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728A - 암 및 기타 질병 치료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아염소산염 용액 - Google Patents

암 및 기타 질병 치료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아염소산염 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728A
KR20020038728A KR1020027002066A KR20027002066A KR20020038728A KR 20020038728 A KR20020038728 A KR 20020038728A KR 1020027002066 A KR1020027002066 A KR 1020027002066A KR 20027002066 A KR20027002066 A KR 20027002066A KR 20020038728 A KR20020038728 A KR 20020038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ells
macrophages
stabilized chlorite
stab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리히 베. 쿠네
비탐 코델자
Original Assignee
옥소 케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소 케미 아게 filed Critical 옥소 케미 아게
Publication of KR2002003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7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0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그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경우, 인터페론 감마와 유사한 방식으로 면역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지만 종양 괴사 인자 알파와 같은 염증 및 쇼크와 관련된 사이토카인의 생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또한 대식세포에서 종양 전환과 관련되어 발현되는 단백질인 DCC 단백질의 발현을 상향조절한다. 대식세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면역조절제로서 유용하며 암 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Description

암 및 기타 질병 치료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용액 {Chemically-Stabilized Chlorite Solutions for Treating Cancer and Other Diseases}
본 발명은 면역조절제 및 항암제로서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에 관한 것이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인터페론 감마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종양 괴사 인자 알파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의 방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또한 대식세포에서 종양 전환과 관련되어 발현되는 단백질인 결장암에서 결실된 (DCC) 단백질의 발현을 상향조절한다. 대식세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면역조절제로서 유용하며 암 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면역 반응은 공통적으로 면역계에 의한 항원 (외래 항원 또는 외래 항원으로 인식되는 자가 항원) 인식 후의 처리를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항원은 세포 (일반적으로,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기타 항원 제시 세포 (APC))의 세포질, 소포체 (ER) 및 라이소좀 또는 혈청내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분해된 항원은 MHC 클래스 I 또는 II 분자에 의해 APC의 표면상에 제시된다. 항원 제시란 이와 같이 MHC 분자에 의해 항원 에피토프가 제시된 다음, T 세포상의 T 세포 수용체 (TCR)로 결합하는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Rodgers, J. R., et al., CLINICALIMMUN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RICH): "Antigens and antigen presentation," Chpt. 7, pp 114-131, Mosby, St. Louis, MO (1996)).
면역 반응의 조절은 다양한 사이토카인 또는 림포카인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는 치료에 의해 달성되어 왔다. 특히, 인터페론 (IFN)은 병원체에 대한 포유동물 숙주의 내성에서 복합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암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사이토카인 종류이다. 타입 I 인터페론 (IFN-α및 IFN-β)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의해 분비되지만, 타입 II 인터페론 (IFN-χ)은 활성 상태에 있는 흉선 유래의 세포, 및 자연 킬러 세포 (NK 세포)에 의해 분비된다.
무엇보다도, IFN-χ는 IFN-α및 IFN-β에 비해 훨씬 더 낮은 농도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가지며 (Rubin, B. Y. et al., (1980): Proc. Natl. Acad. Sci. U. S. A., 77,5928), 또한 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자연 킬러 세포, 킬러 T-세포, K-세포 및 대식세포를 비롯한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J. L. Crane et al., J. Natl. Cancer Inst., 61,871-874,1978; J. E. Blalock et al., Cell Immunol., 49, 390-394,1980) (이 문헌에는 감마-인터페론의 항종양 활성이 알파- 및 베타-인터페론의 항종양 활성보다 20배 내지 100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268,169호에는 난소암의 치료를 위한 IFN-χ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재조합 물질의 생산 비용이 고가이고, IFN-χ가 염증 및 쇼크와 관련된 사이토카인, 예를 들어 TNF-α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암 치료 및 면역 반응의 조절에 있어서 정제된 재조합 인터페론의 사용은 제한적으로만 성공적인 것이었다. 또한, 사이토카인과 같은 단백질 화합물의 투여는투여되는 단백질에 대해 해로운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
정맥내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수용액은 공지되어 있다. 다른 염소-함유 용액도 또한 보고된 의학적 용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019,402호에는 혈구, 즉 백혈구, 혈소판, 응고 인자 및 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외한, 저장된 혈액 성분의 멸균화에 사용될 수 있는 이산화 염소 함유 용액, 또는 이산화 염소가 유리되어 있는 아염소산염, 약산성 완충액 및 열-안정화된 당류의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전혈에서는, 아마도 혈구가 표적화된 미생물보다 이산화 염소에 의해 보다 빠르게 공격받기 때문에, 상응하는 균제거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비경구 투여에 적합하지 못하다.
DE-OS 32 13 389, 미국 특허 제4,507,285호 및 동 제4,296,103호에는 외부 또는 구강 치료용으로 적합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기재되어 있다. 다양한 세균성 감염증뿐 아니라, 단순 포진 및 대상 포진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의 외부적 치료는 이러한 방식일 수 있지만, 상기 문헌들에는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이와 같은 정맥 투여용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용도에 대해서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유럽 특허 제0 200 157호 및 미국 특허 제4,725,437호에는 또한 정맥내 투여 및 수술기주위 (perioperative) 투여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이 기재되어 있다. 이 물질은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감염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유럽 특허 제0 200 157호에 의하면, 기생충, 진균, 세균, 바이러스 및(또는) 마이코플라스트 (mycoplast)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증상의 경우에서 이러한 안정화된 정맥 및(또는) 국소 투여용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작용은 감염 직후에 아염소산염 복합제를 단일 유효량 투여하여 달성되는 식세포 자극에 의해 설명된다. 본원에 그의 전체가 참고로 포함되는 국제특허출원 공개공보 제99/17787호에는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의 억제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용액이 개시되어 있다.
인터페론 감마에 의해 달성되는 것과 유사하지만 TNF 알파와 같은 독성 물질은 생산하지 않는 암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따라서, IFN-χ의 대식세포 활성화 특성을 갖지만 이러한 분자의 염증 작용 및 독성 쇼크 작용, 예를 들어 TNF-α발현의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작용은 갖지 않는 물질을 사용하여 암 및 기타 악성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조절 특성을 갖는 무기 화합물을 투여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외에서 비단백질성 IFN-χ를 사용하여 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대식세포를 활성화한 다음, 활성화된 세포를 상기 개체에 투여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에 따라,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함유 수용액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과 같은 동물에서 암 및 기타 악성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특히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결장암에서 결실된 (DCC) 단백질의 발현을 상향조절한다. 유효량은 용액 1 리터 당 ClO25 내지 100 mM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되는 암은 DCC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암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될 암세포는 결장암, 위암, 식도암, 직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경교종 및 신경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에 따라,
(a) 포유동물로부터 대식세포를 제거하는 단계,
(b) 대식세포에서 DCC의 발현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대식세포를 유효량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함유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로부터의 대식세포를 상기 포유동물에 재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유동물과 같은 동물의 암 및 기타 악성 종양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유효량은 용액 1 리터 당 ClO2 -5 내지 100 mM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되는 암은 DCC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암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될 암세포는 결장암, 위암, 식도암, 직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경교종 및 신경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하기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설명으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은 체중에 상응하게 생체내 투여될 수 있는데, 혈액중에서 활성 물질을 지속적으로 분해시키기 때문에, 상기 용액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투여되어야만 한다. 당업자라면 이용가능한 시험관내 데이타 및 체중에 따라 항원-제시-억제 용액의 농도를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원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유효량"이라는 구절은 당업자에게는 체중이 다른 대상들에게 생체내 투여하는 경우에 면역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대식세포 및 다른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는 용액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의 억제 유효량은 체중 1 kg 당 약 0.1 ml 내지 약 1.5 ml, 바람직하게는 약 0.5 ml이며, 리터 당 Cl02 -농도는 약 40 내지 약 80 mM, 바람직하게는 약 60 mM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을 대체로 약 3일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5일 동안 1일 1회 투여한 다음, 10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14일 내지 18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16일 동안의 휴지기를 거쳐 1 치료 사이클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환자는 1 사이클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사이클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사이클 이상으로 치료받는다.
다른 치료법은 본 발명의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을 5일 동안 1일 1회 정맥 투여한 다음, 2일 동안 (즉, 주말 동안)의 휴지기를 거친 후, 계속하여 5일 더 투여한 다음, 대체로 1주 내지 4주의 휴지기를 거쳐 1 사이클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환자는 1 사이클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사이클 이상으로 치료받는다. 당업자라면 본원에 제공된 지침을 이용하여 치료할 병 및 대상의 사이즈에 따라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투여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상처 및 감염증 치료를 위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함유 수용액의 용도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그의 전체가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4,507,285호, 동 제4,725,437호 (Kuehne) 및 유럽 특허 제0 200 157호 (Kuehne)에는 인간에서 상처 치유 반응을 촉진시키고 기생충, 진균, 세균, 바이러스 및(또는) 마이코플라스마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을 치료하는데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의 사용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본원에 그의 전체가 참고로 포함되는 퀴네 (Kuehne) 등의 유럽 특허 제200,156호에는 또한 조사에 의해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고 부작용 감소를 보조하기 위해 방사선 치료법과 함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손상되고(되거나) 감염된 조직의 치료 작용 방식은 생활성제, 예를 들어 헴 (heme) 화합물의 존재하에 식세포의 "산화적 폭발 (oxidative burst)" 반응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상처 치유 및 보고된 감염증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체내에 존재하는 대식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상처 치유 반응을 자극하는 섬유아세포를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은 대식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헴 잔기와 결합하여 대식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되는 경우, 대식세포는 콜라겐을 생성시키는 섬유아세포 및 상처 또는 감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는데 유용한 내피 세포를 자극한다. 특정 이론에 의해 제한을 두려는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들은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용액이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이후에 일련의 반응들이 일어나는 것으로 믿고 있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에 대한 화학식은 (ClO2 -)n×O2(여기서, n은 0.1 내지 0.25, 바람직하게는 약 0.21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생물학적 분자로서 혈청내에 존재하며 대식세포와 같은 식세포의 세포막의 일부인 헴 화합물 (예를 들어,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퍼옥시다제, 시토크롬 등)의 존재하에,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아염소산염 및 과산화수소와는 다른 산화적 특성을 갖는 제2의 산화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등몰량의 아염소산염 용액에 비해 약리학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vankovic et al., 1993).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에 의해 야기되는 대식세포 활성화는 PMA, TNF-α등과 같은 다른 대식세포-활성화제의 메카니즘과는 다른 메카니즘을 통해 일어난다. 대식세포는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매트릭스가 대식세포의 표면 상에서 전자 결핍증 (전자-환원+3CI02 -+ 4e--1Cl-의 결과)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약물-막 상호작용에서 산화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막은 하전된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이 하전된 표면이 주변 입자 (예컨대, 침입 박테리아)에 영향을 미치고(거나) 신호 서열을 세포내로 도입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다음,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상처 치유성 및(또는) 기생충, 박테리아 등의 감염 치유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섬유아세포의 DNA 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대식세포 활성화를 통한 공지된 상처-치유 메커니즘은 대식세포의 식세포 활성을 자극시키고 상승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외부 항원이 섭취, 소화 및 처리되도록 프라이밍된다. 또한, 대식세포를 식세포로 만드는 데 있어서 청구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사용은 공지되어 있고 유럽특허 제0 200 157호 (Kuhne)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식세포의 활성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지 않았다. 어떤 이론에도 구애되지 않고자 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항원 제시 세포 (APC)의 항원 제시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해할 필요가 있는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때 항원 제시 세포 (APC)의 항원 제시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해한다고 생각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표현 "항원 제시 세포"는 항원을 제시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를 말한다. 유용한 항원 제시 세포로는 대식세포 및 수상세포가 있다. 항원 제시를 예방하고(하거나) 방해하는 WF-10의 투여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시험관내 데이타에 의해 확인되어 있고, 실시예에 기재된 생체내 데이타와도 일치한다.
전형적인 면역 반응은 대식세포의 자극을 수반하는데, 자극된 대식세포는 T 세포 수용체와 커플링될 때 T 세포 (전형적으로 CD4 또는 CD8 세포와 같은 T 세포 하위부류 등)를 자극하는 MHC 클래스 I 및 II 항원을 표면 상에 제시하여 항원을발현하는 세포를 죽이는 세포독성 T-임파구 (CTL) 세포를 증식시키고 형성한다. 항원 제시 후 및 T 세포 수용체와의 커플링시, 자극된 APC (대식세포 등)는 CTL의 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사이토카인도 분비한다. 사이토카인 또는 성장 인자는 다양한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호르몬 유사 펩티드이고 특정한 세포 유형의 증식, 성숙 및 기능 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이토카인은 다양한 성장 인자, 예컨대, 조혈세포 성장 인자 (예를 들어, 에리쓰로포이에틴, 콜로니 자극 인자 및 인터루킨), 신경계 성장 인자 (예를 들어, 신경교 성장 인자 및 신경 성장 인자), 대부분의 중간엽 성장 인자 (예를 들어, 상피 성장 인자), 혈소판-유도 성장 인자, 및 인터페론을 비롯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I, II 및 III를 말한다.
세포 분화 및 성숙을 유도하는 데 관여하는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이 있을 수 있고, 사이토카인이 다른 생물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IL-1의 경우, IL-1-알파 및 IL-1-베타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세포 분화의 유도, 및 골수와, 가능하게는, 다른 조혈세포 성숙의 유도와 주로 관련되어 있는 사이토카인에는 특히, IL-1, G-CSF, M-CSF, GM-CSF, 멀티-CSF (IL-3) 및 IL-2 (T-세포 성장 인자, TCGF)가 포함된다. IL-1은 주로 골수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듯하고, IL-2는 주로 T-세포에 영향을 미치고, IL-3는 다중 전구체에 영향을 미치고, G-CSF는 주로 과립구 및 골수 세포에 영향을 미치고, M-CSF는 주로 대식세포에 영향을 미치고, GM-CSF는 과립구 및 대식세포 둘다에 영향을 미친다. 기타 성장 인자는 미성숙 혈소판 (트롬보사이트) 세포, 적혈구 세포 등에 영향을 미친다.
항원이 정상 또는 손상되지 않은 면역 시스템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 제시된 경우, 전형적으로 하기 일련 사건이 일어난다. 항원 (또는 외부 신체)은 폐물 처리소의 형태로 작용하여 외부 물질을 보다 작은 펩티드로 분해 또는 소화시키는 대식세포 내의 소포에 봉입되어 있다. MHC 클래스 II 분자는 보다 작은 항원 펩티드 중 하나를 대식세포의 표면에 전달하여 항원 펩티드를 T 세포 수용체 (TCR)에 제시할 것이다. 세포 수용체와 항원 펩티드의 결합은 활성화 인자 및 사이토카인, 예컨대, IL-1, TNF 등의 방출을 유발할 것이고, 이러한 활성화 인자 및 사이토카인의 방출은 대식세포의 자가-방어를 회복시키고 이물질의 세포내 사멸을 상승시킨다. 상기 결합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활성화 인자는 방출되지 않을 것이고 대식세포는 외부 물질을 보다 작은 펩티드로 소화 또는 분해시켜야 하는 것을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바와 같이, 표현 "항원 제시"는 APC의 MHC 클래스 II의 표면 제시 과정 후 TCR과의 후속 결합을 말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시된 항원과 T-세포의 결합이 제시된 항원 펩티드의 인식 뿐만 아니라, T 세포의 표면 상 CD28 항원의 존재 및 B7과 상기 항원의 결합에 의해 수행된다고 생각한다. B7과 CD28의 결합은 T 세포 증식, 사이토카인 자극, 사이토카인 생성 및 세포독성 T 세포 (CTL)의 증식을 함께 자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udd, C. E., "Upstream-Downstream: CD28 Cosignaling Pathways and T Cell Function," Immunity,: 527-34 (1996); Fagnoni, F. F., et al., "Role of B70/B7-2 in CD4+ T-Cell Immune Response Induced by Dendritic Cells, "Immunology,: 46774 (1995)). 어떤 이론에도 구애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항원 제시가 방해될 수 있는 메커니즘 중 하나는 B7과 CD28의 결합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B7과 CD28의 결합은 B7의 제시를 방해하거나, T 세포의 특정 하위부류, 예컨대 (CD3+, CD8+, CD28-)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방해시킬 수 있다. 생체내에서 CD8+ 세포의 CD28-T-세포 하위부류가 증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투여가 CD4+T-세포의 경우 CD28-T-세포 하위부류도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투여가 항원 제시를 방해하고(하거나) 억제하도록 작동하는 메커니즘 중 하나가 APC에 의해 제시되는 항원과 TCR의 결합을 방해하여 사이토카인 및 기타 활성화 인자의 분비를 막고 T 세포의 증식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상적인 면역 반응과는 반대로, B7이 제시되지 않거나 T 세포가 CD28-을 포함하는 하위부류인 경우, 본 발명자들은 비활성 반응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명세서에서, APC가 MHC 클래스 II 항원을 제시하는 경우, T 세포 상의 TCR이 항원을 인식한다고 하더라도 T 세포는 증식하지 않을 것이고 APC에 의한 사이토카인 및 기타 활성화 인자의 방출도 없을 것이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애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수용액을 투여하여 CD28-T 세포 하위부류의 농도를 증가시키고(시키거나) APC에서의 B7의 제시를 감소시킨다고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APC와 TCR 사이의 B7-CD28 상호작용이 없으므로 T 세포 증식 또는 사이토카인 방출도 없다.
T 세포 증식을 막는 공지된 치료법은 전형적으로 사이토카인 자극 후 세포독성 T 세포에 작용하였다. 예를 들어, 시클로스포린 A는 세포독성 T-림프구에 작용하여 T 세포 증식을 방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APC는 이미 CTL 증식을 보조하는 사이토카인을 방출하였다. 따라서, 상당량의 투여되어야 이들 약물이 CTL 증식이 방해된다. 그러나, APC 또는 TCR이 APC와 T 세포 사이의 항원 제시 상호작용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해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경우 면역 반응을 방해하는 공지된 방법은 없다.
부적절한 면역 반응, 예컨대, 중증근무력증, 전신 루프스 홍반증, 혈청 질환, 타입 I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소아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발열, 쇼그렌 증후군, 전신성 경화증, 척추관절병증, 라임병, 사르코이도시스, 자가면역 용혈, 자가면역 간염, 자가면역 호중구감소증, 자가면역 다선성 질환,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결장염, 크론병, 만성 피로 증후군 등에 의해 야기되는 자가면역 질환 및 질병을 앓는 환자는 면역 반응이 부적절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질환을 앓는다. 즉, 환자의 신체는 너무 많은 CTL 또는 다른 사이토카인을 생산하고, 이 CTL 또는 다른 사이토카인은 환자 자신의 건강한 세포를 공격하여 그들을 파괴한다. 기관이식 또는 조직이식 환자에서, 부적절한 면역 반응은 면역 시스템이 이식된 기관 또는 조직의 항원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그들을 파괴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기관이식 또는 조직이식 환자는 이식된 기관 또는 조직의 면역 시스템이 숙주의 항원을 외부 물질로 이식하여 그들을 파괴하는 경우에도 이식 조직 대 숙주의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과도한염증, 알레르기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다른 부적절한 면역 반응을 초래한다.
자가면역 질환 및 이식 거부반응에 대한 통상적인 치료법은 세포독성제, 특히 림프 시스템 (및 특히 그 안에 있는 T-림파구)에 영향을 주어 일부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전신성 루프스 홍반증, 기관 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숙주 면역성을 약화시키는 물질을 사용한다. 이들 세포독성 약물은 암의 화학요법에 종종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부수적인 골수 및 다른 조혈 부작용을 갖는다. 이들 약물 이외에, 이들 림프구 세포 (특히, T-세포)에 특이적인 항체, 예를 들어, 활성화된 T-세포의 인간 IL-2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Tac 모노클로날 항체 (Uchiyama et al., J. Immunol. 126: 1393 and 1398 (1981))는 약물, 독소 또는 방사선동위원소와 같은 세포독성제에 결합되어 기관 거부반응에 관여하는 이들 세포의 상대적 선별 사멸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세포 항체는 베타- 또는 알파-방출 방사선동위원소와 결합될 수 있고, 이 항체는 기관 이식 전, 그리고 필요한 경우 기관 이식 후에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조혈 시스템에 대한 제한적인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높은 투여량으로 T-세포 사멸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임의의 약제 대신에, 또는 상기 임의의 약제와 함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한 치료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여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면역 시스템 전체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수용액이 식세포 활성의 상승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방법, 이식 기관 및 조직의 거부반응과 거부반응의 결과인 패혈성 쇼크의 예방 방법, 및 과도한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적절한 면역 반응의 경감 방법을 포함한다. 이들 질환의 다른 치료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는 본원에 제공된 지침을 이용하여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억제 유효량의 수용액을 투여함으로써 공지된 기술을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투여량, 투여 빈도 또는 투여 방식을 바꿈으로써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상기 임의의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법을 고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통상적으로 "TCDO"로 약칭되며 미국 특허 제4,507,285호의 실시예 1의 생성물인 "결합체 상의 테트라클로로데카옥시젠"으로 공지되어 있는 생성물 수용액을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생성물은 융점이 -3℃이고 알코올과 혼합될 수 있는 투명 수용액이다. 로만 스펙트럼은 403,802 (아염소산) 및 1562 cm-1(활성 산소)의 밴드를 보여준다.
백만 염기쌍을 초과하는 염기쌍을 함유하는 DCC (결장암에서의 결실) 유전자는 종양 억제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세포 표면 분자 수용체이다. DCC 유전장의 발현에서의 감소는 단계 2 및 단계 3 암에서 관찰된 바 있는데, 이는 발현의 상실과 생존 사이의 관계를 암시한다. DCC는 신경세포 부착 분자와 관련되어 있다. DCC 발현도의 감소는 위장암에서의 느린 진행과 관련되어 있다 (Saito etal., Oncology 56 (2): 134-41 (1999)).
본 발명은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IFN-χ의 활성화와 유사하지만 TNF-α와 같은 보다 적은 양의 염증성 및 쇼크성 사이토카인을 방출하는 방식을 이용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포함한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의 투여는 대식세포 상의 DCC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를 사용한 암의 치료 방법은 DCC 단백질의 감소된 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암에 유용하다. 이러한 암으로는 예를 들어, 결장암, 위암, 식도암, 직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경교종 및 신경모세포종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포유동물로부터 대식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대식세포 상의 DCC의 발현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 하에서 이 대식세포를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포함된 유효량의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단계 (b)로부터의 대식세포를 포유동물에 다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암을 치료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처리된 대식세포는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대식세포 상의 DCC 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투여는 DCC 단백질의 감소된 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지금부터 하기 실시예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WF10"은 TCDO 수용액을 말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 및 하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이들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Fagnoni, F. F., 외, "Role of B70/B7-CD28 in CD4+T-Cell Immune Response Induced by Dendritic Cells," Immunology,: 467-74(1995)]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하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는 B7/B70-CD28 계면에서 수지상세포가 매개된 동시자극을 방지함으로써 아네르기 유도에서의 WF10의 역할을 설명하였다.
Fagnoni 등의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지상세포, T 세포 및 단핵구를 얻었다. DC-의존성 T 세포 활성화에서 WF10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새로 단리된 CD4+-T 세포를 DC에 대한 WF10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동종이형 MLR로 활성화시켰다. 정제된 휴지 CD4+T 세포 (5-10 ×104/웰)를 완전 배지 200 ㎕를 포함하는 U형 바닥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조사된 (25 Gy) 동종이형 DC와 함께 배양하였다. 배양은 습한 공기 중 8 % CO2의 37 ℃에서 5일 동안 수행하였다. 수획 19 시간 전, 배양물에 1 μCi[3H]티미딘 (6-7 Ci/㎜, New England Nuclear, Boston MA)으로 펄스를 가하였다. 증식 세포에 의한 [3H]티미딘의 혼입은 β-섬광계수기로 측정하였다. WF10을 DC 자극된 동종이형 MLR DC에 첨가하고, CD4+T 세포를 첨가하기에 앞서 4℃에서 약 3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DC 자극된 동종이형 MLR에 대한 CD4+T 세포의 반응은 WF10에 의해 투여량-의존적인 방식으로 억제되었다. WF10을 25 ㎍/㎖ 내지 50 ㎍/㎖의 투여량으로 0 시간에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WF10을 투여하였다. 웰 당 수지상세포(DC)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CPM+SE (분당 계수 + 표준 오차)의 수는 WF10/1600에 의한 최대 억제 정도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남았다. 발현 WF10/수는 WF10의 희석을 의미하며, 용액 1 ㎖ 당 WF10의 양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WF10/1600은 용액 1600 ㎖ 당 1 ㎖의 WF10을 포함하는 WF10 희석 용액을 나타낸다.
실시예 2
Fagnoni 등의 문헌에 따라 얻은 부착성 단핵구를 DC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WF10의 투여는 단핵구 자극된 MLR로부터 CD4+T-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WF1/1600이 투여하는 경우,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는 웰 당 단핵구의 농도가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종이형 MLR로 자극된 단핵구로부터 CD4+T-세포의 증식을 완전하게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2의 결과는 WF10이 동종이형 MLR로 자극된 DC 또는 단핵구로부터 CD4+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실시예 3 및 4는 각종 항원을 사용하여 T 세포의 항원-유도된 증식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WF10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정제된 휴지 CD4+T 세포 (5-10 ×104/웰)를 완전 배지 200 ㎕를 포함하는 U형 바닥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조사된 (25 Gy) 자가 DC와 함께 배양하였다. 배양은 습한 공기 중 8 % CO2하에 37 ℃에서 6일 동안 수행하였다. 수획 19 시간 전, 배양물에 1 μCi [3H]티미딘 (6-7 Ci/㎜, New England Nuclear, Boston MA)으로 펄스를 가하였다. 증식 세포에 의한 [3H]티미딘의 혼입은 β-섬광계수기로 측정하였다.
가용성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LH) 및 파상풍독소(TT)를 자가 DC에 첨가하였다. WF10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및 WF10/200 및 WF10/800를 첨가한 경우 (0 시간에서 각각 0, 용액 200 ml 당 1 ml 및 용액 800 ml 당 1 ml의 WF10을 배양 배지로 투여)에 대해 측정하여, DC에 의해 항원이 비제시된 경우 및 TT, KLH25 (25 ㎍/㎖) 및 KLH50 (50 ㎍/㎖) 경우의 CD4+T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WF10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샘플 및 WF10을 사용한 샘플에 대해 증식된 T-세포의 수는 DC가 가용성 항원 KLH 및 TT를 제시하는 경우 발생되는 CD4+T 세포가 상당히 증식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WF10의 투여는 DC에 의해 KLH 또는 TT가 제시되는 경우 CD4+T 세포의 증식을 거의 완전하게 억제하였다.
실시예 4
항원 제시에 대해 DC 대신에 단핵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을 반복하였다. 또한, WF10을 WF10/200, WF10/400, WF10/800 및 WF10/1600의 증가량으로 투여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단핵구가 가용성 항원 KLH 및 TT를 제시하는 경우에 CD4+T 세포가 상당히 증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핵구에 의해 KLH 또는 TT가 제시되는 경우 WF10의 투여는 CD4+T 세포의 증식을 거의 완전하게 억제하였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함유 수용액을 투여하여 얻은 결과, 상기 용액이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함유 수용액 투여가 식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전에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이르러 1종의 의약만을 투여함으로써 한가지 면역 반응 (항원 제시 및 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동시에 다른 면역 반응 (식세포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
실시예 5
2상 시험을 샌프란시스코 종합 병원에서 수행하였다. WF10의 공개 표지 병인론 연구에 18명의 환자를 등록시켰다. 환자들은 WF-10을 1주일 동안 한시간씩 주입 받은 다음, 2주 동안의 휴지기를 가졌다. 3주째, 환자들은 다시 WF-10을 1주일 동안 하루에 1시간씩 주입 받은 다음, 2주 동안의 휴지기를 가졌다. 연구된 파라미터에는 대식세포 활성화/면역 기능 활성화 및 HIV 바이러스 로드의 측정이 포함되었다. RBC 용혈작용의 평가 연구에는 51 Cr-RBC 생존성 연구가 헤모글로빈,합토글로빈 및 망상적혈구 값의 변화와 비교되어 포함되었다.
18명의 환자 누구에게도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환자 중 8명에 대한 데이타를 모으고, 그 결과를 하기에 표로 나타냈다. 약물 투여에 관하여 유세포 분석 (예를 들면, Becton-Dickinson에 의해 추천된 FACSCAN)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하기 파라미터들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일반적으로 약물 투여 2주 내에 기준선에 가까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D-4, CD-8, CD14+/CD69+, CD14+측면 산란, CD20/DR+세포. 몇몇 값들은 본 연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종료시까지 어떠한 분명한 하향 경향도 나타나지 않음을 나타내며, 이러한 값들은 WF-10에 의해 유도된 장기간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 지수의 증가 및 T-세포의 CD3+/CD8+/CD28-하위집단에서의 증가를 포함한다.
가능한 하향 경향은 하기 범주로 나타났다: 대식세포의 세포내 TNF-α 분비, 및 순환 CD14+/DR+세포 수의 감소. 순환 CD14+/DR+세포수가 역치값에 도달할 정도로 감소되는 경우에 면역 마비가 일어난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 HIV bDNA 분석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 연구를 통해 검출가능한 HIV를 전혀 갖지 않음)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T-세포 PHA 활성화 값 또는 HIV 로드에서 어떠한 분명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RBC 생존 연구 결과, 처치에 대한 반응에서 용혈작용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나타나지 않았다.
WF10의 투여 후 CD14+/CD69+세포 증가가 나타났는데, 주입 직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WF10 투여 후 CD14+/TNF 분비 감소는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종양 괴사 인자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환자에게 WF10을 생체내 투여하자 CD3+/CD8+수가 꾸준히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CD3+/CD8+/CD28-T 세포수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상기 생체내 데이타는 CD4+T 세포를 사용한 항원 제시의 억제 및 순환 CD28-T 세포 (CD3+T 세포)수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항원 제시를 억제하고(하거나) 방지하는 가능한 메카니즘 중 하나가 APC 및 TCR 사이의 B7/CD28 상호작용의 차단에 의한 것일 수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
식세포작용 지수의 증가는 WF10 투여시 관찰되었다. WF10 투여시 CD14+/DR+세포의 감소에 의한 면역 기능의 감소가 또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식세포작용을 상향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세포-매개 반응 및 체액성 면역 반응을 하향조절하거나 또는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
하기에 도시한 결과는 15명의 환자로부터의 데이타를 요약한 것으로, 처치후 8일에서 45일까지의 측정된 파라미터의 변화를 보여준다. 처치후 처음 7일 동안환자를 평가하였기 때문에 8일째는 WF10을 투여한 첫번째 날이 된다.
CD3+, CD8+, CD28- 0.027 증가
CD14+, TNF- 0.017 감소
CD14+, DR+ 0.032 감소
CD3+, CD4+, CD38+(MF CD38 항원) 0.021 감소
CD3+, CD8+, CD28+(MF CD28 항원) 0.010 감소
CD20+, DR+(MF DR 항원) 0.014 감소
모든 CD14+ 0.037 감소
*-단측 검정된 p-값. Wilcoxon 등위 통계를 사용한 15명 환자의 샘플 크기
이들 데이타는 WF10의 인간 생체내 투여가 CD8+T-세포의 CD28-하위집단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데이타는 또한 식세포작용을 일으키는 대식세포의 활성화 증가를 보여준다. 상기 데이타는 또한 RBC 용혈작용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보여주지 않는다. CD4+세포의 항원 제시 억제를 보여주는 시험관내 연구와 병행하는 경우, WF-10의 생체내 투여가 APC에서 항원 제시를 억제하고(하거나)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식세포작용의 증가를 일으키는 대식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6
상기 생체내 데이타를 기초로, WF10 투여는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CD14+/DR+세포의 일관된 하향조절을 나타내었다. 또한, WF10의 생체내 투여는 CD3+/CD8+/CD28+세포의 전체적인 감소 및 장기간에 걸친 CD3+/CD8+/CD28-세포의 상당한 증가 수준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세포가 클론 아네르기를 생성함으로써 항원 특이적 면역 관용성을 일으킨다고 믿고 있다. 상기 시험관내 데이타는 또한 WF10이 항원 제시를 억제하고(하거나) 방지하고, 클론 아네르기를 생성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감소된 항원 제시는 B-세포 림프종에서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WF10 요법이 이로울 수 있다. B-세포 림프종의 병력을 갖는 한 환자의 경우, WF10 요법에 반응하여 종양 크기가 두드러지게 감소하였으며, 최근까지 재발되지 않았다.
낮은 수준의 소포성 림프종을 갖는 성인 환자는 최근의 치료 요법에 등록하지 않은 대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기준선에서 CT 스캔으로 확인된 림프절의 직경이 1 ㎝를 초과하는 15명의 환자가 공개 표지, 단일 팔, 단일 중심 연구에 등록될 것이다. 환자들은 1 내지 5일 (1주)부터 8 내지 12일 (2주)까지 WF10을 0.5 ㎖/㎏씩 주기적으로 주입받을 것이다. 스크리닝 평가가 완료된 후에 (약 14일), 기준 데이타를 얻기 위해서 적합한 환자들이 0주에 예비 연구 방문에 참여할 것이다.
스크리닝 기준은 하기와 같다:
18세 이상의 남성 또는 여성 환자;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소포성 림프종;
CT로 측정된 림프절의 직경이 1 ㎝를 초과하는 것으로 정의된 측정가능한 질환;
규정의 ULN에서 2배 미만의 혈청 크레아티닌에 의해 확인된 적합한 신장 기능;
1.5 ㎎/㎗ 이하의 혈청 빌루빈 및 정해진 정상치 상한의 5배 미만의 SGOT(AST) 또는 SGPT(ALT)에 의해 확인된 적합한 간기능;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서류상으로 동의하고 자진해서 모든 절차 및 정해진 방문을 따름;
헤모글로빈 > 9.0 g/㎗ (여성) 및 헤모글로빈 > 10.0 g/㎗ (남성);
혈소판 수 > 75,000/㎟; 및
절대 호중구 수 > 750/㎟.
WF10은 생리식염수 250 내지 500 ㎖ 중에 희석되어 1 시간 동안 정맥내 주입 투여에 의해 체중 1 ㎏ 당 0.5 ㎖의 투여량으로 사용된다. CT 측정을 이용하여 0주, 15일, 30일 및 45일에 종양 크기를 측정한다. 재진은 3개월간 지속하고 90일째 최종 CT 측정을 한다.
CT 측정은 WF10 투여가 림프절 크기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준다. 환자들에게서 또한 CD3+/CD8+/CD28-가 증가하고, CD14+/DR+가 증가하며, CD40 T 세포 하위집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은 실시예,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기재되었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한 모든 문헌들이 참고로 포함된다. 특히, PCT 특허 출원 공개 제99/17787호는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7)

  1.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함유 수용액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암의 치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암이 결장암에서 결실된 (DCC)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암이 결장암, 위암, 식도암, 직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경교종 및 신경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가 대식세포에서 DCC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
  5. (a) 포유동물로부터 대식세포를 제거하는 단계,
    (b) 대식세포에서 DCC의 발현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대식세포를 유효량의 안정화된 아염소산염 매트릭스 함유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로부터의 대식세포를 상기 포유동물에 재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암의 치료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암이 DCC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암이 결장암, 위암, 식도암, 직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신경교종 및 신경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027002066A 1999-08-18 2000-08-18 암 및 기타 질병 치료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아염소산염 용액 KR20020038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42999P 1999-08-18 1999-08-18
US60/149,429 1999-08-18
PCT/US2000/022610 WO2001012205A2 (en) 1999-08-18 2000-08-18 Chemically-stabilized chlorite solutions for treating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728A true KR20020038728A (ko) 2002-05-23

Family

ID=2253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066A KR20020038728A (ko) 1999-08-18 2000-08-18 암 및 기타 질병 치료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아염소산염 용액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408994A2 (ko)
KR (1) KR20020038728A (ko)
CN (1) CN1378456A (ko)
AU (1) AU6913200A (ko)
CA (1) CA2382293A1 (ko)
IL (1) IL148189A0 (ko)
MX (1) MXPA02001724A (ko)
NO (1) NO20020751L (ko)
NZ (1) NZ517673A (ko)
PL (1) PL353769A1 (ko)
RU (1) RU2002106824A (ko)
TR (1) TR200201182T2 (ko)
WO (1) WO2001012205A2 (ko)
ZA (1) ZA2002017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7238B1 (de) 2003-11-21 2009-12-09 CytoTools AG Reaktive chlorverbindungen, deren derivate, anionen und salz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ES2384267T3 (es) * 2005-07-21 2012-07-03 Nuvo Research Ag Soluciones de clorito estabilizadas en combinación con fluoropirimidinas para el tratamiento del cáncer
WO2013093891A1 (en) 2011-12-22 2013-06-27 Nuvo Research Gmbh Liposomal chlorite or chlorate compositions
CN112386606A (zh) * 2019-08-19 2021-02-23 卢序 一种有第二信使作用增加积极氧化压力的氧化剂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5749A1 (de) * 1985-05-02 1986-11-06 Oxo Chemie GmbH, 6900 Heidelberg Verwendung einer stabilisierten chloritmatrixloesung bei infektioesen zustaenden
DE3515748A1 (de) * 1985-05-02 1986-11-06 Oxo Chemie GmbH, 6900 Heidelberg Verwendung einer isotonen chloritmatrix-loesung bei der behandlung von tumoren
DK1021196T3 (da) * 1997-10-06 2004-06-07 Oxo Chemie Ag Anvendelse af en kemisk stabiliseret chloritoplösning til inhibering af en antigenspecifik immunreaktion
WO2000048940A1 (de) * 1999-02-19 2000-08-24 Stahl Kurt Wilhelm Peroxochlorsäure, derivate und anionen, salze davo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0201182T2 (tr) 2002-08-21
WO2001012205A3 (en) 2001-09-13
RU2002106824A (ru) 2003-11-27
NZ517673A (en) 2004-03-26
EP1408994A2 (en) 2004-04-21
ZA200201726B (en) 2003-12-31
NO20020751D0 (no) 2002-02-15
AU6913200A (en) 2001-03-13
WO2001012205A2 (en) 2001-02-22
PL353769A1 (en) 2003-12-01
IL148189A0 (en) 2002-09-12
NO20020751L (no) 2002-04-17
MXPA02001724A (es) 2004-09-06
CA2382293A1 (en) 2001-02-22
CN1378456A (zh)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enberg et al. Therapy of disseminated murine leukemia with cyclophosphamide and immune Lyt-1+, 2-T cells. Tumor eradication does not require participation of cytotoxic T cells.
Hackstein et al. Rapamycin inhibits IL-4—induced dendritic cell maturation in vitro and dendritic cell mobilization and function in vivo
Berman et al. Systemic administration of cellular IL-10 induces an effective, specific, and long-lived immune response against established tumors in mice.
US20120141514A1 (en) Use of a chemically-stabilized chlorite solution for inhibiting an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
Hamblin Ultraviolet irradiation of blood:“the cure that time forgot”?
Nagarkatti et al. Characterization of tumor-infiltrating CD4+ T cells as Th1 cells based on lymphokine secre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Liang et al. IL-1β and TLR4 signaling are involved in the aggravated murine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caused by delayed bortezomib administration
Zhang et al. Pseudomonas aeruginosa Mannose-Sensitive Hemagglutinin Promotes T-Cell Response via Toll-Like Receptor 4–Mediated Dendritic Cells to Slow Tumor Progression in Mice
MXPA01001144A (es) Inhibicion de enfermedad de injerto contra huesped.
Myers et al. Interleukin‐12 gene therapy prevents establishment of SCC VII squamous cell carcinomas, inhibits tumor growth, and elicits long‐term antitumor immunity in syngeneic C3H mice
Bessis et al. Syngeneic fibroblasts transfected with a plasmid encoding interleukin‐4 as non‐viral vectors for anti‐inflammatory gene therapy in collagen‐induced arthritis
Tadokoro et al.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grown in GM-CSF or M-CSF differ in their ability to produce IL-12 and to induce IFN-γ production after stimulation with Trypanosoma cruzi antigens
KR20020038728A (ko) 암 및 기타 질병 치료를 위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아염소산염 용액
Milas et al. Effects of Corynebacterium granulosum on weight and histology of lymphoid organs, response to mitogens, skin allografts, and a syngeneic fibrosarcoma in mice
Rahbar et al. Agent-based modeling of tumor and immune system interactions in combinational therapy with low-dose 5-fluorouracil and dendritic cell vaccine in melanoma B16F10
Richards et al. Phase I study of weekly 24-hour infusions of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2
Alisauskas et al. T-helper-cell-specific monoclonal antibody inhibits growth of B-cell lymphomas in syngeneic SJL/J mice
Zhang et al. Augmentation of NK activity and/or macrophage-mediated cytotoxicity in the liver by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including human recombinant interleukin 2
Lapenta et al. Pertussis toxin B-oligomer inhibits HIV infection and replication in hu-PBL-SCID mice
Rosenfeld et al. Ex vivo purging of allogeneic marrow with L-leucyl-L-leucine methyl ester: a phase I study
Wajchman et al. Interleukin-12-induced cytotoxicity against syngeneic B cell lymphomas of SJL/J mice
JP2022546383A (ja) 変形性関節症を治療するための治療用アポトーシス細胞
Ullrich The effect of UV exposure on the activation of T-cell subsets
Ruzek et al. In vitro and in vivo recovery of IFN-γ, but not IL-2, production by IL-12 in mice with plasma ceIL tumors
WO1991012813A1 (en) Method for treating cancer using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b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