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93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931A
KR20020042931A KR1020000072291A KR20000072291A KR20020042931A KR 20020042931 A KR20020042931 A KR 20020042931A KR 1020000072291 A KR1020000072291 A KR 1020000072291A KR 20000072291 A KR20000072291 A KR 20000072291A KR 20020042931 A KR20020042931 A KR 2002004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rection control
air conditioner
support member
slo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674B1 (ko
Inventor
문홍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6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시 공기조화기에 진동이 전해지더라도 풍향조절날개가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다수개의 슬롯부를 가진 구속부재가 풍향조절날개와 풍향조절날개가 고정되는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운송으로 인해 풍향조절날개에 진동이 전해지더라도 풍향조절날개가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시 공기조화기에 진동이 전해지더라도 풍향조절날개가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조화하는 것으로,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에는 내부에 팬과 전면 상부에 공기조화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팬에서 발생된 공기의 유동을 토출구로 유도하는 덕트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토출구에는 배출되는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긴 판형의 풍향조절날개가 다수개 구비된다.
이러한 풍향조절날개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 끝단에 결합돌기(2)가 형성되며, 토출구(미도시)에는 상하 또는 좌우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a, 3b)가 구비된다.
지지부재(3a, 3b)에는 다수개의 결합홀(4a, 4b)이 마련되어, 각 풍향조절날개(1) 양측의 결합돌기(2)와 지지부재(3a, 3b)의 결합홀(4a, 4b)이 맞물려 풍향조절날개(1)가 지지부재(3a, 3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풍향조절날개(1)에 있어서, 운송 등으로 인해 공기조화기에 진동이 전해지면, 풍향조절날개(1)와 지지부재(3a, 3b)가 상대운동을 하게되고, 그에 따라 풍향조절날개(1)의 결합돌기(2)가 지지부재(3a, 3b)의 결합홀(4a, 4b)로부터 이탈할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풍향조절날개(1)가 이탈되었을 때, 이탈된 풍향조절날개(1)가 토출구(미도시)와 연결된 덕트(미도시)로 들어가게 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실내기를 분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운송시 풍향조절날개와 지지부재가 상대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풍향조절날개가 지지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풍향조절날개 이탈되었을 때, 풍향조절날개가 덕트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및 구속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및 구속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실외기, 20: 캐비닛,
30: 커버,40: 풍향조절장치,
50: 풍향조절날개,60: 지지부재,
70: 구속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풍향조절날개와 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날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운반시 상기 풍향조절날개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부재가 삽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미도시)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0)로 구비되어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미도시)에는 압축기, 응축기가 설치되어 있어, 실내기(10)로부터 전해진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기와 응축기를 통하여 고압의 액체로 만들어, 액체상태의 냉매를 실내기(10)로 되돌려 보낸다. 실외기에는 또한 팬이 구비되어 있어, 응축기에서 냉매가 액화하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실내기(10)에는 증발기(21)와 팬(22)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실외기(미도시)에서 전달된 액상의 냉매를 증발기(21)에서 기화시켜, 냉매가 실내기(10) 내로 유입된 실내공기로부터 열을 흡수, 냉각한 후, 팬(22)을 통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냉방이 수행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는 사각 상자형상의 캐비넷(20)과 캐비넷(20)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30)를 구비하는데, 캐비넷(20) 내에는 하부로부터 증발기(21), 팬(22)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팬(22)의 상측과 후술할 커버(30)의 토출구(32)를 연결하는 덕트(23)가 구비된다.
또한, 커버(30)의 하부에는 공기조화기 내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32)가 구비된다.
토출구(32)에는 냉각된 공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해 주는 풍향조절장치(40)가 구비되는데, 풍향조절장치(40)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된 풍향조절날개(50)와, 풍향조절날개(50)를 토출구(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부재(60)를 구비한다.
풍향조절날개(5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부(51)와 날개부(51)의 양 끝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52)를 구비한다.
한편 지지부재(60)는 상하 또는 좌우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지지부재(60)에는 다수개의 결합홀(61a, 61b)이 마련되어, 풍향조절날개(50)의 결합돌기(52)와 맞물려 풍향조절날개(50)가 토출구(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은 풍향조절장치(40)에 있어서, 운송 중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풍향조절날개(50)가 지지부재(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풍향조절날개(50)를 고정하는 구속부재(70)가 구비되는데, 구속부재(70)는 풍향조절날개(50)의 결합돌기(52)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고정슬롯부(71a, 71b)와 풍향조절날개(50)의 날개부(51)를 지지하는 지지패드부(72)를 구비한다.
고정슬롯부(71)는 일측이 개방된 제 1 슬롯부(71a)와, 제 1 슬롯부(71a)와 90° 각도를 이루며 제 1 슬롯부(71b)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2 슬롯부(71b)로 구분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슬롯(71a)과 제 2 슬롯(71b)이 90도 각도로 연결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구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고정슬롯을 만곡부를 가진 하나의 슬롯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속부재(70)는 풍향조절날개(50)의 날개부(51)와 지지부재(60a, 60b) 사이로 쉽게 삽입되며, 또한 진동이 전해졌을 때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골판지, 스치로폼 등의 탄성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날개(50)에 구속부재(70)를 적용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상하 방향으로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날개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구속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날개 및 구속부재의 조립과정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속부재(70)는 풍향조절날개(50)와 지지부재(60a, 60b) 사이에 삽입되는데, 먼저 제 1 슬롯부(71a)의 개방부측으로부터 A 방향으로 풍향조절날개(50)의 결합돌기(52)에 끼워지고, 제 1 슬롯부(71a)에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다시 B방향으로 제 2 슬롯부(71b)를 향해 끼워진다.
구속부재(70)가 삽입되면 구속부재(70)의 지지패드부(72)가 풍향조절날개(50)의 날개부(51)와 일측의 지지부재(60)의 사이에 끼워지는데, 이에 따라 지지패드부(72)가 풍향조절날개(50)를 밀고, 계속하여 풍향조절날개(50)는 타측의 지지부재(60)에 밀착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구속부재(70)에 의해 풍향조절날개(70)와 지지부재(60a, 60b)가 지지되므로 상대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속부재(70)를 풍향조절날개(50)의 하측에 설치할 경우, 제 1 슬롯부(71a)가 마련된 지지패드부(72)의 길이를 길게 하여 공기조화기의 덕트(23, 도 2참조)를 덮도록 구성하면, 풍향조절날개(50)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였을 경우에도 풍향조절날개(50)가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덕트(23)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풍향조절날개와 지지부재 사이에 구속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운송에 따라 진동이 전해지더라도 구속부재에 의해 지지부재와 풍향조절날개가 상대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풍향조절날개가 지지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풍향조절날개와 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날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운반시 상기 풍향조절날개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부재가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풍향조절날개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풍향조절날개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날개에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마련되고,
    상기 구속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슬롯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구속부재의 일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슬롯부와, 상기 제 1 슬롯부의 끝단으로부터 제 1 슬롯부와 일정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2 슬롯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골판지 또는 스치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날개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풍향조절날개들이 설치되도록 다수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구속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풍향조절날개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슬롯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0-0072291A 2000-12-01 2000-12-01 공기조화기 KR10038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291A KR100388674B1 (ko) 2000-12-01 2000-12-0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291A KR100388674B1 (ko) 2000-12-01 2000-12-0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931A true KR20020042931A (ko) 2002-06-08
KR100388674B1 KR100388674B1 (ko) 2003-06-25

Family

ID=2767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291A KR100388674B1 (ko) 2000-12-01 2000-12-0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11B1 (ko) * 2006-02-04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72B1 (ko) 2013-04-15 2014-08-18 표대율 환기용 또는 냉,난방 공조장치용 그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11B1 (ko) * 2006-02-04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674B1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061B2 (en) Air conditioner
CN111919071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KR100388674B1 (ko) 공기조화기
KR102396084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JP4266157B2 (ja) 空気調和装置
US20070044495A1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100293791B1 (ko) 분리형에어콘의실내기고정장치
KR200157952Y1 (ko) 공조기기
JP7224523B2 (ja) 室内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1936798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KR10245403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CN218993618U (zh) 空调器
JP672187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165386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70281Y1 (ko) 공기조화기
KR20030054498A (ko) 공기조화기
KR200186563Y1 (ko) 공조기기
KR200160522Y1 (ko) 벽걸이형 공조기기의 실내기 고정장치
KR200351853Y1 (ko) 룸에어컨의 슬라이드식 컨트롤부 서비스구조
KR200312148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서비스밸브 장착구조
KR200221588Y1 (ko) 냉장고의 방열기용 송풍장치 구조
KR20020053322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 조화기의 흡입그릴 장착구조
KR200228655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100710296B1 (ko) 실내 공기조화장치
KR200142964Y1 (ko) 공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