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412A -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412A
KR20020037412A KR1020000067341A KR20000067341A KR20020037412A KR 20020037412 A KR20020037412 A KR 20020037412A KR 1020000067341 A KR1020000067341 A KR 1020000067341A KR 20000067341 A KR20000067341 A KR 20000067341A KR 20020037412 A KR20020037412 A KR 2002003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rminal
sms
short messag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기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7412A/ko
Publication of KR2002003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412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음성통화로써 구조요청을 할 수 없는 응급상태에 처해 있을 때 단말기에 있는 SMS 응급키를 누름으로써 간단히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갑자기 응급상황에 처했을 때 구조요청을 위해 직접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어서 구조요청을 해야하거나 단말기에 응급키 기능이 있다하더라도 전화만을 자동으로 걸어주고 구조요청에 따른 음성통화를 해야했다. 그래서 음성통화를 통해 구조요청을 할 수 없는 응급상황에서는 달리 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 단말기에 있는 SMS 응급키를 누름으로써 미리 설정해둔 구조요청 메시지를 저장해둔 전화번호로 송신함으로써 직접 음성통화를 하지 못할 상황이어도 손쉽게 구조요청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그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Method of Asking for help use of SMS Emergency key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응급상황에 처했을 때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요청 방법에 있어서, 특히 가입자가 직접 음성통화를 통해 구조요청을 할 수 없는 응급상황에 있을 때 미리 저장해둔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구조요청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구조요청을 하는 방법이 따로 있지 않았거나, 응급키가 있어도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 단말기의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요청 방법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단말기의 응급키를 누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미리 입력되어 있던 구조센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화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구조센터의 구조요원과 이동통신 가입자가 통화를 통해 현재 위치와 상황을 설명하여 구조요청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단말기의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요청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태가 발생하면(10), 상기 가입자는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는 응급키를 누르게 된다(20).
단말기에서는 응급키가 눌러짐에 따라 미리 입력되어있는 응급구조센터로 자동으로 전화연결이 된다(30).
전화연결이 되면 가입자는 구조센터의 구조요원과 음성통화를 하여 현재 가입자의 위치와 상황 등을 설명하여 구조 요청을 하게되어(40), 구조센터로부터의 구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말기 자체에 응급키가 없거나, 응급키가 있다해도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구조요원과 음성통화를 해야만 구조요청이 완전히 이루어짐으로 가입자가 음성통화로써 구조요청을 할 수 없는 긴박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는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음성통화로써 구조요청을 할 수 없는 긴박한 상황일 때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없이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의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요청 방법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 요청방법의 상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 요청방법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 요청방법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구조 요청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에서 응급 호출 리스트의 전화번호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단말기상의 SMS 응급키를 누르면, 단말기가 현재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단문메시지를 응급상황 레벨로 설정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현재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단말기상의 SMS 응급키를 누르면, 상기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두었던 응급 호출 리스트를 검색하여, 응급 호출 리스트에 등록된 사람들의 전화번호가 있을 경우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를단문메시지로 설정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단말기상의 SMS 응급키를 누르면, 상기 가입자가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둔 응급문구를 로딩하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두었던 응급 호출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응급 호출 리스트에서 검색된 전화번호의 단말기 응급문구를 자동적으로 SMS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 요청방법의 상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고,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구조 요청방법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구조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기(201), 이동통신 사업자(202), 응급구조센터(203), 응급구조센터의 구조차량(203a), 그리고 응급 호출 리스트에 전화번호가 등록된 단말기(204a, 204b, 20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5을 참조하면, A지역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단말기(201)에 있는 SMS 응급키를 누르게된다(301). 이를 위해서는 단말기에 SMS 응급키가 있거나, SMS 응급키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키를 정의해야한다. 만약, 단말기에 SMS 응급키가 아닌 기존의 응급키가 있다면 단말기의 플립이나 폴더가 열렸을 때 그대로 응급키 역할을 하여 음성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의 플립이나 폴더가 닫혀 있을 때 SMS 응급키 역할을 하여 음성 통화 없이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러면 단말기(201)는 현재위치 정보를 로딩하고(302), 단문메시지를 응급상황 레벨로 설정하여(303), 이동통신 사업자(202)에게 응급 단문메시지를 보내게 된다(304). 이때, 우선 순위를 정하는 텔레서비스의 식별자를 하나 더 설정해야 하며, 만약 위치정보가 지원되지 않는다면 최대한의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 즉 SID(Station Indicator), NID(Network Interface Device), NP(Network Performance) 등의 값을 로딩하여 메시지에 실어 보낸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1)로 부터 응급 단문메시지를 받아서(304-1),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황발생 위치를 파악하고(304-2), 근처에 구조센터(203)에 연락해주어(304-3), 구조차량(203a)를 보냄으로써 응급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304-4).
상기 단계 304이후, 단말기에 가입자가 저장한 응급 호출 리스트에서 검색된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작성하고(306), 미리 등록해 놓은 응급 호출 리스트가 없다면, 단말기에 등록된 모든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작성한다(306-1)
이때 작성한 상기 전화번호 단문메시지는 우선 순위를 응급상황 레벨로 정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보내게 된다(307).
여기서 이동통신 사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단문메시지를받아서(307-1), 상기 응급 상황에 처한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전화번호 단문메시지에 있는 전화번호의 단말기(204a, 204b, 204c)에게로 송신한다(307-2).
전화번호 리스트까지 송신을 끝낸 후에 단말기는 가입자가 평상시에 미리 저장해둔 응급단문메시지를 로딩하여(308),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의 단말기로 자동적으로 송신하게된다(309). 상기 응급단문메시지 역시 우선 순위를 응급상황 레벨로 하여 다른 단문메시지에 우선하여 보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응급 문자 메시지를 받은 단말기, 즉, 전화번호 리스트에 있는 사람들의 단말기는 가능한 최대로 빠른 시간 내에 메시지 도착을 알 수 있도록 UI(User Interface)를 구성해야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단말기상의 SMS 응급키를 누르면, 단말기는 현재의 위치 정보를 로딩하여, 단문메시지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단문메시지는 응급상황 레벨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송신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응급상황에서 SMS 응급키를 누르면, 상기 가입자가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두었던 응급상황에서 연락을 취해야 하는 응급호출 리스트가 있는가를 검색하고, 미리 저장해두었던 응급호출 리스트가 있다면 상기 리스트의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설정하여 이동통신 사업장에게 전송하고, 저장해두었던 응급호출 리스트가 없다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또,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응급상황에서 SMS 응급키를 누르면, 상기 가입자가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두었던 응급단문메시지를 로딩하고, 미리 저장해둔 응급단문메시지가 없다면 단말기상에 기본적으로 저장된 응급단문메시지를 로딩한다.
응급단문메시지를 로딩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가입자가 등록해둔 응급호출 리스트가 있는가를 검색하여, 미리 저장해둔 응급호출 리스트가 있다면 응급호출 리스트에 있는 모든 전화번호로 응급단문메시지를 전송하고, 응급호출 리스트가 없다면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모든 전화번호에 응급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음성통화로써 구조요청을 할 수 없는 응급상황에서도 SMS 응급키를 단 한번누름으로써,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송신해서 이동통신 사업자가 대신하여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미리 저장해둔 응급 호출리스트의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설정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송신하여 이동통신 사업자가 대신하여 구조요청 응급호출 리스트의 전화번호로 상기 응급상황에 처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보내 주도록 하고, 상기 응급상황에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둔 응급 단문메시지를 응급호출 리스트의 전화번호로 송신하는 과정을 거쳐 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단말기상의 SMS 응급키를 누르면, 단말기가 현재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단문메시지를 응급상황 레벨로 설정한 후, 이통신 사업자에게 현재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상기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에는 우선 순위를 응급상황 레벨로 설정하는 텔레서비스의 식별자를 하나 더 설정하여, 응급상황 레벨의 문자메시지가 다른 모든 문자메시지에 우선하여 보내질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
  3.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단말기상의 SMS 응급키를 누르면, 상기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두었던 응급 호출 리스트를 검색하여, 응급 호출 리스트에 등록된 사람들의 전화번호가 있을 경우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설정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호출 리스트가 없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등록된 모든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설정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
  5.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단말기상의 SMS 응급키를 누르면, 상기 가입자가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둔 응급문구를 로딩하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두었던 응급 호출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응급 호출 리스트에서 검색된 전화번호의 단말기 응급문구를 자동적으로 단문메시지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급 구조 요청 메시지는 가입자가 응급상황을 위해 작성하여 저장한 메시지 또는, 단말기상에 기본으로 저장된 응급메시지가 로딩되도록 하는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요청 방법.
KR1020000067341A 2000-11-14 2000-11-14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KR20020037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341A KR20020037412A (ko) 2000-11-14 2000-11-14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341A KR20020037412A (ko) 2000-11-14 2000-11-14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412A true KR20020037412A (ko) 2002-05-21

Family

ID=1969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341A KR20020037412A (ko) 2000-11-14 2000-11-14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74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5119A1 (en) * 2005-06-17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34871B1 (ko) * 2005-12-12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827157B1 (ko) * 2004-03-02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US7574194B2 (en) 2004-03-05 2009-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41314B1 (ko) * 2004-01-06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314B1 (ko) * 2004-01-06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27157B1 (ko) * 2004-03-02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US7574194B2 (en) 2004-03-05 2009-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6135119A1 (en) * 2005-06-17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34871B1 (ko) * 2005-12-12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13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exchange over a public-switched telephone network
KR100790622B1 (ko) 그룹 통신 방법, 그룹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단말
KR20020037412A (ko)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KR20020097457A (ko)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KR2012012198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특정정보 선택전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22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KR20060072777A (ko) 발신자에게 사용자가 설정한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는자동응답 sms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984174B (zh) 短信接收终端发送个性化回执信息的方法
KR100467544B1 (ko) 유무선 통신단말장치에서의 메시지 통합관리방법
JP3058494B2 (ja) 通信網のサービス制御装置
JP5480931B2 (ja) 通信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4363711A (ja) Ip電話接続装置
KR100307695B1 (ko)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 대한 무선 데이타 서비스 가능상태 확인방법
KR2002005097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KR20050104519A (ko) 통화 중 sms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전송방법
KR20060033488A (ko) 호별 중요도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541990B1 (ko) 단발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08830B1 (ko) 개인용 교환기 구현을 위한 통신 부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921265B2 (ja) 構内電子交換機用通信システム
KR20030029603A (ko) 통화상태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KR200400770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신 방법
KR200200947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상태 표시방법
KR20060025452A (ko) 무선 단말기의 번호변경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