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860A -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860A
KR20020041860A KR1020000071483A KR20000071483A KR20020041860A KR 20020041860 A KR20020041860 A KR 20020041860A KR 1020000071483 A KR1020000071483 A KR 1020000071483A KR 20000071483 A KR20000071483 A KR 20000071483A KR 20020041860 A KR20020041860 A KR 2002004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ooking chamber
air
cook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493B1 (ko
Inventor
서정섭
이근형
류성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4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조리실(32)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6)와, 조리실(32)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36')를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즉 히터(70)를 사용한 조리시에는 상기 흡입구(36)와 토출구(36')를 동시에 폐쇄하고 마그네트론(44)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시에는 상기 흡입구(36)와 토출구(36')를 동시에 개방하여 조리실(32) 내외부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입구(36)를 개폐하는 흡입댐퍼(50)는 댐퍼모터(52)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토출구(36')를 개폐하는 토출댐퍼(60)는 상기 댐퍼모터(5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댐퍼모터(52)의 출력축(53)에는 구동레버(5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55)에 의해 연동레버(57)가 구동되어 토출댐퍼(6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A cooking room ventilation apparatus for micro 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공기흡토출을 위한 조리실 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대상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에서 다양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가열원을 추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별도의 히터를 설치하여 히터의 열로 조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는 별도의 히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티(1)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3)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1)의 전면은 전면플레이트(4)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는 상부플레이트(5)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티(1)의 일측면에는 상기 조리실(3)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구(6)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5)의 일측에는 상기 조리실(3) 내부를 통과하면서 수증기를 머금은 공기를 조리실(3)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6')가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1)의 배면은 백플레이트(7)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백플레이트(7)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8)가 천공되어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7)에 천공되어 있는 흡기구(8)는 상기 조리실(3)의 옆에 형성되는 전장실(3')과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흡기구(8)의 전방에 해당되는 전장실(3')의 내부에는 냉각팬(10)이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8)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3')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장실(3')에는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데, 그중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2)이 상기 캐비티(1)의 일측벽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12)의 옆에는 마그네트론(12)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조리실(3)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14)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덕트(14)는 상기 흡입구(6)로 상기 냉각팬(1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마그네트론(12)을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덕트(14)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덕트(14)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16)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16)는 댐퍼모터(18)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가이드덕트(14)를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1)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4) 상에는 히터(2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20)는 그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가 구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마그네트론(12)에서 제공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를하는 경우에는 조리물의 가열시에 발생되는 수증기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조리실(3)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킨다. 즉 상기 전장실(3')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12)을 포함하는 전장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0)이 동작되면서 상기 흡기구(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냉각팬(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3') 내부를 순환하면서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12)을 통과하면서 냉각작용을 한 공기는 상기 가이드덕트(1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흡입구(6)를 통해 조리실(3)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16)는 상기 가이드덕트(14)를 개방하여 공기가 상기 흡입구(6)측으로 유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조리실(3)의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조리실(3)내부를 순환하면서 조리실(3) 내부의 수증기와 연기를 상기 토출구(6')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한편, 히터(20)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모터(18)를 동작시켜 상기 댐퍼(16)가 상기 가이드덕트(14)를 폐쇄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이드덕트(14)를 폐쇄하는 이유는 상기 히터(20)에 의해 조리실(3) 내부가 보다 신속하게 높은 온도로 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6)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조리실(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댐퍼(16)를 사용하여 상기 가이드덕트(14)를 개폐하면서 상기 조리실(3)로의 공기흡입을 제어함에 있어, 상기 가이드덕트(14)를 개방한 상태로 조리실(3)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제공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상기 댐퍼(16)로 상기 가이드덕트(14)를 폐쇄하고 히터(20)로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구(6')가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여서 자연적으로 조리실(3)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토출구(6')를 통해 토출되어 조리실(3)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열손실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조리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히터조리시 조리물의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안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캐비티32: 조리실
34: 상부플레이트36: 흡입구
36': 토출구37: 배면플레이트
38: 흡기구40: 전장실
42: 냉각팬44: 마그네트론
46: 가이드덕트50: 흡입댐퍼
51: 회전핀52: 댐퍼모터
53: 출력축55: 구동레버
56: 가이드슬롯57; 연동레버
57':가이드핀58: 경사가이드부
60: 토출댐퍼61,62': 회전핀
70: 히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진행되고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조리실과,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여 조리실 내부로의 공기흡입을 제어하는 제1댐퍼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여 조리실 외부로의 공기토출을 제어하는 제2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댐퍼와 제2댐퍼는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한다.
상기 제1댐퍼와 제2댐퍼의 구동은, 상기 제1댐퍼를 구동하는 댐퍼모터와, 상기 댐퍼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그 선단부가 소정 각도 회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직선왕복운동되면서 상기 제2댐퍼를 구동하는 연동레버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레버에는 상기 제2댐퍼의 일측을 가이드하여 토출댐퍼를 개폐시키는 경사가이드부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경우와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달리하여 조리실 내외부로의 공기유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조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티(30)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32)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30)의 상면은 상부플레이트(34)가 형성하고, 배면은 배면플레이트(37)가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30)의 일측면, 즉 조리실(32)과 전장실(40)을 구획하는 벽을 관통하여서는 흡입구(36)가 천공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3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장실(40)로 흡입된 공기중 일부를 상기 조리실(3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34)에는 토출구(36')가 다수개 천공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36')를 통해서는 조리실(32)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37)중 전장실(4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흡기구(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기구(38)를 통해서는 전자레인지 외부의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캐비티(30)의 일측, 즉 조리실(32)의 일측에는 전장실(40)이 마련된다. 상기 전장실(40)에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형성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중 하나 상기 캐비티(3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트론(44)이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40)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흡기구(38)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42)이 상기 흡기구(38)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44)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흡입구(36)를 통해 조리실(32)의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46)가 상기 마그네트론(44)의 일측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덕트(46)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흡입댐퍼(50)가 상기 가이드덕트(46)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흡입덕트(50)는 가이드덕트(46)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냉각팬(42)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32)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흡입댐퍼(50)는 댐퍼모터(52)의 출력축(51)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도면 부호 51은 흡입댐퍼(5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핀이다.
상기 댐퍼모터(52)의 출력축(53)에는 구동레버(5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레버(55)는 상기 댐퍼모터(52)의 회전에 의해 그 선단부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레버(55)의 선단부에는 가이드슬롯(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56)은 상기 구동레버(55) 선단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동레버(57)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레버(55)에는 연동레버(57)가 연결되어 연동된다. 상기 연동레버(57)의 일측에는 가이드핀(57')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레버(55)의 가이드슬롯(56)을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레버(57)의 일단부에는 경사가이드부(5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동레버(57)의 직선왕복운동을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상부플레이트(34)에 별도의 가이드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4) 상에 천공되어 있는 토출구(36')를 개폐하기 위해 토출댐퍼(6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댐퍼(6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4) 상에서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핀(61)을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구(36')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댐퍼(60)에는 개폐봉(62)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봉(62)은 상기 토출댐퍼(6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단부가 상기 경사가이드부(58)를 따라 안내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0은 히터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마그네트론(44)에서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리실(32)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증기는 상기 조리실(32)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댐퍼(50)와 토출댐퍼(60)를 모두 개방하여 조리실(32)을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댐퍼(50)와 토출댐퍼(60)를 모두 개방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설명하면, 전자레인지의 동작과 함께 상기 냉각팬(42)이 구동되면서 상기 흡기구(38)를 통해서는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4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전장실(40) 내부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전장실(40)내의 각종 부품을 냉각시키고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전장실(40)내부로 흡입된 공기중 일부는, 도 3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그네트론(44)을 통과하고, 상기 가이드덕트(46)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댐퍼(50)가 개방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흡입구(36)를 통해 조리실(32)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실(32)의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조리실(32) 내부의 수증기 등을 머금은 상태로 상기 토출구(36')를 통해 조리실(32)로부터 토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36')는 상기 토출댐퍼(60)의 선단부가 상승되어 있음으로 해서 개방되어 있다.
다음으로 히터(70)를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70)의 복사열과 대류열에 의해 조리실(32) 내부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흡입구(36)와 토출구(36')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댐퍼모터(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댐퍼(50)와 토출댐퍼(60)가 구동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흡입구(36)와 토출구(36')를 폐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흡입구(36)와 토출구(36')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도 3의 상태에서상기 댐퍼모터(52)의 구동에 의해 흡입댐퍼(50)가 상기 가이드덕트(46)를 폐쇄하도록 구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레버(55)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연동레버(57)를 당겨주어 상기 경사가이드부(58)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상기 개폐봉(62)이 안내되면서 상기 토출댐퍼(60)의 선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4) 상에 안착되게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조리실 내외부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달리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보다 신속하게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한 조리시에는 조리실 내외부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하고, 히터요리시에는 조리실의 내외부를 통한 공기유동이 없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조리실 내부가 고온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댐퍼모터를 사용하여 흡입댐퍼와 토출댐퍼를 모두 구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원가로 향상된 제품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내부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진행되고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조리실과,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여 조리실 내부로의 공기흡입을 제어하는 제1댐퍼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여 조리실 외부로의 공기토출을 제어하는 제2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와 제2댐퍼는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와 제2댐퍼의 구동은,
    상기 제1댐퍼를 구동하는 댐퍼모터와,
    상기 댐퍼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그 선단부가 소정 각도 회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직선왕복운동되면서 상기 제2댐퍼를 구동하는 연동레버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에는 상기 제2댐퍼의 일측을 가이드하여 제2댐퍼를 개폐시키는 경사가이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KR10-2000-0071483A 2000-11-29 2000-11-29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KR10040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483A KR100402493B1 (ko) 2000-11-29 2000-11-29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483A KR100402493B1 (ko) 2000-11-29 2000-11-29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860A true KR20020041860A (ko) 2002-06-05
KR100402493B1 KR100402493B1 (ko) 2003-10-22

Family

ID=1970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483A KR100402493B1 (ko) 2000-11-29 2000-11-29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293B1 (ko) * 2002-11-15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및 그 청소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08Y2 (ko) * 1977-02-28 1982-01-19
KR960005726U (ko) * 1994-07-09 1996-02-17 가스 오븐레인지의 배기장치
KR100193336B1 (ko) * 1995-08-02 1999-06-15 서윤진 도로 표지선의 난-슬립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293B1 (ko) * 2002-11-15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및 그 청소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493B1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9568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EP1586820A1 (en)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appliance
JP2001153371A (ja) 電子レンジ
KR100377728B1 (ko) 전자레인지의 댐퍼장치
JP2006292181A (ja) 電子レンジ
KR100756508B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402493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벤트장치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100402581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흡기장치
KR100676135B1 (ko) 이중 컨벡션팬이 구비된 가열조리기
KR10042031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JP2001311519A (ja) 加熱調理器
KR100643883B1 (ko) 피자 오븐
KR100487310B1 (ko) 컨벡션 가스오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KR0138560B1 (ko) 복합전자렌지
KR100500726B1 (ko) 전자렌지
KR10043739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JP2003302058A (ja) 加熱調理器
KR19980017801U (ko) 전자렌지
KR101339802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0292481B1 (ko) 전자렌지의냉각구조
KR200215232Y1 (ko) 전자렌지용 댐퍼장치
KR20010035766A (ko)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KR200372476Y1 (ko) 빌트인 타입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