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832A -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832A
KR20020043832A KR1020000072966A KR20000072966A KR20020043832A KR 20020043832 A KR20020043832 A KR 20020043832A KR 1020000072966 A KR1020000072966 A KR 1020000072966A KR 20000072966 A KR20000072966 A KR 20000072966A KR 20020043832 A KR20020043832 A KR 20020043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function
alarm signal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341B1 (ko
Inventor
김견수
고종석
Original Assignee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2000007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34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7Details realated to data compression, encryption or encoding, e.g. resolution modes for reducing data volume to lower transmission bandwidth or memory requi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5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computer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bandwidth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신호에서 기준영상을 지정하고, 상기 기준영상과 감시도중에 입력되는 영상을 다중레벨로 비교하여, 영상이 서로 틀리면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감시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감시 결과를 비디오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 내외의 점검 대상물들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자 할 때, 온(ON)/오프(OFF) 상태값을 비교하여 현재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거나 정상상태의 영상과 비정상 상태의 영상을 비교하여 안전 상태를 점검하는 안전 점검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다중레벨로 동작감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감지수단; 상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부호화하기위한 비디오 부호화수단; 상기 동작감지수단과 비디오 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와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영상처리수단; 및 상기 영상처리수단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Channel/Multi-Level Motion Detector}
본 발명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감시를 위하여 감시카메라에 포착되는 물체의 동작을 감지해야 할 경우에 여러 장소 또는 여러 카메라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다중채널을 이용하고 감시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들을 비교할 때 레벨을 달리하여 다중레벨로 동작을 감지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하고, 상기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에서 동작이 감지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감시상태를 알리고, 감시 결과를 비디오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저장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오프 상태비교에 따라 안전점검을 수행하거나 영상상태 비교에 따라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점검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감시 시스템 또는 안전점검 시스템은 복잡한 센서 기술과 그의 인터페이스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기존의 동작감지기는 동작감지를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사용하거나,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감시하여 동작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한 시스템이 동작 감지만을 위한 시스템이 되어야 하거나 대형의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전력소모가 너무 많거나 처리기능에 비해서 대량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여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신호에서 기준영상을 지정하고, 상기 기준영상과 감시도중에 입력되는 영상을 다중레벨로 비교하여, 영상이 서로 틀리면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감시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감시 결과를 비디오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 내외의 점검 대상물들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자 할 때, 온(ON)/오프(OFF) 상태값을 비교하여 현재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거나 정상상태의 영상과 비정상 상태의 영상을 비교하여 안전 상태를 점검하는 안전 점검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부호화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분리된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와 비디오 부호화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온(ON)/오프(OFF) 상태비교에 의한 안전점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상태 비교에 의한 안전점검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대상물의 상태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영상의 픽셀 값이 부각되도록 하는 방식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 :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 및 비디오 부호기
205 : 로컬 컴퓨터220 :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다중레벨로 동작감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감지수단; 상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부호화하기 위한 비디오 부호화수단; 상기 동작감지수단과 비디오 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와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영상처리수단; 및 상기 영상처리수단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 방법에 있어서,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영상비교시 비교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레벨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동작감지를 수행하고, 비디오 부호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동작감지를 수행한 결과로 출력되는 경보신호나 감시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있어서, 기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기준영상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기준영상 데이터와 현재 다중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영상비교수단; 및 상기 영상비교수단에서 비교된 결과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장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있어서, 온(ON)/오프(OFF)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온(ON)/오프(OFF)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수단에서 온(ON)/오프(OFF)상태를 비교한 결과가 정상상태가 아님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장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있어서, 기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기준영상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기준영상 데이터와 현재 다중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영상비교수단; 온(ON)/오프(OFF)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온(ON)/오프(OFF)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영상비교수단에서 출력된 경보신호와 온(ON)/오프(OFF) 스위치의 상태를 입력받아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점검처리수단; 및 상기 안전점검처리수단으로부터의 안전점검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점검 방법에 있어서,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제 1 단계;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상기 점검물에 대한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점검 방법에 있어서, 온(ON)/오프(OFF)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온(ON)/오프(OFF) 상태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점검 방법에 있어서,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온(ON)/오프(OFF) 스위치 데이터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감시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에,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영상비교시 비교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레벨신호를 입력받는 제 1 기능;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동작감지를 수행하고, 비디오 부호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2 기능;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저장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동작감지를 수행한 결과로 출력되는 경보신호나 감시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하여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안전점검 장치에,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제 1 기능;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상기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ON)/오프(OFF)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온(ON)/오프(OFF) 상태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비교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능; 온(ON)/오프(OFF) 스위치 데이터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에서의 비교 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건물의 내외부와 실내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다중채널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정상상태의 영상과 감시 중에 입력되는 영상을 다중레벨로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보안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감시 시스템이 동작하면 감시카메라(106)에 들어오는 영상데이터에서 일단 기준영상을 지정하여 받아들여 메모리에 저장한다(101). 그 다음에 이 기준영상을 로딩하고(102), 이어서 계속 감시카메라(106)로부터 촬영되어 들어오는 영상데이터와 로딩된 기준영상을 영상비교하여(103) 판별기(104)에서 그 결과가 같은지 아니면 다른지를 판단한다(104). 그 결과가 같으면 계속해서 새로운 입력영상과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다르면 경보를 출력하고 그 결과를 파일에 저장한다(10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에 의한 감시 결과, 경보가 출력되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유무선 전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에 있는 사용자나 감시센터로 호출을 시도하여 경보 상황을 알린다. 이때, 외부의 사용자가 영상 단말을 휴대하고 있으면 감시 영상을전송하여 사용자가 원격에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간단한 명령을 자동응답서비스(Automatic Response Service)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시 시스템의 동작과정 중, 다수의 감시카메라(106)를 통해 입력되는 채널 수 만큼 나누어진 영상데이터를 다시 하나의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다중채널 영상구성을 한다(107). 그 다음 하나의 영상으로 재구성된 상기 영상은 비디오 부호기로 입력되어 비디오 압축된다(108). 이때, 움직임이 없는 정지 영상의 경우는 매우 압축률이 높아 전달할 데이터의 량이 그다지 많지 않다. 그러나, 움직임이 감지되면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특히, 빠른 움직임이 감지되면 더욱더 데이터량이 증가한다. 상기 비디오 압축(108)된 압축데이터는 로컬에 위치한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109)에 저장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110)을 통해 먼 거리에 있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110)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영상 단말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부호화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감시 시스템의 입력으로는 다중채널의 비디오 입력과 다중의 감시레벨을 지정하는 신호가 필요하고, 그 외에는 일반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부호화기를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은, 다중의 비디오 입력(200)과 감시레벨을 지정하는 신호인 레벨신호(201)를 입력받아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비디오 부호화를 함께 수행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 및 비디오 부호기(202), 상기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 및 비디오 부호기(202)로부터 출력되는 비트스트림(204)과 경보신호(203)를 입력받아 비트스트림을 디스크(206)에 저장하고 경보신호를 네트워크(207)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로컬컴퓨터(205), 그리고 로컬컴퓨터(205)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경보와 감시결과를 네트워크(207)를 통해 입력받는 단말기(2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로컬컴퓨터(205)는 경보신호와 함께 비트스트림도 단말기(22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로컬컴퓨터(205)는 비트스트림을 네트워크(207)를 통해 원격지의 디스크(225)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부호화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200)과 영상비교시 비교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신호인 레벨신호(201)를 입력받아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 및 비디오 부호기(202)에서 동작감지와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한 후, 그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203)와 비트스트림(204)을 로컬컴퓨터(205)로 전달한다. 상기 로컬컴퓨터(205)로 전달된 압축된 비트스트림(204)은 로컬컴퓨터(205)를 통해 디스크(206)에 저장되어지거나 네트워크(207)를 통해서 원거리 컴퓨터(224)의 디스크(225)에 저장된다. 또한, 로컬컴퓨터(205)는 경보나 감시결과를 네트워크(207)를 통해서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한다. 이때, 단말기(220)는 비디오폰(221), 전화(222), 팩스(223), 원거리 컴퓨터(224), 그리고개인통신단말기(PCS)(226), 이동전화 등과 같은 각 통신 단말기가 사용되며, 사용자가 로컬컴퓨터(205)상에서 원하는 단말기(220)나 네트워크(207)를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원거리에서 경보 내용을 알 수 있고,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감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보 발생시 로컬컴퓨터가 사용자 자신의 계정으로 전자메일(230)을 보내면, 상기와 같은 내용을 사용자는 수시로 원거리에서 컴퓨터, 이동단말, 혹은 이에 해당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자메일을 확인하여 경보 내용을 접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분리된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와 비디오 부호화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와 비디오 부호화기가 분리된 것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다중의 비디오 입력(300)과 감시레벨을 지정하는 신호인 레벨신호(301)를 입력받아 동작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302), 상기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302)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303)를 비디오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305)을 출력하는 비디오 부호기(304), 상기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302)와 비디오 부호기(304)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306)와 비트스트림(305)을 입력 받아 비트스트림을 디스크(308)에 저장하고 경보신호를 네트워크(309)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로컬컴퓨터(307), 그리고 로컬컴퓨터(307)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경보와 감시결과를 네트워크(309)를 통해 입력받는 단말기(3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302)와 비디오 부호화기(304)가 분리된 것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동작은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 장치(302)와 비디오 부호기(304)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만 다를 뿐, 상기 도 2 에서 기술한 동작과 같다. 단지, 동작감지 장치(304)를 비디오 부호기(304)와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동작감지만을 원하는 경우 비디오 부호기(304)를 제외한 동작감지 장치(302)만 가지고 감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보다 저렴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비디오 부호기(304)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부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에 부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점검 대상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상물을 개별적, 선택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안전점검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온(ON)/오프(OFF) 상태비교에 의한 안전점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사용자가 전체 옥 내외의 점검 대상물들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자 할 때, 만약 온(ON)일때는 정상, 오프(OFF)일때는 비정상이라고 가정하고 점검을 시작하면 각 점검 대상물에 장치되어 있는 온(ON)/오프(OFF) 스위치(406)는 정상(ON)/비정상(OFF)의 상태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에 보내어 컴퓨터에 저장된 온(ON)/오프(OFF) 상태와 상태비교를 수행한다(401). 그 다음, 판별기에서 정상이면 패스표시 출력을 컴퓨터 화면에 나타내고 종료를 하게 되고(404), 정상이 아니면 해당 경보신호를 컴퓨터의 그래픽화면에 깜박임과 같은 시각적인 경보신호 또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과 같은 청각적인 경보신호를 보낸다(403). 그런 다음 사용자가 제어신호인 리셋신호(405)를 보내면 각 경보상태는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사용자는 경보가 표시되었던 점검 대상물을 안전한 상태로 전환한 다음에 다시 처음부터 본 기능을 동작시키면 앞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외출 혹은 여행을 떠나기에 앞서 실내외에 장치되어 있는 점검 대상물을 손쉽게 점검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상태 비교에 의한 안전점검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능은 상기 도 4 에서 설명한 안전점검 장치와는 또다른 방법으로서, 미리 점검대상물의 안전 상태에 대한 기준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해 두었다가, 점검이 시작되면 기준 이미지를 일단 로딩하고(501),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점검 대상(507)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영상을 받아들여 상기 로딩된 기준 이미지와 이미지 비교를 한다(502). 그 결과의 처리방법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판별기에서 정상이면 패스표시 출력을 컴퓨터 화면에 나타내고 종료를 하게 되고(505), 정상이 아니면 해당 경보신호를 컴퓨터의 그래픽 화면에 깜박임과 같은 시각적인 경보신호 또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과 같은 청각적인 경보신호를 보낸다(504). 그런 다음 사용자가 제어신호인 리셋신호(506)를 보내면 각 경보상태는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사용자는 경보가 표시되었던 점검 대상물을 안전한 상태로 전환한 다음에 다시 처음부터 본 기능을 동작시키면 앞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대상물의 상태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영상의 픽셀 값이 부각되도록 하는 방식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상기 영상상태 비교에 의한 안전점검 방법은 상기 스위치의 온(ON)/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대신에 각 점검대상물의 상태를 비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카메라가 비추고 있는 부분, 즉 감시하여야 할 부분에 명암이 확실히 구분되는 스티커를 부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영상의 비교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이 쉬워진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이 어떤 감시 대상의 안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영상(601)이 되고, 오른쪽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영상(602)이라면 이 둘을 비교하여 정상 상태인지 아니면 비정상 상태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장치는,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기준영상 메모리부(701), 다중채널의 비디오 입력(703)과 기준영상 메모리부(701)에 저장된 기준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영상비교장치(702), 비교결과가 다른 경우 출력되는 경보신호(704)와 온(ON)/오프(OFF) 스위치 데이터(705)를 입력받아 점검 결과를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로컬 컴퓨터(70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로부터 다중채널의 비디오 입력(703)과 기준영상 메모리부(701)에 미리 저장해 둔 기준영상을 영상비교장치(702)에서 비교하여 결과가 다르면 경보신호(704)를 출력하여 로컬 컴퓨터(706)에 입력한다. 그리고, 온(ON)/오프(OFF) 스위치(705) 데이터는 그 신호를 직접적으로 로컬 컴퓨터(706)에 입력받아 로컬 컴퓨터(706)에 구현된 온(ON)/오프(OFF) 상태와 비교하여 상태에 대한 점검 결과를 상태표시 화면(707)에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 장치는 도 2와 도 3에서 제시하는 감시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복잡한 센서 기술과 그의 인터페이스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카메라, 간단한 제어장치, 그리고 비디오 부호화 칩을 이용하여 보안감시를 필요로 하는 곳에 간단하고 실용적으로 감시장치와 안전점검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경비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다중레벨로 동작감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감지수단;
    상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부호화하기 위한 비디오 부호화수단;
    상기 동작감지수단과 비디오 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와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영상처리수단; 및
    상기 영상처리수단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수단과 비디오 부호화수단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영상처리수단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처리수단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4.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 방법에 있어서,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영상비교시 비교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레벨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동작감지를 수행하고, 비디오 부호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동작감지를 수행한 결과로 출력되는 경보신호나 감시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감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감시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서 기준영상을 지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상기 기준영상과 감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비교하는 제 6 단계;
    상기 비교 결과가 다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아니면 상기 제 6 단계로 넘어가는 제 7 단계;
    상기 감시 카메라를 통해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하나의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제 8 단계;
    상기 영상을 압축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압축된 영상을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감시 방법.
  6.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있어서,
    기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기준영상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기준영상 데이터와 현재 다중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영상비교수단; 및
    상기 영상비교수단에서 비교된 결과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수단
    을 포함하는 안전점검 장치.
  7.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있어서,
    온(ON)/오프(OFF)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온(ON)/오프(OFF)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수단에서 온(ON)/오프(OFF)상태를 비교한 결과가 정상상태가 아님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수단
    을 포함하는 안전점검 장치.
  8.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있어서,
    기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기준영상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기준영상 데이터와 현재 다중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영상비교수단;
    온(ON)/오프(OFF)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온(ON)/오프(OFF)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영상비교수단에서 출력된 경보신호와 온(ON)/오프(OFF) 스위치의 상태를 입력받아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점검처리수단; 및
    상기 안전점검처리수단으로부터의 안전점검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안전점검 장치.
  9.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점검 방법에 있어서,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제 1 단계;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상기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방법.
  10.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점검 방법에 있어서,
    온(ON)/오프(OFF)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온(ON)/오프(OFF) 상태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방법.
  11.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안전점검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점검방법에 있어서,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온(ON)/오프(OFF) 스위치 데이터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방법.
  12.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감시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에,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영상비교시 비교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레벨신호를 입력받는 제 1 기능;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동작감지를 수행하고, 비디오 부호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2 기능;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동작감지를 수행한 결과로 출력되는 경보신호나 감시결과를 사용자에게알리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하여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안전점검 장치에,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제 1 기능;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상기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하여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안전점검 장치에,
    온(ON)/오프(OFF)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온(ON)/오프(OFF) 상태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비교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하여 안전점검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안전점검 장치에,
    다중채널로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과 점검물에 대한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에서의 비교 결과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능;
    온(ON)/오프(OFF) 스위치 데이터와 기저장되어 있는 점검물에 대한 온(ON)/오프(OFF) 상태를 비교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에서의 비교 결과 온(ON)/오프(OFF) 상태가 다름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72966A 2000-12-04 2000-12-04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4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66A KR100748341B1 (ko) 2000-12-04 2000-12-04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66A KR100748341B1 (ko) 2000-12-04 2000-12-04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32A true KR20020043832A (ko) 2002-06-12
KR100748341B1 KR100748341B1 (ko) 2007-08-09

Family

ID=2767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966A KR100748341B1 (ko) 2000-12-04 2000-12-04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3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87A (ko) * 2002-07-08 2004-01-16 주식회사 알앤디라인 무선단말장치를 적용한 원격접속 보안 시스템
KR100444929B1 (ko) * 2002-09-07 2004-08-21 김종무 지하철/철도 승강장 돌발상황 자동감지영상처리경보시스템 및 방법
KR100497311B1 (ko) * 2003-08-18 2005-06-23 김종무 지하철/열차 승하차시 돌발상황 자동 검지 및 경보 방법
KR100789721B1 (ko) * 2006-03-24 2008-01-02 주식회사 네이블텍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791A (ja) * 1988-03-17 1989-09-21 Toshiba Corp 近接監視装置
JPH023888A (ja) * 1988-06-20 1990-01-09 Kusuo Sato 画像によるセキユリテイシステム
KR950006126U (ko) * 1993-08-23 1995-03-20 차량의 미등 점등 경보장치
JPH09116894A (ja) * 1995-10-20 1997-05-02 Fujitsu General Ltd 映像監視装置
JPH09205640A (ja) * 1996-01-25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KR19990066063A (ko) * 1998-01-21 1999-08-16 유무성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11355764A (ja) * 1998-06-12 1999-12-24 Canon Inc 撮影制御装置、監視カメラ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87A (ko) * 2002-07-08 2004-01-16 주식회사 알앤디라인 무선단말장치를 적용한 원격접속 보안 시스템
KR100444929B1 (ko) * 2002-09-07 2004-08-21 김종무 지하철/철도 승강장 돌발상황 자동감지영상처리경보시스템 및 방법
KR100497311B1 (ko) * 2003-08-18 2005-06-23 김종무 지하철/열차 승하차시 돌발상황 자동 검지 및 경보 방법
KR100789721B1 (ko) * 2006-03-24 2008-01-02 주식회사 네이블텍 재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341B1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1727B2 (en) Motion detecting system, motion detecting method, motion detect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438025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20070019077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KR2007006061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감시영상 출력방법
KR101086221B1 (ko) 재난 감시 시스템 및 재난 감시 시스템 운용 방법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CN101494770B (zh) 用于控制监控照相机的屏蔽的颜色的装置和方法
JP5829826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9939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댁내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KR100439042B1 (ko) 원격지 백업기능을 갖는 디브이알 시스템
KR20020043832A (ko) 다중채널/다중레벨 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그 방법
US200301560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oring an intrusion sce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using wireless signal
KR100474188B1 (ko) 움직임 감지방법과 움직임 감지장치 및 이를 내장한 모니터
KR20060016243A (ko)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멀티 채널 영상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74217B1 (ko) 비디오 월 기반 화상 회의 시스템
KR100400669B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감시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030056865A (ko) 영상 감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1694A (ko) 방범용 버티컬 프로젝션 시스템
KR101335647B1 (ko) 저장장치 일체형 방범용 카메라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감시방법
JPH11275557A (ja) 監視画像記録装置
JP2005136777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カメラシステム
CN108111823B (zh) 网路监控系统
KR100784247B1 (ko) 원격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된 감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20170092278A (ko) 지능형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지능형 보안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