 콘베이어(74)는 복수의 지지대(76)의 상부를 관통하는 구동 회전축(78)과 복수의 지지대(76)의 하부를 관통하는 피동 회전축(도시 생략됨)의 각각에 구동 스프라켓(80)과 피동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구동 스프라켓(80)과 피동 스크라켓은 체인 벨트(82)로 연결하며, 구동 회전축(78)에는 모터(84)를 설치하여 모터(84)의 회전력으로 체인 벨트(82)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체인 벨트(82)의 상면에는 이송턱(82a)이 설치되어 낙하된 스와프를 상부로 끌어서 경사덕트(38)의 내측 콘베이어(46)로 이송시킨다.
한편, 스크린부(36)을 통과한 폐연마유는 스와프 탱크(32)와 연접된 필터 탱크(34)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폐연마유는 펌프(86)에 의해 클린 탱크(36)로 유입된 후 필터링된 다음 공급 펌프(88)에 의해 연마캐빈(30)으로 재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연마캐빈(30)으로 진행되는 스트립(S)의 연삭작업시 사용된 폐연마유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부(50)에서 분리되어 스와프 탱크(32)로 유입된다.
즉, 스와프는 스와프 슈트(54)에 의해 스몰스크린(70) 쪽으로 낙하되고, 폐연마유는 연마유 슈트(52)의 안내홈(52a)을 타고 흘러내려 빅스크린(68) 쪽으로 낙하된다.
이때 실린더(62), 인센서(64a) 및 아웃센서(64b)의 작동에 의해 좌우측 스와프 슈트(54)는 중심을 향해 접힘과 펼쳐짐을 반복하면서 스와프가 잘 굴러내리도록 한다.
그리고 스와프에 묻어 있던 폐연마유는 관통홀(54a)을 통과하여 연마유 슈트(52)로 낙하된 후 안내홈(52a)을 따라 스와프 탱크(32)로 흘러내리게 된다.
스와프 탱크(32)로 흘러내린 폐연마유는 스와프 탱크(32)의 바닥면을 타고 필터 탱크(34) 쪽으로 흘러 내린다.
그리고 스몰스크린(70)으로 낙하된 스와프는 콘베이어(46)의 이송턱(46a)을 타고 이동하다가 가이드부(72)에서 진행이 멈춰지고 만곡된 면과 흘러내리는 폐연마유를 타고 필터 탱크(34)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스와프는 서브 콘베이어(74)의 위로 낙하된 후 서브 이송턱(82a)에의해 상부로 이송되다가 경사덕트(38)의 콘베이어(46)로 떨어진다.
콘베이어(46)로 낙하된 스와프는 콘베이어(46)에 의해 경사덕트(38)의 상부로 이송됨에 따라 스와프가 탱크들의 내부에 적체되지 않고 즉시 외부로 배출되어 스와프의 적체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스와프의 적체 현상으로 인해서 연마유가 넘치는 문제를 해소하게 되었다.
그리고 필터 탱크 내부의 스와프 적체량이 감소하여 연마유 량이 많아져 연마작업시 냉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연마캐빈에서 스트립의 연마시 발생된 스와프를 스와프 탱크와 필터 탱크에서 이송턱이 설치된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걸러내고 사용된 연마유는 클린 탱크에서 필터링하여 재사용하는 필터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와프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며, 영역을 달리하여 배출공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이 배치되는 스크린부;
    종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마캐빈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연마유 슈트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종방향을 따라 힌지 고정되며 끝단이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스와프 슈트로 이루어지는 슈트부; 및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만곡된 판재가 상기 스와프 탱크와 필터 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된 면을 따라 스와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탱크에 위치한 가이드부의 끝부분 하방에 스와프를 받아 상부로 이송시켜 상기 콘베이어로 낙하되도록 하는 서브 콘베이어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프 슈트와 대응되는 스크린부의 배출공 보다 상기 연마유 슈트와 대응되는 스크린부의 배출공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프 슈트는 힌지 고정라인을 따라 좌우쪽으로 분리되고, 상가 좌우쪽 각각에 연결되는 실린더의 로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KR1020000081373A 2000-12-23 2000-12-23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KR20020052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73A KR20020052099A (ko) 2000-12-23 2000-12-23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73A KR20020052099A (ko) 2000-12-23 2000-12-23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099A true KR20020052099A (ko) 2002-07-02

Family

ID=2768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373A KR20020052099A (ko) 2000-12-23 2000-12-23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20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687B1 (ko) * 2007-10-17 2009-03-19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레이션장치
KR102170965B1 (ko) 2020-05-04 2020-10-28 김수남 필터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687B1 (ko) * 2007-10-17 2009-03-19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레이션장치
KR102170965B1 (ko) 2020-05-04 2020-10-28 김수남 필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4216B (zh) 用于处理冷却润滑剂的装置
EP1256417B1 (en) Chip discharge conveyor system
KR100228260B1 (ko)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
US7638061B2 (en)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EP2222383B1 (en) Filtering apparatus with hinge belt
US33588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KR20020052099A (ko) 연마유 필터레이션 장치
JP2000300914A (ja) 濾過装置
JP2001038575A (ja) 磁性体スラッジ回収装置
KR101727924B1 (ko) 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화이바글라스 벨트와 벨트 양면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벨트타입 스키머
JP5489231B2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KR101864885B1 (ko) 필터링효율이 향상된 페이퍼필터장치
KR100983661B1 (ko) 스와프 처리설비의 필터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JP2916363B2 (ja) 沈砂洗浄機
KR20000073443A (ko) 스와프 분리장치
KR200257475Y1 (ko) 자력을 이용한 미세 금속 칩의 분리 수거 장치
WO2017173984A1 (zh) 碎片洗涤机
KR100742925B1 (ko) 스트립 그라인딩라인의 연마유 필터링 장치
KR20160139148A (ko) 스크래퍼 청결장치
JP2001149713A (ja) 液体回収濾過装置
JP2005022007A (ja) 濾過装置
KR20040043947A (ko) 스와프 처리설비의 스와프 이송 슈트
KR20040043945A (ko) 스와프 처리설비의 연마유 분리용 스와프 이송장치
KR20040006524A (ko) 개방 수로형 칩 웨이의 칩 제거장치
KR100761735B1 (ko) 스와프 원심분리기의 스와프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