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872A -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872A
KR20020050872A KR1020000080056A KR20000080056A KR20020050872A KR 20020050872 A KR20020050872 A KR 20020050872A KR 1020000080056 A KR1020000080056 A KR 1020000080056A KR 20000080056 A KR20000080056 A KR 20000080056A KR 20020050872 A KR20020050872 A KR 2002005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op plate
girder
assembly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신현준
Priority to KR102000008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872A/ko
Publication of KR2002005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87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주형을 연결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노후된 교량을 교체함에 있어 용이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량의 주형과 상판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교각을 연결하는 주형(1)과 주형(1)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5)을 연결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주형(1)에 설치되어 상판(5)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고정된 다수 개의 연결재(30)와, 상판(5)의 하면에는 다수 개의 연결재(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박스(20)와, 박스(20)의 내부로 충진되어 다수 개의 연결재(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Assembly of orthotropic steel and girder}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교량의 주형을 연결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노후된 상판의 제거가 용이하고 새로 설치되는 상판과 주형과의 급속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다수 개의 교각이 일렬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교각들의 상단을 기본 주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기본 주형의 상부에 상판이 안착되어 주형과 상판을 체결함으로써, 교량이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주형(1)은 I빔이며, 이런 다수 개의 기본 주형(1)이 평행하게 교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평행하게 위치한 주형(1)들의 사이에는 수직 브레이징(9)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기본 주형(1)의 상부에는 상판(5)이 안착되어 체결된다.
여기에서, 주형(1)과 상판(5)의 체결관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판(5)의 하면에 형성된 'ㅗ'형상의 연결빔(3)과 주형(1)이 볼트(8)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이런 주형(1)과 연결빔(3)의 사이에는 끼움판(7)이 위치한다. 한편, 볼트(8)는 연결빔(3)에 형성된 관통공과, 끼움판(7)에 형성된 관통공 및, 주형(1)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끼움판(7)은 상판의 계획된 고도를 조절하기 위해 주형(1)과 상판(5)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나, 이런 볼트에 의해 상판과 주형을 연결하는 관계에 있어서, 주형의관통공과 상판 연결빔의 관통공 및 끼움판의 관통공은 현장에서 천공작업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관통공에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중량의 상판과 끼움판을 주형의 관통공과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천공작업 및 관통공 정렬작업이라는 어려운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공정시기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주형의 상부에 상판을 고정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용이하게 주형과 상판을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판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시된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형 3 : 연결빔
5 : 상판 20 : 박스
25 : 타설용 관통공 30 : 연결재
31 : 걸림턱 40 : 콘크리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교각을 연결하는 주형과 상기 주형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을 연결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주형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고정된 다수 개의 연결재와,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연결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박스와, 상기 박스의 내부로 충진되어 상기 다수 개의 연결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박스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충진할 수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재는 콘크리트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시된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1)의 상면 단부에는 상부방향 즉, 상판(5)의 연결빔(3)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다수 개의 연결재(30)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주형(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5)의 연결빔(3)에는 콘크리트 충진용 박스(20)가 고정되는데, 이런 충진용 박스(20)는 주형(1)에 고정된 다수 개의 연결재(30)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다수 개의 연결재(30)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런 충진용 박스(20)의 두께(T)의 길이는 연결재(30)의 길이보다 길며, 세로변(L) 길이는 하부에 위치하는 I빔 주형(1)의 상단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가로변(W)의 길이는 주형(1)의 상부에 고정된 다수 개의 연결재(30)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이다.
한편, 충진용 박스(20)가 형성된 'ㅗ'형상의 연결빔(3) 하면에는 상기 충진용 박스(20)의 내부로 콘크리트(40)를 타설할 수 있도록 타설용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재(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연결재(30) 중간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의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주형(1)의 단부에는 연결재(30)가 용접 고정된 상태에서 주형(1)의 상부에 상판(5)이 안착된다. 이때, 주형(1)에 고정된 연결재(30)를 상판(5)의 연결빔(3)에 형성된 충진용 박스(20)가 수용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판(5)을 정렬한 후에, 상판 연결빔(3)의 타설용 관통공(25)을 통해 콘크리트(40)를 타설한다. 그러면, 콘크리트(40)는 충진용 박스(20) 내부와 연결빔(3)의 하면 및 주형(1)의 상면 사이에 충진되며 주형(1)의 상부로 형성된 연결재(30)의 둘레에 충진된다.
이렇게 타설된 콘크리트(40)가 양생기간을 지나 굳어지면 연결재(30)에 의해 콘크리트(40)는 주형(1)의 상면에 고정되고, 콘크리트(40)를 수용하는 충진용 박스(20)에 의해 상판(5)은 고정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상판(5)을 정렬하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는 작업만으로 상판(5)과 주형(1)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된 상판(5)을 교체하기 위해 주형(1)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연결재(30)와 주형(1)이 용접된 부분을 절단하여 상판(5)을 들어올리고 주형(1)에 다른 연결재를 재용접하고 새로운 상판을 설치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체결관계에서 주형 및 상판의 연결빔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천공작업 및 이런 관통공을 상호 맞추기 위한 상판 정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다수 개의 교각을 연결하는 주형과 상기 주형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을 연결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주형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고정된 다수 개의 연결재와,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연결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박스와,
    상기 박스의 내부로 충진되어 상기 다수 개의 연결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KR1020000080056A 2000-12-22 2000-12-22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KR20020050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056A KR20020050872A (ko) 2000-12-22 2000-12-22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056A KR20020050872A (ko) 2000-12-22 2000-12-22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872A true KR20020050872A (ko) 2002-06-28

Family

ID=2768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056A KR20020050872A (ko) 2000-12-22 2000-12-22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337A (ko) * 2022-02-14 2023-08-22 김미영 거푸집 시공 및 조립 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한 내진보강용 철골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337A (ko) * 2022-02-14 2023-08-22 김미영 거푸집 시공 및 조립 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한 내진보강용 철골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471B1 (ko) 강합성 콘크리트 가로보를 이용한 스틸 플레이트 거더교 및그의 시공방법
KR101817968B1 (ko) 신축조절장치를 구비한 교량의 보수방법
JP2009256873A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KR100788275B1 (ko)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교량 구조
CN110106788B (zh) 轨道梁对接处的后浇段施工方法
JP2006077521A (ja) 橋梁構築装置
JP6074378B2 (ja) 伸縮装置の取替え方法と仮設覆工版構造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KR20200085573A (ko) 신축 이음 프리캐스트의 중력식 레벨링 공법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20020050872A (ko) 교량의 상판과 주형의 어셈블리
KR100547488B1 (ko) 강박스 연속교량에 있어서, 연속 지점부에 발생되는부모멘트의 크기를 줄여 줄 수 있도록 강박스 거더에설치된 부모멘트 감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연속교량의 설치방법
EP1114904B1 (en) Fixing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thereof
JP3586829B2 (ja) 高架橋の目地部の補修施工工法
KR2002681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외부강선 정착장치
KR100758878B1 (ko) 거더와 바닥판 일체형 거더 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의 교체시공방법
KR100669860B1 (ko) 교량용 좌,우 비대칭형 프리텐션 프리캐스트 빔 거더
JP2009150067A (ja) 既設支承装置の更新方法及び更新構造
KR200341057Y1 (ko) 연속 지점부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의 크기를 줄여 줄 수 있도록 강박스 연속교의 거더에 설치된 부모멘트 감소장치
CN209099157U (zh) 一种预制桥墩用墩顶连接结构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0334257B1 (ko)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공사방법
JPH03271408A (ja) 橋梁補修用鋼床版とその取付方法
KR200292677Y1 (ko)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강재거푸집
JP7162155B1 (ja) 床版の取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