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38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381B1
KR100865381B1 KR20070115934A KR20070115934A KR100865381B1 KR 100865381 B1 KR100865381 B1 KR 100865381B1 KR 20070115934 A KR20070115934 A KR 20070115934A KR 20070115934 A KR20070115934 A KR 20070115934A KR 100865381 B1 KR100865381 B1 KR 10086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presence inform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1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호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7011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3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프레젠스 서버로 전송하여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한 후 설정된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위치등록 주기 시간을 재적용하고,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프레젠스 서버에 전송한다.
Figure R1020070115934
프레젠스 서비스, 위치등록, 프레젠스 정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updating presen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presence) 정보 갱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시 접속 기능을 수행하고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망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를 통해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대용량 패킷 데이터 등을 한꺼번에 송수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다. IMS 서비스는 IP 기반으로 제공되는 기술로서,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하나의 구조로 통합하고 이를 IP 네트워크에 고정된 장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착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IP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적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 유지하는 상시 접속(Always On)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IMS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3GPP 이동통신 망에서는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이 동통신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Packet Data Network) 사이에 일정 시간 동안 패킷 데이터 전송이 없을 경우 무선 채널을 해제하고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변경한다. 이와 같은 보존 모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간의 세션이 해제되고 PDP 콘텍스트(context)만 활성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GPRS 간에 다시 무선 채널이 할당되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처럼, 3GPP 이동통신망에서는 상시 접속 기능과 보존 모드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상태에서 IMS 서비스 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알고 있어야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프레젠스 서버(Presence Server)가 응용 서버로부터 요청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 하였다. 즉, 프레젠스 서버가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획득하여 응용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시 접속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IMS 서비스가 가능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프레젠스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 하기위해서는 프레젠스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주기적으로 무선채널이 할당되어야 하며, 이로써 무선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젠스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사이에 무선채널을 획득하여 단말기의 상태를 갱신하기 이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전원이 꺼진 경우에는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시 접속 기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 모드일 때 효율적으로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프레젠스 서버로 전송하여 갱신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한 후 설정된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을 재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프레젠스 서버에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주기적 위치등록을 요청한 후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을 재적용하는 단계,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등록 주기가 만료되는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다음번 주기적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젠스 정보를 프레젠스 서버로 전달하는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고, 설정된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접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등록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을 전송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Serving GPRS Service Nod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프레젠스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무선 채널이 설정되는 횟수를 감소할 수 있어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 모드 상태에서 비정상적으로 무선 접속이 끊긴 경우를 판단하여 프레젠스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 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스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조도 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젠스 서비스 네트워크(Presence Service Network)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무선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 함)(200),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ervice Node, 이하 'SGSN'이라고 함)(300),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고 함)(400), IMS 코어망(Core Network)(500), 응용 서버(600),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PNA: Presence Network Agent, 이하 'PNA'라고 함)(700) 및 프레젠스 서버(Presence Server)(80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IMS 서비스 등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단말기이다. 즉, 하나 이상의 IMS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상대 단말기 또는 응용 서버와 세션을 설정하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시 접속 기능 및 보존 모드 기능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시 접속 기능 중 GGSN(400)과의 PDP 콘텍스트만 활성화된 상태(보존 모드 상태)일 때, RAN(200)을 통해 SGSN(300)과 프레젠스 서버(800)로 주기적으로 위치등록을 통한 프레젠스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GSN(300)로 주기적 위치등록을 수행하거나 프레젠스 서버(800)로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각 타이머를 구동하여 각각 타임 아웃(time out)이 발생하는 시점에 RAN(200)을 통해 SGSN(300) 및 프레젠스 서버(800)에 각각 위치등록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각 타이머는 SGSN(300) 또는 프레젠스 서버(800)로부터 각각 제공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GSN(300)으로 최초의 위치등록을 수행할 때 SGSN(300)으로부터 위치등록 타이머를 포함한 위치등록 응답을 수신한다.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프레젠스 서버(800)로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수행할 때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포함한 프레젠스 정보 등록 응답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등록 타이머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구동하여 SGSN(300) 및 프레젠스 서버(800)에 각각 최초로 접속한 시점 이후에 자동으로 주기적 위치등록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 이때, SGSN(300) 및 프레젠스 서버(800)는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최초 접속 시간 정보와 위치등록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 주기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 과정에서 프레젠스 정보가 생성되며, 프레젠스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P 어드레스 및 현재 상태 정보(활성화, 비활성화, 휴지 모드, 보존 모드 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SGSN(300)과 프레젠스 서버(800)로의 위치등록 또는 프레젠스 정보 등록 주기가 짧을수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RAN(200)간의 무선 채널 점유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보존 모드 상태에서 SGSN(300) 또는 프레젠스 서버(800)로 주기적 위치등록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하기 위한 각 타이머 구동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에 따라 각 타이머를 리셋한 후 구동 주기를 갱신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보존 모드 상태에서 상태 변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각 타이머를 리셋하여 재구동함으로써, 위치등록 또는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위한 타이머의 구동 주기를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연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보존 모드 상태에서 음성/데이터 호가 발생하거나 SMS(Short Massage Service)가 수행되는 경우 구동되는 위치등록 타이머와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리셋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발생된 호 및 SMS가 완료되면 위치등록 타이머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재구동하여 타임 아웃이 발생하는 시점에 SGSN(300) 및 프레젠스 서버(800)로 각각 주기적 위치등록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시도한다.
한편, 아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SGSN(300) 및 프레젠스 서버(800) 로 주기적 위치등록을 하기 위한 위치등록 타이머의 구동 시간을 각각 'T1' 및 'T2'라 지칭하도록 한다. 이때, T1의 시간은 T2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접속망(RAN)(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하는 기지국 전송기로서 노드 B(node-B)(미도시)와 무선 제어국으로서 무선망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RAN(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통신 요청 신호, 업로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SGSN(300)에 전송하고, SGSN(300)으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SGSN(300)는 서비스 지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패킷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300)은 상시 접속 중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PNA(700)에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위치등록 타이머가 구동된 후 일정 시간(T1)이 경과한 시점이다. 이때,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 타이머 구동 시작 시점과 구동 시간(T1)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네트워크에 상시 접속 중 보존 모드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 즉,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GGSN(400)과의 PDP 콘덱스트가 설정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무선채널이 해제되고 PDP 콘덱스트만 활성화된 상태를 보존 모드로 판단한다.
그리고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보존 모드인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마지막 위치등록을 수행한 시점 이후 위치등록 타이머의 구동 시간(T1) 내에 위치등록 요청을 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PNA(7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프레젠스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불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GGSN(400)을 통해 PNA(700)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SGSN(300)은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위치등록 타이머의 시간(T1) 만료 이전에 호(음성/데이터 호) 또는 SMS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태가 RAN(200)에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고 PNA(700)로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SGSN(300)은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마지막 위치등록 시점 이후 일정 시간(T1) 내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벤트(주기적 위치등록 요청, 음성/데이터 호 요청, SMS 요청 등)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접속이 끊긴 것으로 판단한다.
즉,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일정 시간(T1)내에 위치등록을 하지 않는 경우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비정상적으로 전원 오프(off) 되었거나 음영지역으로 이동하여 네트워크와 접속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 SGSN(300)은 PNA(70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효율적인 프레젠스 서비스가 가능하다.
GGSN(400)는 GPRS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이다. GGSN(400)은 SGSN(300)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정해진 규격에 따른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 주소를 수신자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소로 변환한다. 이때, GGSN(400)은 SGSN(300)의 위치 레지스터에 있는 현 사용자의 SGSN(300)의 주소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어 인증 및 요금부과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GGSN(400)은 SGSN(30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 요청을 받아 IMS 코어망(500) 측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GSN(400)은 SGSN(30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 요청을 받아 PNA(700)로 전달한다.
IMS 코어망(500)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공하는 SIP/S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세션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IMS 코어망(500)은 IMS 망 내의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고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서비스 자원 정보를 제공하는 호 세션 제어 기능부(Call State Control Function, 이하 'CSCF'라고 함)(501)및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이하 'HSS'라고 함)(502)를 포함한다.
여기서, CSCF(50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SIP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IMS 서비스 호를 응용 서버(600)로 포워딩하여 IMS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응용 서버(600)는 IMS 서비스를 이용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서버로서, IMS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서비스 로직을 포함한다. 또한, 응용 서버(600)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IM) 기반의 채팅, 파일 전송, 영상 공유 등의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PNA)(7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GGSN(400) 또는 IMS 코어망(500) 측을 통해 제공받아, 프레젠스 서버(800)에 등록한다. 이때, PNA(700)는 HSS(502)에서 상기 사용자의 액세스 수단과 프로파일 정보 및 인증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CSCF(501)에서 가입자의 IMS 망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PNA(700)는 GGSN(400)를 통해 가입자의 PDP 콘텍스트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A(700)는 GGSN(400)을 통해 SGSN(30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프레젠스 정보는 현재 보존 모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P 주소 및 호 서비스 가능 여부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PNA(700)는 SGSN(30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PNA(700)는 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가 수신되면 프레젠스 서버(800)에 마지막으로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한다.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응용 서버(600) 또는 상대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린다. 즉, 프레젠스 서버(800)는 현재 보존 모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응용 서버(600) 또는 상대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 알린다. 이때, 프레젠스 서버(800)는 PNA(700)로부터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일정 시간 내에 무선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PNA(70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시간(T2)마다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프레젠스 서버(800)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마지막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한 이후 일정 시간(T2) 내에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하지 않는 상태에서 PNA(70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프레젠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 주기가 만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응용 서버(600) 또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 알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프레젠스 서버(800)는 PNA(70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현재 프레젠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젠스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2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프레젠스 서버(800)에 프레젠스 정보를 전송하는 각 단계에서 RAN(200)을 통해 SGSN(300)에 접속하는 단계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낸 각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원이 온(ON) 되어 SGSN(300)으로 최초의 위치등록을 수행하여 위치등록 타이머를 할당받은 상태 이후의 단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상시 접속 기능을 구동할 수 있으며, IMS 서비스를 위해 IMS 코어망(500)에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패킷 데이터망(PDN)에 접속하여 데이터 호를 시도하여 SGSN(300)을 통해 GGSN(400)과의 PDP 콘텍스트(context)를 활성화한다(S100).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GGSN(400)으로부터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 PDP 콘텍스트가 설정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PDP 콘텍스트가 설정된 GGSN(400)은 PNA(70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최초의 무선 접속 상태를 등록한다(S110).
그런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IMS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IMS 코어망(500)에 위치등록 수행한다(S120).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 요청을 받은 CSCF(501)는 HSS(502)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MS 서비스 접속 및 위치등록을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CSCF(50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IMS 서비스를 위한 위치등록을 수행한 후 PNA(700)를 통해 프레젠스 서버(80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한다(S13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 시 획득되는 IP 어드레스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활성화, 비활성화, 휴지 모드, 보존 모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가 등록되면 PNA(700)로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 등록 완료 응답을 전송한다. 이와 같은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이용하여 프레젠스 서버(800)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PNA(700)는 프레젠스 서버(800)로부터 수신한 프레젠스 정보 등록 완료 응답을 CSCF(501)로 전송하고(S140), CSCF(501)는 SGSN(300)을 통해 위치등록 완료 응답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50). 이때, 위치등록 완료 응답에는 프레젠스 서버(800)가 제공하는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가 포함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프레젠스 서버(800)가 제공한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프레젠스 서버(800)로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위치등록 완료 응답은 GGSN(400)과 SGSN(30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가 프레젠스 서버(800)에 최초로 등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SGSN 으로의 주기적 위치등록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3에서는 앞서 도 2에서 수행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서버(800)로의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 과정 이후에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 순서를 나타내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IMS 서비스 등을 위해 RAN(200)과 SGSN(300)을 통해 GGSN(400)과 PDP 콘텍스트만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실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IMS 코어망(500) 간에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일정 시간 이상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보존 모드 상태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GSN(300)에 주기적 위치등록을 하기 위한 위치등록 타이머를 구동한다(S20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최초의 위치등록 시 SGSN(300)으로부터 위치등록 타이머 인터페이스를 획득한 상태이며, 위치등록 타이머의 구동 시간은 일정 시간(T1)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성/데이터 호 발생 또는 SMS 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등록 타이머의 주기 시간(T1)내에 상태 변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단계 S210에서 음성/데이터 호 또는 SMS의 발생이 검출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등록 타이머를 리셋한 후 재구동한다(S220). 이와 같이 위치등록 타이머가 재구동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10부터 반복 수행한다.
한편, 단계 S210에서 음성/데이터 호 또는 SMS가 발생이 검출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등록 타이머가 구동된지 일정 시간(T1)이 경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때, 단계 S230에서 일정 시간(T1)이 경과 하지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210부터 반복 수행한다.
한편, 단계 S230에서 일정 시간(T1)이 경과 한 경우 위치등록 타이머의 타임 아웃이 발생한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GSN(300)에 위치등록 요청을 전송한다(S240).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성/데이터 호 또는 SMS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일정 시간(T1)마다 SGSN(300)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SGSN(300)에 주기적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프레젠스 서버(800)로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하는 단계를 도 3에서 나타낸 각 단계에 대응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도 3에서 설명한 단계 S200 내지 S230을 수행하고, 단계 S2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프레젠스 서버(800)로 프레젠스 정보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00 내지 S240에서 구동되는 타이머는 프레젠스 서버(800)로부터 할당받은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이다.
다만,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프레젠스 서버(800)로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앞서 단계 S230에서 일정 시간을 'T2'로 설정하여 'T2' 시간이 경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의 구동 시간이 'T2'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SGSN(300)으로 주기적 위치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등록 타이머의 구동 시간 'T1'와 프레젠스 서버(800)로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의 구동 시간 'T2'가 각각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각 위치등록 및 프레젠스 등록 주기가 겹치지 않게 된다. 또한, 'T1'보다 'T2'가 길게 설정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프레젠스 서버(800)에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무선 채널을 획득하는 횟수를 상대적으로 적게 함으로써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때,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30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PNA(700)에 등록하는 과정 이외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능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IMS 서비스 등을 위해 패킷 데이터망에 접속한 후 보존 모드 상태일 때 SGSN(30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먼저,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최초의 위치등록 요청을 수신한다(S30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최초의 위치등록 요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원이 온(ON) 되거나 SGSN(300)이 담당하는 구역 내로 이동하여 패킷 데이터망에 접속할 때 요청된다. 또한,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최초의 위치등록 수행 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주기적 위치등록을 위한 위치등록 타이머를 할당한다.
그러면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최초의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CSCF(501)를 통해 프레젠스 서버(80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S310).
그런 다음, SGSN(300)은 프레젠스 서버(8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 완료 응답을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위치등록 완료 응답을 전송한다(S320). 이때, 위치등록 완료 응답에는 프레젠스 서버(800)가 할당한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가 포함되어 있다.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위치등록 완료 응답이 전송된 후 일정 시간(T1)이 경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이때, SGSN(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위치등록 완료 응답을 전송한 후 일정 시간(T1) 동안 구동되는 위치등록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다.
이때, 일정 시간(T1)이 경과 한 경우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만약 일정 시간(T1)이 경과 한 시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이 수신된 경우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을 수행한다(S350). 이때,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PNA(700)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지 않는다.
반면, 일정 시간(T1)이 경과 한 시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위치등록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 판단하고 PNA(70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한다(S360). 이때,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무선 연결 끊김 상태로 저장하고, PNA(70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한다.
한편, 단계 S330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T1)이 경과 하지않은 경우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음성/데이터 호 요청 또는 SMS 요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37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음성/데이터 호 요청 또는 SMS 요청이 발생한 경우 SGSN(300)은 단계 S350을 수행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이때, SGSN(300)은 HLR(Home Location Register)(미도시) 또는 HSS(502)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의 주기적 위치등록을 판단하기 위한 위치등록 타이머를 리셋한 후 재구동 한다.
반면, 단계 S370의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음성/데이터 호 요청 또는 SMS 요청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SGSN(300)은 단계 S330부터의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이와 같이, SGSN(300)은 일정 시간(T1)이 경과 하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음성/데이터 호 요청 또는 SMS 요청이 발생하지 않거나, 일정 시간(T1)이 경과 하는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이 없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연결이 끊긴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SGSN(3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연결이 끊긴 상태인 경우에만 PNA(70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스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일정 시간(T1)이 경과 하는 동안 SGSN(300)에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프레젠스 서버(800)에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SGSN(300)으로 주기적 위치등록을 하기 위해 구동하는 위치등록 타이머를 '제1 타이머'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프레젠스 서버(800)로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하기 위해 구동하는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제2 타이머'라 한다.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단계 S100 내지 S140을 수행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를 구동한다(S401).
이때, SGSN(300) 및 프레젠스 서버(800)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1 및 제2 타이머와 구동 시간이 동일한 위치등록 타이머 및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각각 구동한다(S402, S403).
그런 다음, SGSN(300)은 일정 시간(T1)이 경과하는 시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기적 위치등록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이 없는 경우 SGSN(300)은 GGSN(400)을 통해 PNA(70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을 전송한다(S420). 이때,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이 없는 경우 SGSN(300)이 HSS(502)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등록하고, HSS(502)가 PNA(70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PNA(700)는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 요청에 따라 프레젠스 서버(80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갱신하여 등록한다(S430).
이와 같은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보존 모드 상태에서 비정상적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를 알 수 있다. 즉,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원하는 상대 단말기(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NA(7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갱신할 이벤트(주기적 위치등록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 시점에 프레젠스 서버(800)에 곧바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PNA(700)가 프레젠스 서버(8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을 받아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마지막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 요청이 발생한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프레젠스 정보 등록 요청이 없는 경우 PNA(70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을 요청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마지막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 요청이 발생한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기 전에 응용서버(600) 또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의 호 요청이 발생한 경우 PNA(70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프레젠스 정보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PNA(700)는 SGSN(300)를 통해 갱신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가장 최근의 프레젠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프레젠스 서버(800)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던 가장 최근에 갱신된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프레젠스 서버(800)는 갱신된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응용 서버(600) 또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알리는 프레젠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도 5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단계 S430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후 프레젠스 서버(800)로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후 전원이 온(ON) 되거나 음영 지역을 벗어나 다시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GSN(300)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제1 타이머를 다시 구동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타이머를 재구동하여 타임 아웃이 발생하는 시점에 프레젠스 서버(800)와의 무선 채널을 획득하여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타이머를 리셋한 후 재구동하거나 비활성화 상태가 되기 직전까지 구동되었던 시간부터 남은 시간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정해진 주기에 SGSN(300)으로 위치등록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타이머를 이용하여 프레젠스 서버(800)에 직접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타이머의 구동 시간(T2)이 경과하여 타임 아웃이 발생한 시점에 프레젠스 서버(800)와의 무선 채널을 획득하여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제2 타이머의 구동 시간(T2) 내에 음성/데이터 호 요청 또는 SMS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타이머를 리셋한 후 재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프레젠스 서버(800)는 일정 시간(T2)이 경과 하여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때, 프레젠스 서버(800)는 PNA(70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요청에 대해 PNA(700)는 가장 최근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프레젠스 서버(8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프레젠스 서버(800)가 PNA(7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획득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2 타이머의 타임 아웃이 발생하는 시점에 프레젠스 서버(8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에 무선 채널이 형성되어 프레젠스 정보 등록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프레젠스 서버(8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2 타이머와 동일한 구동 시간을 갖는 프레젠스 정보 등록 타이머를 리셋하고 재구동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레젠스 서버(8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에 주기적으로 형성되는 무선 채널이 상대적으로 적은 횟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스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조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존 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SGSN으로의 주기적 위치등록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젠스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프레젠스 서버로 전송하여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한 후 설정된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을 재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또는 데이터 호 요청, SMS(Short Massage Service) 요청,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받는 경우인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3. 삭제
  4.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프레젠스 서버에 프레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주기적 위치등록을 요청한 후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을 재적용하는 단계;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 내에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등록 주기가 만료되는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다음번 주기적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상기 주기적 위치등록을 요청하기 이전에,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부터 프레젠스 정보 갱신 주기 정보를 포함한 프레젠스 정보 등록 완료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스 정보 등록 완료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프레젠스 정보 갱신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프레젠스 정보 갱신 주기 시간을 재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레젠스 정보 갱신 주기가 만료되는 시점에 상기 프레젠스 서버와의 무선 채널을 획득하여 프레젠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위치등록 요청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음성 또는 데이터 호 요청, SMS(Short Massage Service) 요청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할 때 발생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스 정보 갱신 주기 시간은 상기 위치등록 주기 시간보다 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9.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원하는 상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제공하는 프레젠스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 전달하는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고, 설정된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접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등록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을 전송하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Serving GPRS Service Nod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는,
    상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을 받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설정된 주기 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 요청이 없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접속이 끊긴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등록 요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주기적 위치등록 요청, 음성 또는 데이터 호 요청, SMS(Short Massage service)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받을 때 발생 되는
    이동통신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지원 노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접속이 끊긴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활성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을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는,
    상기 프레젠스 정보 갱신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프레젠스 서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는,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장 최근의 프레젠스 정보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스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최초의 프레젠스 정보를 등록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는 제1 타이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타이머의 구동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프레젠스 정보 등록 요청이 없거나, 상기 제1 타이머의 구동 중 상기 상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요청을 받으면 상기 프레젠스 네트워크 에이전트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20070115934A 2007-11-14 2007-11-1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KR100865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5934A KR100865381B1 (ko) 2007-11-14 2007-11-1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5934A KR100865381B1 (ko) 2007-11-14 2007-11-1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381B1 true KR100865381B1 (ko) 2008-10-24

Family

ID=4017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5934A KR100865381B1 (ko) 2007-11-14 2007-11-14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3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4971A (ko) * 2004-04-15 2007-01-09 유티스타컴,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 프레젠스 갱신 및 프레젠스 정보 유지 방법 및시스템
KR20070062195A (ko) * 2005-12-12 2007-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4971A (ko) * 2004-04-15 2007-01-09 유티스타컴,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 프레젠스 갱신 및 프레젠스 정보 유지 방법 및시스템
KR20070062195A (ko) * 2005-12-12 2007-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는응급 구조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2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ccess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US8503300B2 (en) Efficient messaging over internet protocol
JP4820955B2 (ja) 無線プレゼンスベースサービスを可能にするための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の方法
JP6810157B2 (ja) Scefを介した高レイテンシ通信
KR10101657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20849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push service, and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186300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for optimising time sensitive communications
CN100446516C (zh) 一种实现视频共享业务的方法、系统及装置
EP24824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cription service i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US20100238893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693289B2 (en) Moderating communications with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based on UE power saving modes
US8885608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WO2010072129A1 (zh) 一种注册方法、边界代理设备及通信系统
TWI685273B (zh) 位置追踪方法及使用其之基站與用戶設備
US8914049B2 (en) Method for managing a status of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140324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
KR1006986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지 상태에서의 ppp 세션 종료시스템 및 방법
JP2009514348A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通信セッションに関連するページングリソースの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60087973A1 (en) Delay timers for managing internal state changes and messages in user equipment for real-time multimedia applications
KR1008653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젠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CN115413411A (zh) 动态地应用电池节能技术的方法、实现该方法的终端和网络设备
CN111480327B (zh) 通信网络中的装置注册
KR20130023971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20130023970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WO2007105888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to terminal equipment in dormant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