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766A -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766A
KR20010035766A KR1019990042488A KR19990042488A KR20010035766A KR 20010035766 A KR20010035766 A KR 20010035766A KR 1019990042488 A KR1019990042488 A KR 1019990042488A KR 19990042488 A KR19990042488 A KR 19990042488A KR 20010035766 A KR20010035766 A KR 20010035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heater
guide tube
cooking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기
유한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766A/ko
Publication of KR2001003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7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6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the refrigerating air being used for conv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자렌지는, 다수의 공기통과공을 가지는 격벽에 의해 구분된 조리실 및 부품실과, 상기 부품실에 설치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의 송풍을 상기 공기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송풍안내관을 구비하며, 상기 조리실내에 설치된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송풍안내관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히터를 사용한 음식물 조리시, 조리실내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ow therein}
본 발명은, 마크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파 또는 히터에 의한 열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전자렌지 및 그 송풍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부품실로부터 조리실내로의 송풍을 허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 및 그 송풍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렌지는, 일반적으로,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로 알려져 있다. 고주파는 음식물의 분자를 변환시키며, 이 때, 분자운동에 의한 마찰열로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런데, 이러한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는, 음식물을 골고루 신속하게 익히고 영양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열을 이용한 조리와는 달리, 음식물의 색깔을 변화시킬 수 없어서, 시각적인 식욕을 자극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조리실내에 별도의 히터를 장착하여, 이 히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소위 컨벡션(Convection)형식의 전자렌지가 제공되고 있다.
도 5는 이러한 종래의 컨벡션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컨벡션 전자렌지(101)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벽(102)에 의해 구분된 조리실(105) 및 부품실(130)을 형성하는 본체(103)를 가지고 있다. 조리실(105)에는 조리될 음식물이 수용된다. 부품실(130)에는 조리실(105)내에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품(131, 133, 135, 137)들이 내장된다. 격벽(102)에는 조리실(105)과 부품실(130)을 상호 연통하는 다수의 공기통과공(107)이 형성되어 있다.
조리실(105)에는 전방을 향해 개구된 음식물 출입구(106)가 형성되어 있다. 음식물 출입구(106)의 전면에는 좌우회동 개폐가능한 도어(111)가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105)의 내부에는 상부영역에 히터(도 1의 13)가 장착되어 있고, 배면에 컨벡션팬(도 1의 15)이 설치되어 있다. 컨벡션팬(15)은 히터(13)의 작동시 조리실(105)내에 발생되는 열을 대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저면에는 음식물을 안치시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17)이 마련되어 있다. 조리실(105)의 외측면에는 조리실(105)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기공(도시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부품실(130)에는 격벽(102)의 상측 중앙영역에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131), 고압트랜스(133) 및 고압콘덴서(135)가 장착되어 있다. 마그네트론(131)의 전방영역에 다수의 공기통과공(107)이 형성되어 있다. 부품실(130)내의 후방벽면에는 송풍팬(137)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137)은, 부품실(130)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부품(131, 133, 135)들의 냉각을 도모한다.
공기통과공(107)의 전면에는 송풍팬(137)으로부터의 송풍을 조리실(105)내로 안내하는 송풍안내관(139)이 결합된다. 송풍안내관(139)의 안내에 의해 공기통과공(107)을 통과하는 공기는, 조리실(105)내를 거쳐 조리실(105)의 측면에 마련된 배기공으로 유출된다. 부품실(130)로부터 조리실(105)로 유입되는 공기는 도어(111)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한편, 연기 및 냄새등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렌지(101)에서는, 조리실(105)내의 히터(13)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부품실(130)내의 부품(131, 133, 135)들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송풍팬(137)이 간헐적으로 작동하며, 이 때, 부품실(130)로부터의 송풍이 조리실(105)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경우, 히터(13)에 의해 가열된 조리실(105)내의 열손실이 발생하며, 이에 의해, 예정된 시간에 맞춰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리실(105)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알맞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히터를 사용한 음식물 조리시, 조리실내의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온도를 유지시켜, 음식물을 적당하고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 및 그 전자렌지의 송풍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관의 유로개폐장치를 갖는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로서, 송풍안내관 및 유로개폐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내의 송풍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는 종래의 송풍안내관을 갖는 전자렌지의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자렌지 5 : 조리실
7 : 도어 9 : 콘트롤판넬
13 : 히터 15 : 컨벡션팬
21 : 부품실 22 : 공기통과공
23 : 마그네트론 29 : 송풍팬
41 : 송풍안내관 43 : 공기유입구
47 : 플랜지부 51 : 공기유출구
53 : 만곡경사면 61 : 구동모터
65 : 루버 66 : 회전축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공기통과공을 가지는 격벽에 의해 구분된 조리실 및 부품실과, 상기 부품실에 설치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의 송풍을 상기 공기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송풍안내관을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내에 설치된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송풍안내관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안내관의 공기유입구측에 개방 및 폐쇄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루버;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히터의 작동시 상기 루버가 상기 송풍안내관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히터의 작동중지시 상기 루버가 상기 송풍안내관의 유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실과 조리실내에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부품실 및, 상기 조리실내에 히터를 가지며, 상기 부품실로부터 상기 조리실내로 송풍되는 전자렌지내의 송풍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품실과 상기 조리실의 송풍유로를 개폐시키는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의 작동시 상기 송풍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히터의 작동중지시 상기 송풍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내의 송풍제어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리실과 상기 부품실 사이의 송풍유로는 소정의 송풍안내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안내관의 공기유입구측에 개방 및 폐쇄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루버;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루버를 개폐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면, 전자렌지내의 송풍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전자렌지(1)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벽(20)에 의해 구분된 조리실(5) 및 부품실(21)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3)과, 본체프레임(3)의 상측 및 양측을 일체로 덮는 외측판(11)을 가지고 있다. 조리실(5)에는 조리될 음식물이 수용된다. 부품실(21)에는 조리실(105)내에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품(23, 25, 27, 29, 41)들이 내장된다. 격벽(20)에는 조리실(5)과 부품실(21)을 연통하는 다수의 공기통과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조리실(5)에는 전방을 향해 개구된 음식물 출입구(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 출입구(6)의 전면에는 좌우회동 개폐가능한 도어(7)가 설치되어 있다. 음식물 출입구(6)의 일측에는 도어(7)를 좌우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축(도시않음)이 마련된다. 도어(7)는, 콘트롤판넬(9)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도어버튼(10)에 의하여 개방된다.
조리실(5)의 내부에는 상부영역에 히터(13)가 장착되어 있고, 배면에 컨벡션팬(15)이 설치되어 있다. 컨벡션팬(15)은 히터(13)의 작동시 조리실(5)내에 발생되는 열을 대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저면에는 음식물을 안치시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6)이 마련되어 있다. 턴테이블(16)은 조리실(5)의 저면 하측에 설치된 도시않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조리실(5)의 외측면에는 조리실(5)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기공(도시않음)이 형성된다.
한편, 부품실(21)에는 격벽(20)의 상측 중앙영역에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23)이 설치되어 있다. 마그네트론(23)의 전방측에 다수의 공기통과공(22)이 형성된다. 저면(24)에는, 마그네트론(23)을 작동시키기 위한 예열전압 및 고전압을 만드는 고압트랜스(25)와 고압콘덴서(27)가 장착되어 있다. 부품실(21)내의 후방벽면에는 송풍팬(29)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29)은,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부품실(21)내의 부품(23, 25, 27)들의 냉각을 도모한다.
부품실(21)에는 또한, 공기통과공(22)의 전면에 송풍팬(29)으로부터의 송풍을 조리실(5)로 안내하는 송풍안내관(41)이 결합된다. 이 송풍안내관(41)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송풍안내관(41)의 안내에 의해 공기통과공(22)을 통과하는 공기는, 조리실(5)내를 거쳐 조리실(5)의 측면에 마련된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부품실(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도어(7)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한편, 조리실(5)내의 연기 및 냄새등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부품실(21)의 전면에는 콘트롤판넬(9)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콘트롤판넬(9)에는 음식물의 종류 및 그 조리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12)과, 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로, 송풍안내관 및 유로개폐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있는 바와 같이, 송풍안내관(41)에서는, 공기유입구(43)와 공기유출구(51)가 일측 변(44)을 공유하며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기유입구(43) 및 유출구(51)의 일측 변(44)에 대향하는 각각의 타측 변(45, 55)은 상호 만곡경사면(53)으로 연결되어 있다.
송풍안내관(41)은 또한, 공기유입구(43)의 상측 연부에 상부면(46) 방향으로 플랜지부(47)가 돌출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47)에 나사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나사공(48)을 관통하여 마그네트론(23)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볼트(도시않음)에 의해 송풍안내관(41)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공기유입구(43)는 부품실(21)내의 송풍팬(29)과 대향하고, 공기유출구(51)는 격벽(20)에 마련된 공기통과공(22)에 대응한다. 송풍안내관(41)의 상부면(46) 및 하부면(56)에는 공기유입구(43)에 인접하여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관통공(50a, 5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면(46)에는 관통공(50a)을 중심으로 상향 돌출된 부라켓(49)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송풍안내관(41)의 공기유입구(43) 영역에는 송풍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개폐장치는, 구동모터(61) 및 공기유입구(43)의 전면에 그 개구를 회전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루버(65)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61)는 정역구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송풍안내관(41)의 상부면(46)에 형성된 브라켓(49)에 수용고정된다. 이 때, 구동모터(61)의 구동축(63)은 송풍안내관(41)의 관통공(50a)을 통과한다.
루버(65)는 직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회전축(66, 67)을 가지고 있다. 이들 중 상부 회전축(66)은 송풍안내관(41)의 상부 관통공(50a)을 통과한 구동모터(61)의 구동축(63)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회전축(67)은 송풍안내관(41)의 하부 관통공(50b)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에 의해, 구동모터(61)의 구동시, 루버(65)는 회전축(66, 67)을 축으로 송풍안내관(41)의 공기유입구(45)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전자렌지(1)내의 송풍제어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기의 작동시 이루어진다. 조리실(5)내에 음식물을 수용시키고, 사용자가 기기를 작동시키면, 제어부는, 우선, 구동모터(61)에 신호를 보내 루버(65)가 송풍안내관(41)의 공기유입구(43)를 개방하도록 한다(S1). 그러면, 부품실(21)과 조리실(5) 사이의 송풍유로가 개방된다.
그런 다음, 마그네트론(23)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 이 때, 마그네트론(23)이 작동하여 고주파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가 진행되는 경우, 송풍유로의 개방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2).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는 저장된 송풍팬제어데이터에 기초하여, 송풍팬(29)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부품실(21)로부터 조리실(5)내로 송풍이 이루어져, 도어(7)의 이슬맺힘등이 방지된다.
한편, 마그네트론(23)이 작동하지 않은 경우, 히터(13)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S3). 이 때, 히터(13)가 작동하여 열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가 진행되면, 루버(65)를 폐쇄상태로 회전시켜 송풍유로를 차단시킨다(S4). 이러한 경우, 송풍팬(29)이 구동하더라도 부품실(21)로부터 조리실(5)내로의 송풍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이에 의해, 조리실(5)내의 열손실이 방지된다.
하지만, 히터(13)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전원공급상태를 점검한다(S5). 이 때, 파워가 온상태로 기기가 작동이 잠시 중단중일 경우에는, 역시 송풍유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킨다(S1). 파워가 오프상태일 때는 기기의 작동이 중단된다.
한편, 본 전자렌지(1)에서는, 마그네트론(23)과 히터(13)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내의 송풍제어방법에서는, 고주파 및 열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루버(65)가 송풍유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송풍유로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전자렌지(1)내의 송풍제어방법에서는, 또한, 히터(13)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중에, 히터(13)의 온/오프작동에 의한 구동중단시 또는, 도어(7)가 개방되는 경우, 기기의 이상발생시, 루버(65)를 개방상태로 회전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를 사용한 음식물 조리시, 조리실내의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조리실내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음식물을 적당하고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전자렌지 및 그 전자렌지의 송풍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다수의 공기통과공을 가지는 격벽에 의해 구분된 조리실 및 부품실과, 상기 부품실에 설치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의 송풍을 상기 공기통과공으로 안내하는 송풍안내관을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내에 설치된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송풍안내관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안내관의 공기유입구측에 개방 및 폐쇄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루버;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히터의 작동시 상기 루버가 상기 송풍안내관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하고, 상기 히터의 작동중지시 상기 루버가 상기 송풍안내관의 유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실과 조리실내에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부품실 및, 상기 조리실내에 히터를 가지며, 상기 부품실로부터 상기 조리실내로 송풍되는 전자렌지내의 송풍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품실과 상기 조리실의 송풍유로를 개폐시키는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의 작동시 상기 송풍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히터의 작동중지시 상기 송풍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내의 송풍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과 상기 부품실 사이의 송풍유로는 소정의 송풍안내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안내관의 공기유입구측에 개방 및 폐쇄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루버;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루버를 개폐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내의 송풍제어방법.
KR1019990042488A 1999-10-02 1999-10-02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KR20010035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488A KR20010035766A (ko) 1999-10-02 1999-10-02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488A KR20010035766A (ko) 1999-10-02 1999-10-02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766A true KR20010035766A (ko) 2001-05-07

Family

ID=1961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488A KR20010035766A (ko) 1999-10-02 1999-10-02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7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850B1 (ko) * 2000-02-1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470151Y1 (ko) * 2011-12-30 2013-11-29 김천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농수산물 건조기
CN103807887A (zh) * 2014-01-27 2014-05-21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音的变频微波炉及其实现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850B1 (ko) * 2000-02-1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470151Y1 (ko) * 2011-12-30 2013-11-29 김천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농수산물 건조기
CN103807887A (zh) * 2014-01-27 2014-05-21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音的变频微波炉及其实现方法
CN103807887B (zh) * 2014-01-27 2015-12-02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音的变频微波炉及其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05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4021831B2 (ja) 電子レンジ
KR20080079069A (ko)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292181A (ja) 電子レンジ
KR20010019506A (ko) 전자레인지의 댐퍼장치
KR20010035766A (ko) 전자렌지 및 그 내부의 송풍제어방법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JP2001311519A (ja) 加熱調理器
KR100500726B1 (ko) 전자렌지
KR100764276B1 (ko) 조리기구
KR20050102459A (ko) 전자렌지
JPH1019269A (ja) 電子レンジ
KR200182327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환풍장치
KR100402581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흡기장치
KR100643883B1 (ko) 피자 오븐
JP2000039153A (ja) 加熱調理器
KR200215232Y1 (ko) 전자렌지용 댐퍼장치
KR20070053566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100294591B1 (ko) 전자렌지의조리실외부공기유입장치
KR0113760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냉각장치
JPH04161725A (ja) 電子レンジのダンパー装置
KR100468122B1 (ko) 전자렌지
KR10067183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234099B1 (ko) 전자렌지
KR100303534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