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780A -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 - Google Patents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44780A KR20020044780A KR1020000073976A KR20000073976A KR20020044780A KR 20020044780 A KR20020044780 A KR 20020044780A KR 1020000073976 A KR1020000073976 A KR 1020000073976A KR 20000073976 A KR20000073976 A KR 20000073976A KR 20020044780 A KR20020044780 A KR 200200447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net
- tubular body
- engine
- resonance chamber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9 therm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7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absorbing, damping, insulating or reflecting materials, e.g. porous foams, fibres, rubbers, fabrics, coatings or membr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공명 챔버의 용량을 확보하여 흡기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확실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엔진룸의 공간을 크게 하여 각종 보기류의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엔진룸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명 챔버는 엔진룸의 상부를 개폐하는 보닛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에 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챔버와; 에어 클리너 및 에어 클리너와 엔진을 연결하는 호스로부터 상기 챔버들의 입구로 각각 연장하는 탄성 벨로우즈로 형성되며, 보닛에 폐쇄되었을 때 상기 챔버의 입구들에 탄성력에 의하여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형체와; 상기 입구들에 결합되는 상기 관형체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챔버의 입구와 관형체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형차의 공명 챔버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보닛을 이용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형차의 공명 챔버에 관한 것이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안에 혼합기를 흡입하고, 이 혼합기가 연소되어서 발생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흡, 배기 장치이다. 이중에서 흡기 장치는 흡입하는 공기 중에 들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와, 각 실린더에 혼합기를 분배하는 흡기 매니폴드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 청정기는 그 사용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건식, 습식, 유조식, 원심 분리식, 및 복합식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차량에는 에어 클리너로 유입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공명실 역할을 하는 챔버가 에어 클리너에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종래의 에어 클리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는 본체 케이스(1)와,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2)로 구성되어서 엔진룸에 장착된다.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에어 필터(3)가 설치되어 있고, 측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4)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의 측부에 제 1 공명 챔버(5)가 호스(6)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서, 덕트(4)를 통하여 공기가 빠른 속도로 본체 케이스(1)내로 유입되면 에어 필터(3)에 의해 공기내의 불순물이 제거된다. 이때, 일부의 공기는 호스(6)를 통해 제 1 공명 챔버(5)로 유입되어 그 속도가 감소되면서 공진되어 본체 케이스(1)내의 공기의 소음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한편, 커버(2)에는 여과된 공기를 엔진으로 보내기 위하여 공기 유량계(7)가 설치되며, 공기 유량계(7)는 흡기 호스(8)를 통하여 엔진과 연결된다. 이러한 흡기 호스(8)에는 또한 소음기의 기능을 하는 제 2 공명 챔버(9)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명 챔버(5,9)의 형상은 엔진룸의 여유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형상이면 문제가 없으나, 소형 자동차의 경우에 흡기 소음 저감을 위하여 공명 챔버의 용량은 3 내지 5리터 수준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장착되는 엔진룸의 상부를 개폐하는 보닛(10)은 그 내면에 엔진룸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닛 인슐레이터(11)가 설치되며, 이러한 인슐레이터(11)는 보닛 보강판의 형상에 따라서 보강 비등의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자동차의 종래의 공명 챔버는 소형 자동차의 경우에 엔진룸의 레이 아웃상 공명 챔버의 목표 용량 달성이 곤란하여 흡기계 소음의 효율적 제거가 어려웠으며, 또한 엔진의 보기류 주변을 이용한 레이 아웃으로 주변 보기류의 유지 및 보수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공명 챔버가 엔진룸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엔진룸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냉각 성능이나 호스 등의 열경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공명 챔버의 용량을 확보하여 흡기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확실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엔진룸의 공간을 크게 하여 각종 보기류의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엔진룸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에어 클리너에 설치되는 공명 챔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자동차의 보닛과 인슐레이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보닛에 공명 챔버가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보닛이 닫혀졌을 때 엔진룸에 설치된 부품들과 보닛에 제공되는 공명 챔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선 Ⅳ-Ⅳ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챔버22 : 보닛
23 : 입구24 ; 관형체
25 : 에어 클리너26 : 엔진
27 : 진동 흡수재28 : 호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엔진룸의 상부를 개폐하는 보닛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에 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챔버와; 에어 클리너 및 에어 클리너와 엔진을 연결하는 호스로부터 상기 챔버들의 입구로 각각 연장하는 탄성 벨로우즈로 형성되며, 보닛에 폐쇄되었을 때 상기 챔버의 입구들에 탄성력에 의하여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형체와; 상기 입구들에 결합되는 상기 관형체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챔버의 입구와 관형체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차의 공명 챔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보닛에 공명 챔버가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보닛이 닫혀졌을 때 엔진룸에 설치된 부품들과 보닛에 제공되는 공명 챔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선 Ⅳ-Ⅳ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차의 공명 챔버(21)는 엔진룸의 상부를 개폐하는 보닛(22)의 내부에 다수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명 챔버(21)들은 종래의 보닛에 제공되는 인슐레이터가 설치되는 위치에 제공되고, 각각의 공명 챔버(21)들은 하부에, 즉 엔진룸을 향하여 입구(23)가 제공된다. 보닛(22)에 제공되는 인슐레이터는 통상 제거되어도 상관이 없다.
공명 챔버(21)들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판재들이 그 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볼트 및 너트 또는 용접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25)와, 에어 클리너(25)와 엔진(26)을 연결하는 호스(28)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로우즈 형상의 관형체(24)가 제공된다. 관형체(24)는 일정한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닛(22)이 폐쇄되었을 때, 관형체(24)의 단부 부분이 챔버(21)들에 제공되는 입구(23)들에 각각 밀봉 가능하게 수용된다.
관형체(24)의 단부에는 관형체(24)의 단부 부분과 공명 챔버(21)의 입구(23)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챔버(21)의 입구(23)와 관형체(24)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재(27)가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 흡수재(27)는 스폰지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다.
관형체(24)가 벨로우즈와 같은 주름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엔진(26)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보닛(2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관형체(24)가 입구(23)와 결합될 때 결합성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차의 공명 챔버에 의하면, 충분한 공명 챔버의 용량을 확보하여 흡기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확실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엔진룸의 공간을 크게 하여 각종 보기류의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엔진룸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
- 엔진룸의 상부를 개폐하는 보닛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에 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챔버와;에어 클리너 및 에어 클리너와 엔진을 연결하는 호스로부터 상기 챔버들의 입구로 각각 연장하는 탄성 벨로우즈로 형성되며, 보닛에 폐쇄되었을 때 상기 챔버의 입구들에 탄성력에 의하여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형체와;상기 입구들에 결합되는 상기 관형체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챔버의 입구와 관형체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의 공명 챔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3976A KR20020044780A (ko) | 2000-12-06 | 2000-12-06 |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3976A KR20020044780A (ko) | 2000-12-06 | 2000-12-06 |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44780A true KR20020044780A (ko) | 2002-06-19 |
Family
ID=2768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3976A KR20020044780A (ko) | 2000-12-06 | 2000-12-06 |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4478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70592A2 (en) * | 2006-06-21 | 2007-12-26 |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 Vehicle Intake Sound Introducing Apparatus |
KR101316866B1 (ko) * | 2011-12-07 | 2013-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엔진 소음저감 장치 |
GB2579181A (en) * | 2018-11-21 | 2020-06-17 | Jaguar Land Rover Ltd | A vehicle bonnet,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bonnet and a vehicle comprising a bonnet |
-
2000
- 2000-12-06 KR KR1020000073976A patent/KR200200447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70592A2 (en) * | 2006-06-21 | 2007-12-26 |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 Vehicle Intake Sound Introducing Apparatus |
EP1870592A3 (en) * | 2006-06-21 | 2008-12-31 |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 Vehicle Intake Sound Introducing Apparatus |
KR101316866B1 (ko) * | 2011-12-07 | 2013-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엔진 소음저감 장치 |
GB2579181A (en) * | 2018-11-21 | 2020-06-17 | Jaguar Land Rover Ltd | A vehicle bonnet,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bonnet and a vehicle comprising a bonnet |
GB2579181B (en) * | 2018-11-21 | 2021-10-20 | Jaguar Land Rover Ltd | A vehicle bonnet,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bonnet and a vehicle comprising a bonn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9793B2 (en) | Engine-driven work machine resiliently supported on a frame | |
US7398747B2 (en) | Engine-driven work machine | |
US7430992B2 (en) | Engine-driven work machine | |
BR102015007612A2 (pt) | sistema de indução de ar para um veículo, e, veículo | |
US7482706B2 (en) | Engine-driven work machine system | |
US7219648B2 (en) | Working tool | |
EP1593834A2 (en) | Air filter assembly module | |
US11603813B2 (en) | High performance air intake system | |
US20070000467A1 (en) | Noise attenuation device for an air induction system | |
KR20020044780A (ko) | 소형 자동차의 공명 챔버 | |
CN106089512A (zh) | 一种汽车空气滤清器 | |
JP2003161216A (ja) | 吸気装置 | |
KR100604013B1 (ko) | 공기 안내 시스템, 특히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 | |
US5478098A (en) | Air intake device for automotive engine | |
JP3676627B2 (ja) | プリクリーナ | |
KR101658062B1 (ko) | 팬 슈라우드 | |
JPH08114120A (ja) | ラジエータのファンシュラウド構造 | |
JP3938564B2 (ja) |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装置 | |
KR0131021B1 (ko) | 자동차용 보조 에어클리너 | |
KR100349576B1 (ko) | 엘피지차량의 에어클리너 | |
GB2061774A (en) | An arrangement for cleaning induction air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CN218376693U (zh) | 空气滤清器总成、发动机总成和车辆 | |
JP2006037934A (ja) | エンジン駆動作業機の吸気管構造 | |
KR200153738Y1 (ko) | 엔진의 에어 덕트 구조 | |
CN118188240A (zh) | 一种防杂质堆积的汽车滤清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