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871B1 -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871B1
KR100734871B1 KR1020050121975A KR20050121975A KR100734871B1 KR 100734871 B1 KR100734871 B1 KR 100734871B1 KR 1020050121975 A KR1020050121975 A KR 1020050121975A KR 20050121975 A KR20050121975 A KR 20050121975A KR 100734871 B1 KR100734871 B1 KR 100734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resence information
user
patter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195A (ko
Inventor
최진영
김형환
최영일
이병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87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8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소정의 사용자 프레즌스(presence)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프레즌스 정보가 학습된 결과인 제1패턴과 비교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부; 신경망과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1패턴을 수신하는 신경망호출부; 상기 제1패턴을 저장하여 상기 판단부의 요구시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패턴부가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면 응급구조 호출 대상을 선정한 후 구조요청을 발생시키는 응급호출부; 및 상기 응급상황 판단시 개방형 게이트웨이에 존재하는 터미널 가용성, 호제어,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호출부로 제공하는 API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무선 통합망의 핵심 기술인 개방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집하고 신경망을 통하여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프레즌스 패턴에 따른 개인 맞춤화된 응급 상황 기준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패턴 변화에 따른 응급상황을 판단, 구조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응급구조, 프레즌스, 신경망, 패턴, 상태 정보, 게이트웨이, 개방형 API

Description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using user presence information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에서 사용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네트워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의 일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신경망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 패턴을 학습하고 응급상황이라고 판단되는 패턴의 변화 발생시 구조요청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응급구조 서비스로서의 긴급 서비스는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노약자나 어린이를 위한 특정키를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해 119나 112 등의 특수 번호를 호출하거나 자신의 상태를 기 지정해 놓은 단말 또는 관리 센터에 알려주는 방식으로 긴급 상황을 처리하거나, 재해 관리 센터 등에서 일방적으로 응급상황을 통보해 주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응급구조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자의 의지가 있어야 자신의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고, 개인별 응급 상황의 기준이 다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집하고 신경망을 통하여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패턴 변화에 따른 응급상황 판단 기준을 설정하고, 변화된 판단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맞춤형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는 사용자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소정의 사용자 프레즌스(presence)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프레즌스 정보가 학습된 결과인 제1패턴과 비교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부; 신경망과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1패턴을 수신하는 신경망호출부; 상기 제1패턴을 저장하여 상기 판단부의 요구시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패턴부가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면 응급구조 호출 대상을 선정한 후 구조요청을 발생시키는 응급호출부; 및 상기 응급상황 판단시 개방형 게이트웨이에 존재하는 터미널 가용성, 호제어,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호출부로 제공하는 API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은 차세대 통신환경에서 개방형 게이트웨이와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레즌스 정보, 그리고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누적되어 학습된 결과인 제1패턴을 획득하여 상호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응급상황이 아니면 상기 프레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새로운 판단기준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응급상황을 사용자의 통신매체와 접속 가능한 통신매체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에서 사용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네트워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의 일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110), 유선망(120), 인터넷(130)을 통하여 연결되어 응급상황 통지를 수신하고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단말기들,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서버군(140), 개방형 게이트웨이(150), 어플리케이션 서버(160), 신경망(170)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센서는 사용자의 상태, 위치 또는 선호도 등의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핸드폰, PDA, RFID 태그와 리더 등의 장치이고, 응급상황 통지를 수신할 단말기는 음성, 문자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전화, 유선전화, 인터넷폰, 메신저 등의 단말기이다.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에서 요청한 개방형 API를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이다. 즉,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서비스 개발자들이 통신 망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API를 제공하며, API를 통신망의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유선망 연동(INAP), 무선망 연동(동기식 이동망의 경우 MAP, WIN, 비동기식 이동망의 경우 CAP), 인터넷 망 연동기능(SIP)을 제공한다.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사용자 센서 및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서비스 요구가 발생시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에게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어플리케이션서버(160)가 요청하는 개방형 API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에는 SCF(Service Capability Function)로 불리기도 하는 복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아래의 표 1에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에 존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그 기능이 기재되어 있다.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능
호제어(Call Control) 호제어 정의 기본호, 다중호, 회의호, 멀티미디어 호
사용자 상호작용(User Interaction) 사용자와의 동작, 안내방송송출, SMS 전송 등
이동성(Mobility) 위치 및 상태 정보
터미널 가용성(Terminal Capabilities) 사용자 단말 능력
데이터 세션 제어(Data Session Control) 데이터세션 제어관리
메시징(Generic Messaging) 메일처리, MMS, VMS
연결관리(Connectibity Management) QoS 제공 관리
가입자관리(Account Management) 가입자 계정 관리
과금(Charging) 응용 및 데이터 사용에 대한 과금
정책관리(Policy Management) 정책 정보의 생성, 변경, 관리
존재/가용성관리(Presence and Availability Management) 디지털 아이덴티티, 에이전트의 프레즌스 상태, 엔티티 상태 및 능력정보, 보안 관리
각각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들은 모바일 스위칭 센터, IP 서버, 과금 서버, 단말정보 서버, SMS 서버, 위치정보 서버 등(이상 140)의 이동망을 구성하는 장치 중에서 대응되는 장치와 연동하여 고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통신망의 서비스 계층에 위치하며 개방형 API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용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응급구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로부터 API를 호출하고,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로부터 API를 호출 받는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사용자의 프레즌스 패턴을 분석하기위한 신경망 연동과 응급 호출 연결등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로직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구조 장치 구현 예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신경망(170)은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를 통하여 수집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에 전달된 프레즌스 패턴을 학습하여 새로운 프레즌스 패턴을 생성하는 로직을 포함한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 또는 단말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에서 사용되는 서버는 주로 프레즌스 서버, 위치정보 서버, SMS 서버 및 단말 정보 서버이다. 프레즌스 서버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의 존재/가용성 관리 인터페이스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와 연동한다. 또한 위치정보 서버와 SMS서버는 각각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의 이동성과 메시징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와 연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는 패턴수집부(211)와 패턴비교부(213)로 이루어지는 패턴부(210), 응급호출부(220), API 호출부(230), 신경망호출부(240), 그리고 저장부(250)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 블록의 기능을 살펴본다.
패턴 수집부(211)는 사용자 센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턴 수집부(211)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는 API 호출부(23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에 전달되고 신경망 학습을 통해 새로운 정보로 가공된다.
패턴 비교부(213)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패턴을 추출하고, 저장부(250)에 기 저장된 패턴(청구범위에서는 제1패턴으로 표현되고 있음)과 추출된 패턴을 비교하여 응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응급 호출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250)는 신경망(170)을 통하여 학습된 사용자 프레즌스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패턴 비교부(213)에서 프레즌스 패턴을 비교하기 위해 저장부(250)에 저장된 패턴 정보를 요청할 경우 프레즌스 패턴 정보를 제공한다.
응급 호출부(230)는 패턴 비교부(213)에서 비교한 프레즌스 패턴이 상이할 경우 응급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 응급 호출을 받을 경찰서, 119 또는 가족 단말기의 통신 연결 가능 여부를 존재/가용성 관리, 단말 정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파악하고 연결 가능한 모든 단말에 응급 상황 여부를 통지한다.
신경망 호출부(240)는 패턴 비교부(213)에 의해 사용자 프레즌스 패턴의 비교가 완료된 후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수집된 프레즌스 패턴의 갱신을 위하여 신경망 학습을 수행한다. 학습이 완료된 결과는 저장부(250)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API 호출부(230)는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하면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에 존재하는 존재/가용성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 장치가 응급 상황을 경찰, 119 및 가족에게 통지하기 위하여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API 호출부(230)는 사용자 상호작용, SMS, MMS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
그외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어부에는 운영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개방형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센서가 전송하는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획득한다(S310). 이렇게 수집되는 프레즌스 정보는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되어 정형화된 패턴으로 되돌려 받는다. 이 패턴은 청구범위에서는 제1패턴으로 표현되고 있다. 학습된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집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상기 제1패턴과 비교하여 정상적인지 혹은 이상상황 즉 응급상황인지가 비교된다(S320). 즉 응급상황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는데(S330), 만약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와 연결 가능한 모든 통신매체를 수배한 후 접속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40). 그러나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수집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신경망으로 보내 학습을 수행시켜 새로운 패턴으로 되돌려 받은 후 저장한다(S350).
이제, 도 3과 도4를 참조하면서 좀 더 구체적인 흐름을 알아본다. 도 3은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응급상황으로 판단할 만한 패턴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에 사용자 센서(110)로부터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 수신시 사용자 상태 변경 이벤트의 발생을 통지하도록 사용자 상태 통보 등록을 수행한다(startPresenceNotification) (S400). 만약, 사용자 센서(110)를 통해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에 생긴 변화가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에 전달되면(S410),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50)에 사용자의 상태 변경을 통보한다(statusChanged)(S420).
어플리케이션 서버(150)에 수신된 사용자 상태 정보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프레즌스 패턴 정보와 비교되고(S430) 비교 결과가 동일한 값으로 판정된 경우 새로 수신된 사용자 상태 정보는 신경망(170)으로 전달된다(S440). 신경망(170)에서는 내부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상태정보를 기존의 상태정보와 혼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S450) 학습된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로 반환한다(S460). 반환된 새로운 프레즌스 패턴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50) 내부의 저장부(250)에 저장된다(S470).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가 사용자의 상태를 응급상황으로 판단할만한 패턴의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의 수행과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와 사용자 센서(110) 사이에 수행되는 과정 중 사용자 상태 통보 등록 인터페이스 호출(S500),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 전달(S505), 사용자 상태 변경 통보(S510)는 도 4의 응급상황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에 수신된 사용자 상태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있는 프레즌스 패턴 정보와 비교되고(S515) 비교 결과가 상이한 패턴으로 판정된 경우 응급 상황으로 인식된다. 구조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로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단말기의 가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터미널 가용성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GetStatus)(S520). 터미널 가용성 인터페이스 호출을 수신한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연결 가능한 단말기의 정보 조회를 요청하고(S525), 단말기 상태에 대한 조회 결과를 반환 받는다(S530).
단말기 정보 서버(140)로부터 단말기의 상태를 반환받은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로 터미널 가용성 조회 결과를 반환하고(S535), 조회 결과 통화 연결 가능한 단말과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호 제어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MakeCall)(S540).
호 제어 인터페이스 호출을 받은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사용자 단말과 119, 경찰, 가족 등(이상 510)의 기 설정되고 터미널 가용성이 확인된 단말 사이의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545, S550). 호제어 인터페이스를 호출(S540)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통화 연결 확인을 위한 통화 연결 확인 요청을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으로 전달한다(GetCallInformation)(S555). 만약 통화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로부터 통화 미연결 응답을 반환 받는다(S560). 어플리케이션 서버(160)가 통화 미연결 응답을 수신한 경우(S560)에는 119, 경찰, 가족들의 단말(510)로 안내방송, SMS, MMS 등의 방법으로 응급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PlayAudioMessage)(S565). 사용자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호출 받은 개방형 게이트웨이(150)는 응급상황 발생 안내방송 및 SMS, MMS를 119, 경찰, 가족들의 단말로 전달하고(S570)한다. 이후 신경망으로 전달된 사용자 상태정보(S575)를 이용하여 신경망은 학습을 수행하여(S580) 그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으로 반환한다(S585). 저장부(250)는 이 학습을 거쳐 갱신된 프레즌스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S59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와 개방형 게이트웨이(150) 사이의 개방형 인터페이스로는 대표적으로 Parlay/OSA API 또는 Parlay X API가 사용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와 개방형 게이트웨이(150) 사이에 실선으로 표시된 인터페이스는 Parlay X API이다. 한편, 개방형 게이트웨이(150)와 망간에는 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토콜로 연동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유선망과의 인터페이스로 INAP, 이동망과의 인터페이스로 MAP, WIN, 인터넷 망과의 인터페이스로 SIP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타 저장장치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폰트 롬 데이터구조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타 저장장치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유무선 통합망의 핵심 기술인 개방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집하고 신경망을 통하여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프레즌스 패턴에 따른 개인 맞춤화된 응급 상황 기준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패턴 변화에 따른 응급상황을 판단, 구조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 발생시 연결 가능한 구조 기관, 가족의 단말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단말기 정보 서버를 통하여 제공받고 가용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통해 응급 상황을 통보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확실한 응급상황 통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와 노약자들과 같은 자발적인 응급 상황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에 대처 능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프레즌스(presence)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프레즌스 정보가 학습되어 기 생성된 패턴과 비교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부;
    상기 패턴부가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면 응급구조 호출 대상을 선정한 후 구조요청을 발생시키는 응급호출부; 및
    상기 응급호출부로부터 구조요청 호출을 받아 개방형 게이트웨이에 존재하는 터미널 가용성, 호제어,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응급호출부에 제공하는 API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 응급 구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개방형 게이트웨이와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집하는 패턴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프레즌스 정보와 상기 기 생성된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호출부는
    상기 API 호출부를 통해 상기 개방형 게이트웨이에 존재하는 터미널 가용성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응급상황시 연결이 가능한 통신매체의 정보를 요청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응급상황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호출부는
    상기 터미널 가용성이 확인된 단말과의 통화를 먼저 시도하고, 실패하면 상기 API 호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연결이 가능한 모든 통신매체에 상기 응급상황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기 생성된 패턴을 신규의 패턴으로 업데이트하는 신경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신경망을 호출하여 상기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장치.
  6. 차세대 통신환경에서 개방형 게이트웨이와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프레즌스 정보와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누적되어 학습된 결과인 기 설정된 패턴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비교 결과 응급상황이 아니면 상기 획득된 프레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새로운 판단기준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비교 결과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응급상황을 사용자의 통신매체와 접속 가능한 통신매체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접촉하는 통신매체의 센서로부터 상기 개방형 게이트웨이가 획득한 상기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획득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신경망에 전달하는 단계; 및
    (c2)상기 신경망이 상기 획득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에 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을 신규의 패턴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터미널 가용성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응급상황시 연결 가능한 단말기 정보 조회를 입수하는 단계;
    (d2) 호제어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d3) 사용자의 통신매체와 상기 접속가능한 통신매체로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d4) 상기 통화연결이 실패하면 사용자 상호 작용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접속가능한 통신매체로 응급상황 발생 안내 방송 혹은 문자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d5) 상기 획득된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신경망에 전달한 후 상기 신경망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을 신규의 패턴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KR1020050121975A 2005-12-12 2005-12-12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4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75A KR100734871B1 (ko) 2005-12-12 2005-12-12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75A KR100734871B1 (ko) 2005-12-12 2005-12-12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195A KR20070062195A (ko) 2007-06-15
KR100734871B1 true KR100734871B1 (ko) 2007-07-03

Family

ID=3835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975A KR100734871B1 (ko) 2005-12-12 2005-12-12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81B1 (ko) * 2007-11-14 2008-10-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KR101684298B1 (ko) * 2009-12-10 2016-12-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Iptv를 통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48561A (ko) 2011-11-02 201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호에 대한 미디어 선호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12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12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단말기의 sms 응급키를 이용한 응급상황 구조 요청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195A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7420B2 (en) Instant help security system for emergency help using 2G, 2.5G and 3G cellular wirelesses half duplex call
KR20080024481A (ko)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의 ip 링크를 통한머신의 원격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1189844A (zh) 用于通知的装置和方法
CN101416468A (zh) 通信系统中由网络发起的ims注册
CN101766011A (zh) 用于同步的呼叫协议信息的集中式呼叫日志
CN101208941B (zh) 利用出现检测执行自动联络分配的方法和系统
CN101227631A (zh) 一种集团用户的通信方法及其系统
US20160269998A1 (en) Dynamic voip location system
US2012016356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override service
EP27972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
KR100734871B1 (ko)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CN102137102B (zh) 一种支持多类信息发布方式的业务支撑平台实现方法
CN102065099A (zh) 信令与承载分离的通信系统
CN102904879A (zh) 拨号移动终端及其拨号方法
CN101110786B (zh) 一种基于软交换网络实现的统一消息系统
CN100512549C (zh) 数字集群通信系统中对接入失败用户提示的系统和方法
CN103905374A (zh) 一种呼叫方法、系统和设备
US200401588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vent of softswitch open type system
JP5551289B1 (ja) 遠隔通信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KR20060130799A (ko)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954373B (zh) 统一通信主动sip呼叫方法及系统
CN101997860A (zh) 一种ngn网络架构中通信链路检测管理的方法和装置
CN101621839B (zh) 一种解决软交换跨域模式下多区号问题的方法
CN1332531C (zh) 一种动态调整业务管理点系统服务性能的方法
KR100882357B1 (ko) 분실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