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355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355B1
KR100464355B1 KR1019970041535A KR19970041535A KR100464355B1 KR 100464355 B1 KR100464355 B1 KR 100464355B1 KR 1019970041535 A KR1019970041535 A KR 1019970041535A KR 19970041535 A KR19970041535 A KR 19970041535A KR 100464355 B1 KR100464355 B1 KR 10046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ireless
radio
communication system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325A (ko
Inventor
황선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1998007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 지역에 가장 적합한 셀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지그 모듈에서 착신, 발신, 위치등록, 핸드 오버등을 제어하여, 휴대단말기가 무선기지국의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온라인 서비스를 받는 것처럼 동작시킴으로써, 통화 품질을 검사하고 통화 품질이 가장 좋은 지역에서 마이크로 셀을 구성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셀(Micro Cell)을 시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의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은 무선교환기로부터 원격지에 위치된 장소에 유선으로 접속된 무선기지국을 설치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발신 및 착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마이크로 셀(반경이 200미터 이하) 개념을 이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00에 연결된 사설교환기110 내부에는 무선기지국 제어장치(Controller of CFP : 도면에서 CCFP라고 도시되어 있음)12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은 마이크로 셀130,140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기지국(Cordless Fixed Part : 도면에서 CFP라고 도시되어 있음)150,16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로 셀130,140은 어느 정도의 공통영역을 가지며 서로 인접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은 모든 무선기지국들150,160를 제어하여 호를 스위칭하고 연결시킨다. 무선기지국150,160은 해당 마이크로 셀130,140내에 있는 무선단말기들171,172,173,174와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음성 및 각종 제어정보를 전달하는 고정장치이다. 무선단말기(Cordless Portable Part : CPP)들171,172,173,174는 해당 마이크로 셀130,140내의 무선기지국150,160과 설정된 무선 링크를 통해 가입자가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휴대가능한 단말이다. 예를 들어, 무선단말기172가 마이크로 셀130내에서 무선기지국150와 무선 링크를 성립한 후, 상기 마이크로 셀130을 벗어나려 할 때 상호간의 무선 감도가 약해지므로 무선 링크가 끊어져 통화가 절된다. 이와 같이 무선단말기172가 마이크로 셀130을 벗어나면, 무선 링크가 끊어져 통화가 절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무선통신의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기능을 갖는다. 무선단말기172를 가진 가입자가 해당 마이크로 셀130을 벗어나려 할 때 무선기지국150은 그때의 무선전계 강도의 감지로 이를 알아차리게 되고,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에 핸드오버를 요구한다.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은 상기 핸드오버 요구에 응답하여 무선기지국150으로 핸드오버를 받아들일 것을 요구한다. 이와 같이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은 벗어나려는 모든 셀내의 무선기지국들로 핸드오버를 받아들일 것을 요구한다. 상기 요구에 의해 무선단말기172와 가장 가까이 있는 셀내의 무선기지국과 링크가 재성립되어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무선단말기172가 셀140으로 이동하였다면 무선기지국160과 링크가 재성립되고 그에 따라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은 발신뿐만 아니라 착신, 무선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핸드오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를 가장 효율적으로 제공하하고, 좋은 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무선단말기, 무선기지국, 무선기지국 제어장치들의 자체 성능뿐만 아니라 이를 서비스 지역에 가장 적합한 마이크로 셀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고품질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적합한 마이크로 셀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 마이크로 셀내의 무선기지국 및 무선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무선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종래 마이크로 셀 구성을 검사하는 방법은 셀 시뮬레이터(cell simulator) 또는 RF장비들을 무선기지국 및 무선단말기에 위치시켜 무선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종래 셀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셀 구성을 검사하는 방법은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적절한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가 많고, 비록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이 있더하더라도 가격이 비싼다. 또한, 종래 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셀 구성을 검사하는 방법은 상기 마이크로 셀 구성을 예측할 수 있지만 실제 상황과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RF장비를 사용하여 무선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마이크로 셀 구성을 시험하는 경우는 상기 RF장비가 무겁고 커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 셀 구성을 측정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RF장비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셀 구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실제 설치된 무선기지국의 RF특성들이 모두 약간씩 차이가 나는 것을 감안하여 최종적으로 다시 한번 실제 무선기지국을 설치하여 셀 구성 시험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기지국에서 마이크로 셀을 시험하기 위한 호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셀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셀을 구성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온 라인 모드와 지그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지그 모드시 무선기지국의 착발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지그 모드에서 무선기지국의 마이크로 셀의 구성을 검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기지국에서 발신, 착신, 핸드오버 등을 처리하는 지그 프로그램 모듈를 구비하고, 지그 모드로 동작할 때 각 포트의 음성 채널을 내부에서 스위칭하여 마이크로 셀 구성을 시험함으로써, 가장 통화 품질이 우수한 마이크로 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셀의 구성을 시험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나의 마이크로 셀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마이크로 셀은 도1에 도시된 셀130으로서, 무선기지국150과 무선기지국의 전원용 충전장치201과 무선기지국의 모니터용 단말기202와 무선단말기171,172로 구성된다. 삼각대203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기지국150를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통신시스템의 셀 구성 시험 장치에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와 무선기지국150과 무선단말기171 상호간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지국150의 지그 모듈은 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무선단말기171으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약어는 각각 다음과 같다. SLI1/2/3은 Single Line Layer_1/2/3 Interface이고, SLI은 Single Line Interface이고, CL1/2/3은 Cordless Line Layer_1/2/3 Interface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셀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무선기지국150은 무선단말기171,172를 원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착신, 발신, 핸드오버, 위치등록 등의 시험을 하는 지그 모듈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셀의 구성을 검사하기 위한 지그 모듈은 전송되는 모든 layer3 메시지를 가로채고, 상기 메시지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지그 모듈은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에 의한 제어없이도 착신, 발신, 핸드오버, 위치등록 등의 기능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과 무선기지국150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온라인 서비스를 수행하므로 상기 지그 모듈은 동작하지 않는다. 무선단말기150에서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무선단말기171의 CL3 → 무선단말기171의 CL2 → 무선단말기171의 CL1 → 전송매체(air) → 무선기지국150의 CL1 → 무선기지국150의 CL2 → 무선기지국150의 CL3 → 무선기지국150의 SL3 → 무선기지국150의 SL2 → 무선기지국150의 SL1 → 전송매체(전송로) →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SL1 →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SL2 →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SL3 →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호 서비스 모듈
한편,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에서 무선단말기171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호 서비스 모듈 →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SL3 →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SL2 →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의 SL1 → 전송매체(전송로) → 무선기지국150의 SL1 → 무선기지국150의 SL2 → 무선기지국150의 SL3 → 무선기지국150의 CL3 → 무선기지국150의 CL2 → 무선기지국150의 CL1 → 전송매체(air) → 무선단말기171의 CL1 → 무선단말기171의 CL2 → 무선단말기171의 CL3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셀의 구성을 측정하는 지그 모듈이 동작시에는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과 무선기지국150간의 메시지 전송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셀의 구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 모드시 무선단말기171에서 무선기지국150의 지그 모듈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무선단말기171의 CL3 → 무선단말기171의 CL2 → 무선단말기171의 CL1 → 전송매체(air) → 무선기지국150의 CL1 → 무선기지국150의 CL2 → 무선기지국150의 CL3 → 무선기지국150의 SL3 → 무선기지국150의 지그 모듈
한편, 무선기지국150의 지그 모듈에서 무선단말기171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무선기지국150의 지그 모듈 → 무선기지국150의 SL3 → 무선기지국150의 SL2 → 무선기지국150의 SL1 → 전송매체(air) → 무선단말기171의 CL1 → 무선단말기171의 CL2 → 무선단말기171의 CL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지국150의 지그 모듈은 상기 메시지 전송 과정을 통해 착신, 발신, 위치등록, 핸드오버 등과 같은 layer3 메시지를 모두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기지국 제어장치120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지그 모듈은 무선단말기 등록 기능, 발호 인증 기능, 착호 기능, 핸드오버 메시지 처리 및 슈퍼바이저 기능을 수행하여 셀 구성 시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등록 기능과 발호 인증 기능과 착호 기능과 핸드오버 메시지 처리 기능을 통해 셀 구성 시험을 수행하여 통화 품질이 우수한 무선 셀을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셀 구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셀 구성 시험 장치에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5)

  1. 무선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고 유선으로 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교환기간의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기지국을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교환기가 연결된 상태인 온 라인 모드와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무선 링크만 형성된 상태인 지그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지그 모드시 온라인 모듈과 지그 모듈간을 스위칭하는 과정과,
    상기 지그 모드에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무선단말기간의 호 서비스를 수행하여 무선 셀의 구성을 시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모드에서 온라인 모드가 선택되면 지그 모듈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고, 디스에이블된 온라인 모듈을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모듈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교환기간의 유선 구간에서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간에서 호처리 메시지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모듈에서 착신, 발신, 위치등록, 핸드오버등의 호처리 메시지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교환기가 연결되어 온라인 서비스를 받는 것처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셀의 구성을 시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 지역에 가장 적합한 무선 셀을 설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을 시험하는 방법.
KR1019970041535A 1997-04-10 1997-08-2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KR100464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13195 1997-04-10
KR1019970013195 1997-04-10
KR97-13195 1997-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325A KR19980079325A (ko) 1998-11-25
KR100464355B1 true KR100464355B1 (ko) 2005-05-24

Family

ID=3730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535A KR100464355B1 (ko) 1997-04-10 1997-08-2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81B1 (ko) * 2005-06-0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설계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7557A (en) * 1991-11-06 1994-10-18 Nec Corporation Inter-mobile-terminal testing method in cellular automobile telephone system
KR960020036A (ko) * 1994-11-17 1996-06-17 김광호 셀룰라 기지국 시험장치
JPH0918935A (ja) * 1995-06-26 1997-01-17 Fujitsu Ltd 無線系試験制御方式
KR970008939A (ko) * 1995-07-21 1997-02-24 김광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기지국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H09162802A (ja) * 1995-11-15 1997-06-20 Fr Telecom セル型電気通信網におけるセル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7557A (en) * 1991-11-06 1994-10-18 Nec Corporation Inter-mobile-terminal testing method in cellular automobile telephone system
KR960020036A (ko) * 1994-11-17 1996-06-17 김광호 셀룰라 기지국 시험장치
JPH0918935A (ja) * 1995-06-26 1997-01-17 Fujitsu Ltd 無線系試験制御方式
KR970008939A (ko) * 1995-07-21 1997-02-24 김광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기지국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H09162802A (ja) * 1995-11-15 1997-06-20 Fr Telecom セル型電気通信網におけるセル試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325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8078B2 (ja) セルラサービスの検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JP2972445B2 (ja) 電界レベル測定方式
CN101347008A (zh) 控制无线通信网络中基站的方法
EP1016296B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KR1998006887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호 설정방법
JPH10500552A (ja) 無線カバーエリアを測定するための組み込み測定装置を有する移動無線通信装置
US6185419B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453485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경로조정과사용료기록을점검하는테스트장치및테스트시스템
KR10046435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셀 구성 시험 방법
WO2006079252A1 (fr) Procede servant a confirmer la presence d'un terminal d'utilisateur mobile et a compter le nombre de terminaux presents en utilisant un simulateur de station de base
JPH03186025A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路切換方法
KR100260401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보코더 성능 시험 방법
KR10031421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통화채널 및 제어국의 보코더
KR100285955B1 (ko) 단말기를이용한기지국의원격유지보수방법및장치
JPH0669849A (ja) 試験機能を有する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試験方法
KR100729460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품질검사 장치
KR0169453B1 (ko) 셀 반경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266815B1 (ko) 무선교환시스템에서무선기지국의수신전계강도를측정하는방법
JPH10341197A (ja) 携帯電話機
KR100221526B1 (ko)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의 통화로 시험신호 지정방법
KR100648189B1 (ko) 다수 이동국 시험용 중계 장치
CN101291520A (zh) 确认移动用户终端存在并向其发送短信息的方法及装置
KR19980015967A (ko) 마이크로셀 무선통신망의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600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CN105682065A (zh) 紧急通信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