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749A -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 Google Patents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749A
KR20020044749A KR1020000073860A KR20000073860A KR20020044749A KR 20020044749 A KR20020044749 A KR 20020044749A KR 1020000073860 A KR1020000073860 A KR 1020000073860A KR 20000073860 A KR20000073860 A KR 20000073860A KR 20020044749 A KR20020044749 A KR 20020044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shock absorber
fluid
magnetorheologic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988B1 (ko
Inventor
고유석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2000-007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9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유변유체를 사용하여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쇽 업소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점도 특성이 고정된 유체가 저장되는 제 1 실린더와, 자기유변유체가 저장되며, 제 1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제 2 실린더와,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 사이의 제 1 공간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도우넛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1 피스톤과, 제 2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자기장 자기장 조절 수단이 설치되는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1 공간부에 삽입되어 제 1 피스톤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제 1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 2 공간부에 삽입되어 제 2 피스톤에 고정결합되는 제 2 피스톤 로드로 이루어져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유변유체와 유체의 안정성이 우수한 일반 유체를 단일의 쇽 업소버에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잇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감쇠 성능 및 쇽 업소버의 기능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SHOCK ABSORBER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본 발명은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유변유체와 유체의 안정성이 우수한 일반 유체를 단일의 쇽 업소버에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잇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는 주로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켜 바퀴와 노면의 점착성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양호하게 해주는 장치이다.
특히,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노면에서 발생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스프링이 압축될 때에는 급격히 압축되고 늘어날 때는 유체의 저항력을 크게 하며 서서히 작동함으로서 스프링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을 한다.
쇽 업소버는 외부 입력에 관계없이 초기에 설정된 일정한 감쇠력만을 발생시키는 수동 쇽 업소버(passive shock absorber)와, 외부 입력의 변화에 따라 시스템의 감쇠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반능동 쇽 업소버(semi-active shock absorber) 및 외부 입력에 대해 반작용력을 발생시켜 진동을 감소시키는 능동 쇽 업소버(active shock absorber)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성능 대 에너지 소비면을 고려하여, 근래에는 능동 쇽 업소버에 비해 성능은 떨어지지만, 적은 에너지로 수동 쇽 업소버보다 상당히 향상된 성능을 갖는 반능동 쇽 업소버의 연구와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와 노력의 일환으로 지능형 재료(smart material) 중에서 제어하기 쉬운 유체인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감쇠장치가 상당한 수준으로 개발되어 있다.
자기유변유체는 미소의 상자성 입자를 포함하는 비콜로이드 용액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상온에서 0.20Pa-sec ∼ 0.30Pa-sec의 점성을 가지고 150㎄/m ∼ 250㎄/m(2kOe ∼ 3kOe)의 자기장이 가해지면 50㎪ ∼ 100㎪의 높은 항복 응력을 갖는다. 또한, 자기유변유체는 빠른 응답시간으로 자기 포화(magnetic saturation)에 의해 최대 항복 응력이 제한되며, 또한 -40℃ ∼ 150℃의 작동 범위와 유입되는 불순물에 대해서 상당히 둔감한 특성을 갖는다.
이런 특성을 갖는 자기유변유체는 자기장이 가해질 경우에 액체 상태에서 젤 상태로 변하면서 유체에 포함된 입자가 체인을 형성하게 되어 유체의 전단 항복 응력이 변화하게 된다. 즉,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에는 뉴토니안 유체(newtonian fluid)의 거동을 나타내지만, 자기장이 인가되면 유체 중에 분산된 입자가 체인을 형성하게 되어 전단 변형률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항복 응력을 가지며, 각속도의 증가에 따라서 소산되는 토크가 증가하는 빙햄 유체(bingham fluid)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의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원통형의 실린더(1) 내부에 쇽 업소버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2)이 설치되고, 피스톤(2)은 실린더(1) 상부를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3)와 연결되어 있어 실린더(1)의 내벽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1) 내부에는 자기유변유체가 채워진다.
피스톤(2)은 스풀형상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더 큰 직경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부 사이에 감기는 코일(4)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피스톤(2)은 통상적으로 저탄소강 등의 자성재료로 이루어진다. 한편, 가이드 레일(5)이 피스톤(2)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된다. 피스톤(2)의 최대 직경은 실린더(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5)의 바깥표면이 실린더(1)의 내경에 접한다. 가이드 레일(5)은 비자성재료로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5)에 의해 피스톤(2)과 실린더(1)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며, 이 갭이 피스톤(2)을 통과하는 자기유변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 내부에는 중공부(6)가 형성되어 쇽 업소버 외부로부터 코일(4)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수단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는 노면에서 발생한 스프링의 자유진동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될 때에는 급격히 압축되고 늘어날 때는 자기유변유체의 저항력을 크게 하며 서서히 작동함으로서 스프링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통상적인 감쇠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코일(4)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피스톤(2)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가변시킴으로써 앞서 언급한, 자기유변유체의 거동을 이용하여 감쇠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는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자기유변유체의 기본 특성이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 유체의 기본 점성보다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는 감쇠성능 대비 경제성 측면에서 일반 쇽 업소버에 비해 떨어져 실용화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유변유체와 유체의 기본 점성이 높아 감쇠 성능이 우수한 통상적인 유체를 동시에 이용하여 감쇠 특성을 향상시킨 쇽 업소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기유변유체를 사용하여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점도 특성이 고정된 유체가 저장되는 제 1 실린더와, 자기유변유체가 저장되며, 제 1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제 2 실린더와,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 사이의 제 1 공간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도우넛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1 피스톤과, 제 2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자기장 자기장 조절 수단이 설치되는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1 공간부에 삽입되어 제 1 피스톤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제 1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 2 공간부에 삽입되어 제 2 피스톤에 고정결합되는 제 2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자기가변 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피스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상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린더 조립체 21 ; 제 1 실린더
22 ; 제 2 실린더 30 ; 피스톤 로드 조립체
31 ; 제 1 피스톤 로드 32 ; 제 피스톤 로드
33 ; 연결부재 40 ; 제 1 피스톤
50 ; 제 2 피스톤 51 ; 코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로드 조립체(30) 및 피스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변유체용 피스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는 실린더 조립체(20), 피스톤 조립체 및 피스톤 로드 조립체(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조립체(20)는 일반적인 유체 즉, 점도 특성이 고정된 유체가 저장되는 제 1 실린더(21)와, 자기유변유체 즉, 점도 특성을 운전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유체가 저장되는 제 2 실린더(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실린더(22)는 제 1 실린더(21)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며, 제 1 실린더(21)와 제 2 실린더(22)는 서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실린더 조립체(20)의 하부에는 통상적으로 차축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차축 결합부(23)가 설치된다.
피스톤 조립체는 제 1 실린더(21)에 결합되는 제 1 피스톤(40)과 제 2 실린더(22)에 결합되는 제 2 피스톤(50)으로 구성된다. 제 1 실린더(21)의 중심에 제 2 실린더(2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 1 공간부(24)의 단면 형상은 마치 도우넛 형상을 갖게된다. 따라서, 제 1 피스톤(40)은 중심부가 뚫린 도우넛 형상을 이룬다. 중심부에 뚫린 중공부(41)의 직경은 최소한 제 2 실린더(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1 피스톤(40)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밸브 구멍(42)이 통상적인 구조로 다수개 형성된다. 제 1 실린더(21)의 내주연과 제 2 실린더(22)의 외주연에 각각 섭동되는 제 1 피스톤(40)의 외주연과 내주연에는 각각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섭동면을 보호하기 위해 테프론 등의 재질로 된 통상적인 기밀 부재(43,44)가 결합된다.
한편, 제 2 피스톤(50)은 제 2 실린더(22)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섭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 2 피스톤(50)은 제 2 실린더(22) 내부에 저장된 자기유변유체의 점도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자기장 조절 수단이 설치된다.
자기장 조절 수단은 통상적인 솔레노이드 구조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즉, 제 2 피스톤(50)의 재질을 자성재질로 형성하고, 그 외주연에 코일(51)을 감아 코일(51)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피스톤(50)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피스톤(50)은 저탄소강의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더 큰 직경의 플랜지부(52,53)가 형성되어 마치 스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플랜지부(52,53) 사이에는 코일(51)이 감겨진다. 한편, 제 2 피스톤(5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밸브 구멍(55)이 형성되어 자기유변유체의 일부가 밸브 구멍(55)을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 피스톤(50)의 외주연은 제 1 피스톤(40)과 마찬가지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섭동면을 보호하기 위해 테프론 등의 재질로 된 통상적인 기밀 부재(56)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 2 피스톤(50)은 코일(51)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가 조절되어 밸브 구멍(55)을 통과하는 자기유변유체의 점도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2 피스톤(50)의 최대 직경은 제 1 피스톤(40)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41)의 내경보다 작아야 하며, 또한, 제 2 실린더(22)의 내주면을 섭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피스톤 로드 조립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린더(21)에 삽입되는 제 1 피스톤(40)과 제 2 실린더(22)에 삽입되는 제 2 피스톤(50)의 상하운동을 일체로 연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즉, 제 1 공간부(23)에 삽입되어 제 1 피스톤(4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제 1 피스톤 로드(31)와, 제 2 공간부(25)에 삽입되어 제 2 피스톤(50)에 고정결합되는 제 2 피스톤 로드(32)로 이루어진다.
예시도면에서, 제 1 피스톤 로드(31)는 120도 등간격으로 동일 반경 상에 3개가 한 조를 이루고 있으며, 제 2 피스톤 로드(32)는 3개의 제 1 피스톤 로드(31)가 이루는 동심원상의 중심에 단일 축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제 1 피스톤 로드(31) 및 1 개의 제 2 피스톤 로드(32)는 제 2 피스톤 로드(32)의 축 상에 설치된 3방향 연결부재(33)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제 1 피스톤 로드(31)는 도우넛 형상을 갖는 제 1 피스톤(40)을 안정성 있게 고정시키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그 형상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 피스톤(50)에 설치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도면들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종래의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부를 통해 코일의 연장선을 쇽 업소버 외부로 인출시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구조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상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중심부에는 제 2 피스톤 로드(32)가 삽입되는 구멍(25)이 형성되며, 이 구멍(25)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120도 등간격으로 제 1 피스톤 로드(31)가 삽입되는 구멍(27)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구멍들(26,27)의 내주연에는 상하운동하는 피스톤 로드 조립체(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내부에 저장된 일반 유체 및 자기유변유체가 구멍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 수단들(28)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는 노면에서 발생한 스프링의 스프링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킬 때 점도 특성이 고정된 유체의 감쇠특성을 이용하는 것과 함께, 코일(51)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제 2 피스톤(50)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가변시킴으로써 자기유변유체의 점도 특성을 조절하여 감쇠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현재까지 개발된 점도 특성이 고정된 우수한 유체를 이용해 쇽 업소버의 전반적인 감쇠특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자기유변유체는 차량의 주행조건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감쇠특성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는 상대적으로작은 직경을 가진 제 2 실린더(22) 내부에만 자기유변유체가 채워지므로 사용되어지는 고가의 자기유변유체의 양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유변유체와 유체의 안정성이 우수한 일반 유체를 단일의 쇽 업소버에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잇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감쇠 성능 및 쇽 업소버의 기능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자기유변유체를 사용하여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점도 특성이 고정된 유체가 저장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자기유변유체가 저장되며, 상기 제 1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 사이의 제 1 공간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도우넛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자기장 자기장 조절 수단이 설치되는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1 공간부에 삽입되어 제 1 피스톤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제 1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 2 공간부에 삽입되어 제 2 피스톤에 고정결합되는 제 2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는 서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의 중공부의 직경은 최소한 상기 제 2실린더(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의 외주연과 내주연에는 각각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섭동면을 보호하기 위한 기밀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조절 수단은 제 2 피스톤의 구성 재질을 자성재질로 형성하고, 그 외주연에 코일을 감아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톤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 1 피스톤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실린더의 내주면을 섭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 조립체는 제 2 피스톤 로드의 축 상에 설치된 3방향 연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KR10-2000-0073860A 2000-12-06 2000-12-06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KR10044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60A KR100445988B1 (ko) 2000-12-06 2000-12-06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60A KR100445988B1 (ko) 2000-12-06 2000-12-06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749A true KR20020044749A (ko) 2002-06-19
KR100445988B1 KR100445988B1 (ko) 2004-08-25

Family

ID=2767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860A KR100445988B1 (ko) 2000-12-06 2000-12-06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9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87B1 (ko) * 2002-06-28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세제어 시스템
KR101365750B1 (ko) * 2012-08-28 2014-02-21 남형모 동력 조절 장치
CN108397503A (zh) * 2017-02-06 2018-08-14 株式会社万都 一种改进型减震器
CN114857200A (zh) * 2022-03-10 2022-08-05 嘉兴学院 一种螺旋槽式磁流变阻尼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920B2 (ja) * 1991-12-27 2000-07-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振動減衰装置の減衰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6101737A (ja) * 1992-06-15 1994-04-12 Kayaba Ind Co Ltd 緩衝器
JPH07133840A (ja) * 1993-11-11 1995-05-23 Bridgestone Corp 電気粘性流体を用いた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87B1 (ko) * 2002-06-28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세제어 시스템
KR101365750B1 (ko) * 2012-08-28 2014-02-21 남형모 동력 조절 장치
CN108397503A (zh) * 2017-02-06 2018-08-14 株式会社万都 一种改进型减震器
CN108397503B (zh) * 2017-02-06 2020-04-14 株式会社万都 一种改进型减震器
CN114857200A (zh) * 2022-03-10 2022-08-05 嘉兴学院 一种螺旋槽式磁流变阻尼器
CN114857200B (zh) * 2022-03-10 2023-08-25 嘉兴学院 一种螺旋槽式磁流变阻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5988B1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9701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with multiple annular flow gaps
US5161653A (en) Electro-rheological shock absorber
US6336535B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with dual flux ring spacer
US5690195A (en) Alternating state pressure regulation valved damper
EP0581476A1 (en) Adjustable dampers using electrorheological fluids
CN201875043U (zh) 一种滑阀式磁流变减振器
CN112283281B (zh) 一种减振器用阻尼调节阀及方法
EP2710277B1 (en) Magneto-rheological damping assembly
US20120292143A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With Annular Valve
US11280380B2 (en) Magnetorheological hydraulic damper with passive damping chamber
EP3771845A1 (en) Magnetorheological hydraulic damper with passive damping chamber
KR20060121586A (ko) 자기유동성 유체를 이용한 비대칭 감쇠성능 제어식 댐퍼
JP6731047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
US7950508B2 (en) Piston valve assembly of continuous damping control damper
CN108644299B (zh) 一种碟簧组合式磁流变阻尼减振器
KR100445987B1 (ko)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EP1270989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with multiple annular flow gaps
KR100445988B1 (ko)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KR100867367B1 (ko) 제어가능형 er/mr 유체 댐퍼
EP1664585B1 (en) Shock absorber
CN105805217A (zh) 一种环形磁路的磁流变减振器
CN114838082B (zh) 一种基于磁流变材料的多级变阻尼变刚度减振器
KR20190049104A (ko) 항공기용 엠알유체 댐퍼를 포함하는 착륙장치
EP2143971B1 (en) Piston valve assembly and damper including the same
US11585404B1 (en) Vibration damping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