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599A -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 Google Patents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599A
KR20020046599A KR1020000076849A KR20000076849A KR20020046599A KR 20020046599 A KR20020046599 A KR 20020046599A KR 1020000076849 A KR1020000076849 A KR 1020000076849A KR 20000076849 A KR20000076849 A KR 20000076849A KR 20020046599 A KR20020046599 A KR 2002004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ompound
added
mmo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웅
이정근
김종훈
윤여홍
송석범
이재목
장명식
서병철
Original Assignee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 경 식
Priority to KR102000007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599A/ko
Publication of KR2002004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7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14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의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억제작용을 가지며, 나아가 천식, 관절염, 골관절염, 기관지염, 만성기도 폐쇄 질병, 건선, 알레르기성비염, 피부염 그리고 우울증, AIDS, HIV, Crohn's질병, 패혈증, 패혈병에 의한 충격, 악태증과 같은 다른 염증 질병들에 대한 치료에도 유용하다.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C1-C2)알킬 또는 (C1-C2)할로겐화알킬, R2는 (C1-C7)알킬 또는 (C3-C7)사이클로알킬기,
R3은 (C1-C7)알킬, (C1-C7)할로겐화알킬, (C1-C7)알칸올, -(CH2)n페닐, -(CH2)n피리딜, -(CH2)n피페리딜, -(CH2)n피롤릴, -(CH2)n피리미딜, -(CH2)n피롤리딜, -(CH2)n피페라질, -(CH2)nCO2H, -(CH2)nNR2(R=알킬), -(CH2)nCO2R(R=알킬) 또는 -(CH2)nCONR2(R=알킬)를 나타내며, 이때 n = 0 - 5 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Novel Catechol Thiazolidinon Derivative}
본 발명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Ⅳ에 억제작용성이 있는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포스포디에스터라제는 화학전달 물질의 하나로서 사이클릭 뉴클리오타이드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특히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는 선택적으로 싸이클릭 아데노신 3',5'-모노포스페이트를 불활성의 아데노신 3',5'-모노포스페이트로 가수 분해하는 효소이며 싸이클릭 아데노신 3',5'-모노포스페이트는 외부 세포자극에 대한 세포의 반응을 조절 담당하는 이차전달자(second messenger)로서 기관지 근육의 이완 작용을 한다.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의 억제작용은 싸이클릭 아데노신 3',5'-모노포스페이트의 농도를 유지함으로서 기관지 경련의 방지를 할 수 있으며 덧붙여서 항염증작용을 한다. 따라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의 억제작용을 하는 화합물들은 천식등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공지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 억제제로서는 독일 쉐링사의 4-(폴리알콕시페닐)-2-피롤리돈 유도체(US Pat.4,193,926) 및 미국 스미스클라인비참사의 캐테콜 시클로알킬시아노산 유도체(PCT. WO 93/19749)가 대표적이다. 한편, 상기 쉐링사의 유도체 중 4-(3-(시클로펜틸옥시)-4-메톡시)-2-피롤리돈(일반명:롤리프람)은 캐테콜 구조를 모핵으로 하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 억제제의 개발에 있어서 선도물질의 역할을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쉐링사의 캐테콜 구조에 있어서 피롤리돈과 상이한 구조인 티아졸리디논기를 도입한 결과, 생리활성도가 높은 신규한 2-(3-알킬옥시-4-알콕시페닐)-3-알킬-1,3-티아졸란-4-온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이 신규한 물질이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대하여 억제 효과 등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는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1)으로 표시되는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1)에서, R1은 (C1-C2)알킬 또는 (C1-C2)할로겐화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디불소메틸 그리고 트라이불소메틸기를 나타내며, R2는 (C1-C7)알킬 또는 (C3-C7)시클로알킬기, 예를 들어 시클로 펜틸기를 나타내며, R3은 (C1-C7)알킬, (C1-C7)할로겐화알킬, (C1-C7)알칸올, -(CH2)n페닐, -(CH2)n피리딜, -(CH2)n피페리딜, -(CH2)n피롤릴, -(CH2)n피리미딜, -(CH2)n피롤리딜, -(CH2)n피페라질, -(CH2)nCO2H, -(CH2)nNR2(R=알킬), -(CH2)nCO2R(R=알킬) 또는 -(CH2)nCONR2(R=알킬)를 나타내며, 이때 n = 0 - 5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핵심인 티아졸리디논 구조는 기존의 캐테콜 유도체와 비교시 오환 구조에 황원자를 새로이 도입하여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대한 선택적 억제작용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화학식(1)과 같이 질소 원자에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한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은 티아졸리디논의 고리 구조내에 한개의 비대칭 탄소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 R3 잔기에 비대칭 탄소를 가질 수 있으므로 여러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화학식(1)의 화합물은이중결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하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하이성질체, 모든 광학이성질체의 라세믹 형태 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모두 포함하고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구성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및 다른 치료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 함은 유기염과 무기염을 포함하는 비독성 염에서 준비된 염들을 의미한다. 무기염에서 준비된 염은 알루미늄, 암모니움, 칼슘, 구리,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의 염을 모두 포함하며 이 중에서 암모니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염들이 선호도가 높은 염들이다. 유기염에서 준비된 염은 1, 2 및 3가 아민, 자연에 존재하는 치환된 아민, 씨클릭 아민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이 있는 데, 그 예로서 알지닌, 베타인, 카페인,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모폴린, N-에틸피페리딘, N-메틸글루카민,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 히드랍아민, N-(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 N-(2-히드록시에틸)피롤리딘, 이소프로필아민, 라이신, 메틸글루카민, 모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프로카인, 퓨린, 테오브로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로메타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성이라면, 유기산과 무기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산에서 준비된 염들이 준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산들의 예로는 황산, 염산, 브롬산 및 아세틱, 아디픽, 아스파르틱, 1,5-나프탈렌디술포닉, 벤젠술포닉, 벤조익, 캠포술포닉, 시트릭, 1,2-에탄디술포닉, 에탄술포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 푸마릭, 글루코헵토닉, 글루코닉, 글루타믹, 히드리오딕, 히드로브로믹, 히드로클로릭, 이세티오닉, 락틱, 말레익, 말릭, 만델릭, 메탄술포닉, 뮤식, 2- 나프탈렌디술포닉, 니트릭, 옥살릭, 파르노익, 펜토테닉, 포스포릭, 피발릭, 프로피오닉, 살리실릭, 스태릭, 서시닉, 설퍼릭, 타타릭, p-톨루엔술포닉, 운데카노익, 10- 운데케노익 산 등이 있으며, 서시닉, 히드로브로믹, 히드로클로릭, 말레익, 메탄술포닉, 포스포릭, 설퍼릭, 타타릭 산 등이 선호도가 높은 산들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1)의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는 다음 반응식(1)으로 제조된다.
상기의 반응은 하기 참고예에 따라 제조 가능한 3,4-디알콕시벤즈알데히드를 출발 물질로 하여, J. Med. Chem.(1992, 35, 2910-2912)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아민류(R2NH2)와 반응시킴으로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는, 본반응의 중간체인 이민 화합물을 분리하지 않고 바로 머캅토아세트산과 다시 반응시켜 목적하는 티아졸리디논 구조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반응은 탈수 반응으로서 반응 용액중 생성되는 물을 딘-스탁 장치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용매, 즉 물과 섞이지 않는 용매가 적합하며, 또한 반응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조건, 예를 들어 80∼140℃, 구체적으로는 100∼110℃가 적절하며, 이러한 조건에 맞는 용매로서는 방향족 용매,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이 적절하며 이중 톨루엔이 가장 적절하다.
이민 생성반응에서의 반응 시간은 투입되는 아민류 화합물에 따라 1시간 내지 24시간이 소요되며, 고리화 반응은 그보다 짧은 1시간에서 5시간 정도로 충분하다. 반응 용액상에서 목적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목적화합물이 산성 혹은 염기성이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의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대한 억제작용성의 효과는 Human U 937 cell로 부터 부분 정제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대한 시험관내 시험(in vitro) 분석을 통하여 검색하였으며, 그에 대한 비교물질은 상기 스미스클라인비참사의 대표물질인 SB 207,499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억제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천식, 관절염, 골관절염, 기관지염, 만성기도 폐쇄 질병, 건선, 알레르기성비염, 피부염 그리고 우울증, AIDS, HIV, Crohn's질병, 패혈증, 패혈병에 의한 충격, 악태증과 같은 다른 염증 질병 그리고 TNF의 생산을 포함하는 질병들에 대한 치료에도 유용하다.
이하에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예. 3-시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질알데하이드
이소바닐린(50g)을 디메틸포름아미드(300mL)에 투입 후 무수 포타슘카보네이트(70g)와 요오드화칼륨(1.5g)을 투입하여 얻어진 현탁액을 65℃에서 30분 교반한다. 이 현탁액에 시크로펜틸 브로마이드(63g)을 1시간동안 천천히 적가하고, 65℃에서 1일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톨루엔(1L)을 투입하여 희석시킨후 1N 수산화 나트륨(2 x 500mL)으로 세척하고 증류수(2 x 250mL)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증류하여 표제 화합물(58g, 80%)을 얻었다.
1H NMR(CDCl3) 2.1-1.6(8H,m), 3.93(3H,s), 4.87(1H,m), 6.94(1H,D,J=9Hz), 7.42(2H,m),9.84(1H, s)
실시예 1. 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3-[2-히드록시-(2R)-프로필]-1,3- 티아졸란-4-온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2.0g, 9.08mmol)와 톨루엔 (2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R)-(-)-1-아미노-2-프로판올(0.68g, 9.08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6시간동안 가열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63mL, 9.08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으로 상기 유기용액을 세척하고 이어 포화 중조 수용액, 포화 소금 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한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유기용액상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 잔류물을 수득한다.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노르말헥산= 1:1)로 상기 잔류물을 정제하여 오일상의 황색 물질인 상기 표제화합물 2.55g(80%)을 수득한다.
diastereomeric mixture:
1H NMR(CDCl3) 1.10(d,3H), 1.50-2.00(m,8H), 2.70-3.80(m,4H), 3,85(s,3H), 3.90(m,1H), 4.75(m,1H), 5.75(s,1H), 6.80-6.90(m,3H)
실시예 2. 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3-(2-피리딜메틸)-1,3-티아졸란-4-온 황산염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g, 4.54mmol)와 톨루엔 (1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2-(아미노메틸)피리딘 (0.47mL, 4.54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일야교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32mL, 4.54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2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1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수용액 층을 분리하여 반응생성물을 추출한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체 중조를 조금씩 가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 다시 유기용액 층으로 반응생성물을 추출한다.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얻어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노르말헥산= 4:1)로 정제하여 농축된 오일상의 물질을 노르말헥산 (5mL), 메탄올 (5mL) 및 이소프로판올 (10mL)에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진한 황산 (0.24mL)을 서서히 적가하여 얻어진 맑은 용액을 0℃에서 일야 방치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 노르말헥산 및 에틸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한 다음 40℃에서 건조하면 유백색 결정상의 상기 표제화합물 1.57g(72%)을 수득한다.
1H NMR(D2O) 1.60-2.0(m,8H), 3.85(s,3H), 4.05(ABq,2H), 4.50(d,1H), 4.70(m,1H), 5.25(d,1H), 5.90(s,1H), 6.90-6.95(m,2H), 7.10(m,1H), 7.70(d,1H), 7.90(t,1H), 8.45(t,1H), 8.50(d,1H)
실시예 3. 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3-(2-피페리디노에틸)-1,3-티아졸란 4-온 염산염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g, 4.54mmol)와 톨루엔 (1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1-(2-아미노에틸)피페리딘 (0.64mL, 4.54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32mL, 4.54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2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1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수용액 층을 분리하여 반응생성물을 추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체 중조를 조금씩 가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 다시 유기용액 층으로 반응생성물을 추출한다.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얻어진 오일상의 잔류물을 아세톤 (2mL), 이소프로판올 (5mL) 및 에틸에테르 (10mL)의 혼합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진한 염산 (1mL)를 서서히 적가한다. 0℃에서 2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하여 결정을 성숙시킨 다음 여과, 에틸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하고 40℃에서 건조하면 백색 결정상의 상기 표제화합물 1.50g(75%)을 수득한다.
1H NMR(D2O) 1.40-2.10(m,14H), 2.85(t,2H), 3.05(m,2H), 3.40-3.50(m,3H), 3.75(m,1H), 3.90(s,3H), 3.95(ABq, 2H), 4.95(m,1H), 5.90(s,1H),7.10-7.20(m,3H)
실시예 4. 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3-(4-피리딜메틸)-1,3-티아졸란-4-온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g, 4.54mmol)와 톨루엔 (1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4-(아미노메틸)피리딘 (0.46mL, 4.54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32mL, 4.54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2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1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수용액 층을 분리하여 반응생성물을 추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체 중조를 조금씩 가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 다시 유기용액 층으로 반응생성물을 추출한다.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잔류된 고체를 에틸에테르와 함께 분쇄한 후 1시간 동안 교반, 여과하면 순백색의 상기 표제화합물 1.13g(65%)을 수득한다.
1H NMR(CDCl3) 1.60-2.00(m,8H), 3.70(d,1H), 3.85(ABq,2H), 3.90(s,3H), 4.70(m,1H), 5.00(d,1H), 5.35(s,1H), 6.70-6.85(m,3H), 7.00(m,2H), 8.55(m,2H)
실시예 5. 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3-(2-피롤리딘-1-일-에틸)-1,3-티아졸란-4-온 염산염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g, 4.54mmol)와 톨루엔 (2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1-(2-아미노에틸)피롤리딘 (0.58mL, 4.54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7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32mL, 4.54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3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2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수용액 층을 분리하여 반응생성물을 추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체 중조를 조금씩 가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 다시 유기용액 층으로 반응생성물을 추출한다.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얻어진 오일상의 잔류물을 이소프로판올 (5mL) 및 에틸에테르 (10mL)의 혼합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진한 염산 (1mL)를 서서히 적가한다. 0℃에서 1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하여 결정을 성숙시킨 다음 여과, 에틸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하고 40℃에서 건조하면 백색 결정상의 상기 표제화합물 1.31g(68%)을 수득한다.
1H NMR(D2O) 1.60-2.20(m,12H), 3.10(m,2H), 3.20(m,2H), 3.45(m,2H), 3.80(m,2H), 3.95(s,3H), 4.00(ABq,2H), 4.95(m,1H), 5,90(s,1H), 7.15-7.20(m,3H)
실시예 6. 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3-(3-피리딜메틸)-1,3-티아졸란-4-온 황산염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g, 4.54mmol)와 톨루엔 (2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3-(아미노메틸)피리딘 (0.46mL, 4.54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32mL, 4.54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3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2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수용액 층을 분리하여 반응생성물을 추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체 중조를 조금씩 가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 다시 유기용액 층으로 반응생성물을 추출한다.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얻어진 오일상의 잔류물을 메탄올 (5mL) 및 에틸에테르 (10mL)의 혼합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진한 황산 (0.24mL)를 서서히 적가한다. 0℃에서 일야 방치한 다음 여과, 에틸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하고 40℃에서 건조하면 백색 결정상의 상기 표제화합물 1.64g(75%)을 수득한다.
1H NMR(D2O):1.50-2.00(m,8H), 3.85(s,3H), 4.00(ABq,2H), 4.40(d,1H), 4.65(m,1H), 4.95(d,1H), 5.85(s,1H), 6.85-7.10(m,3H), 7.90(t,1H), 8.20(d,1H), 8.40(s,1H), 8.65(d,1H)
실시예 7. 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3-(2-디메틸아미노에틸)-1,3-티아졸란-4-온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g, 4.54mmol)와 톨루엔 1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0.50mL, 4.54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32mL, 4.54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2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1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수용액 층을 분리하여 반응생성물을 추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체 중조를 조금씩 가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 다시 유기용액 층으로 반응생성물을 추출한다.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얻어진 고체 잔류물을 에틸에테르와 함께 분쇄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하고 모액을 수득하여 다시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오일상의 물질을 고진공하에서 건조하면 상기 표제화합물 0.96g(58%)을 수득한다.
1H NMR(CDCl3):1.50-2.10(m,8H), 2.80(s,3H), 2.90(s,3H), 3.05(m,1H), 3.30(m,1H), 3.70(d,1H), 3.85(s,3H), 3.90(m,1H), 4.00(d,1H), 4.80(m,1H), 5.95(s,1H), 6.90(d,1H), 7.00(m,2H)
실시예 8. 3-[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4-옥소-1,3-티아졸-3-릴]프로피온 산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g, 4.54mmol)와 톨루엔 (2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β-알라닌 (0.40g, 4.54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일야 교반 및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32mL, 4.54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2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유기용액층을 분리하여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잔류된 오일상의 물질을 에틸에테르 (10mL)에 용해시킨 후, 30℃에서 노르말헥산 (2mL)를 서서히 적가한 후 0℃로 냉각, 일야 보관하여 결정을 생성시킨다.여과 후 노르말헥산으로 충분히 세척하고 40℃에서 건조하면 상기 표제화합물 1.33g(80%)을 수득한다.
1H NMR(DMSO-d6) 1.50-2.00(m,8H), 2.25(m,1H), 2.50(m,1H), 2.90(m,1H), 3.55(m,1H), 3.65(d,1H), 3.75(s,3H), 3.85(d,1H), 4.80(m,1H), 5.80(s,1H), 6.90(m,3H), 12.30(br s, 1H)
실시예 9. 2-[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4-옥소-1,3-티아졸-3-릴]아세트산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서 2-[1-(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메틸리딘아미노]아세트산 나트륨염 (0.25g, 1.13mmol)와 파라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 (0.16g, 1.13mmol)을 톨루엔 (5mL)에 현탁시킨 후 머캅토아세트산 (0.058mL, 1.13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일야 교반하여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10ml 및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각각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잔류된 오일상의 물질을 에틸에테르 5ml에 용해시킨 후 0℃에서 일야 보관하여 결정을 생성시킨다. 여과 후 에틸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하고 40℃에서 건조하면 상기 표제화합물 0.15g(51%)을 수득한다.
1H NMR(DMSO-d6):1.50-2.00(m,8H), 3.30(d,1H), 3.70(s,3H), 3.75(ABq,2H),4.05(d,1H), 4,80(m,1H), 5,75(s,1H), 6,80-7.00(m,3H), 12.70(br s,1H)
실시예 10. 3-벤질-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3-티아졸란-4-온
딘-스탁(Dean-Stark) 장치가 된 반응기에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벤즈알데히드 (0.5g, 2.27mmol)와 톨루엔 (10mL)를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킨후 벤질아민 (0.25mL, 2.27mmol)을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가열, 5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머캅토아세트산 (0.16mL, 2.27mmol)를 투입한다. 100℃ 이상으로 다시 가열, 2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감압하에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ml)에 용해시킨다. 2N-HCl 수용액 (10mL)를 투입하여 잘 교반 후 수용액 층을 분리하여 반응생성물을 추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고체 중조를 조금씩 가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 다시 유기용액 층으로 반응생성물을 추출한다.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얻어진 잔류물을 고진공하에 40℃에서 건조하면 오일상의 상기 표제화합물 0.71g(82%)를 수득한다.
1H NMR(CDCl3): 1.60-1.95(m,8H), 3.10(d,1H), 3.80(ABq,2H), 3.85(s,3H), 4.70(m,1H), 5.10(d,1H), 5.35(s,1H), 6.75(m,2H), 6.80(m,1H), 7.05(m,2H), 7.25(m,3H)
실시예 11. 메틸 3-[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4-옥소-1,3-티아졸-3-릴]프로파노에이트
환류장치가 된 반응기에 3-[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4-옥소-1,3-티아졸-3-릴]프로피온산 (0.10g, 0.27mmol)을 메탄올 (2.0mL)에 현탁시킨다. 진한 황산을 (0.2mL) 적가한 다음 끓는점까지 가열, 2시간 동안 환류교반하고 다시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반응용액을 감압하에 증류, 용매를 제거한 다음 포화 중조수용액을 서서히 투입하여 약염기성으로 중화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10mL)를 투입하고 격렬히 교반, 유기층으로 반응 생성물을 추출하고 포화 소금수용액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고진공하에 40℃에서 건조시키면 상기 표제화합물 0.062g(60%)을 수득한다.
1H NMR(CDCl3) 1.50-2.00(m,8H), 2.35(m,1H), 2.60(m,1H), 3.10(m,1H), 3.60(s,3H), 3.65-3.80(m,3H), 3.85(s,3H), 4.75(m,1H), 5.70(s,1H), 6.80-6.90(m,3H)
실험예
실험예. 유도체의 포스포디에스테르 IV 억제 작용성에 대한 평가실험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약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실험 방법
Human U 937 cell로 부터 부분 정제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와 실험 대상 약물, 그리고 0.01 μM [3H] cAMP가 들어있는 1.0 μM cAMP를 30℃, 20분간 인큐베이션(incubation) 한다. cAMP가 AMP로 변화되는 PDE 반응은 2분 끓여 완결한다. 뱀독포스포디에스터라제(Snake venom nucleotidase)를 넣고 30℃, 10분 인큐베이션(incubation) 하여 AMP를 아데노신(adenosine)으로 바꾼다. 가수분해되지 않은 cAMP는 AG1-X2 수지(resin)과 결합되고 수용액 상태의 남아있는 [3H] 아데노신(adenosine)은 신틸레이션 카운팅(scintillation counting)에 의해 정량한다.
2) 약리 효과
다음은 작용약에 의해 유도되는 약리 효과의 결과이다.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대한 저해효과 (각 실험물질의 농도 1μM)
화합물 저해효과(%)
SB 207,499 80.0
실시예1 38.7
실시예2 55.8
실시예3 44.8
실시예4 63.7
실시예5 40.0
실시예6 55.5
실시예7 44.8
실시예8 53.6
실시예9 82.2
실시예10 86.9
실시예11 82.3
상기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 저해에 관한 시험관내 시험(in vitro) 결과를 고찰해 보면,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의 합성 물질의 경우에 있어서 동일 조건에서 실험한 비교물질 SB 207,499에 비해 우수한 저해효과(%)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0의 유도체, 즉 3-벤질-2-(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3-티아졸란-4-온은 이 계열의 유도체들 중 탁월한 약효를 나타낸 바, 본 연구의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구조의 유효성을 입증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V에 대한 억제 작용성이 있으며, 천식, 관절염, 골관절염, 기관지염, 만성기도 폐쇄 질병, 건선, 알레르기성비염, 피부염 그리고 우울증, AIDS, HIV, Crohn's질병, 패혈증, 패혈병에 의한 충격, 악태증과 같은 다른 염증 질병 그리고 TNF의 생산을 포함하는 질병들에 대한 치료에도 유용하다.

Claims (10)

  1.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그의 광학이성질체 및 그의 기하이성질체 또는 그들의 약학적 허용 염;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C1-C2)알킬 또는 (C1-C2)할로겐화알킬, R2는 (C1-C7)알킬 또는 (C3-C7)사이클로알칸기, R3은 (C1-C7)알킬, (C1-C7)할로겐화알킬, (C1-C7)알칸올, -(CH2)n페닐, -(CH2)n피리딜, -(CH2)n피페리딜, -(CH2)n피롤릴, -(CH2)n피리미딜, -(CH2)n피롤리딜, -(CH2)n피페라질, -(CH2)nCO2H, -(CH2)nNR2(R=알킬), -(CH2)nCO2R(R=알킬) 또는 -(CH2)nCONR2(R=알킬)를 나타내며, 이때 n = 0 - 5 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1은 메틸기, R2는 사이클로펜틸인 화합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페닐인 화합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CO2H인 화합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2CO2CH3인 화합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2CO2H인 화합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피리딜인 화합물.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2피페리딜인 화합물.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2피롤리딜인 화합물.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의 R3는 -(CH2)2N(CH3)2인 화합물.
KR1020000076849A 2000-12-15 2000-12-15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KR20020046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49A KR20020046599A (ko) 2000-12-15 2000-12-15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49A KR20020046599A (ko) 2000-12-15 2000-12-15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599A true KR20020046599A (ko) 2002-06-21

Family

ID=2768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49A KR20020046599A (ko) 2000-12-15 2000-12-15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5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9511A (en) Isoxazoline compounds as inhibitors of TNF release
US5716967A (en) Isoxazoline compounds as antiinflammatory agents
EP1296981B1 (en) Substituted pyrrolopyridinone derivatives useful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JPH08505158A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としての三置換フェニル誘導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Z291040B6 (cs) Trisubstituované fenylové deriváty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s jejich obsahem
EP2443092A1 (en) Bicyclic and tricyclic compounds as kat ii inhibitors
JP2601008B2 (ja) ナフチルオキサゾリドン誘導体、その製法及びその合成中間体
SK279472B6 (sk) Fenoxy- a fenoxyalkylpiperidíny, farmaceutický pro
JPH0367071B2 (ko)
SK130694A3 (en) 1-£2h-1-benzopyran-2-on-8-yl| pyperazine derivatives, method of their production, pharmaceutical age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as effective matters and their using
BG61729B1 (bg) 9-заместени-2-(2-норм-алкоксифенил)пурин-6-они
JP2004508375A (ja) 4−(N−アルキルアミノ)−5,6−ジヒドロ−4H−チエン−(2,3−b)−チオピラン−2−スルホンアミド−7,7−ジオキシドおよび中間体を得る方法
RU2135482C1 (ru) Способ рацемизации оптически чистого или обогащенного пиперазин-2- трет.бутилкарбоксамидного субстрата и рацемический 2-трет-бутилкарбоксамид-4-(3- пиколил)пиперазин
JP3712619B2 (ja) カテコールヒドラゾン誘導体、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医薬組成物
JP3140494B2 (ja) 置換されたフエニルアセチレン、これを含有する薬剤、この化合物及び薬剤を製造する方法
KR20020046599A (ko) 신규한 캐테콜 티아졸리디논 유도체
US6005118A (en) Methods of preparing 4-cyano-4 (substituted indazole) cyclohexane-carboxylic acids useful as PDE4 inhibitors
JPH08502738A (ja) アミド誘導体
US4252811A (en) Hexahydro-trans-pyridoindole neuroleptic agents
WO2003082263A1 (en) Sulfamic acids as inhibitors of human cytoplasmic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EP0511031A1 (fr) Dérivés d'aryl-3 oxazolidinon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érapeutique
KR100578425B1 (ko) 캐테콜 히드라진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HU217981B (hu) N-(3-klór-fenil)-piperazin-származékok és eljárás ezek előállítására
ES2442772T3 (es) Compuestos de 4-alcoxi-N-(2-hidroxicarbamoil-2-piperidinil-etil)-benzamida como inhibidores selectivos de TACE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flamatorias
US5668131A (en) Substituted aminoalkylaminopyrid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