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653A - 굴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들이 형성되어진 조정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굴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들이 형성되어진 조정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653A
KR20020040653A KR1020010074764A KR20010074764A KR20020040653A KR 20020040653 A KR20020040653 A KR 20020040653A KR 1020010074764 A KR1020010074764 A KR 1020010074764A KR 20010074764 A KR20010074764 A KR 20010074764A KR 20020040653 A KR20020040653 A KR 2002004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mounting
roller
push rod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640B1 (ko
Inventor
키비란타리스토
레또퍼티
Original Assignee
티 드릴 오야 (핀란드 합자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 드릴 오야 (핀란드 합자회사) filed Critical 티 드릴 오야 (핀란드 합자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4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2Ball de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Forg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Actuator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대(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13)들이 형성되어진 조정 또는 측정 롤러(2)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굴대(1)는 경사진 추진면(9a,9b)들을 밀대(9)가 장착된 공동(4)을 가지며, 이는 스프링(10)의 힘의 결과로 고정부재(8)를 그 방출위치로 부터 그 고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고정부재(8)는 상기 실린더(4)의 굴대벽(3)내에 위치하는 공동 내에 위치된다. 상기 밀대(9)에 연결된 플런저(11)는 상기 스프링(10)의 힘에 대하여 상기 밀대를 상기 고정부재(8)가 그 고정위치로부터 그 방출위치로 이동될수 있도록 하여 그 위치에서 상기 롤러가 상기 굴대(1)로부터 제거되거나 상기 굴대에 장착될수 있는 위치에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수 있다.

Description

굴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들이 형성되어진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Mounting and dismounting mechanism for a straightening or calibrating roller rotatable about a spindle and provided with a circular groov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굴대의 주위에장착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굴대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굴대의 길이방향의 축에 대해 양방향으로 탈착 및 제거가능하게 적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굴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들이 형성되어진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축 또는 와이어를 조정하거나 또는 측정하는 공정에 적용되는 것으로, 금속 파이프나 축이 통과하여 전진시키기 위한 비교적 다수의 조정 또는 측정 롤러들을 포함한다. 파이프 또는 축의 직경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메카니즘은 개별적으로 규격화된 원형홈(circular groove)을 갖도록 제공된 롤러들로 다시 맞추어야만 한다. 공지의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은 너트 또는 쐐기 고정을 사용하며, 롤러의 교환작업은 공구를 필요로 한다. 교체되어야 할 롤러들이 다수이기 때문에 롤러들의 교환작업은 지루하고, 귀찮은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 없이 한손으로 잡는 손잡이에 의해 롤러의 신속한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서 규정한 특징적인 장점들에 기초하여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적인 구체예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다른 잇점들로는 예를 들면 상기 굴대 또는 메카니즘으로부터 어떤 고정메카니즘의 구성요소들도 제거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굴대 2 : 고정탭
3 : 굴대벽 4 : 공동
6 : 베어링 7 : 롤러
8 : 고정부재 9 : 밀대
10 : 스프링 11 : 플런저
12 : 기대 13 : 원형홈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하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적용예들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여기에서
도 1은 일례로서 조정 또는 측정 롤러에 대한 본 발명의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의 수직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고정 굴대(spindle) 상에 장착된, 베어링-고정 롤러를 포함하고; 그리고
도 2는 다른 일례로서의 동일한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상기 롤러는 회전가능하게 추축(樞軸)되는 굴대 상에 장착된 내부트랙(inner track)을 갖는다.
조정 또는 측정 롤러(7)에는 조정되어야 할 파이프 또는 축의 외주면의 반경에 일치하도록 맞추어진 곡률반경을 갖는 원형홈(13)이 제공되어진다. 상기 원형홈은 또한 보다 작은 직경의 봉들 또는 금속 와이어들을 조정하기 위한 브이홈(V-groov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일홈이 제한된 직경의 범위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상기 롤러(7)에는 굴대(1)에 장착되고, 그리고 고정부재(8)들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적용되는 베어링(6)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재(8)의 방출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6)은 그 롤러(7)를 따라 상기 굴대(1)의 길이방향의 축(A)에 대해 양방향으로 상기 굴대(1)의 주변으로부터 방출되어 제거된다.
상기 굴대(1)에는 120°의 간격으로 3개의 개구들이 벽에 형성된, 원통형 공동(4)이 형성되며, 상기 구형의 고정부재(8)들이 굴대벽(3)의 외부표면으로부터 천공되거나 천공되지 않은, 고정위치와 방출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원통형 공동의 내부에 적용된다.
상기 원통형 공동(4)에는 고정위치 및 방출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피스톤형 밀대(pusher)(9)가 제공된다. 상기 밀대에 대한 이들 위치들은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밀대(9)는 그 말단단부에 상기 굴대(1)의 길이방향의 축(A)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된 추진면(thrust face)(9a, 9b)들을 갖는다. 도면에 나타난 예에서, 상기 추진면은 보다 작은 각을 가지며, 고정부재의 고정위치에서 고정부재(8)에 면접하는 추진면부(9a)와; 보다 큰 각을 가지며, 고정위치와 방출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밀대(9)에 대해 요구되는 변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추진면부(9b)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진면(9a)의 낮은-기울기의 물매 각은 그 돌출된 고정위치에서 고정부재인 상기 볼(8)을 고정시키기 위한 충분한 보유력을 제공한다.
스프링(10)의 힘은 상기 밀대(9)를 그 방출위치로부터 앞서 서술된 고정위치까지 압박하고, 상기 밀대(9)의 상기 추진면(9a, 9b)은 상기 스프링(10)의 힘을 이용하여 고정부재(8)를 그 방출위치로부터 그 고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10)은 상기 밀대(9) 내에 형성된 원통형의 공간내에 들어맞는 길이를 갖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밀대(9)는 플런저(plunger)(11)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10)의 힘에 대해 상기 밀대(9)가 그 고정위치로부터 그 방출위치에로 가변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8)들은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상기 방출위치에로 가변되게 된다. 상기 플런저(11)는 상기 원통형 공동(4)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어링(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장부(11a)가 그 단부에 제공되는푸쉬로드(push rod)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롤러(7)을 교환하기 위한 상기 베어링(6)의 중앙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연장부(11a)가 들어맞도록 하는데 필요하다. 롤러의 교환의 공정에 있어서, 그 탈착은 단순히 상기 플런저(11)을 손바닥으로 내측으로 누르면서 동시에 상기 롤러(7)의 상기 홈(13)을 손가락들로 파지하여 상기 롤러를 그 위치에서 빼내는 것으로 유효하게 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롤러(7)를 굴대 상에 도입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1)를 내측으로 밀면서 동시에 상기 롤러(7)를 그 위치로 밀어넣는다. 상기 굴대(1)는 상기 베어링(6)을 원활하게 상기 굴대(1) 주위로 도입시키기 위한, 감소된 직경의 굴대 연장부(3a)가 그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의 내경과 상기 감소된 폭의 굴대 연장부(3a) 사이에는 공차가 있기 때문에, 상기 롤러(7)는 상기 굴대 연장부(3)의 길이를 따라 쉽게 밀어넣어질 수 있다. 상기 굴대(1)의 상기 굴대벽(3) 주위로 점진적인 밀어넣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감소된 폭의 굴대 연장부(3A)는 상기 롤러(7)에 대해 길이방향의 안내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롤러(7)를 상기 고정부재(8)들의 뒤로 상기 베어링(6)의 내부트랙의 어느 한 단부가 상기 굴대(1)에 존재하는 고리(collar)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원통형 굴대벽의 주위에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상술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굴대(1)는 기대(12)내의 고정용 홀(tapped hole) 내에 고정된 스크류탭(2)을 포함하는 고정헤드(fastening head)를 갖는다.
상기 기대(12)는 조정 또는 측정 메카니즘의 일부이다. 상기 고정탭(2)은 그 단부에 플랜지(flange)를 갖는 예를 들면 정방형의 굴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의하여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레이트 너머로 결합되게 옮겨갈 수 있도록 상기 굴대가 기대(12)로 기능하는 플레이트 내에 형성된, 연장된 오목부(recess)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카니즘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방출위치 내의 상기 밀대(9)를 가지고, 상기 볼(8)을 외부로부터 상기 굴대벽(3) 내에 위치하는 개구부 내로 떨어뜨리고, 계속해서 상기 개구부의 외측 모서리들이 상기 볼(8)이 더 이상 상기 개구부 밖으로 밀려나지 않게 맞물리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고정볼(8)들을 간단히 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맞물리는 정도는 상기 볼(8)들에 대한 최대의 돌출부를 선택하는 것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고정위치에서 나타낸 것 보다 약간 더 앞으로 튀어나온 것이다. 상기 플런저(11)는 예를 들면 그 단부에 존재하는 스크류탭부재를 상기 밀대(9)의 먼쪽 단부내에 존재하는 고정용 홀 내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 굴대(1)가 베어링(6)에 의해 그 기대(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는 점만이 도 1과 다르다. 따라서, 상기 롤러(7)는 베어링에 고정되지 않고, 대신에 상기 롤러는 그 내부트랙이 상기 회전가능한 굴대(1) 주위에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축(3)은 원형이 아닌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구체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잇점은 조정 또는 측정 메카니즘에서 교환되어어야 할 롤러(7)들의 수가 굴대(1)들이 수 보다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베어링(6)의 수가 적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잇점은 상기 롤러(7)의 굴대(1) 상에의 탑재가 사용된 베어링의 규격들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방사상의 혹은 축상의 규격화 모둥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다중의 원형홈들을 갖는 롤러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의하여 상기 롤러들의 회전 후에, 다양한 원형홈들을 동일한 파이프 또는 축인출선에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베어링-장착 롤러들로 인하여, 이러한 가능성의 유용성이 크게 제한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볼(8)들은 형태에 있어서 원통형 또는 원추형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밀대(9)의 동작이 축방향으로의 가변에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원형 운동 또는 축상 및 원형 운동의 조합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10)은 또한 그 위치 및 배열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기계적인 스프링 대신에 예를 들면 공압 또는 수압 파워유니트(power unit)의 사용이 가능하며, 여기에서 압력매체는 상기 기대(12)로부터 상기 굴대(1)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형 밀대(9) 너머 상기 원통형 공동(4) 내로 공급되도록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교환공정 동안에 상기 굴대 또는 메카니즘으로부터 어떤 고정메카니즘의 구성요소들도 제거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플런저(11)의 상기 밀대(9)의 단부와의 연결은 영구적으로 의도된 나사로 된 연결, 예를 들면 베이어닛형 퀵 릴리이즈 커플링(bayonet type quick release coupling) 또는 그저 핀/소켓 연결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어느 하나 및 동일한 플런저가 다양한 굴대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스프링 또는다른 파워유니트의 수단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고정이 수작업으로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8), 상기 고정부재(8)에 의하여 굴대(1)의 주위에 장착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굴대(1)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굴대(1)의 길이방향의 축(A)에 대해 양방향으로 탈착 및 제거가능하게 적용되는 롤러(7)를 포함하는 굴대(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13)들이 형성되어진 조정 또는 측정 롤러(7)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굴대(1)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굴대벽(3)을 갖는 원통형 공동(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8)가 그 내부에서 각각 상기 굴대의 외부표면으로부터 천공되거나 천공되지 않은, 고정위치와 방출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용되며, 상기 공동(4)에는 그 고정위치와 방출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밀대(9)가 적용되고, 상기 밀대(9)에는 고정부재(8)에 대한 추진면(9a, 9b)들이 형성되고, 파워유니트(10)가 상기 밀대(9)에 힘을 가하여 그 방출위치로부터 그 고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밀대(9)의 상기 추진면(9a, 9b)이 상기 파워유니트(10)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8)를 그 방출위치로부터 그 고정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밀대(9)가 플런저(11)와 연결되어, 그에 의하여 상기 밀대(9)가 상기 파워유니트(10)의 힘에 대해 그 고정위치로부터 그 방출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8)가 그 고정위치로부터 그 방출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9)가 서로에 대해 축상으로 이격된 고정위치와 방출위치를 가지며, 상기 추진면이 상기 굴대(1)의 길이방향의 축(A)에 대해 예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대(1)가 고정 굴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7)에 베어링(6)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대(1)가 회전가능하게 추축(樞軸)되는 굴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굴대(1)의 단부에 상기 롤러(7)를 사전 정렬시키기 위한 감소된 직경의 굴대 연장부가 제공되며, 그에 의해서, 상기 베어링(6)의 내부트랙 또는 상기 롤러(7)가 상기 굴대(1) 주위로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1)가 상기 원통형 공동(4)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어링(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장부(11a)가 그단부에 제공되는 푸쉬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면(9a, 9b)과 상기 길이방향의 축(A) 사이의 예각이 상기 밀대(9)의 먼쪽 단부 쪽으로 증가하고, 상기 추진면부(9a)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재(8)에 면접하도록 하는 보다 작은 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8)가 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8)와 그에 상응하는 상기 공동(4)의 굴대벽(3) 내의 개구부들의 수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3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10. 제1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유니트(10)가 그 길이 부분이 상기 밀대(9) 내에 형성된 공동 내에 들어맞는 기계적인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4)이 원통형이고, 상기 밀대(9)가 피스톤 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에 있어서, 교환공정 동안에 상기 굴대 또는 메카니즘으로부터 어떤 고정메카니즘의 구성요소들도 제거될 필요가 없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정 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KR1020010074764A 2000-11-24 2001-11-23 굴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들이 형성되어진 조정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KR100802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02582 2000-11-24
FI20002582A FI109339B (fi) 2000-11-24 2000-11-24 Akselin ympäri pyörivän, kehäuralla varustetun oikaisu- tai kalibrointirullan kiinnitys- ja irrotusmekanism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653A true KR20020040653A (ko) 2002-05-30
KR100802640B1 KR100802640B1 (ko) 2008-02-13

Family

ID=855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764A KR100802640B1 (ko) 2000-11-24 2001-11-23 굴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들이 형성되어진 조정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84013B2 (ko)
EP (1) EP1210994B1 (ko)
JP (1) JP3842113B2 (ko)
KR (1) KR100802640B1 (ko)
AT (1) ATE318190T1 (ko)
BR (1) BR0106185A (ko)
DE (1) DE60117359T2 (ko)
ES (1) ES2256188T3 (ko)
FI (1) FI109339B (ko)
MX (1) MXPA010119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1408A1 (en) * 2005-07-01 2007-01-04 Jergens, Inc. Release pin
WO2008027565A2 (en) * 2006-08-31 2008-03-06 Jergens, Inc. Release pin
US7419168B2 (en) * 2006-09-28 2008-09-02 Felty Paul G Skateboard wheel and axle assembly
US8533930B2 (en) * 2008-09-05 2013-09-17 Ati Industrial Automation, Inc. Manual robotic tool changer having rapid coupling mechanism
US9724830B2 (en) * 2008-09-05 2017-08-08 Ati Industrial Automation, Inc. Manual robotic tool changer with rolling members
US8584845B2 (en) 2010-04-23 2013-11-19 Ronald S. Soltis, JR.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 watch
TW201224306A (en) * 2010-12-09 2012-06-16 Da Ting Prec Industry Co Ltd Quick assembly device
CN102759351B (zh) * 2011-04-25 2015-06-03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大型环形设备基础螺栓套筒安装的测量定位方法
ZA201108941B (en) * 2011-12-06 2012-08-29 John Dowling Conveyor roller support arrangement
US8821061B2 (en) 2012-06-13 2014-09-02 Pivot Point, Incorporated Forward locking pull pin
CN103056245A (zh) * 2013-01-17 2013-04-24 张家港市金采阳机械有限公司 一种校直块
KR101389747B1 (ko) * 2013-04-09 2014-05-27 세대산전 주식회사 상품 진열 선반
AT514353B1 (de) * 2013-05-17 2016-03-15 Haas Food Equipment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im Wesentlichen biegeschlaffen Formkörpern
FR3047188B1 (fr) * 2016-01-29 2018-01-12 Constellium Issoire Outillage permettant la fabrication d’un produit en metal par coulee en charge
CN105751038B (zh) * 2016-03-31 2019-02-05 河北银箭体育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标枪打磨机床
EP3431732B1 (en) 2017-07-21 2020-04-22 Bosal Emission Control Systems NV Method for forming a collar in a muffler housing
CN109443160B (zh) * 2018-12-07 2021-06-25 中国航发南方工业有限公司 机匣内环形槽的外直径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0230970A (zh) * 2019-07-20 2019-09-13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可变直径检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5296A (en) * 1929-08-06 1934-10-02 United Res Corp Ball bearing pulley
US2806508A (en) * 1953-12-18 1957-09-17 Blaw Knox Co Bar straightening machine
GB774342A (en) * 1955-06-17 1957-05-08 Schloemann Ag Apparatus for the axial adjustment of the straightening roll shafts on machines for straightening section irons
US3097898A (en) * 1960-07-29 1963-07-16 George F Mcmurray Anti-friction bearing
US3498099A (en) 1968-02-08 1970-03-03 Sutton Eng Co Roll changing system for straighteners and the like
US3858280A (en) * 1972-11-17 1975-01-07 I D Engineering Inc Fastening clip
DE2439329C3 (de) * 1974-08-16 1982-02-25 Moeller & Neumann Gmbh, 6670 St Ingbert Rollenbefestigung für Rollenrichtmaschinen
DE2845506A1 (de) 1978-10-19 1980-04-24 Wirth Co Kg Masch Bohr Vorrichtung zur auswechselbaren halterung von rollen in der adjustage
US4655657A (en) * 1985-12-23 1987-04-07 John A. Duran Self-retaining positive locking bolt
FR2647513B1 (fr) * 1989-05-29 1991-08-30 Deutsch Co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 connecteur
US5060498A (en) * 1990-08-28 1991-10-29 Kawasaki Steel Corporation Section steel straightener with adjustable roller width
JPH06264921A (ja) * 1993-03-10 1994-09-20 Tadashi Iga 回転部材と一体のラジアル玉軸受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5692851A (en) * 1996-10-07 1997-12-02 Pace; Paul G. Elongated member connector
IT1299943B1 (it) * 1998-03-30 2000-04-04 Schnell Spa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la raddrizzatura di profilati metallici e simili.
US6331091B2 (en) * 1998-12-22 2001-12-18 Gary A. Cross Control-rod actuated axle assembly
US6390680B1 (en) * 2000-09-08 2002-05-21 Harry J. Last Extruded track construct component system with threaded radial bearing end pulley for swimming pool cove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8190T1 (de) 2006-03-15
DE60117359T2 (de) 2006-11-30
JP3842113B2 (ja) 2006-11-08
ES2256188T3 (es) 2006-07-16
DE60117359D1 (de) 2006-04-27
KR100802640B1 (ko) 2008-02-13
FI20002582A0 (fi) 2000-11-24
US20020092726A1 (en) 2002-07-18
FI109339B (fi) 2002-07-15
EP1210994A3 (en) 2003-12-17
EP1210994B1 (en) 2006-02-22
MXPA01011999A (es) 2004-07-16
US6884013B2 (en) 2005-04-26
BR0106185A (pt) 2002-07-30
JP2002254130A (ja) 2002-09-10
EP1210994A2 (en) 2002-06-05
FI20002582A (fi) 200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640B1 (ko) 굴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원형홈들이 형성되어진 조정또는 측정 롤러용 장착 및 탈착 메카니즘
JP2774539B2 (ja) カップリング装置
KR102360161B1 (ko) 스핀들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US20140353929A1 (en) Expanding arbor
US5658192A (en) Arrangement and corresponding adapter for receiving a rotating body in a centered and axially fixed manner
US5390448A (en) Modular expandable honing tool
WO2013037990A1 (en) Expanding arbor
CN113664569A (zh) 一种薄壁筒形件外表面加工夹具
JP6499529B2 (ja) クランプ装置
US5813300A (en) Precision center with an interchangeable double-arcuate floating collet
US6647879B1 (en) Bridge sleeve for printing apparatus
US202301388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nd Removing Bushing Assemblies
JP4393214B2 (ja) チャック装置
KR20140013011A (ko) 2개의 바람직하게 회전되는 대칭 부품의 분리형 연결을 위한 클램핑 시스템
US11192224B2 (en) Tool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moving components
CN113510657B (zh) 一种衬套装配工具及其装配方法
JP3009847B2 (ja) 工具用ホルダの位置決め装置
JP4522108B2 (ja) コレットチャック装置
JPWO2018207570A1 (ja) チャック機構
CN217045480U (zh) 一种便于加工定位的异型夹具
CN111195824B (zh) 内置气缸驱动式圆环外周面加工方法及加工机床
CN116900999A (zh) 套筒组装工装以及在单站式模压设备中将套筒与加热线圈组装的方法
EP1390164B1 (en) Arrangement for releasably connecting a dummy block to a press stem of an extrusion press
SU1738485A1 (ru) Зажимной патрон
CN114670137A (zh) 一种碳化硅检测装置装配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