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952A -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952A
KR20020050952A KR1020000080262A KR20000080262A KR20020050952A KR 20020050952 A KR20020050952 A KR 20020050952A KR 1020000080262 A KR1020000080262 A KR 1020000080262A KR 20000080262 A KR20000080262 A KR 20000080262A KR 20020050952 A KR20020050952 A KR 2002005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manual transmission
levers
lever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656B1 (ko
Inventor
최치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65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토셔널 샤프트와 파워 시프트에 연결부를 감소시켜 효율 증대 및 시프트 필링을 향상시키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이 작용하는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 이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가 그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토셔널 샤프트, 이 토셔널 샤프트에 그 일측이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2레버, 이 제1,2레버가 스트라이커와 로드에 각각 연결되는 파워 시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 control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셔널 샤프트와 파워 시프트에 연결부를 감소시켜 효율 증대 및 시프트 필링을 향상시키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변속레버에 가해지는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에 의하여 변속기의 변속단 동기장치를 선택하여 이의 슬리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 연결된다.
이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트 레버(1)가 연결되는 토셔널 샤프트(3), 이 토셔널 샤프트(3)에 연결되는 파워 시프트(5), 그리고 이 파워 시프트(5)에 연결되는 시프트 레버(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셔널 샤프트(3)의 일측에는 1-R, 2-3, 4-5, 6속 레일 러그(9,11,13,15)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핑거(17)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파워 시프트(5)의 스트라이커(19)에 연결된다. 또한 파워 시프트(5)의 로드(21)에는 상기 시프트 레버(7)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셀렉트 레버(1)의 작동에 따라 토셔널 샤프트(3)가 축방향 이동하여 핑거(17)로 1-R, 2-3, 4-5, 6속 레일 러그(9,11,13,15)를 선택하고, 시프트 레버(7)의 작동에 따라 토셔널 샤프트(3)가 회전하면서 핑거(17)로 선택된 1-R, 2-3, 4-5, 6속 레일 러그(9,11,13,15)를 작동시켜, 변속을 완료한다.
이때, 시프트 레버(7)가 작동하면, 이에 연결된 파워 시프트(5)의 로드(21)가 작동하면서 파워 시프트(5)에 에어 유로를 형성하여 스트라이커(19)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이 스트라이커(19)에 레버(5)로 연결된 토셔널 샤프트(3)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레버를 각각 토셔널 샤프트와 파워 시프트에 연결하므로 연결부의 개수 증가로 효율 및 시프트 필링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사이드 타입 파워 시프트에 1개의 레버를 가지는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에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셔널 샤프트와 파워 시프트에 연결부를 감소시켜 효율 증대 및 시프트 필링을 향상시키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제1,2레버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 33 : 토셔널 샤프트
35,37 : 제1,2레버 39 : 스트라이커
41 : 로드 43 : 파워 시프트
45,47,49,51 : 1-R, 2-3, 4-5, 6속 레일 러그
53 : 핑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a)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이 작용하는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
b)상기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가 그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토셔널 샤프트,
c)상기 토셔널 샤프트에 그 일측이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2레버,
d)상기 제1,2레버가 스트라이커와 로드에 각각 연결되는 파워 시프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31), 토셔널 샤프트(33), 제1,2레버(35,37), 그리고 스트라이커(39)와 로드(41)를 구비하는 파워 시프트(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31)는 운전자의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이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31)는 하나의 레버로써 변속을 위한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파워 시프트(43) 측 토셔널 샤프트(33)의 선단에 결합된다.
이 토셔널 샤프트(33)는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31)가 그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된다. 따라서 토셔널 샤프트(33)는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31)의 셀렉트 및 시프트 작동에 의하여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 토셔널 샤프트(33)의 일측에는 1-R, 2-3, 4-5, 6속 레일 러그(45,47,49,5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결합되는 핑거(53)가 장착된다. 그리고 토셔널 샤프트(33)에는 제1,2레버(35,37)가 결합되는 스플라인(55)이 형성되어 있다.
제1,2레버(35,3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토셔널 샤프트(33)의 스플라인(55)에 그 일측이 결합된다. 이 제1,2레버(35,37)에는 슬롯 홀(57,5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파워 시프트(43)는 스트라이커(39)와 로드(41)를 구비하며, 스트라이커(39)는 제1레버(35)의 슬롯 홀(57)에, 로드(41)는 제2레버(37)의 슬롯 홀(59)에, 각각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운전자의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은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31)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셀렉트 조작력은 토셔널 샤프트(33)를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핑거(53)로 1-R, 2-3, 4-5, 6속 레일 러그(45,47,49,51)를 선택한다.
그리고 셀렉트 조작력은 토셔널 샤프트(33)를 회전시켜 핑거(53)에 선택된 1-R, 2-3, 4-5, 6속 레일 러그(45,47,49,51)를 작동시켜, 변속을 완료한다.
이때, 셀렉트 조작력은 제1,2레버(35,37)를 통하여 파워 시프트(43)의 스트라이커(39)와 로드(41)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 파워 시프트(43)의 로드(41)가 작동하면서 파워 시프트(43)에 에어 유로를 형성하여 스트라이커(39)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이 스트라이커(39)에 제1레부(35)로 연결된 토셔널 샤프트(33)가 회전하게 된다.
결국, 운전자의 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은 하나의 레버로 형성되는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31)에 의하여 변속을 완료하도록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하나의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를 토셔널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하고, 제1,2레버로 토셔널 샤프트에 파워 시프트를 연결하므로 토셔널 샤프트와 파워 시프트의 연결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2개로 구성되는 셀렉트 및 시프트 레버를 하나의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로 형성시키므로 연결부 감소에 따른 효율 증대 및 시프트 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a)셀렉트 및 시프트 조작력이 작용하는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
    b)상기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가 그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토셔널 샤프트,
    c)상기 토셔널 샤프트에 그 일측이 결합되는 제1,2레버,
    d)상기 제1,2레버가 스트라이커와 로드에 각각 연결되는 파워 시프트,
    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레버는,
    상기 파워 시프트 측 상기 토셔널 샤프트의 선단에 결합됨,
    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셔널 샤프트에는,
    상기 제1,2레버가 결합되는 스플라인,
    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레버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상기 로드가 결합되는 슬롯 홀,
    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10-2000-0080262A 2000-12-22 2000-12-22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100368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262A KR100368656B1 (ko) 2000-12-22 2000-12-22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262A KR100368656B1 (ko) 2000-12-22 2000-12-22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952A true KR20020050952A (ko) 2002-06-28
KR100368656B1 KR100368656B1 (ko) 2003-01-24

Family

ID=2768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262A KR100368656B1 (ko) 2000-12-22 2000-12-22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00B1 (ko) * 2000-11-03 2003-09-13 다이모스(주) 파워쉬프트용 트랜스미션 원로드타입 쉬프트 및 셀렉트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00B1 (ko) * 2000-11-03 2003-09-13 다이모스(주) 파워쉬프트용 트랜스미션 원로드타입 쉬프트 및 셀렉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656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0194B2 (ja) 変速機における切換装置
US5724856A (en) Shifter for manual transmissions
KR100793875B1 (ko) 수동 변속기 및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러그 구조
KR20210006035A (ko) 변속기의 변속 액츄에이터
JP4252905B2 (ja) 変速機
KR100368656B1 (ko)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100387468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JP2006250358A (ja) 自動車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セレクタ
KR100946507B1 (ko) 이중 클러치 변속기의 독립 작동 영역 타입 변속 동력 장치
KR100402075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조작기구
KR101134283B1 (ko) 핀 형태의 수동변속기 가이드 구조
KR200236357Y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 장치
KR100746964B1 (ko) 수동 변속기 컨트롤 샤프트의 컨트롤 핑거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100360652B1 (ko)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100448657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471866B1 (ko) 수동변속기의 후진 절도감 조작수단
KR100476260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349858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조작기구
KR100412729B1 (ko) 6단 수동 변속기용 변속 제한장치
KR10056882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4401723B2 (ja)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操作機構
KR100671130B1 (ko) 자동차용 6단 수동변속기
JP2002174340A (ja) 変速機のシフト・セレクト装置
JP2024072040A (ja) 車両のマニュアル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