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510A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510A
KR20020039510A KR1020000069359A KR20000069359A KR20020039510A KR 20020039510 A KR20020039510 A KR 20020039510A KR 1020000069359 A KR1020000069359 A KR 1020000069359A KR 20000069359 A KR20000069359 A KR 20000069359A KR 20020039510 A KR20020039510 A KR 20020039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ignal processing
wireless interface
processing mea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460B1 (ko
Inventor
최경섭
이상연
박형록
원창연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6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4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보 입출력부(210), 서킷 착발 신호 처리부(220), 패킷 착발 신호 처리부(230), 핸드오버 감지/처리부(240), 이동성 관리부(250), 메시지 비교/분석부(260), 통신 처리부(270), 및 제어부(280)로 구성되어,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 접속 구간의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검증하여 해당 무선 구간의 품질을 측정하고, 고주파 환경을 분석 검증하며, 또한 W-CDMA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의 특성, 기능, 파라미터 등을 분석 함으로서, 무선 구간의 통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An apparatus for testing a quality of Uu interface in IMT-2000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은 기존의 이동 통신 서비스와 아울러 음성, 데이터, 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을 매개로 단말기(10)와의 통신을 위한 기지국(111)과 그 기지국(111)의 제어를 위한 기지국 제어기(112)로 이루어진 억세스 망(110); 및 상기 억세스 망(110) 후단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112)와 연결되어 타 기지국 제어기와의 교환 제어를 위한 이동 교환국(121)을 포함하는 코아 망(120)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IMT-2000 서비스를 위한 망 구성은 구체화되어 개발된 상태이나, 망 구성을 위한 각종 장치간 인터페이스 구간을 검증하기 위한 장치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며, 특히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을 매개로한 통신 신호의 전달시 무선 환경의 악화 및/또는 양측 장치의 불량 등 각종 요인에 의해 발생가능한 통신 품질 저하 현상을 추적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IMT-2000의 상용화 시 최상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간의 통신 품질 검사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의해 창작된 것으로서, IMT-2000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의 통신 품질을 추적 검사할 수 있도록 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가 도 1과 같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Uu 인터페이스에 무선 접속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본 발명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
210 ; 정보 입출력부 220 : 서킷 착발신호 처리부
230 : 패킷 착발신호 처리부 240 : 핸드오버 감지/처리부
250 : 이동성 관리부 260 : 고주파 특성 분석부
270 : 모뎀 특성 분석부 280 : 메시지 비교/분석부
290 : 통신 처리부 30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는, 무선 구간을 매개로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기지국과 그 기지국의 제어를 위한 기지국 제어기로 이루어진 억세스 망; 및 상기 억세스 망 후단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타 기지국 제어기와의 교환 제어를 위한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코아 망을 구비하여,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Uu 인터페이스) 구간 전송에 적합한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필요한 정보를 출력토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정보 입출력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서킷(Circuit) 착발신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패킷(Packet) 착발신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임의 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핸드오버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핸드오버 메시지를 처리하는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임의 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이동성 관리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수단;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의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주파수 특성 분석 수단; 모뎀의 특성, 기능 및 파라메타 분석을 수행하는 모뎀 특성 분석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및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을 통해 입력 처리되는 상기 각종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정형화된 기준 규격과 비교 분석하며 그 결과를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메시지 비교/분석 수단;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및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접속을 위한 통신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모뎀 처리 수단; 및 상기 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핸드오버 감지 및 처리 수단, 이동성 관리 수단, 및 메시지 비교/분석 수단에서의 메시지 생성 및 초기화와 각 수단의 내부 통신 처리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에서의 상기 이동성 관리는 이동국의 위치 등록, 위치 변경, 인증, 및 암호화 관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핸드오버 감지 및 처리 수단, 이동성 관리 수단, 및 메시지 비교/분석 수단에서의 내부 통신은 메시지 큐를 통해 수행되되, 상기 각 수단의 메시지 큐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200)가 도 1과 같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에서 단말기(10)와 기지국(111)간의 Uu 인터페이스에 무선 접속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여기서 본 발명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200)는 IMT-2000 기술방식 중 유럽 표준인 3GPP 규격 즉 비동기 W-CDMA 방식의 Uu 인터 페이스(단말기와 기지국간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의 메시지 및 RF 환경 등 무선 인터페이스를 검증한다.
도 3은 도 2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는(200)는, 단말기와 기지국간 무선 인터페이스(Uu Interface) 구간 전송에 적합한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하여,외부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필요한 정보를 출력토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정보 입출력부(210);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서킷(Circuit) 착발신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서킷 착발 신호 처리부(220);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패킷(Packet) 착발신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패킷 착발 신호 처리부(230); 임의 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핸드오버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핸드오버 메시지를 처리하는 핸드오버 감지/처리부(240); 임의 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이동성 관리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부(250);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의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고주파(RF) 특성을 분석하는 주파수 특성 분석부(260); 광대역 CDMA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의 특성, 기능 및 파라메타 분석을 수행하는 모뎀 특성 분석부(270);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부(220),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부(230),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부(240), 및 상기 이동성 관리부(250)를 통해 입력 처리되는 상기 각종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정형화된 기준 규격과 비교 분석하며 그 결과를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 통해 출력하는 메시지 비교/분석부(280);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부(220),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부(230),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부(240), 및 상기 이동성 관리부(250)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접속을 위한 통신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 및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부(220),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부(230), 상기핸드오버 감지/처리부(240), 상기 이동성 관리부(250), 및 상기 메시지 비교/분석부(280)에서의 메시지 생성 및 초기화와 각 수단(220-280)의 내부 통신 처리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는 상기 단말기(10)와 상기 기지국(111)간의 무선 접속 구간인 Uu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구성을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분석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raphical User Interface : GUI)로 구현하며, 입력 경로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메시지 큐를 통해 상기 각 부(220-28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된 정보는 구문의 정확성을 검증하여 상기 각 부(220-280)로 정확한 메시지를 송신하며,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수신 타이머가 구동하여 응답 메시지 수신 실패 시 이를 출력 경로를 통해 표기한다.
상기 서킷 착발신호 처리부(220)와 상기 패킷 착발신 처리부(230)는 각각 단말기로부터의 서킷 및 패킷 착발신 관련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성 관리부(250)는 각각 이동국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기능 즉, 위치 등록, 위치 변경, 인증, 암호화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부(240)는 동국의 이동으로 인한 소프터(Softer), 소프트(Soft), 또는 하드(Hard) 핸드오프(Handoff) 상황을 감지부에서 감지하고, 그 감지된 정보를 메시지 큐를 통하여 핸드오버 처리부로 전송하며 그 처리부는 관련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고주파 특성 분석부(26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IMT-2000 주파수 대역 2GHz에서의 고주파 특성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모뎀 특성 분석부(270)는 W-CDMA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의 특성, 기능, 및 파라메타 등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비교/분석부(280)는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를 통해 수신된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정형화된 규격과 비교/분석하며, 분석된 메시지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로 메시지큐를 이용하여 전달되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는 IMT-2000 시스템의 광대역(Broadband) 서비스를 만족시키기 위해 모든 신호 및 가입자 정보를 W-CDMA 방식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각 부(220-28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 이와 역방향인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호 접속 전달되도록 신호 처리한다. 또한 RF 신호로 무선 구간을 이동하므로 무선 전송 구간 접속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각 부(220-280)에서의 각종 Uu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생성 및 초기화와 내부 통신 수단인 메시지 큐를 감시 제어하며, 그 각 부(220-280)의 이상 시 이를 감지하여 재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각 부(220-280)에서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 메시지의 수신을 위한 수신 타이머가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타이머의 구동 여부를 감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어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Uu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구성을 위한 각종 정보를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를 통해 입력하고 그 입력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300) 제어하의 메시지 큐를 통해 해당 상기 각 부(220-280) 중 해당 기능 블록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서킷/패킷 착발신호 처리부(220/230)는 상기 전달된 정보에 근거하여 Uu 인터페이스로부터와 무선 접속된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를 통해 단말기의 서킷/패킷 착발신호 관련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과정을 수행하고 검증토록 한다.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부(240)는 상기 전달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이동으로 인한 핸드오버 발생 시 관련되는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를 통해 수신 감지하고 그 감지된 메시지에 따라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이동성 관리부(250)는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를 통해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등록, 위치 변경, 인증 및 암호화 등의 이동성 관련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메시지에 따른 단말기 이동성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분석부(280)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를 통한 각종 정보 입력에 따른 상기 각종 기능 블록(220-260)의 상기와 같은 동작 시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해당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정형화된 기준 메시지 규격과 비교 분석하여 검증함으로서, 상기 Uu 인터페이스구간의 품질 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로 전달하여 외브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상기 고주파 특성 분석부(260)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근거한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Uu 인터페이스 구간의 고주파를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를 통해 검출하여 해당 대역 즉 IMT-2000 시스템의 사용 대역인 2GHz에서의 고주파 특성을 분석하여 Uu 인터페이스 구간의 고주파 환경을 검증한다.
또한, 상기 모뎀 특성 분석부(270) 상기 정보 입출력부(210)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근거한 상기 제어부(300)dlm 제어에 따라 상기 고주파 모뎀 처리부(290)의 W-CDMA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부의 특성과 기능 및 파라미터 등을 분석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는,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 접속 구간의 Uu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검증하여 해당 무선 구간의 품질을 측정하고, 고주파 환경을 분석 검증하며, 또한 W-CDMA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의 특성, 기능, 파라미터 등을 분석 함으로서, 무선 구간의 통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3)

  1. 무선 구간을 매개로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기지국과 그 기지국의 제어를 위한 기지국 제어기로 이루어진 억세스 망; 및 상기 억세스 망 후단에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타 기지국 제어기와의 교환 제어를 위한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코아 망을 구비하여,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Uu 인터페이스) 구간 전송에 적합한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고 필요한 정보를 출력토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정보 입출력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서킷(Circuit) 착발신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패킷(Packet) 착발신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임의 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핸드오버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핸드오버 메시지를 처리하는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임의 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이동성 관리 관련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수단;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의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주파수 특성 분석 수단;
    모뎀의 특성, 기능 및 파라메타 분석을 수행하는 모뎀 특성 분석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및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을 통해 입력 처리되는 상기 각종 무선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정형화된 기준 규격과 비교 분석하며 그 결과를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메시지 비교/분석 수단;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및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접속을 위한 통신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모뎀 처리 수단; 및
    상기 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 및 상기 메시지 비교/분석 수단에서의 메시지 생성 및 초기화와 각 수단의 내부 통신 처리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에서의 상기 이동성 관리는 이동국의 위치 등록, 위치 변경, 인증, 및 암호화 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패킷 착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핸드오버 감지/처리 수단, 상기 이동성 관리 수단, 및 상기 메시지 비교/분석 수단에서의 내부 통신은 메시지 큐를 통해 수행되되, 상기 각 수단의메시지 큐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
KR1020000069359A 2000-11-21 2000-11-21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KR10072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359A KR100729460B1 (ko) 2000-11-21 2000-11-21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359A KR100729460B1 (ko) 2000-11-21 2000-11-21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510A true KR20020039510A (ko) 2002-05-27
KR100729460B1 KR100729460B1 (ko) 2007-06-15

Family

ID=1970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359A KR100729460B1 (ko) 2000-11-21 2000-11-21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4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76B1 (ko) * 2002-07-29 2005-06-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시스템 및 방법
KR100517236B1 (ko) * 2002-11-11 2005-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영상 전송 에러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6465B1 (ko) * 2006-01-11 2007-08-0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828376B1 (ko) * 2006-04-06 2008-05-1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에서의 호 추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7794B2 (ja) * 1991-08-21 1998-07-23 東陶機器株式会社 トイレ装置
KR0176389B1 (ko) * 1995-12-21 1999-05-15 유기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KR0179197B1 (ko) * 1995-12-30 1999-05-15 유기범 기지국 선별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79595B1 (ko) * 1995-12-30 1999-05-15 유기범 기지국별 위치 보고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JPH102002A (ja) * 1996-06-17 1998-01-06 Daiwa:Kk 排水桝と排水桝の内底形成方法
JP2857750B2 (ja) * 1996-06-18 1999-02-17 株式会社淀川製鋼所 開閉式溝蓋
KR100279679B1 (ko) * 1998-12-02 2001-02-01 정선종 차세대 이동 통신 교환기의 이동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험장치
KR100419889B1 (ko) * 2001-05-31 2004-03-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기지국 테스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76B1 (ko) * 2002-07-29 2005-06-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시스템에서 패킷 코아망의 성능 및 용량 측정시스템 및 방법
KR100517236B1 (ko) * 2002-11-11 2005-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영상 전송 에러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6465B1 (ko) * 2006-01-11 2007-08-0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828376B1 (ko) * 2006-04-06 2008-05-1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에서의 호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460B1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740B2 (en)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resources and terminal
US6308065B1 (en) Apparatus for testing cellular base stations
US8320260B2 (en) Method of monitoring cel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I108984B (fi) Solukkoradiojärjestelmän toiminnan mittausmenetelmä ja solukkoradiojärjestelmä
WO2010146095A1 (en) Quality control for inter-cell handover
JP3828932B2 (ja) 移動装置における方法と装置
JP6768794B2 (ja) 低出力無線周波数(rf)データパケット信号送受信機を試験する方法
US20070099606A1 (en) Emulating device
KR100729460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KR1003462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 경고모드 결정장치 및 방법
KR101450180B1 (ko) 홈 기지국의 출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10489B1 (ko) 사용자 선택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
KR100658118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 검사 장치
US11838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data packet signal transceiver
US771534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595707B1 (ko) 듀얼모드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스위치 장치 및 방법
KR10031421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통화채널 및 제어국의 보코더
CN101053180B (zh) 异步通信网络与同步通信网络的混合网络中的切换方法
KR101307033B1 (ko)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이상유무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08235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버전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0828376B1 (ko) 휴대 인터넷망에서의 호 추적 시스템 및 방법
JP3833643B2 (ja) 端末テスタ
JP4798107B2 (ja) 通信回路の測定評価方法及び測定評価システム装置
JP3797842B2 (ja) 無線装置の故障診断方法
KR10046435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