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6Y1 -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6Y1
KR200200416Y1 KR2020000014796U KR20000014796U KR200200416Y1 KR 200200416 Y1 KR200200416 Y1 KR 200200416Y1 KR 2020000014796 U KR2020000014796 U KR 2020000014796U KR 20000014796 U KR20000014796 U KR 20000014796U KR 200200416 Y1 KR200200416 Y1 KR 200200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headset
switching
microphon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훈테크
Priority to KR2020000014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의 마이크 입력단자와 스피커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스피커와 헤드셋을 간편하게 절체시켜 주는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사운드카드(30)의 마이크 입력단자(Mike)에 연결되는 헤드셋의 마이크(10)에 연결되어 마이크(10) 사용 여부에 따라 마이크(10)의 입력을 온/오프시켜 주는 스위치(12)와;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1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12)의 온/오프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0)와; 상기 헤드셋의 이어폰(15)과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40)와 사운드카드(30)의 사운드 출력단자(SPK) 중간에 연결되어 스피커(40)를 통한 사운드 신호 출력을 상기 스위칭신호 발생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시켜 주는 스위칭부(45)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Converting Circuit for Mike and Speaker}
본 고안은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의 마이크 입력단자와 스피커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스피커와 헤드셋을 간편하게 절체시켜 주는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여 사운드 신호를 입력시켜 주거나 출력시켜 주는 사운드카드에는 사운드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는 마이크 단자와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스피커 출력 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마이크 단자 및 스피커 단자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연결하여 사운드 신호를 입출력시킴으로써 음악 청취, 음성 데이터 전송 등과 같은 용도로 이용한다.
특히, 근래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통신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운드카드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에 헤드셋의 마이크와 이어폰을 연결하여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다른 사운드 청취 즉, 음악 청취 등의 목적으로 스피커를 별도로 연결해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서, 헤드셋 이용과 스피커 이용을 바꿀 때마다 사용자는 사운드카드의 연결 상태를 변화시켜 주어야 한다.
그리고, 헤드셋을 이용하여 인터넷폰을 사용할 때 사운드카드와 스피커를 연결할 수 없고, 스피커 연결잭을 별도로 사용하여 스피커를 연결하면 인터넷폰을 사용할 때에 통화 내용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통화 내용을 들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스피커와 헤드셋을 동시에 연결해 놓고 어느 하나를 사용할 때마다 간단하게 절환함으로써 사용을 편리하게 해 주는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마이크 15 : 이어폰
20 : 스위칭 신호 발생부 30 : 사운드카드
40 : 스피커 45 : 스위칭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의 입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사운드 신호를 입출력시켜 주는 헤드셋 및 스피커를 서로 절환시켜 주는 절환 회로에 있어서, 사운드카드의 마이크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헤드셋의 마이크에 연결되어 마이크 사용 여부에 따라 마이크의 입력을 온/오프시켜 주는 스위치와;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와; 상기 헤드셋의 이어폰과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와 사운드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 중간에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한 사운드 신호 출력을 상기 스위칭신호 발생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시켜 주는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의 사운드카드(30) 입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사운드 신호를 입출력시켜 주는 헤드셋(10, 15) 및 스피커(40)를 서로 절환시켜 주는 절환 회로이다.
이를 위한 회로 구성은 사운드카드(30)의 마이크 입력단자(Mike)에 연결되는 헤드셋의 마이크(10)에 연결되어 마이크(10) 사용 여부에 따라 마이크(10)의 입력 을 온/오프시켜 주는 스위치(12)와;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1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12)의 온/오프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20)와; 상기 헤드셋의 이어폰(15)과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40)와 사운드카드(30)의 사운드 출력단자(SPK) 중간에 연결되어 스피커(40)를 통한 사운드 신호 출력을 상기 스위칭신호 발생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시켜 주는 스위칭부(4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0)는 일종의 D형 플립플롭 회로로써, 상기 스위치(12)의 온/오프에 따른 신호가 클럭 단자(C)를 통해 입력되면 토글링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Q와 Q_bar 단자 중에서 Q_bar 단자의 출력 신호를 스위칭 신호로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부(45)는 일종의 소형 릴레이로써,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0)의 Q_bar 단자에서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 작용을 해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사용자가 헤드셋이나 스피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용에 따라 스위치(12)를 누르면, 그 신호가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0)의 클럭 입력단자(C)에 입력되어 D형 플립플롭 회로의 Q_bar 단자의 출력이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환된다.
이 출력이 입력되는 스위칭부(45)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환되어 스피커(40)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다시 한번 스위치(12)를 온하면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20)의 출력이 반전 되어 상기 스위칭부(45)가 온되어 사운드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도 1의 미설명 부호 17은 저항으로써, 상기 스위치(12)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켜 주기 위한 동작 전압 공급을 위한 저항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는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스피커와 헤드셋을 동시에 연결해 놓고 사용할 때에 헤드셋의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가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편하게 절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폰과 같은 용도로 헤드셋을 사용할 때에 통화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의 입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사운드 신호를 입출력시켜 주는 헤드셋 및 스피커를 서로 절환시켜 주는 절환 회로에 있어서,
    사운드카드의 마이크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헤드셋의 마이크에 연결되어 마이크 사용 여부에 따라 마이크의 입력을 온/오프시켜 주는 스위치와;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와; 상기 헤드셋의 이어폰과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와 사운드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 중간에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한 사운드 신호 출력을 상기 스위칭신호 발생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시켜 주는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발생부는 D형 플립플롭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KR2020000014796U 2000-05-25 2000-05-25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KR200200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796U KR200200416Y1 (ko) 2000-05-25 2000-05-25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796U KR200200416Y1 (ko) 2000-05-25 2000-05-25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6Y1 true KR200200416Y1 (ko) 2000-10-16

Family

ID=1965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796U KR200200416Y1 (ko) 2000-05-25 2000-05-25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9374A (zh) 信号传输路径选择电路及应用该电路的电子装置
US7463743B2 (en) Electronic driving circuit for directing an audio signal selectively to one of two speakers
KR200200416Y1 (ko) 컴퓨터용 헤드셋 스피커 절환 회로
CN105554617A (zh) 一种耳机系统
CN1033547C (zh) 具有匹配输出的运算跨导放大器
KR200209082Y1 (ko) 인터넷폰의 입출력 스위칭장치
KR200287141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100379831B1 (ko)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폰 인터페이스장치
KR200210641Y1 (ko) 일반전화기를 사용한 인터넷전화 절환기
KR200178279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진 이어-마이크로폰
KR200189835Y1 (ko) 다용도 음성신호 입출력 보조장치
JP2001046969A (ja) スピーカの駆動方法及び携帯電話
KR200214069Y1 (ko) 일반전화기와 인터넷 전화의 선택적 사용을 위한 전환장치
JP3005438B2 (ja) スピーチネットワーク回路
TWM633456U (zh) 揚聲器系統
KR200197371Y1 (ko) 퍼스널 컴퓨터의 터미널 어댑터
KR200245218Y1 (ko) 인터넷폰스피커
KR20000023960A (ko) 인터넷 전화기
KR200287146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970014073A (ko) 통화가 가능한 입력장치
KR200163674Y1 (ko) 통합송수신기
JP2001218299A (ja) メロディ駆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232790B1 (ko) 링착신음 정형회로
KR2007007164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오디오 앰프 제어 회로
KR200234774Y1 (ko) 헤드셋용 컴퓨터 외장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