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562A -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 Google Patents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562A
KR20210033562A KR1020190114435A KR20190114435A KR20210033562A KR 20210033562 A KR20210033562 A KR 20210033562A KR 1020190114435 A KR1020190114435 A KR 1020190114435A KR 20190114435 A KR20190114435 A KR 20190114435A KR 20210033562 A KR20210033562 A KR 2021003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strip
shaped reinforcement
strip bas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대한콜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콜크 filed Critical (주)대한콜크
Priority to KR102019011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562A/en
Publication of KR2021003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5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shaped reinforcing member (100) and a reinforcing memb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rip base (102)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resistance protrusions (170)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of the strip base (102), respectively. The resistance protrusions (170) are provided in plurality along a resistance body (120) constituting the strip base (102). The resistance protrusions (170) each comprise: a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protruding above the strip base (102) and facing one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102); and a first resistance surface (175) protruding below the strip base (102) and fac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102).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sistance protrusions (170) of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ember (100)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ymmetrical, and resistance is improved both in a direction toward a retaining wall and in an opposite direction thereof, and thus,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ember (100) can be applicable to various environments and structures. Therefore, utiliza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ember (100)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본 발명은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은 보강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은 뒷채움흙에 포설되어 지반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띠형 보강재 및 보강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shaped reinforc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ip-shaped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assembly for reinforc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ground by fixing one end to a reinforcing block and the other end installed on the backfill.

복수의 블록이 상호 적층되어 형성되는 블록형 옹벽 구조물은 제방, 산비탈 등에서 흙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된다. 이와 같은 보강토 옹벽에서는 일반적으로 옹벽블럭과 뒷채움흙(보강토체)을 결합시키는 보강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A block-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locks is constructed to prevent soil from flowing down and collapsing in a levee or hillside. In such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 reinforcement material that generally combines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backfilling soil (reinforcement soil body) is sometimes used.

보강재의 한 종류로 그물형태로 된 지오그리드(Geogrid)가 있으며, 최근에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옹벽블럭들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As a type of reinforcement, there is a geogrid in the form of a net, and recently, a band-shaped reinforcement that is installed in a zigzag shape on the backfilling soil is us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prefabricated in the front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have.

즉, 적층되는 블록에 지반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띠 형상의 섬유보강재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인데, 이 섬유보강재는 앵커나 앵커핀 등을 사용하여 일단은 블록에 고정하고 타단은 지반에 길게 매설하여 지면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보강토체를 보강하여 토압 등의 외력에 저항한다.In other words, to reinfor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ground in the stacked block, a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is combined and installed.This fiber reinforcement is fixed at one end to the block using anchors or anchor pins, and the other end is buried in the ground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resists external forces such as earth pressure by reinforcing the reinforced soil body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이러한 띠형 섬유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을 지지하는 경우, 띠형 섬유 보강재의 선단을 블록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에 걸고, 블록의 후측으로 이격된 지지벽의 전방에 고정된 지지봉에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걸린 띠형 섬유 보강재의 타단을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 포설한 후, 블록과 지지벽 사이에 보강토를 채워 옹벽구조를 형성한다.When using such a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block forming the retaining wall, the end of the strip-shaped fiber reinforcement is hung on a connecting ring protruding from the back of the block, and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ing wall spaced from the rear of the block. The other end of the band-shap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which has one end on the connecting ring, is hung on the support rod and continuously laid in a zigzag manner, and then reinforcing soil is filled between the block and the support wall to form a retaining wall structure.

그러나, 이러한 섬유 보강재는 흙과의 마찰저항력이 부족하여 안정검토시, 필요이상으로 보강재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섬유 보강재의 포설 길이를 늘여줌으로써 마찰저항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결국 뒷채움 토공량을 증가시켜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However, such a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lacks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soil, and thus the length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is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during stability review.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the frictional resistance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fiber reinforcement, but this has a disadvantage in terms of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ackfilling.

그리고, 띠형 보강재를 지그재그식으로 포설하는 과정에서 띠형 보강재의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띠형 보강재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띠형 보강재의 방향을 고려하면서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An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n a zigzag manner, the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changed.I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has a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truction convenience is deteriorated because it must be constructed while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또한, 섬유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공법으로,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 사이에 섬유 보강재를 감아 블록의 무게에 눌려 고정되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블록 사이가 벌어지면 섬유 보강재가 쉽게 빠져나가 수동저항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as a method for fixing the fiber reinforcement, a technique is used in which the fiber reinforcement is wound between blocks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and is pressed against the weight of the block. There was also a problem of reducing.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신장성 자재인 강재(steel)를 보강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강재로 구성된 보강재는 그 후단에 수동저항체를 설치하여 마찰저항을 증가하게 되고, 강재의 특성상 섬유 보강재에 비하여 수동저항성능에 유리한 면이 있다. 그러나, 강재 등 금속 보강재는 자재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수동저항체를 설치해야 하는 등 상대적으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steel, which is a non-extensible material, is sometimes used as a reinforcing material. A reinforcement made of steel increases the frictional resistance by installing a passive resistance body at the rear end thereof,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el, it has an advantage in passive resistanc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fiber reinforcement. However, metal reinforcing materials such as steel have a problem in that the material cost i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workability is relatively inferior, such as a passive resistor must be installed.

그리고, 띠형 보강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어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포켓을 두고 이들 포켓이 띠형 보강재의 반대면으로 각각 관통되게 형성한 것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띠형 보강재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포켓이 각각 반대면쪽으로 개방되어 있어 이를 통해 보강토체가 통과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마찰력을 줄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pocket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to generate resistance force were placed, and the pockets we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pposite side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cket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elt-shaped reinforcing material are opened toward opposite surfaces, respectively, so that the reinforcing soil body passes through them, thereby relatively reducing frictional forc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86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586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31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93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641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2641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에 저항수단을 구비하여 띠형 보강재의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 force of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by providing a resistance means to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띠형 보강재를 방향성 없이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conveniently construct a strip-shaped reinforcement without directiona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보강재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ment assembly including a strip-shaped reinforcement to facilitat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면을 가지는 저항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턱은 상기 스트립베이스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저항턱에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을 바라보는 제1저항면과,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을 바라보는 제2저항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ip bas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resistance jaw having a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rip base,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resistance jaws are provided along the strip base, a first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above the strip base and facing one side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bas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nd a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into and fac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상기 제1저항면과 제2저항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The first resistance surface and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trip base while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상기 제1저항면과 제2저항면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서로 다른 면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구비된다.The first resistance surface and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e from different surfaces of the strip base and are continuously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내부에 보강수단이 구비된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턱이 구비되는 저항몸체를 포함한다.The strip base includes a base body having a reinforcing means therein, and a resistance body provided between the base body and provided with the resistance jaws.

상기 베이스몸체에 내부에 구비되는 보강수단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는 구획된다.The reinforc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is composed of a pair, and partitions between them.

상기 베이스몸체 또는 저항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마찰면이 형성된다.A friction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se body or the resistance bod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설치블록과, 상기 설치블록에 일부가 연결되고 토체에 포설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블록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블록몸체와, 적어도 상기 띠형 보강재의 두께만큼 상기 블록몸체의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턱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저항면과,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저항면을 포함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block installed in front of a soil body, and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are stacked together or installed in a parallel direction, and a band-type that is partially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block and installed on the soil body to improve passive resistance friction. Including a reinforcing material, the installation block includes a block body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which a part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inserted and seated, and a seating surface formed by concave a part of the block body by at least the thickness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Th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includes a strip ba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resistance jaw protruding to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nd the resistance jaw is a first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nd, it includes a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including a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rip base.

상기 제1저항면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하고, 상기 제2저항면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한다.The first resistance surface protrudes upward from the strip base and faces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base, and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trip base and faces the other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base.

상기 설치블록의 삽입홈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세워진 상태로 걸린 후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보강재삽입홈과, 눕혀진 상태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띠형 보강재의 일부를 건 걸림포스트가 삽입되는 포스트삽입홈으로 구성된다.The insertion groove of the installation block includes a pair of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configured to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after a part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is caught in an erect state, and a part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in a laid state. It consists of a po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key catching post is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블록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관통공에 중간부가 위치되고 뒷채움흙 내에 상기 블록 외부에 있는 부분이 수평으로 위치되며 상기 블록을 기준으로 양단의 것이 뒷채움흙의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턱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저항면과,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저항면을 포함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oil body, and a plurality of them are stacked together or installed in a parallel direction, and have a front plate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block body vertically are formed. The block and the intermediate part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block, and the part outside the block is horizontally located in the backfill soil, and the ones at both ends of the block are arranged on different layers of the backfill soil to improve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 And a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ncludes a strip ba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resistance jaw protruding to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nd the resistance jaw is an upp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nd a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including a first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into and a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below the strip base.

상기 띠형 보강재는 2개가 상하로 적층된 블록을 동시에 관통하여 블록에 직접 결합된다.The band-shaped reinforcement is directly bonded to the block by simultaneously penetrating the two stacked up and down blocks.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저항턱이 띠형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띠형 보강재의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resistance jaws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 force and pull-out resistance ability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are largely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향상된 인발저항능력으로 인해 띠형 보강재의 포설 개수 및 포설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흙의 운반, 터파기, 뒷채움흙의 포설 및 다짐과 같은 토공사의 물량 감소를 가능하게 하므로, 보강토 옹벽의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are reduced due to the improved pull-out resistance ability, and this enables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earthworks such as transporting the soil, digging, and laying and compacting the backfilling soil, so that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특히, 본 발명에서 띠형 보강재에는 저항턱이 상하/좌우 대칭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이 향상되므로 띠형 보강재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고, 따라서 띠형 보강재의 활용도가 커지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sistance jaw is symmetrical vertically/left-right, so that resistance is improved both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taining wall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can be applied to more various environments and structure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increased.

또한, 띠형 보강재의 대칭구조로 인하여 특정된 설치방향성이 없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띠형 보강재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pecific installation direction due to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can be more conveniently construct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의 일부를 구조물에 감는 등의 작업이 생략되고, 띠형 보강재를 설치블록에 삽입하는 작업으로 간단하게 띠형 보강재를 포설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좋아지고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of winding a part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on the structure is omitted, and since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can be installed simply by inserting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nto the installation block,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를 설치블록에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상황에 맞게 띠형 보강재를 설치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can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block in various ways, it is possible to select a method of installing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의 일실시례 중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종방향 단면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의 일실시례가 시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의 다른 실시례 중 일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띠형 보강재의 일실시례가 설치블록에 연결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띠형 보강재의 일실시례가 도 6과 다른 방식으로 설치블록에 연결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embodiment of a band-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an installation block.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block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at of FIG. 6.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obstructs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100)는 뒷채움흙(B) 내에 위치되어 뒷채움흙(B)과의 마찰을 통해 뒷채움흙(B)이 횡으로 변하고자 하는 토압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뒷채움흙(B)과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마찰에 의하여 뒷채움흙(B)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이 증진되고, 이에 따라 뒷채움흙(B)의 전단강도가 향상되어 견고한 보강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100)는 뒷채움흙(B)에 다수개가 층을 이루면서 포설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backfill soil (B) and serves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backfill soil (B) to change horizontally through friction with the backfill soil (B). In other words, by the friction between the backfill soil (B) and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the backfill soil (B) are enhanced, and accordingly, the shear strength of the backfill soil (B) is improved, resulting in a solid reinforcing soil. To do it.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backfilling soil (B), and more detaile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본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여기에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구성될 수도 있다.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formed in a thin strip shape, and is basical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and may be composed of a high-strength polyester fiber or a polyethylene coating covered thereon.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뒷채움흙(B)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는 후술할 설치블록(20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설치블록(200)에 그 일부가 고정됨과 동시에 설치블록(200)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바뀐다고 볼 수 있다.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ember 100 may be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installed in a zigzag form inside the backfilling soil B, and a part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ember 10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an installation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een that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ember 100 is partially fixed to the installation block 200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extends relative to the installation block 200 changes.

도 1에서 도 3에는 띠형 보강재(100)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도 1에는 그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외관과 골격을 스트립베이스(102)가 형성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102)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스트립베이스(102)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띠모양으로 된다. 1 to 3 shows an embodiment of a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As can be seen,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ember 100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a part thereof is shown in FIG. 1. The strip base 102 forms the exterior and the skelet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and the strip base 10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strip base 102 has a strip shape having a length and a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width.

상기 스트립베이스(102)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베이스몸체(110)와 저항몸체(12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몸체(110)는 스트립베이스(102)에서 저항턱(170)이 구비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하고, 저항몸체(120)는 저항턱(170)이 있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몸체(110)는 스트립베이스(102)의 폭방향 양단과 중앙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저항몸체(150)는 스트립베이스(102)의 사이에 베이스몸체(110)와 나란히 연장되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110'는 베이스몸체(110)의 일부로, 저항몸체(120)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스몸체를 나타낸다.The strip base 102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may be divided into a base body 110 and a resistance body 120. Here, the base body 110 refers to a portion of the strip base 102 where the resistance jaw 170 is not provided, and the resistance body 120 can be viewed as a portion with the resistance jaw 170. In this embodiment, the base body 110 is formed to extend along both ends and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base 102, and the resistance body 150 is parallel to the base body 110 between the strip base 102. It is extended and provided.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base body provided between the resistance body 120 as a part of the base body 110.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몸체(110)의 내부에는 보강수단(130)이 구비된다. 상기 보강수단(13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02)의 강도를 보완하고, 그에 따라 띠형 보강재(100) 전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수단(130)은 상기 베이스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인데, 본 실시례에서는 폴리에스터 재질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베이스몸체(110)의 보강수단(130)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외면은 LDPE로 코팅되어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보강수단(130)과 이를 감싸는 베이스몸체(110)의 재질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ure 2, the inside of the bas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ans (130). The reinforcing means 130 is for supplementing the strength of the strip base 102 and thus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entir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The reinforcing means 130 is inserted into the base body 110,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made of polyester. More precisely, the reinforcing means 130 of the base body 110 is made of a polyester material, and its outer surface is made by coating with LDPE. Of course, the reinforcing means 130 and the material of the base body 110 surrounding the reinforcing means 130 can be variously modifi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수단(13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구획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몸체(110) 내부에 구비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보강수단(130)은 한 쌍이 각각 베이스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데, 이들 사이가 구획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보강수단(130)의 개수가 증가한다. 보강수단(130)이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같은 부피를 갖는 하나의 보강수단(130)에 비해 강도보강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보강수단(130)을 포함한 띠형 보강재(100)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ans 130 is configured as a pair, and these are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110 in a partitioned state. As shown in FIG. 2, a pair of the reinforcing means 130 are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110,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reinforcing means 130 increases as a result of the partitioning between them. As the reinforcing means 130 is configured as a pair, the strength reinforcing effect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one reinforcing means 130 having the same volume. Of course, through this structur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e of th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including the reinforcing means 130 becomes easy.

상기 저항몸체(120)에는 저항턱(170)이 구비된다. 상기 저항턱(17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02)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토체와 띠형 보강재(100) 사이의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항턱(17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02)의 베이스몸체(110)를 따라 다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resistance body 120 is provided with a resistance jaw 170. The resistance jaw 170 protrudes upward and downward of the strip base 102, respectively, and serves to increase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oil body and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A plurality of resistance jaws 170 are provided along the base body 110 of the strip base 10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increase passive resistance friction.

상기 저항턱(170)은 제1저항면(171) 및 제2저항면(175)을 가진다. 상기 제1저항면(171)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02)의 상부로 돌출되고 스트립베이스(102)의 길이방향 일측을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저항면(175)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02)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102)의 길이방향 타측을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저항면(171)과 제2저항면(175)은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된다.The resistance jaw 170 has a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and a second resistance surface 175.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protrudes above the strip base 102 and is formed to face one side of the strip base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175 protrudes below the strip base 102 and is form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strip base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surfaces 171 and 175 face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정리하면, 상기 제1저항면(171)과 제2저항면(175)은 스트립베이스(102)의 길이방향으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스트립베이스(102)의 상면과 하면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돌출된다.In summary,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and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175 are formed to face opposite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102, and protrud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ip base 102. do.

따라서, 본 발명의 띠형 보강재(100)는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이 향상되므로 띠형 보강재(100)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고, 대칭구조로 인하여 특정된 설치방향성이 없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띠형 보강재(100)를 시공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resistance in both the direction toward the retaining wall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can be applied to more various environments and structures, and a specified installation due to the symmetrical structure Since there is no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construct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저항면(171)과 제2저항면(175)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스트립베이스(102)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연결부(17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1저항면(171), 제2저항면(175) 그리고 연결부(177)의 구조는 제1저항면(171)과 제2저항면(175) 그리고 연결부(177)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and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175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art 177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trip base 102.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175, and the connection part 177 can form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175, and the connection part 177 at the same time. To be there.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100)가 옹벽을 향한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제1저항면(171)에 뒷채움흙(B)이 걸리게 되어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일단 상기 제1저항면(171)에 접촉된 뒷채움흙(B)에는 그 뒤쪽에 있는 뒷채움흙(B)이 계속하여 밀착되면서 저항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저항면(171)에 접촉된 뒷채움흙(B)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계속하여 밀착되므로 수동저항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taining wall, the backfilling soil B is caught on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to generate resistance. Here, once the backfill soil B in contact with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fill soil B at the rear thereof, a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backfilling soil (B) in contact with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is no longer advanced and continues to be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passive resistance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상기 베이스몸체(110) 또는 저항몸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마찰면(A)이 형성된다. 상기 마찰면(A)은 상기 베이스몸체(110) 또는 저항몸체(120)의 외면에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베이스몸체(110)에만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마찰면(A)은 대략 마름모무늬로 형성되어 베이스몸체(110)의 수동저항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a friction surface (A)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se body 110 and the resistance body 120. The friction surface (A) is formed in an uneven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or the resistance body 120, and is formed only on the base body 110 in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surface (A)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rhombus pattern to increase the passive resistance capability of the base body (110).

본 실시례에서 띠형 보강재(100)에는 두 개의 저항몸체(120)가 구비된다. 상기 저항몸체(120)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저항몸체(120)에는 각각 다수개의 저항턱(170)이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저항몸체(120)는 띠형 보강재(100)에 반드시 두 개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5에서 보듯이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is provided with two resistance bodies 120. The resistance body 12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of the resistance body 120 has a plurality of resistance jaws 17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shaped reinforcing member 100. The resistance body 12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with two in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but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as shown in FIG.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100)가 뒷채움흙(B)에 포설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뒷채움흙(B)에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개가 포설될 수 있으며, 각 층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어 넓은 면적을 보강하도록 시공될 수도 있다(도 6참조).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ack filling soil (B). As can be seen,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may be installed in a number of different heights on the backfilling soil B, and may be constructed to reinforce a large area by being connected in a zigzag form in each layer (see FIG. 6). .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뒷채움흙(B)에 포설되면, 옹벽방향, 즉 설치블록(200) 방향(화살표 ①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띠형 보강재(100)의 수동저항력이 반대방향(화살표 ②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장됨으로써,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When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installed on the backfilling soil (B), even if an external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block 200 (arrow ① direction), the passive resistance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rrow ② As it acts as a direction),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al force and pull-out resistance capability are guaranteed above a certain level,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설치블록(2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설치블록(200)은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설치블록(200)이 좌우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으나, 상기 설치블록(200)은 서로 적층될 수도 있는 것이다. Next, 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block 200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block 2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oil body, but a plurality of them are stacked with each other or installed in a parallel direction. In FIGS. 6 and 7, the installation blocks 200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installation blocks 200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상기 설치블록(200)은 블록몸체(210)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블록몸체(210)의 상면에는 적어도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두께만큼 일부가 요입되어 안착면(2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12)이 요입됨에 따라 띠형 보강재(100)가 그 위에 안착되더라도 띠형 보강재(100)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블록(200)이 적층되어도 상부의 설치블록(200)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block 200 has a block body 210 forming its skelet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0 is concave at least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to form a seating surface 212. As the seating surface 212 is concave, even if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is seated there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truding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Accordingly, even if the installation blocks 200 are stacked, the phenomenon that the upper installation block 200 is inclined to the front can be prevented.

상기 블록몸체(210)에는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삽입홈(H)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블록(200)의 삽입홈(H)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보강재삽입홈(215)과 포스트삽입홈(220)이다. 상기 보강재삽입홈(215)은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가 세워진 상태로 걸린 후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세워진 상태란,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수직한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의미하는데, 도 7에서 보듯이, 설치블록(20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가 절곡되어 세워진 상태로 상기 보강재삽입홈(215)에 진입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돌아나가는 형태로 걸어진다. 참고로 도 7에서는 띠형 보강재(100)에 저항턱(170)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The block body 21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H) in which a part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is inserted and seated. The insertion groove (H) of the installation block 20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 reinforcement insertion groove 215 and a post insertion groove 220.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215 are configured as a pair so that a part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can be exten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fter being caught in an erect state. Here, the erected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7, a part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is bent and erected in the process of being combined with the installation block 200 As it enters the reinforcement insertion groove 215, it walks back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reference, in FIG. 7, the resistance jaw 170 is omitted from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한편, 상기 포스트삽입홈(220)은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눕혀진 상태로 상기 안착면(212)에 안착된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를 건 걸림포스트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눕혀진 상태란,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걸림포스트를 감싼 후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상태에서 걸림포스트가 포스트삽입홈(220)에 끼워지면 띠형 보강재(100)가 상기 설치블록(200)에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st insertion groove 220 is a portion in which a locking post is inserted through a portion of the belt-shaped stiffener 100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2 while the belt-shaped stiffener 100 is laid down. Here, the lying state means that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ember 100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ember 100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after wrapping the locking post, and when the locking post is inserted into the post insertion groove 220 in this state, the band-shaped stiffener 100 may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block 200. .

상기 블록몸체(210)의 양측에는 각각 결합돌부(230)와 결합홈(2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230)는 상기 블록몸체(210)의 일측면에 돌출된 구조이고, 결합홈(235)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된 부분이다. 상기 결합돌부(230)는 인접한 다른 설치블록(200)의 결합홈(235)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인접한 두 설치블록(200) 사이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고, 두 설치블록(200)이 어느 정도 상대회전될 수도 있다.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210 are formed with coupling protrusions 230 and coupling grooves 235, respectively. The coupling protrusion 230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lock body 210, and the coupling groove 235 is a concave por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he coupl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35 of another adjacent installation block 200, so that the posi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installation blocks 200 can be accurately set, and the two installation blocks 200 It can also b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100) 및 설치블록(200)으로 구성된 보강재 어셈블리에 의하면,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포설된 뒷채움흙(B)이 옹벽 방향(화살표 ① 방향)으로 쏠려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띠형 보강재(100)의 스트립베이스(102) 뿐 아니라 저항턱(170)에 의해 수동저항 마찰력이 강하게 발생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반대방향(화살표 ② 방향)으로 지탱하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assembly composed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and the installation block 200,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 force and the pull-out resistance capability are largely formed, and accordingly,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an be improved. As shown in Figs. 1 and 4, when the backfill soil B on which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installed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direction of arrow ①) and an external force acts, the strip base 102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n addition, passive resistance frictional force is strongly generated by the resistance jaw 170, and a force that naturally supports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arrow ② direction) is provided.

또한, 띠형 보강재(100)를 시공할 때에도,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제1저항면(171)과 제2저항면(175)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02)에 두 방향 축을 기준으로 반대로 형성되므로, 띠형 보강재(100)는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이 향상되고, 띠형 보강재(100)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시공과 관련해서도, 띠형 보강재(100)의 대칭구조로 인하여 특정된 설치방향성이 없어 보다 편리하게 띠형 보강재(100)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constructing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the directionality. Since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171 and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175 are formed on the strip base 102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two-direction axes,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both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taining wall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Resistance is improved, and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can be applied to a wider variety of environments and structures. Regarding the construction, there is no specific installation direction due to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so that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can be more conveniently construc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적층되는 2개의 블록(300)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하나의 블록(300)만을 관통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적층된 2개의 블록(300)이 하나의 블록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하나의 블록(300)이 하나의 블록층을 형성하도록 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8 and 9. Here, th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is simultaneously penetrated through the two blocks 300 on which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stacked,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only one block 300 may be penetrate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two stacked blocks 300 form one block layer, but one block 300 may form one block layer.

그리고,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하부의 층에 있는 것과 상부의 층에 있는 것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하부의 층의 인접한 2개의 블록(300) 상에 상부의 층의 하나의 블록(300)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블록(300)을 엇갈리게 적층함에 의해 블록(300)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토옹벽의 스킨이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one block of the upper layer on the two blocks 300 adjacent to the lower layer and the ones in the upper layer are arranged relatively to each other in the lower layer and the one in the upper layer. (300) is settled. As such, by stacking the blocks 300 altern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kin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formed by the blocks 300 becomes solid.

상기 블록(300)의 골격을 블록몸체(301)가 형성한다. 상기 블록몸체(301)에서 전면 부분을 전면판(30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303)은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303)의 양단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다수개의 골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몸체(301)의 후면 부분을 후면판(303')이 형성한다. 상기 후면판(303')의 폭은 전면판(303)의 폭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전면판(303)의 양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300) 끼리 요철이 끼워짐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block body 301 forms the skeleton of the block 300. A front plate 303 forms a front portion of the block body 301. The front plate 303 forms the entire surface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valleys are sequenti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plate 303 so as to be inclined to the rear. A rear plate 303 ′ forms a rear portion of the block body 301. The width of the rear plate 303 ′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plate 303. Both ends of the front plate 303 have irregularities (no drawing symbo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adjacent blocks 3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itting the irregularities.

상기 블록몸체(301)에서 상기 전면판(303)과 후면판(303')을 연결하는 부분은 횡단면이 대략 H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블록몸체(301)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301)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30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05)을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관통하게 된다.A portion of the block body 301 connecting the front plate 303 and the rear plate 303 ′ has an approximately H-shaped cross section, but the block body 301 may have various shapes. . Through holes 305 are formed through the block body 301 vertically. Th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05.

상기 블록몸체(301)의 상면에는 선단돌기(307)가 2개가 있다. 상기 선단돌기(307)는 상기 전면판(303)에 인접한 후방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301)의 상면중에서 후단, 즉 상기 후면판(303')과 인접한 위치에는 후단돌기(309)가 2개 돌출되어 있다.There are two distal protrusions 30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301. The tip protrusion 307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adjacent to the front plate 303. Two rear protrusions 309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301 at a rear end, that is, a position adjacent to the rear plate 303'.

상기 블록몸체(301)의 하면에는 상기 선단돌기(307)와 후단돌기(309)에 대응되게 선단채널(307')과 후단채널(3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채널(307')과 후단채널(309')에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블록의 선단돌기(307)와 후단돌기(309)가 위치된다. 상기 선단채널(307')과 후단채널(309')은 상기 블록몸체(303)의 하면을 횡으로 가로질러 횡단하도록 형성된다.A front end channel 307' and a rear end channel 309' ar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lock body 301 to correspond to the front end protrusion 307 and the rear end protrusion 309. In the leading channel 307' and the rear channel 309', a leading protrusion 307 and a rear protrusion 309 of a block that are relatively lower are located. The front end channel 307' and the rear end channel 309' are formed to cross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body 303 horizontally.

한편, 상기 블록몸체(301)의 상면중 상기 후면판(303')에는 보강재통로(311)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재통로(311)는 상기 후면판(303')의 일부를 제거하여 만든 것으로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몸체(301) 사이를 띠형 보강재(1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띠형 보강재(100)와 블록몸체(301)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Meanwhile, a reinforcing material passage 311 is formed in the rear plate 303 ′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301. The reinforcement passage 311 is made by removing a part of the rear plate 303 ′, and allows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to pass between the block bodies 301 stacked up and down, so that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100 and the block Make sure that the body 301 does not interfere.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구체적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1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뒷채움흙(340)의 내부에서 뒷채움흙(340)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블록(300)을 상하로 관통함에 의해 블록(300)과 연결되고 상기 블록(300)을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바뀌게 된다. 또한, 블록(300)의 관통공(305)을 기준으로 상부로 나온 띠형 보강재(100)의 부분과 하부로 나온 띠형 보강재(100)의 부분은 뒷채움흙(340) 내에서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대략 그 중간부분이 상기 블록(300)의 관통공(305) 내에 위치되고 양 단부가 뒷채움흙(340)의 후단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은 뒷채움흙(340)의 서로 다른 층에 전체가 수평으로 위치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100 is as described above.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is extended in one direction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ear filling soil 340 and the rear filling soil 340. In this embodiment, the band-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is connected to the block 300 by penetrating the block 300 vertically, and the extension direction is changed based on the block 300. 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protruding from the top and the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protruding from the bottom based on the through hole 305 of the block 300 are located in different layers within the backfill soil 340. do. Accordingly,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member 100 has an approximately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located in the through hole 305 of the block 300 and both ends thereof are at the rear end of the backfill soil 340.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 100 are positioned horizontally on different layers of the backfill soil 340 on both sides.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블록(300)을 대신하여 판넬이 보강토 옹벽의 스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중간부가 상기 판넬을 상하로 관통하여 판넬에 연결되고, 띠형 보강재(100)의 양단부는 뒷채움흙(240)의 서로 다른 층에 전체가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s another embodiment, a panel may constitute the skin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n place of the block 300. At this time, the middle portion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anel by passing through the panel vertically, and both ends of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100 may be entirely horizontally positioned on different layers of the backfilling soil 240.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띠형 보강재 102: 스트립베이스
110: 베이스몸체 120: 저항몸체
130: 보강수단 170: 저항턱
171: 제1저항면 175: 제2저항면
177: 연결부 200: 설치블록
210: 블록몸체 212: 안착면
215: 보강재삽입홈 220: 포스트삽입홈
230: 결합돌부 235: 결합홈
300: 블록 301: 블록몸체
303: 전면판 303': 후면판
305: 관통공 307: 선단돌기
307': 선단채널 309: 후단돌기
309': 후단채널 311: 보강재통로
100: strip-shaped reinforcement 102: strip base
110: base body 120: resistance body
130: reinforcing means 170: resistance jaw
171: first resistance surface 175: second resistance surface
177: connection part 200: mounting block
210: block body 212: seating surface
215: stiffener insertion groove 220: post insertion groove
230: coupling protrusion 235: coupling groove
300: block 301: block body
303: front panel 303': rear panel
305: through hole 307: tip protrusion
307': leading channel 309: posterior protrusion
309': rear channel 311: reinforcement passage

Claims (11)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면을 가지는 저항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턱은 상기 스트립베이스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저항턱에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을 바라보는 제1저항면과,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을 바라보는 제2저항면을 포함하는 띠형 보강재.
A strip base made of flexible material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a resistance jaw having a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rip bas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esistance jaws are provided along the strip base,
On the resistance jaw
A first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above the strip base and facing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base,
A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including a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below the strip base and facing the other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ip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면과 제2저항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표면에 대해 경사진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띠형 보강재.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surfaces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trip b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면과 제2저항면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서로 다른 면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구비되는 띠형 보강재.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resistance surface and the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e to different surfaces of the strip base and are continuously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베이스는
내부에 보강수단이 구비된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저항턱이 구비되는 저항몸체를 포함하는 띠형 보강재.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rip base
A base body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ans therein,
A band-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including a resistance body provided between the base bodies and provided with the resistance jaw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에 내부에 구비되는 보강수단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는 구획되는 띠형 보강재.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einforc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 reinforcing means are partitioned between th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 또는 저항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마찰면이 형성되는 띠형 보강재.
The belt-shape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friction surfac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se body and the resistance body.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설치블록과,
상기 설치블록에 일부가 연결되고 토체에 포설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블록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블록몸체와,
적어도 상기 띠형 보강재의 두께만큼 상기 블록몸체의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턱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저항면과,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저항면을 포함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An installation block tha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oil, but a plurality of them are stacked together or installed in a parallel direction,
It includes a band-shaped reinforcement that is partially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block and installed on the soil to improve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al force,
The installation block is
A block body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which a part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is inserted and seated,
And a seating surface formed by concaving a portion of the block body at least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is
A strip base made of flexible material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a resistance jaw protru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rip base, respectively, wherein the resistance jaw includes a first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nd a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 stiffener assembly comprising a strip-shaped stiffener that includ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면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하고, 상기 제2저항면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resistive surface protrudes upwards of the strip base and faces one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and the second resistive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strip base and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 base. A reinforcement assembly comprising a band-shaped reinforcement facing the other side.
제 7 항 또는 제 8 항 에 있어서, 상기 설치블록의 삽입홈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세워진 상태로 걸린 후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보강재삽입홈과,
눕혀진 상태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띠형 보강재의 일부를 건 걸림포스트가 삽입되는 포스트삽입홈으로 구성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installation block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grooves configured as a pair so as to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after a part of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is caught in an erect state,
A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comprising a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consisting of a po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locking post is inserted by holding a portion of the strip-like reinforcement material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while lying down.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블록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관통공에 중간부가 위치되고 뒷채움흙 내에 상기 블록 외부에 있는 부분이 수평으로 위치되며 상기 블록을 기준으로 양단의 것이 뒷채움흙의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턱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저항면과,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저항면을 포함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A block installed in front of the soil body, but having a front plate that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having a through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block body, with a plurality of them stacked or installed in a parallel direction,
The intermediate part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block, and the part outside the block is located horizontally in the backfill soil, and the ones at both ends of the block are arranged on different layers of the backfill soil to improve the passive resistance frictional force. Including,
The band-shaped reinforcement is
A strip base of flexible material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resistance jaw protru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rip base, respectively, wherein the resistance jaw includes a first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nd a second resistance surfac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rip base. A stiffener assembly comprising a strip-shaped stiffener that includ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2개가 상하로 적층된 블록을 동시에 관통하여 블록에 직접 결합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The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of claim 10, wherein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includes a strip-like reinforcement material which is directly coupled to the block by simultaneously penetrating the two blocks stacked up and down.
KR1020190114435A 2019-09-18 2019-09-18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KR202100335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35A KR20210033562A (en) 2019-09-18 2019-09-18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35A KR20210033562A (en) 2019-09-18 2019-09-18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562A true KR20210033562A (en) 2021-03-29

Family

ID=7525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435A KR20210033562A (en) 2019-09-18 2019-09-18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562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862A (en) 2008-02-05 2009-08-10 송순옥 Strip type amature reinforcing retaining wall
KR101439314B1 (en) 2013-01-07 2014-09-11 주식회사 한포스 Reinforcing metal strip for retaining wall
KR101726414B1 (en) 2016-06-29 2017-04-14 (주)대한콜크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862A (en) 2008-02-05 2009-08-10 송순옥 Strip type amature reinforcing retaining wall
KR101439314B1 (en) 2013-01-07 2014-09-11 주식회사 한포스 Reinforcing metal strip for retaining wall
KR101726414B1 (en) 2016-06-29 2017-04-14 (주)대한콜크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7578C2 (en) Structure from reinforced soil
KR101530871B1 (en) Retaining Wall Having Natural R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599384B2 (en) Embank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113342B2 (en) Embankment structure
KR20180066926A (en) Connecting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ssembly for improving passive resistance having this
JP2007277880A (en) Fi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77949B1 (en) Block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599327B1 (en) Earth self-retaining wall method
KR101219570B1 (en)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laying structureusing the block
KR100426345B1 (en) Geogrid
US10590621B2 (en) Strip-type reinforcing material and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comprising same
KR20210033562A (en)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mber assembly having this
KR101388478B1 (en) Arch-shaped retaining panel
KR20160096801A (en)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nd cnstruction method of grass planting breast wall for soft-ground using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KR10233939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KR102560550B1 (en) Steel Assembly Pile
KR20200006648A (en) An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80131042A (en) Pile and method for constucting same
KR101452188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mprising all-in-one type facing blocks for edge angle or curve area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JP2007197954A (en)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JP5460013B2 (en) Assembly of geomaterial reinforcement for structures built in reinforced ground, associated structures, and associated methods
JP3111331B2 (en)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JP4522971B2 (en) Rock fall protection structure
KR102400780B1 (en)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a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632477B1 (en) Reinforced earth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