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699A - 회전 스위치 플러그 - Google Patents

회전 스위치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699A
KR20020051699A KR1020000081166A KR20000081166A KR20020051699A KR 20020051699 A KR20020051699 A KR 20020051699A KR 1020000081166 A KR1020000081166 A KR 1020000081166A KR 20000081166 A KR20000081166 A KR 20000081166A KR 20020051699 A KR20020051699 A KR 2002005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pper body
lower body
pair
rotar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925B1 (ko
Inventor
이성두
Original Assignee
이성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두 filed Critical 이성두
Priority to KR10-2000-008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9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6Key inserted and then turned to effect oper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4Insulating plug or plate inserted between normally closed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스위치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단자봉(10)이 결합되는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20)이 결합되는 하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10)에 고정되고 상기 전선(2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30)와, 상기 상부몸체(100)에 한 쌍의 단자봉(10)과 연결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입력단자(30)가 상기 하부몸체(1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접속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단자(40)와, 상기 하부몸체(110)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입력단자(30)가 상기 연결단자(40)에 접촉/분리되도록 하는 접촉/분리요소(120)와, 상기 상,하부몸체(100),(110)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서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 스위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여 접속시킨 후, 회전 스위치 플러그의 상부몸체를 회전시켜 접속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전제품과 콘센트의 놓인 위치에 따라 회전 스위치 플러그를 회전시켜 전선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선들이 휘어져 꺽이거나 뒤섞이는 일이 없이 가지런하게 정리하여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회전 스위치 플러그의 상부몸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다단계로 온, 오프가 반복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원의 접속 및 분리동작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스위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둔 상태로 전원을 간단히 온,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전자 제품을 사용한 후 전원을 차단하는 습관이 쉽게 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센트에플러그가 계속 꽂혀 있음에 의해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이 계속 인가되고 과부하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회전 스위치 플러그{ROTARY SWITCH PLUG}
본 발명은 회전 스위치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를 상,하부몸체로 분리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다단계로 회전시켜 전원을 온, 오프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기전자 제품과 콘센트의 위치에 따라 전선의 위치와 방향을 가지런하게 정리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둔 상태로 전원을 쉽게 연결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회전 스위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원 플러그는 몸체에 한 쌍의 단자봉이 결합되어 있어, 플러그의 접속 단자봉을 콘센트의 단자홈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접속 단자봉이 전원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플러그의 양쪽면 노출되게 구비된 접지단자가 콘센트의 접지단자에 접촉됨으로써 전원 연결과 접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에 정해진 한 방향으로만 결합하여야 하므로 복수개의 플러그를 결합할 때에 인접한 플러그 및 전선들이 서로 간섭되어 결합과 분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가전제품과 콘센트의 놓인 위치에 따라 전선들이 휘어져 꺽이거나 뒤섞이기 때문에 플러그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고 싶어도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가지런하게 정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한 때에 전원이 온되고, 분리한 때에 전원이 오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원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동작이 불편할뿐 아니라, 이 때문에 전기전자 제품을 사용한 후 전원을 오프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플러그를 콘센트에 그대로 꽂아 둠으로써 전력이 낭비되고 전기전자 제품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을 때에 주로 전선을 당겨 뽑게 되므로 전선과 플러그의 연결부분이 절단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러그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동작이 번거로워 콘센트에 항상 꽂아 둔 채로 사용하는 악습으로 인하여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이 계속 인가되어 과부하가 걸림으로써 화재의 원인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러그를 상,하부몸체로 분리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다단계로 회전시켜 전원을 온, 오프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기전자 제품과 콘센트의 위치에 따라 전선의 위치와 방향을 가지런하게 정리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둔 상태로 전원을 쉽게 연결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회전 스위치 플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 플러그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분해사시도.
도 2는 하부몸체의 평면도.
도 3은 상부몸체의 저면도.
도 4a, 4b는 회전 스위치 플러그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봉20 : 전선
21 : 접지선30 : 입력단자
40 : 연결단자50 : 접지편
51 : 접지간52 : 접지단자
100 : 상부몸체101, 102 : 좌,우측 분리체
103 : 축봉110 : 하부몸체
111 : 삽입홈112, 113 : 삽입홈
114 : 중앙공115 : 걸림턱
120 : 접촉/분리요소121, 122 : 요철부
121a, 122a : 돌부121b, 122b : 요부
130 : 결합수단131 : 압축스프링
132 : 슬립링133 : 지지판
134 : 고정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스위치 플러그는 한 쌍의 단자봉이 결합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이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전선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와, 상기 상부몸체에 한 쌍의 단자봉과 연결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입력단자가 상기 하부몸체에 의해 회전하면서 접속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연결단자와, 상기 하부몸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입력단자가 상기 연결단자에 접촉/분리되도록 하는 접촉/분리요소와, 상기 상,하부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서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 플러그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분해사시도, 도 2에는 하부몸체의 평면도, 도 3에는 상부몸체의 저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4b에는 회전 스위치 플러그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봉(10)이 결합되는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20)이 결합되는 하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10)에 고정되고 전선(2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30)와, 상기 상부몸체(100)에 한 쌍의 단자봉(10)과 연결되도록 고정되고 입력단자(30)가 하부몸체(1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접속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단자(40)와, 상기 하부몸체(110)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입력단자(30)가 연결단자(40)에 접촉/분리되도록 하는 접촉/분리요소(120)와, 상기 상,하부몸체(100),(110)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서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봉(10)은 하부몸체(110)의 양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단자(40)는 하부몸체(110)의 상면에 형성한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단자봉(10)에 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상부몸체(100)는 서로 분리 형성된 좌,우측 분리체(101),(102)가 형합되고 나사로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단자(30)는 상부몸체(100)에 전선(20)과 함께 나사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10)에는 상면 중간부와 주벽 양측부에 삽입홈(112),(113)이 형성되고, 접지간(51)이 양측에 구비된 접지편(50)이 삽입홈(112),(113)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면에는 접지단자(52)가 접지선(21)과 함께 나사로 체결되어 상부몸체(100)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몸체(100)의 접지단자(52)가 하부몸체(110)의 접지편(50)에 항상 접속되어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촉/분리요소(120)는 상부몸체(100)의 하면에 다수개의 돌부(121a)와 요부(121b)가지는 요철부(121)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몸체(1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부(122a)와 요부(122b)가지는 요철부(122)가 대응되게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110)의 돌부(122a)는 상면이 반구면(122c)으로 형성되고, 상부몸체(100)의 돌부(121a)는 하면이 반구면(121c)으로 형성되어, 상부몸체(100)의 각 돌부(121a)가 하부몸체(110)의 각 돌부(122a) 위에 올라 탈때에 반구면(121c),(122c)에 의해 돌부(121a),(122a)의 결합이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몸체(100),(1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30)은 상부몸체(100)의 중앙에 축봉(103)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몸체(110)의 중앙에는 축봉(103)이 삽입되는 중앙공(114)과 그 내주면 상단부에 걸림턱(115)이 형성되어 상부몸체(100)의 축봉(103)이 하부몸체(110)의 중앙공(141)에 삽입되고, 상기 축봉(103)에 압축스프링(131)이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걸림턱(115)에 걸리게 되며, 상기 축봉(103)의 하측부에 슬립링(132)과 지지판(133)이 삽입되고, 지지판(133)의 중앙으로돌출되는 축봉(103)의 하단부에는 E링과 같은 고정링(134)이 고정된 구성으로 상기 상부몸체(100)가 하부몸체(110)에 압축스프링(131)의 탄력에 의해 밀착되면서 축봉(10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0)에는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되어 전원이 연결되는 때에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램프(6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스위치 플러그는 조립시 상부몸체(100)에 입력단자(30)와 접지단자(52)를 전선(20)과 접지선(21)을 연결하여 결합하고, 하부몸체(110)에 단자봉(10)과 접지편(50) 및 연결단자(40)를 결합한다.
이후, 상부몸체(100)를 하부몸체(110)에 축봉(103)이 중앙공(114)에 끼워지도록 결합하고, 축봉(103)의 하부에서 중앙공(114)의 내측으로 압축스프링(131)과 슬립링(132)을 삽입하고, 축봉(103)의 하단부에 지지판(133)을 삽입한 후, 지지판(133)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축봉(103)의 하단부에 고정링(134)을 끼워 조립을 완료하며, 이와 같이 조립되면 압축스프링(131)이 하부몸체(110)의 걸림턱(115)을 지점으로 팽창하려는 힘을 갖게 되며 이에 의해 상부몸체(100)가 하부몸체(1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안정하게 결합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 플러그의 단자봉(10)을 콘센트의 단자홈에 삽입한 후, 상부몸체(100)를 잡고 회전시켜 도 4a와 같이, 상부몸체(100)의 돌부(121a)가 하부몸체(110)의 요부(122b)에 삽입되면 상부몸체(100)의 입력단자(30)가 하부몸체(110)의 원호형 연결단자(40)와 접촉됨으로써 콘센트에 연결된 단자봉(10), 연결단자(40), 입력단자(30) 및 전선(20)을 통하여 제품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몸체(100)를 잡고 약간 회전시켜 도 4b와 같이, 상부몸체(100)의 돌부(121a)가 하부몸체(110)의 돌부(122a)에 올라 타게 되면 상부몸체(100)의 입력단자(30)가 하부몸체(110)의 원호형 연결단자(40)와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부몸체(100)의 돌부(121a)가 하부몸체(110)의 돌부(122a)에 올라 타게 되면 상부몸체(100)의 돌부(121a)의 하단부가 반구면(121c)으로 형성되고, 하부몸체(110)의 돌부(122a)의 하단부가 반구면(122c)으로 형성되어 상,하부의 돌부(121a),(122a)가 반구면(121c),(122c)으로 안정하게 결합되고 또한 압축스프링(131)의 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전원의 오프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차단된 도 4b의 상태에서 상부몸체(100)를 약간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하부몸체(100),(110)의 돌부(121a),(122a)가 반구면(121c),(122c)으로 결합되고 압축스프링(131)의 탄력으로 밀착되어 있으므로상부몸체(100)의 돌부(121a)의 반구면(121c)이 하부몸체(110)의 돌부(122a)의 반구면(122c)을 타고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도 4a와 같이 상부몸체(100)의 돌부(121a)가 하부몸체(110)의 요부(122b)에 삽입되면서 전원이 다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 플러그는 상부몸체(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전원이 접속 또는 차단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돌부(121a),(122a)와 요부(121b),(122b)가 8개씩 형성된 경우에는 온과 오프가 각각 대략 90도를 회전시킬 때 마다 반복된다. 그리고 이 상,하부몸체(100),(110)의 돌부(121a),(122a)와 요부(121b),(122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온과 오프가 반복되는 각도가 변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 플러그는 전기전자 제품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 스위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여 접속시킨 후, 회전 스위치 플러그의 상부몸체를 회전시켜 접속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전제품과 콘센트의 놓인 위치에 따라 회전 스위치 플러그를 회전시켜 전선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선들이 휘어져 꺽이거나 뒤섞이는 일이 없이 가지런하게 정리하여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회전 스위치 플러그의 상부몸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다단계로 온, 오프가 반복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원의 접속 및 분리동작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스위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둔 상태로 전원을 간단히 온,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전자 제품을 사용한 후 전원을 차단하는 습관이 쉽게 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센트에 플러그가 계속 꽂혀 있음에 의해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이 계속 인가되고 과부하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4)

  1. 한 쌍의 단자봉(10)이 결합되는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20)이 결합되는 하부몸체(110)와, 상기 하부몸체(110)에 고정되고 상기 전선(2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30)와, 상기 상부몸체(100)에 한 쌍의 단자봉(10)과 연결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입력단자(30)가 상기 하부몸체(1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접속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단자(40)와, 상기 하부몸체(110)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입력단자(30)가 상기 연결단자(40)에 접촉/분리되도록 하는 접촉/분리요소(120)와, 상기 상,하부몸체(100),(110)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서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분리요소(120)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면에 다수개의 돌부(121a)와 요부(121b)가지는 요철부(12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1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부(122a)와 요부(122b)가지는 요철부(122)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부(121a),(122a)의 접촉면이 반구면(121c),(122c)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00)의 각 돌부(121a)가 상기 하부몸체(110)의 각 돌부(122a) 위에 올라 탈때에 상기 반구면(121c),(122c)에 의해 결합이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상부몸체(100)의 중앙에 축봉(10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110)의 중앙에는 축봉(103)이 삽입되는 중앙공(114)과 그 내주면 상단부에 걸림턱(115)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00)의 축봉(103)이 상기 하부몸체(110)의 중앙공(141)에 삽입되고, 상기 축봉(103)에 압축스프링(131)이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상기 걸림턱(115)에 걸리게 되며, 상기 축봉(103)의 하측부에 슬립링(132)과 지지판(133)이 삽입되고, 상기 지지판(133)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상기 축봉(103)의 하단부에는 고정링(134)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몸체(100)가 상기 하부몸체(110)에 상기 압축스프링(131)의 탄력에 의해 밀착되면서 상기 축봉(10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봉(10)은 상기 하부몸체(110)의 양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단자(40)는 상기 하부몸체(110)의 상면에 형성한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단자봉(10)에 나사로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100)는 서로 분리 형성된 좌,우측 분리체(101),(102)가 형합되고 나사로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단자(30)는 상기 상부몸체(100)에 상기 전선(20)과 함께 나사로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플러그.
KR10-2000-0081166A 2000-12-23 2000-12-23 회전 스위치 플러그 KR10040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166A KR100404925B1 (ko) 2000-12-23 2000-12-23 회전 스위치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166A KR100404925B1 (ko) 2000-12-23 2000-12-23 회전 스위치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699A true KR20020051699A (ko) 2002-06-29
KR100404925B1 KR100404925B1 (ko) 2003-11-07

Family

ID=2768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166A KR100404925B1 (ko) 2000-12-23 2000-12-23 회전 스위치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4046A1 (en) * 2002-12-09 2004-06-24 Sung-Doo Lee Power plug adapter
KR100922149B1 (ko) * 2007-10-29 2009-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04030B1 (ko) * 1972-10-20 1977-07-29 Neiman Sa
KR100317006B1 (ko) * 1998-11-11 2002-02-19 김형호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JP2000252022A (ja) * 1999-03-01 2000-09-14 Noriyoshi Sugamura スイッチコンセント
KR100317646B1 (ko) * 1999-05-06 2001-12-22 심병섭 원터치 전기플러그
KR20000036547A (ko) * 2000-03-21 2000-07-05 이석현 개별 레버를 가진 안전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4046A1 (en) * 2002-12-09 2004-06-24 Sung-Doo Lee Power plug adapter
KR100922149B1 (ko) * 2007-10-29 2009-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4925B1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KR200263895Y1 (ko) 회전 스위치 플러그
US4583798A (en)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
US7556535B2 (en) Adapter having connecting arms
US2898572A (en) Swiveling electrical connector
US20100120278A1 (en) Multi-angular power adapter
US4520243A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device
US6000948A (en) Rotatable connector for a microphone
US20210210892A1 (en) Rotatable Electric Plug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WO2015072849A1 (en)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components of said connector and a device with such a connector component
KR200302445Y1 (ko) 회전형 플러그 아답터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0977381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전원어댑터
KR100404925B1 (ko) 회전 스위치 플러그
KR101407104B1 (ko)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KR200491270Y1 (ko) 전구소켓 접속형 멀티 콘센트
CN215266835U (zh) 一种插排
US20010018277A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US20090081895A1 (en) Universal adapter
KR20160104406A (ko)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적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한 콘센트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20050013310A (ko)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CN112038817A (zh) 电插座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