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364A -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 Google Patents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364A
KR20020046364A KR1020000075865A KR20000075865A KR20020046364A KR 20020046364 A KR20020046364 A KR 20020046364A KR 1020000075865 A KR1020000075865 A KR 1020000075865A KR 20000075865 A KR20000075865 A KR 20000075865A KR 20020046364 A KR20020046364 A KR 2002004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erce site
index
seri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수
Original Assignee
김복수
주식회사 매크로 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수, 주식회사 매크로 이십일 filed Critical 김복수
Priority to KR102000007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364A/ko
Publication of KR2002004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3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일련의 "사용자 요구 자료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이 자료 데이터에 "해당 자료에 대응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료의 검색"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자연스럽게 방문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종래와 달리,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전전하지 않고서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적기에 구입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구매물품과 관련된 전문적인 자료"를 검토하면서,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구입을 원하는 물품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소규모로 취급되는 물품"인 경우,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별도의 광고 없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인 경우라 하더라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Method for inducing a connection to the electronic business site by the medium furnish data}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료의 검색"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자연스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전전하지 않고서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적기에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인터넷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보편화 추세에 맞추어, 많은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물건을 구매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상거래 사이트는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6795 호 "전자상거래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6935 호 "전자상거래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7313 호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7502 호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48436 호 "전자 상거래를 위한 방법,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데이터 처리 시스템" 등에 좀더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터넷의 보편화 추세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전자상거래 사이트들이 개설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적시에 구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감수하고 있다.
이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거론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종래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과정이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적시에 구입하지 못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통상, 종래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과정은 예컨대, "전자상거래 사이트 운영업체의 광고게시→사용자의 광고숙지→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지는 바, 이 경우,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과 같은 매스매디아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광고", "웹 사이트의 배너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광고", "버스, 지하철, 기차 등과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설치광고" 등은 사용자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광고수단들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사이트 운영업체들이 이 광고수단들을 이용하여, 자사의 웹 사이트에서 취급하는 모든 물품을 세밀히 광고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며,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이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은 일단,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물품이 "해당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취급되고 있는 물품인가"의 여부를 면밀히 검토해볼 수밖에 없게 되고, 결국, 해당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적시에 구입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사용자가 "특정 기계부품의 관리를 위한 공업용 오일(Industrial oil)"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광고를 토대로 파악한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 예컨대, "기계 판매 전용 전자상거래 사이트", "오일 판매 전용 전자상거래 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공업용 오일이 취급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면밀히 검토해볼 수밖에 없으며, 결국, 해당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공업용 오일을 적시에 구입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임의의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소규모로 취급되고 있는 물품이고,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또한 별도의 광고 없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인 경우, 해당 사용자가 감수해야 하는 불편함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광고"가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 "디지털 카탈로그" 등을 매개로, "사용자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을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접속함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구매물품과 관련된 전문적인 자료"를 검토하면서,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임의의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소규모로 취급되는 물품"인 경우,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별도의 광고 없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인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접속 유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접속 유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접속 유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텐츠/카탈로그 색인 ID D/B의 데이터 테이블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웹 페이지 게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자료 요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자료 요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자료에 대응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기재된 자체 보유 자료 데이터 및 색인 ID의 내용이 반영된 색인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앞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선택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전자상거래 하이퍼링크 항목이 선택된 경우, 일련의 전자상거래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일련의 "사용자 요구 자료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이 자료 데이터에 "해당 자료에 대응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료의 검색"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자연스럽게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종래와 달리,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전전하지 않고서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적기에 구입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구매물품과 관련된 전문적인 자료"를 검토하면서,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구입을 원하는 물품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소규모로 취급되는 물품"인경우,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별도의 광고 없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인 경우라 하더라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상거래 접속 유도 시스템은 메인 시스템(Main system:100) 및 자료제공 시스템, 예컨대, 콘텐츠(Content)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Catalog) 제공 시스템 B(3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은 앞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 이외에도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시스템(100)의 콘텐츠 등록모듈(4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가 보유한 콘텐츠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ID 부여과정을 진행함과 아울러, 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로부터 각 콘텐츠들과 관련한 메타 데이터(Meta data) 및 URL 정보(Uniform Resource Locator information)를 전송 받고, 이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콘텐츠 색인모듈(5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콘텐츠 색인모듈(50)은 콘텐츠 등록모듈(40)로부터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가 보유한 각 콘텐츠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가 전송되면, 그 즉시, 해당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색인하여, 각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로 일련의 색인 ID를 생성·부여하고, 해당 색인 ID를 콘텐츠 색인 IDD/B(31)에 신속히 저장한다.
이와 유사하게, 메인 시스템(100)의 카탈로그 등록모듈(60)은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가 보유한 카탈로그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ID 부여과정을 진행함과 아울러, 이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로부터 각 카탈로그들과 관련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전송 받고, 이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카탈로그 색인모듈(7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카탈로그 색인모듈(70)은 카탈로그 등록모듈(60)로부터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가 보유한 각 카탈로그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가 전송되면, 그 즉시, 해당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색인하여, 각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로 일련의 색인 ID를 생성·부여하고, 해당 색인 ID를 카탈로그 색인 ID D/B(33)에 신속히 저장한다.
한편, D/B 블록(30)에는 앞서 언급한 콘텐츠 색인 ID D/B(31), 카탈로그 색인 ID D/B(33) 등과 함께,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D/B(32)가 더 배치되는데, 이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D/B(32)에는 메인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다양한 종류의 자체 콘텐츠/카탈로그가 저장된다.
이러한 자체 콘텐츠/카탈로그의 내용으로는 예컨대, "편람, 일반 기술 서적, 부품 명세서, 사원 교육자료, 설계도, 부품 및 소재 설명서, 공정 기준서, 작업 기준서, 수입검사 기준서, 공정검사 기준서, 출하 검사 기준서, 취급 설명서, 고장처리 설명서, 수입/공정/출하 검사 성적서, 검사 현황 보고서, A/S 처리 보고서, A/S 현황 보고서, 기업 리스트, 각종 업무 절차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때, D/B 관리 서버(20)는 D/B 블록(30)과 일련의 양방향 통신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D/B 블록(30)의 각 D/B, 즉, 콘텐츠 색인 ID D/B(31), 카탈로그 색인 ID D/B(33),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D/B(32) 등으로부터 상술한 콘텐츠 색인 ID정보, 카탈로그 색인 ID정보,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 서버(20)는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서버(10)는 앞의 D/B 관리 서버(20)와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함과 아울러, 임의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들(1)과도 예컨대,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 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20)와 지속적인 신호 교환을 수행하여, 앞서 언급한 콘텐츠 색인 ID정보, 카탈로그 색인 ID정보,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정보 등의 추출 여부를 결정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아울러,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상술한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들(1)로부터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요구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일련의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함과 아울러, 앞의 콘텐츠 색인 ID정보, 카탈로그 색인 ID정보 등을 활용하여, 일련의 색인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색인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는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 및 색인 페이지가 예컨대, 두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상태로 게시된다.
이때, 앞의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되는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에 "해당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의 내용"에 부합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하이퍼링크 된 일련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로 기재한다.
예컨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되는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가 "기기 클리닝용 오일"에 관한 내용인 경우,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해당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에 "기기 클리닝용 오일"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하이퍼링크 된 일련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로 기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속성을 지닌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 게시된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이 항목에 하이퍼링크 된 전자상거래 사이트, 예컨대, "기기 클리닝용 오일"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는 그 즉시, 자사의 전자상거래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송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상품 구매과정, 즉, "기기 클리닝용 오일의 구매과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은 서로 별도로 진행되는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등록과정(단계 S100)" 및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과정(단계 S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로, 도 2에 도시된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등록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인 시스템(100)의 콘텐츠 등록모듈(40), 카탈로그 등록모듈(60) 등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가 보유한 콘텐츠들, 카탈로그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ID 부여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
계속해서, 메인 시스템의 콘텐츠 등록모듈(40), 카탈로그 등록모듈(60) 등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로부터 각 콘텐츠들 및 카탈로그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이때,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 등으로부터 각 콘텐츠들 및 카탈로그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 등록모듈(40), 카탈로그 등록모듈(60) 등은 플로우를 단계 S3으로 진행시켜,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 등으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 등으로부터 각 콘텐츠들 및 카탈로그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 등록모듈(40), 카탈로그 등록모듈(60) 등은 그 즉시, 해당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콘텐츠 색인모듈(50), 카탈로그 색인모듈(70) 등으로 신속히 전달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콘텐츠 등록모듈(40), 카탈로그 등록모듈(60) 등으로부터 각 콘텐츠들 및 카탈로그들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가 전송되면, 그 즉시, 콘텐츠 색인모듈(50), 카탈로그 색인모듈(70) 등은 해당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색인하여, 각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로 일련의 색인 ID를 생성·부여하고, 해당 색인 ID를 예컨대, 콘텐츠 색인 ID D/B(31), 카탈로그 색인 ID D/B(33) 등에 신속히 저장한다(단계 S4,S5).
이러한 저장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콘텐츠 색인 ID D/B의 데이터 저장 테이블(600)에는 "A/B/c, A/B/d, A/B/e" 등의 계층을 갖는 색인 ID가 안정적으로 저장된다.
이때, 예컨대, "A/B/c"의 계층을 갖는 색인 ID는 URL "www.a.com/~b/~c.xx"에 부여된 색인 ID이며, "A/B/d"의 계층을 갖는 색인 ID는 URL "www.a.com/~b/~d.xx"에 부여된 색인 ID이고, "A/B/e"의 계층을 갖는 색인 ID는 URL "www.a.com/~b/~e.xx"에 부여된 색인 ID이다. 여기서, "~c.xx, ~d.xx, ~e.xx" 등은 예컨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가 보유한 콘텐츠들을 나타낸다.
한편, 앞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색인 ID의 저장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콘텐츠 등록모듈(40), 카탈로그 등록모듈(60) 등과 지속적인 신호교환을 이룸으로써, 예컨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 등으로부터 일련의 콘텐츠 URL 변경 이벤트, 카탈로그 URL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
이때, 예컨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로부터 "일부 콘텐츠들의 URL 위치가 변경되었다"는 메시지가 송출되고, 이 메시지가 콘텐츠 등록모듈(40)을 통해 전달되면,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로 변경 URL의 전송을 요구한 후,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로부터 일련의 변경 URL이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단계 S7,S8).
이 상태에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로부터 아직 변경 URL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플로우를 단계 S9로 진행시켜,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로부터, 예컨대, "~c.xx, ~d.xx, ~e.xx"의 URL 위치가 예컨대, "www.a.com/~b/~c.xx", "www.a.com/~b/~d.xx", "www.a.com/~b/~e.xx" 등에서, "www.a.com/~123/~c.xx", "www.a.com/~123/~d.xx", "www.a.com/~123/~e.xx" 등으로 변경되었다"는 메시지가 송출되고, 이 메시지가 콘텐츠 등록모듈(40)을 통해 전달되면,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A/B/c", "A/B/d", "A/B/e" 등의 색인 ID에서, "B"에 해당하는 "‥/~b/‥"를 "‥/~123/‥"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콘텐츠 색인 ID D/B(31)가 항상 최신의 데이터 보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0).
물론, 앞의 단계 S7,S8,S9,S10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뿐만 아니라,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콘텐츠 제공 시스템,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이 보유한 콘텐츠들, 카탈로그들의 URL을 일련의 "계층적 ID"로 관리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들, 카탈로그들의 URL 위치가 일부 변경되더라도, 대폭적인 갱신 과정 없이, 단지, 해당 계층의 ID에 대응되는 URL만 변경시키면서도, 각 콘텐츠들, 카탈로그들의 링크상태를 손쉽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후, 콘텐츠 등록모듈(40), 콘텐츠 색인모듈(50), 카탈로그 등록모듈(60), 카탈로그 색인모듈(70) 등은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와 긴밀한 연동관계를 유지하면서, 앞서 언급한 단계 S1 내지 단계 S10을 지속적으로 반복·진행시킴으로써,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 등이 보유한 콘텐츠들, 카탈로그들이 메인 시스템과 안정적인 링크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일련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료를 찾고자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를 매개로 하여, 자신이 찾고자하는 자료, 예컨대, "xx 머신(Machine)"을 취급하는 임의 사이트(400)에 접속한다. 이 경우, 임의 사이트(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일련의 웹 페이지(701)를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기반환경을 마련한다. 물론, 앞의 경우와 달리, 사용자는 초기에, 임의사이트(400)에 간접 접속하지 않고, 본 발명의 메인 시스템(100)에 직접 접속하여도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과정을 아무런 장애 없이 원활하게 진행 받을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701)의 일부 항목, 예컨대, "여기"라는 항목(702)은 메인 시스템(100)의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를 하이퍼링크하고 있는 바, 만약, 사용자가 이 "여기"항목(702)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메인 시스템(100)의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 시스템의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임의 사이트(400)에 접속중인 사용자가 "여기"항목(702)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작업중인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요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
이때, 사용자가 "여기"항목(702)을 선택하지 않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요구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플로우를 단계 S22로 진행시켜,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여기"항목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요구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상거래 접촉 관리 서버(10)는 일련의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 및 콘텐츠/카탈로그 색인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3).
이 경우,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D/B 관리 서버(20)로 예컨대,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정보, 콘텐츠 색인 ID 정보, 카탈로그 색인 ID 정보 등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D/B 관리 서버(20)는 이러한 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D/B(32)에 저장되어 있는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정보 및 콘텐츠 색인 ID D/B(31), 카탈로그 색인 ID D/B(33) 등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색인 ID 정보, 카탈로그 색인 ID 정보 등을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정보, 콘텐츠 색인 ID 정보, 카탈로그 색인 ID 정보 등이 전달되면,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이러한 각 정보들을 토대로,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 및 콘텐츠/카탈로그 색인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 및 콘텐츠/카탈로그 색인 페이지를 하나의 웹 페이지로 묶어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달한다.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웹 페이지(705)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며, 결국, 사용자는 예컨대, "xx 머신"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는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703) 및 색인 페이지(704)가 예컨대, 두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상태로 게시된다.
여기서, 전자상거래 접속 관리 서버(1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되는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703)에 "해당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의 내용"에 부합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하이퍼링크 된 일련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로 기재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703)에는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가 하이퍼링크 된 일련의 "사진"항목(706)이 추가로 기재된다.
이러한 속성을 지닌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703)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 게시된 상태에서, 예컨대,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상거래 진입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4).
이때, 사용자가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를 하이퍼링크하고 있는 "사진항목(706)"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상거래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는 그 즉시, 자사의 전자상거래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5).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로부터 전달되는 웹 페이지(708)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며, 결국,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상품 구매과정, 즉, "xx 머신"의 구매과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일련의 "사용자 요구 자료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이 자료 데이터에, "해당 자료에 대응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료의 검색"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자연스럽게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종래와 달리,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전전하지 않고서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적기에 구입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구매물품과 관련된 전문적인 자료"를 검토하면서,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구입을 원하는 물품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소규모로 취급되는 물품"인 경우,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별도의 광고 없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인 경우라 하더라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이후,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웹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시킴으로써, 일련의 전자상거래 운영과정이 안정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6).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계 S23이 마무리되면,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체 콘텐츠/카탈로그 데이터(703) 및 콘텐츠/카탈로그 색인 페이지(704)가 두 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게시되는데, 이때, 콘텐츠/카탈로그 색인 페이지(704)에 포함된 각 항목들, 예컨대, "xx 머신의 구조도" 항목(707)은 예컨대, "A/B/c"의 색인 ID로 관리되면서, "www.a.com/~b/~c.xx"의 URL을 갖는 "콘텐츠"에 하이퍼링크 된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는 사용자가 "xx 머신의 구조도" 항목(707)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작업중인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색인항목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7).
이때, 사용자가 "xx 머신의 구조도" 항목(707)을 선택하지 않아,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별도의 콘텐츠/카탈로그 색인항목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는 플로우를 단계 S28로 진행시켜,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xx 머신의 구조도" 항목(707)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콘텐츠/카탈로그 색인항목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는 그 즉시, 자신이 보유한 콘텐츠, 즉, "www.a.com/~b/~c.xx"의 URL에 위치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송한다(단계 S29).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콘텐츠 자료제공 시스템 A(200)로부터 전달되는 콘텐츠 데이터(709)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며, 결국, 사용자는 "xx 머신의 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콘텐츠 자료제공 시스템 A(200)는 상술한 경우와 유사하게,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에 부합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하이퍼링크 된 일련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로 기재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709)에는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가 하이퍼링크 된 일련의 "사진"항목(710)이 추가로 기재된다.
이러한 속성을 지닌 콘텐츠 데이터가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에 게시된 상태에서, 예컨대,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진입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30).
이때,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를 하이퍼링크하고 있는 "사진항목(710)"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는 플로우를 단계 S31로 진행시켜,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를 하이퍼링크하고 있는 "사진항목(710)"을 선택하여,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전자상거래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는 그 즉시, 자사의 전자상거래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히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5).
이 경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로부터 전달되는 웹 페이지(708)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앞서 언급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며, 결국,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상품 구매과정, 즉, "xx 머신"의 구매과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의 단계 S27 내지 S31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A(200) 뿐만 아니라, 카탈로그 제공 시스템 B(300)도, 동일하게 진행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자료의 검색"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자연스럽게 방문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종래와 달리,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전전하지않고서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적기에 구입할 수 있다.
이후, "xx 머신"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500)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웹 페이지를 사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시킴으로써, 일련의 전자상거래 운영과정이 안정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6).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일련의 "사용자 요구 자료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이 자료 데이터에 "해당 자료에 대응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을 추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료의 검색"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자연스럽게 방문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종래와 달리, 여러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전전하지 않고서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적기에 구입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구매물품과 관련된 전문적인 자료"를 검토하면서,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구입을 원하는 물품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소규모로 취급되는 물품"인 경우, "물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별도의 광고 없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인 경우라 하더라도, 자신이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별도로 진행되는 자료 등록과정 및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과정은 임의의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자료 요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자료 요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자료에 대응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기재된 자체 보유 자료 데이터 및 상기 색인 ID의 내용이 반영된 색인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선택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선택된 경우, 일련의 전자상거래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등록과정은 임의의 자료제공 시스템들이 보유한 각각의 자료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아이디(ID)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자료제공 시스템들로부터 상기 자료들과 관련한 메타 데이터(Meta data) 및 URL 정보(Uniform Resource Locator information)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를 색인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및 URL 정보로 일련의 색인 ID를 부여하고, 상기 색인 ID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자료제공 시스템들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일련의 URL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료제공 시스템들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일련의 URL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자료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변경된 URL을 전송받은 후, 변경 전 URL을 보유하고 있던 색인 ID의 URL을 상기 변경된 URL로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색인 페이지의 색인 항목이 선택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색인 페이지의 색인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자료에 대응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기재된 자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선택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 하이퍼링크 항목이 선택된 경우, 일련의 전자상거래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KR1020000075865A 2000-12-13 2000-12-13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KR20020046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865A KR20020046364A (ko) 2000-12-13 2000-12-13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865A KR20020046364A (ko) 2000-12-13 2000-12-13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364A true KR20020046364A (ko) 2002-06-21

Family

ID=2768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865A KR20020046364A (ko) 2000-12-13 2000-12-13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3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8955A2 (ko) * 2008-10-02 2010-04-08 Seok Yoon Chan 사용자 웹-서핑경로 이동 유도장치
KR100989273B1 (ko) * 2008-02-05 2010-10-20 석윤찬 협력 웹 시스템 간 회원 전이 운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3A (ko) * 1999-11-10 2000-02-07 손승현 맞춤형 쇼핑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0203A (ko) * 2000-05-22 2000-08-05 정진숙 인터넷상에서의 제품 카탈로그식 검색과 분류에 관한비즈니스 모델.
KR20020031496A (ko) * 2000-10-20 2002-05-02 김병우 상환금 지급 방식을 적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0049A (ko) * 2000-11-23 2002-05-30 임완근 다중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83A (ko) * 1999-11-10 2000-02-07 손승현 맞춤형 쇼핑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0203A (ko) * 2000-05-22 2000-08-05 정진숙 인터넷상에서의 제품 카탈로그식 검색과 분류에 관한비즈니스 모델.
KR20020031496A (ko) * 2000-10-20 2002-05-02 김병우 상환금 지급 방식을 적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0049A (ko) * 2000-11-23 2002-05-30 임완근 다중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73B1 (ko) * 2008-02-05 2010-10-20 석윤찬 협력 웹 시스템 간 회원 전이 운영 시스템
WO2010038955A2 (ko) * 2008-10-02 2010-04-08 Seok Yoon Chan 사용자 웹-서핑경로 이동 유도장치
WO2010038955A3 (ko) * 2008-10-02 2010-07-29 Seok Yoon Chan 사용자 웹-서핑경로 이동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508B2 (en) Adaptive catalog page display
US7324961B2 (en) Video rental e-commerce solution
KR100885772B1 (ko) 제품 정보를 등록 및 검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70129961A1 (en) Virtual business restructuring methods
US20080004992A1 (en) Federated marketplace for electronic commerce
JP2002536722A (ja) ネットワーク上で製品を調べるための対話型システム
WO2000065509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information upon receipt of a scanned bar code
WO2002037220A9 (en) Internet contextual communication system
JP2008083803A (ja) 広告配信装置
US20030023512A1 (en) Interactive on-line catalog
Keller et al. Multi-Vendor Catalogs: Smart Catalogs and Virtual Catalogs
WO2005072280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and structuring purchase information and conducting purchase transactions
Kong et al. Web services enhanced interoperable construction products catalogue
KR20020046364A (ko) 자료제공을 매개로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접속 유도 방법
JP2006331238A (ja) 商品やサービス別ウェブサイト、ポータルサイトの作成、及び商品やサービス別双方向情報交換システム。
JP2006059032A (ja) 商品情報の提供装置、提供方法、提供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9193392A (ja) 電子書籍販売システム及び電子書籍販売方法
JP2002328939A (ja) 公開情報自動収集システム
JP2006277502A (ja) 記事販売システム、広告用サーバ、ユーザ端末、記事販売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473104B1 (ko) 전자 카탈로그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050A (ko) 데이터통신망에서의 정보표시제어방법
JP2005346574A (ja) リンク生成方法、及びリンク生成システム
Shemberg The role of the ISSN in the electronic linking environment
JP200410292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仲介サーバ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仲介方法
WO2002013043A2 (en)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