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154A - Geogrid - Google Patents

Geogr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154A
KR20020046154A KR1020010075069A KR20010075069A KR20020046154A KR 20020046154 A KR20020046154 A KR 20020046154A KR 1020010075069 A KR1020010075069 A KR 1020010075069A KR 20010075069 A KR20010075069 A KR 20010075069A KR 20020046154 A KR20020046154 A KR 2002004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ody
soil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26345B1 (en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공학봉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학봉, 이승훈 filed Critical 공학봉
Priority to PCT/KR2001/0020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2048467A1/en
Priority to AU2002221171A priority patent/AU2002221171A1/en
Priority to US10/015,415 priority patent/US20020069605A1/en
Publication of KR2002004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3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PURPOSE: A soil and earth reinforcement is provided to conveniently deliver and store the soil and earth and work with the same and to prevent lowering of durability by providing a standard dimension of the reinforcement. CONSTITUTION: The reinforcement(1) comprises a main sheet body(3)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bores(5); several connections(7) protruded from a plate side of the body(3); several acception portions(13) to receive the connections(7) of another reinforcement(7) adjacent to the previous one. The body(3) has desired thickness of 2 to 6mm and area of 0.5m¬2 to 1.5m¬2, and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sheet body(3) is also preferably made of particular material to disperse earth pressure and to increase coupling and supporting forces with inclined side and/or retaining wall.

Description

토사 보강재{Geogrid}Earth stiffeners {Geogrid}

본 발명은, 사면 또는 옹벽의 보강토에 매설되는 토사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reinforcing material embedded in a reinforcement soil of a slope or retaining wall.

토사 보강재는 사면 또는 옹벽에 적층 또는 뒤채움되는 토사 내부에 매설되어, 사면 또는 옹벽에서 발생되는 토압을 줄여 토사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방지한다.Soil reinforcement is embedded in the soil to be laminated or backfilled on the slope or retaining wall, to reduce the earth pressure generated from the slope or retaining wall to prevent the soil to flow down and collapse.

이에, 종래에는 그물조직으로 형성된 토사 보강재를 널리 사용하여 왔다. 토사 보강재는 제조방법에 따라 시이트형 토사 보강재와 직포형 토사 보강재로 나누어진다. 시이트형 토사 보강재는 고분자인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시이트상으로 압출한 후, 시이트를 종횡방향으로 천공하고 천공된 각 구멍 사이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신장시킨 것이다. 한편, 직포형 토사 보강재는 기존의 섬유제직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터 섬유로 위사와 경사 형태로 직조하여 격자형태로 만든 후, PVC 등으로 코팅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토사 보강재는 일반적으로 그 폭이 수 미터이고, 길이 또한 수십 미터로 생산되어 롤 형태의 제품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면이나 옹벽에 토사 보강재의 시공 작업시, 사면이나 옹벽의 규모에 따라 토사 보강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 시공하여 왔다.Thus, conventionally, the soil reinforcement formed of a net structure has been widely used. Soil reinforcement is divided into sheet type soil reinforcement and woven type soil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sheet-type earth and sand reinforcing material is extruded a sheet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s a sheet, and then perforated th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retched mechanically between each punched hole. On the other hand, the woven soil reinforcement is made of a weft yarn and a warp form of the polyester fiber using a conventional fiber weaving method to form a lattice, then coated with PVC and the like. In addition, such soil reinforcement materials are generally several meters in width and several tens of meters in length, and have been provided to users as roll-shaped products. Therefore, the user has cut and installed the soil reinforcem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lope or the retaining wall when the work of the soil reinforcement is installed on the slope or retaining wall.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토사 보강재는 토사 보강재의 시공 작업시 사면이나 옹벽의 규모에 따라 롤 형태의 토사 보강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해야 하므로, 운반, 보관 및 시공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절단된 부분의 코팅 부위가 손상되어 가수분해 현상이 발생하여 토사 보강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material is required to cut and install the roll-shaped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material to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lope or retaining wall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material, so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store, and instal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is lowered due to the damage to the coating site occurs hydrolys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보관 및 시공이 용이하고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토사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il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easy to transport, store and construct, and which can prevent degradation of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 보강재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il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사시도이며,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1의 토사 보강재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il reinforcement of Figure 1 connected to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 보강재의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il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FIG. 5;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고,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도 8은 도 5의 토사 보강재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oil reinforcement materials of FIG.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9는 일실시예로서 도 1의 토사 보강재가 옹벽의 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soil reinforcement of FIG. 1 coupled to a block of the retaining wall as an embodiment;

도 10은 도 9의 토사 보강재와 블록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process of coupling the soil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block of FIG. 9;

도 11은 일실시예로서 도 1의 토사 보강재가 옹벽의 블록에 다층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oil reinforcement of FIG. 1 is coupled to the block of the retaining wall in a multi-layered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토사 보강재 3 : 시이트 본체1: soil reinforcement material 3: sheet body

5 : 관통부 7 : 연결부5 through part 7 connection part

9 : 핀부 11 : 헤드부9 pin portion 11 head portion

13 : 수용부 15 : 리브13: receiving portion 15: rib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사 보강재에 있어서, 토사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시이트 본체와, 상기 시이트 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인접하는 다른 토사 보강재의 연결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a sheet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through which the soil is penetrated,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heet body, and in a position facing th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s a soi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soil reinforcement.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시이트 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여 상기 시이트 본체의 타단부에 마련함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토사 보강재들 사이의 중첩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Here,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eet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opposite to the connec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interconnected soil reinforcement.

또한, 상기 시이트 본체의 적어도 일측 판면에는 상기 시이트 본체의 결합방향에 대해 가로로 돌출된 리브를 마련함으로써, 시이트 본체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며 토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plate surface of the sheet body may be provided with ribs protrud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sheet body, thereby reinforc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heet body and increasing friction with soil.

그리고, 상기 수용부를 상기 시이트 본체의 타단부를 따라 형성된 상기 관통부와 연통시키거나 상기 수용부를 상기 시이트 본체의 타단부를 따라 형성된 상기 관통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The accommodation por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portion form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or the accommodation portion may be blocked from the through portion form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핀부와, 상기 핀부의 일단부에 돌출된 헤드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의 최대 단면의 폭을 상기 수용부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크고 상기 관통부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작게 함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토사 보강재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폭을 상기 수용부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작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다른 토사 보강재와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pi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head portion protruding at one end of the pin portion; By making the width of the maximum cross section of the head portion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connected soil reinforcement from being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by making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work with other adjacent soil reinforcement.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원형, 타원형, 장공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preferably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le, an ellipse, a long hole shape, and a polygon.

또한, 상기 시이트 본체 및 상기 연결부를 금속의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시이트 본체에 용접하거나, 상기 시이트 본체 및 상기 연결부를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시이트 본체와 상기 연결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et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par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art may be welded to the sheet main body, or the sheet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part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to integrally form the sheet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part. desirabl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one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사 보강재(1)는, 토사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5)가 형성된 시이트 본체(3)와, 시이트 본체(3)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연결부(7)와, 연결부(7)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인접하는 다른 토사 보강재(1)의 연결부(7)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13)를 가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il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material 1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sheet main body 3 in which the some penetration part 5 through which earth and sand pass is formed, and the several which protrud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heet main body 3 are shown.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portions 13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portion 7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ortion 7 of another adjacent soil reinforcement 1.

시이트 본체(3)는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시이트 본체(3)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정사각형 및 다각형 등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시이트 본체(3)는 대략 2mm 내지 6mm 범위 내의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또한 운반, 보관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대략 0.5m2내지 1.5m2범위 내의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이트 본체(3)의 두께 및 넓이는 시이트 본체(3)의 재질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시이트 본체(3)의 재질은 토압을 분산시키면서 사면 또는 옹벽과의 결속력 및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낮은 신장률 및 화학적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시이트 본체(3)의 재질로서는 유리섬유가 함유된 합성수지나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금 또는 피막처리를 하여 화학적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금속재질로서는 알루미늄, 주철,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et body 3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Here, the sheet body 3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square and polygon, in addition to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n, the sheet main body 3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range of about 2mm to 6mm, and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width approximately in the range 0.5m 2 to 1.5m 2 to facilitate handling, storage and installation, the sheet body The thickness and width of (3) can of course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heet body (3).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hat the material of the sheet body 3 has a low elongation rate and chemical durabi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and the bearing force with the slope or retaining wall while dispersing earth pressure. 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sheet main body 3 is preferably a synthetic resin or metal containing glass fib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metal material,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chemical durability by plating or coating the surface to prevent corrosion. The metal material is preferably any one of aluminum, cast iron and stainless steel.

그리고, 시이트 본체(3)에는 시이트 본체(3)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판면에 관통된 복수의 관통부(5)가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부(5)는 장공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관통부(5)는 시이트 본체(3)의 상하부측의 토사와맞닿으면서 토사가 관통하여 토압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토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토사 보강재(1)의 마찰력의 증감은 관통부(5)의 크기 및 수량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이트 본체(3)가 소정의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통부(5)의 크기 및 수량을 조절하게 되고, 관통부(5)의 총 면적이 시이트 본체(3)의 총 면적의 약 60% 내지 70%를 차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통부(5)는 장공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 관통부(5)는 상호 교호적으로 엇갈리게 시이트 본체(3)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sheet main body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5 penetrating the plate surface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of the sheet main body 3. Each through part 5 has a long cross-sectional shape. The penetrating portion 5 penetrates the soil by dispersing the earth pressure while contacting the soil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eet body 3,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s the friction force with the soil.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1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penetrating portion 5. Therefore,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penetrating portion 5 are adjusted so that the sheet body 3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tensile strength, and the total area of the penetrating portion 5 is about 60 of the total area of the sheet body 3. It is preferable to form so as to occupy% to 70%. Here, the through part 5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circular, elliptical, and polygonal in addition to the long hole cross-sectional shape. Each of the through portions 5 may be formed in the sheet body 3 alternately alternately.

한편, 시이트 본체(3)의 일단부, 즉 시이트 본체(3)의 일측 가장자리의 내측에는 시이트 본체(3)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연결부(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연결부(7)는 시이트 본체(3)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부(7)는 인접하는 토사 보강재(1)의 수용부(13)에 수용되는 핀부(9)와, 핀부(9)의 일단부로부터 핀부(9)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헤드부(11)를 가진다. 그리고, 핀부(9)와 헤드부(11)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핀부(9)의 직경은 수용부(13)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작으며, 헤드부(11)의 직경은 수용부(13)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크고 관통부(5)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핀부(9)의 길이, 즉 시이트 본체(3)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핀부(9)의 높이는 시이트 본체(3)의 두께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7)는 토압에 따라 소정의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그 크기 및 수량이 조절되며, 시이트 본체(3)와 동일한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부(7) 및 시이트 본체(3)의 재질이 유리섬유가 함유된 합성수지인 경우 사출 등에 의해 연결부(7)와 시이트 본체(3)를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부(7) 및 시이트 본체(3)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 연결부(7)를 시이트 본체(3)에 용접하거나 연결부(7)와 시이트 본체(3)를 주조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핀부(9)는 원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e end part of the sheet | seat main body 3, ie, inside of one edge of the sheet main body 3, is provided with the some connection part 7 which protrud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heet main body 3. As shown in FIG. Each connection part 7 is arrange | pos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one edge of the sheet main body 3. Each connecting portion 7 includes a pin portion 9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adjacent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1 and a head protruding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in portion 9 from one end of the pin portion 9. It has a part 11. The pin portion 9 and the head portion 11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Further, the diameter of the pin portion 9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and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1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and the minimum of the penetrating portion 5. I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length of the pin part 9, ie, the height of the pin part 9 which protrudes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heet main body 3,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heet main body 3.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7 is adjusted in size and quantity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tensile strength according to the earth pressure,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material as the sheet body (3). Therefore, whe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ortion 7 and the sheet body 3 is a synthetic resin containing glass fiber, the connecting portion 7 and the sheet main body 3 ar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or the like, and the connecting portion 7 and the sheet body ( When the material of 3) is made of metal, the connecting portion 7 is welded to the sheet body 3 or the connecting portion 7 and the sheet body 3 are integrally formed by casting. Here, the pin 9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oval and polygonal in addition to the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그리고, 연결부(7)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시이트 본체(3)의 타단부, 즉 시이트 본체(3)의 타측 가장자리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수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수용부(13)는 시이트 본체(3)의 타단부를 따라 형성된 관통부(5)와 연통되며, 장공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관통부(5)와 수용부(13)가 연통되는 영역에는 연결부(7)의 핀부(9)가 관통부(5)로부터 수용부(13)로 이동이 편리하도록 모떼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13)의 최소 단면의 폭은 핀부(9)의 직경 보다는 크고 헤드부(11)의 직경 보다는 작게 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부(13)는 장공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A plurality of housing portions 13 are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3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portion 7, that is,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dge of the sheet body 3. Each receiving portion 13 communicates with the penetrating portion 5 form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3 and has a long cross-sectional shape. The chamfer is formed in the area | region where the penetrating part 5 and the accommodating part 13 communicate so that the pin part 9 of the connection part 7 may move from the penetrating part 5 to the accommodating part 13 conveniently.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3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portion 9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11. Here, the accommodating part 13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in addition to the long cross-sectional shap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한쌍의 토사 보강재(1)를 연결함에 있어서, 일측 토사 보강재(1)의 연결부(7)를 인접하는 타측 토사 보강재(1)의 관통부(5)에 삽입하여 수용부(13)에 수용 결합시킴으로써, 각 토사 보강재를 일렬로 연결하게 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this configuration, in connecting the pair of soil reinforcement 1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penetration of the other soil reinforcement (1) adjacent the connecting portion 7 of one soil reinforcement (1) By inserting and inserting the portion 5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 each soil reinforcing material is connected in a line, and the separ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can be prevented.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토사 보강재(1)의 인장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토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시이트 본체(3)의 적어도 일측 판면에는 시이트 본체(3)의 결합방향에 대해 가로로 돌출된 리브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수용부(13)는 시이트 본체(3)의 타단부를 따라 형성된 각 관통부(5)와 차단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here, at least one side of the sheet body 3 is transverse to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sheet body 3 in order to reinfor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1 an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oil. Protruding rib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each receiving portion 13 may be formed to be cut off from each through portion 5 form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3.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 보강재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 보강재는,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 보강재와는 달리, 시이트 본체(3)의 하부면에는, 시이트 본체(3)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며 토사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시이트 본체(3)의 결합방향에 대해 가로로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리브(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7)가 마련된 시이트 본체(3)의 일단부의 하부면에는 토사보강재(1)들을 보관할 때 적층이 용이하도록 리브(15)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5 to 7.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body 3, the tension of the sheet body 3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oil, a plurality of ribs 15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sheet body 3 are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rib 15 is no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heet body 3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7 to facilitate lamination when the soil reinforcement materials 1 are stored.

또한, 시이트 본체(3)의 일단부에 마련된 각 연결부(7)는 인접하는 토사 보강재(1)의 수용부(13)에 수용되는 핀부(9)와, 핀부(9)의 일단부로부터 가로로 연장 절곡된 헤드부(11)를 가진다. 핀부(9)와 헤드부(11)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헤드부(11)의 상단부의 길이는 수용부(13)의 결합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작고, 핀부(9) 및 헤드부(11)의 상단부의 폭은 수용부(13)의 폭 보다는 작게 되어 있다. 또한, 핀부(9)와 헤드부(11)가 연결되는 영역의 외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토사 보강재(1)와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모떼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트 본체(3)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핀부(9)의 내측 높이는 시이트 본체(3)의 두께와 리브(15) 두께의 합 보다 크게 되어 있다.Moreover, each connection part 7 provided in the one end part of the sheet | seat main body 3 has the fin part 9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3 of the adjacent earth-soil reinforcement material 1,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ne end part of the pin part 9 horizontally. It has an extended bent head portion 11. The pin portion 9 and the head portion 11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length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1 is smaller than the length in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and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pin portion 9 and the head portion 11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 Moreover, the chamfer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pin part 9 and the head part 11 are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on work with the other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material 1 adjacent may be easy. The inner height of the pin portion 9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heet body 3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heet body 3 and the thickness of the ribs 15.

그리고, 각 수용부(13)는 시이트 본체(3)의 타단부를 따라 형성된 각 관통부(5)와 차단되어 있으며, 각 수용부(13)는 시이트 본체(3)의 타단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수용부(13)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수용부(13)의 결합방향으로의 길이는 연결부(7)의 헤드부(11)의 절곡 연장된 길이 보다는 크며, 수용부(13)의 폭도 핀부(9) 및 헤드부(11)의 폭 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관통부(5)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And each receiving part 13 is interrupted | blocked with each through part 5 form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main body 3, Each receiving part 13 is predetermin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main body 3, It is arranged at intervals. Each receiving portion 13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length of the receiving portion 13 in the engagement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bent extended length of the head portion 11 of the connecting portion 7, The width is also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in portion 9 and the head portion 11 and has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penetrating portion 5.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한쌍의 토사 보강재(1)를 연결함에 있어서, 일측 토사 보강재(1)의 연결부(7)를 인접하는 타측 토사 보강재(1)의 수용부(13)에 수용 결합시킴으로써, 각 토사 보강재(1)를 일렬로 연결하게 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이트 본체(3)의 하부면에 마련된 복수의 리브(15)에 의해 토사 보강재(1)는 토사와의 마찰력이 증대된다. 여기서, 일측 토사 보강재(1)의 연결부(7)를 인접하는 다른 토사 보강재(1)의 수용부(13)에 결합하지 않고 시이트 본체(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관통부(5)에 결합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n connecting the pair of soil reinforcement 1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ther soil reinforcement (1)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7 of one soil reinforcement (1) By accommodating and engaging with the part 13, each soil reinforcement material 1 is connected in a line, and it can prevent the separation | strain to a horizontal and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1 is increased in friction with the soil by the plurality of ribs 15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body 3. Here, the coupling portion 7 of one soil reinforcement 1 is not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3 of another adjacent soil reinforcement 1 but to the through portion 5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heet body 3. Can be.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시이트 본체(3)의 가장자리를 따라 별도의 수용부(13)를 마련하지 않고, 시이트 본체(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관통부(5)를 수용부(13)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이트 본체(3)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각 판면에 시이트 본체(3)의 결합방향에 대해 가로로 돌출된 복수의 리브(15)를 마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통부(5)는 사각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원형, 타원형, 장공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here, the through portion 5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heet body 3 is provided as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accommodating portion 13 along the edge of the sheet body 3. Can also be us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ribs 15 protruding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sheet main body 3 can also be provided in each plat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main body 3. In addition to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through part 5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le, an ellipse, a long hole, and a polygon.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통하여 다수의 블록과 블록용 결합핀을 사용하여 축조되는 옹벽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 보강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hrough 11 o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a plurality of blocks and a coupling pin for a block.

다수의 블록(21)과 블록용 결합핀(27)을 사용하여 다수의 블록(21)들을 상호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 중에, 소정의 높이로 적층된 블록(21)의 배면에 토사를 뒤채움한다.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by stacking the plurality of blocks 21 together using the plurality of blocks 21 and the coupling pins 27 for the blocks, the soil is deposi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acked blocks 21 at a predetermined height. Fill it.

그리고, 토사를 뒤채움한 상태에서 토사 보강재(1)의 수용부(13)를 블록(21)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블록용 결합핀(27)의 핀부(29)를 토사 보강재(1)의 수용부(13)에 관통시키고 블록(21)의 결합핀 수용부(23)에 삽입한다. 이로써, 토사 보강재(1)의 일단부는 블록(21)에 블록용 결합핀(27)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지반 침하, 뒤채움되는 토사의 면적, 토압에 따라 블록(21)에 결합되어 있는 토사 보강재(1)의 연결부(7)에 다른 토사 보강재(1)의 수용부(13)를 결합, 즉 복수의 토사 보강재(1)를 일렬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뒤채움되는 토사에 매설되는 토사 보강재를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할 수 있게 된다.And, after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21 in the state of the soil refilling, the pin portion 29 of the coupling pin 27 for the block earthwork reinforcement (1) Penetration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block 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in receiving portion 23 of. Thus, one end of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1) is fixed to the block 21 by the coupling pin 27 for the block. 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other soil reinforcing material (1)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7) of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1) coupled to the block 21 according to the ground subsidence, the area of the soil to be backfilled, the earth pressure That is,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oil reinforcing materials 1 in a line,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embedded in the backfilled soil can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다음, 블록용 결합핀(27)의 핀헤드부(31)를 적층되는 블록(21)의 하부면에 형성된 핀헤드수용부(25)에 삽입하고, 다수의 블록(21)들을 새로이 소정의 높이로 상호 적층하면서 블록(21)에 결합되어 있는 토사 보강재(1)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매설되도록 블록(21)의 배면에 토사를 뒤채움한다.Next, the pin head portion 31 of the coupling pin 27 for the block is inserted into the pin head accommodation portion 2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21 to be stacked, and the plurality of blocks 21 are newly given a predetermined height. The earth and sand reinforcing material (1) coupled to the block 21 while laminating with each other to fill the soil on the back surface of the block 21 so that it is embedde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지반 침하, 뒤채움되는 토사의 면적, 토압, 옹벽의 높이에 의거하여, 토사 보강재(1)를 블록(21)의 적층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로 배치하고 블록(21)에 결합되어 있는 토사 보강재(1)에 다른 토사 보강재(1)를 일렬로 결합한 후, 블록(21)의 배면에 토사를 뒤채움하여 옹벽을 완성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11, on the basis of the ground subsidence, the area of the earth to be filled, the earth pressure, and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he earth and sand reinforcement (1) is arranged in a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block 21 After the other soil reinforcement material 1 is coupled to the soil reinforcement material 1 coupled to the block 21 in a row, the soil is back-fi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21 to complete the retaining wall.

이로써, 토사에 의해 매설되는 토사 보강재(1)는 시이트 본체(3)의 상하부면에 토사가 접함과 동시에 관통부(5)에 토사가 채워짐으로써 토사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뒤채움된 토사에 의해 발생되는 토압은 토사 보강재(1)의 인장력 및 관통부(5)에 채워진 토사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분산된다. 따라서,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21)은 토사 보강재(1)의 마찰 저항력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뒤채움된 토사의 토압이 분산되어, 옹벽은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As a result, the earth and sand reinforcing material 1 embedded by the earth and sand is in contact with the earth and san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eet body 3, and the earth and sand are fill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5, thereby generating frictional force due to the sand. Thus, the earth pressure generated by the backfilled soil is dispers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soil reinforcement 1 and the frictional force by the soil fill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5. Therefore, the block 21 forming the retaining wall is supported by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1, the flow is prevented, and the earth pressure of the filled soil is dispersed, so that the retaining wall has stability.

이와 같이, 토사 보강재를 소정의 크기로 규격화함으로써, 토사 보강재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면 및 옹벽의 규모에 따라 복수의 토사 보강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토사 보강재의 설치작업시 토사 보강재의 인위적인 손상이 없게 되어 토사 보강재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standardizing the soil reinforcement to a predetermined size, not only the soil reinforcement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stored, but also a plurality of soil reinforcement can be easi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lope and retaining wall, No artificial damage of the reinforcement can be prevented to reduce the durability of the soil reinforcement.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옹벽의 뒤채움 토사에 토사 보강재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토사 보강재를 토사로 이루어지는 사면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매설시킴으로써, 사면의 토압을 줄여 토사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oil reinforcement in the backfilling soil of the retaining wall has been described, but by laying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lope consisting of soil, the soil pressure of the slope is reduced and the soil flows down. Of course, over collapse can be prevented.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토사 보강재의 일단부를 인접하는 다른 토사 보강재의 일단부와 일렬로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토사 보강재를 각 토사 보강재가 연결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토사 보강재 길이의 대략 1/2 정도 중첩되게 연이어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one end of the soil reinforcement is connected in line with one end of the other soil reinforcement adjacent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installed one after another about half of the length of the reinforcement.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토사 보강재를 소정의 크기로 규격화함으로써, 운반, 보관 및 시공이 용이하고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토사 보강재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andardizing the soil reinforcing material to a predetermined size, it is easy to transport, storage and construction provides a soil reinforcing material that can prevent the degradation of durability.

Claims (11)

토사 보강재에 있어서,In the soil reinforcement, 토사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시이트 본체와,A sheet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through which soil is penetrated; 상기 시이트 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와,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heet body,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인접하는 다른 토사 보강재의 연결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nd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 accommodate a connection portion of another adjacent soil reinforcem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시이트 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여 상기 시이트 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eet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opposite to the connec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시이트 본체의 적어도 일측 판면에는 상기 시이트 본체의 결합방향에 대해 가로로 돌출된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t least one plate surface of the sheet body is provided with ribs protrud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sheet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용부는 상기 시이트 본체의 타단부를 따라 형성된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nd the receiving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portion form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용부는 상기 시이트 본체의 타단부를 따라 형성된 상기 관통부와 차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nd the receiving portion is blocked from the through portion form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sheet body.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핀부와, 상기 핀부의 일단부에 돌출된 헤드부를 가지며;The connecting portion has a pi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head portion protruding at one end of the pin portion; 상기 헤드부의 최대 단면의 폭은 상기 수용부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크고 상기 관통부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nd the width of the maximum cross section of the head por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less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핀부와, 상기 핀부의 일단부에 돌출된 헤드부를 가지며;The connecting portion has a pi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head portion protruding at one end of the pin portion; 상기 헤드부의 폭은 상기 수용부의 최소 단면의 폭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nd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is less than the width of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용부는 원형, 타원형, 장공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The receiving portion is a soi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le, oval, long hole, polyg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용부는 원형, 타원형, 장공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The receiving portion is a soi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le, oval, long hole, polyg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시이트 본체 및 상기 연결부는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시이트 본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And the sheet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welded to the sheet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시이트 본체 및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이트 본체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보강재.The sheet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heet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soi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molded.
KR10-2001-0075069A 2000-12-12 2001-11-29 Geogrid KR100426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1/002069 WO2002048467A1 (en) 2000-12-12 2001-11-30 Geogrid
AU2002221171A AU2002221171A1 (en) 2000-12-12 2001-11-30 Geogrid
US10/015,415 US20020069605A1 (en) 2000-12-12 2001-12-12 Geogr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532A KR20010016465A (en) 2000-12-12 2000-12-12 Plate geogrid for segmental retaining wall and slope reinforcement
KR1020000075532 2000-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154A true KR20020046154A (en) 2002-06-20
KR100426345B1 KR100426345B1 (en) 2004-04-08

Family

ID=19702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532A KR20010016465A (en) 2000-12-12 2000-12-12 Plate geogrid for segmental retaining wall and slope reinforcement
KR10-2001-0075069A KR100426345B1 (en) 2000-12-12 2001-11-29 Geogri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532A KR20010016465A (en) 2000-12-12 2000-12-12 Plate geogrid for segmental retaining wall and slope reinfor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16465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34B1 (en) * 2006-08-09 2007-08-20 (주)동방에스엔씨 A complex strength-supporting strap for retaining wall
KR100938493B1 (en) * 2007-11-30 2010-01-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Strip for 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0969352B1 (en) * 2007-11-23 2010-07-09 강연익 Geogrid fixing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block
KR101425152B1 (en) * 2013-12-04 2014-08-05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Reta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2016004196A1 (en) * 2014-07-01 2016-01-07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Retaining assembly for a retaining wa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65A (en) * 2000-12-12 2001-03-05 홍성민 Plate geogrid for segmental retaining wall and slope reinforcement
KR100440091B1 (en) * 2001-08-14 2004-07-14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Structure of Block typ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621664B1 (en) * 2004-06-24 2006-09-19 한국토지공사 structure of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KR101325826B1 (en) 2012-07-04 2013-11-08 백연진 Structure of reinforced for retainaing wall
KR101356816B1 (en) * 2012-07-23 2014-01-29 백연진 Structure of reinforced for retainaing wal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043A (en) * 1991-08-12 1994-07-05 Oyo Kikaku:Kk Connector for geogrid material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JP3572559B2 (en) * 1996-04-10 2004-10-06 清水建設株式会社 Reinforcement embankment method using geotextile
JP3611967B2 (en) * 1998-06-19 2005-01-1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Slo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0154544A (en) * 1998-11-24 2000-06-06 Bridgestone Corp Manufacture of resin net
KR100378079B1 (en) * 1999-12-29 2003-03-29 전한용 Composite geogrid and preparation thereof
KR20010016465A (en) * 2000-12-12 2001-03-05 홍성민 Plate geogrid for segmental retaining wall and slope reinforce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34B1 (en) * 2006-08-09 2007-08-20 (주)동방에스엔씨 A complex strength-supporting strap for retaining wall
KR100969352B1 (en) * 2007-11-23 2010-07-09 강연익 Geogrid fixing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block
KR100938493B1 (en) * 2007-11-30 2010-01-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Strip for 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1425152B1 (en) * 2013-12-04 2014-08-05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Reta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2016004196A1 (en) * 2014-07-01 2016-01-07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Retaining assembly for a retaining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345B1 (en) 2004-04-08
KR20010016465A (en)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994B2 (en) Grooved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6019550A (e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KR100426345B1 (en) Geogrid
AU2002314871A1 (en) Grooved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6679656B1 (en) Connection for geogrid to concrete block earth retaining walls
JP5073823B2 (en) Reinforced stabilization strip intended for use in reinforced soil structures
KR101700830B1 (en) The Constructing Block and Method Of Constructing Block For Wall
KR20180066926A (en) Connecting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ssembly for improving passive resistance having this
US7544014B1 (en) Retaining wall anchor system
US20020069605A1 (en) Geogrid
KR100665022B1 (en) The breast wall-block and connecting instrument
US10590621B2 (en) Strip-type reinforcing material and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comprising same
KR102560550B1 (en) Steel Assembly Pile
KR20100065824A (en) Strip containing fibers for strengthening revetment
KR102075861B1 (en) Front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20501044A (en) Concrete sheet pile
JP2880905B2 (en) Reinforced soil structure
JP5460013B2 (en) Assembly of geomaterial reinforcement for structures built in reinforced ground, associated structures, and associated methods
KR200404055Y1 (en) Retaining Wall System with connected Anchor Bar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Able to Control Of the Construction Angle
KR100263660B1 (en) Perforated reinforcing strips for earth reinforcement
KR20210033562A (en)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JPH09195276A (en) Reinforced earth structure
KR100506749B1 (en) Retaining wall for reinforced infill material and anchor element for anchoring a retaining wall
KR102632477B1 (en) Reinforced earth walls
KR102484636B1 (en) Retain wa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