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240A - 절수형 좌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240A
KR20020037240A KR1020000067862A KR20000067862A KR20020037240A KR 20020037240 A KR20020037240 A KR 20020037240A KR 1020000067862 A KR1020000067862 A KR 1020000067862A KR 20000067862 A KR20000067862 A KR 20000067862A KR 20020037240 A KR20020037240 A KR 20020037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rod
discharg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학
Original Assignee
이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학 filed Critical 이용학
Priority to KR102000006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7240A/ko
Publication of KR2002003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Abstract

본 발명의 절수용 좌변기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좌변기의 물탱크와, 용기와, 악취역류 차단장치를 기능과 형상을 달리한 후 다수의 부품들을 추가한 후 종래의 좌변기 물의 사용량 보다 약 절반이하의 물의 량으로도 용변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절수형 좌변기{.}
본 발명은 절수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통상적으로사용하고 있는 좌변기의 기능을 일부 변경한 후 다수의 부품을 추가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용변 세척시 小량의 세척물 사용으로 용변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절수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국제적인행동연구소에서는 한국을 물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있으며, 21세기에는 한국에 물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물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서 일인당 물소비량이 독일이나 프랑스의 2-3배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물소비 습관을 바꿔 낭비하는 물 가운데 10%만 아껴도 연간 절약할 수 있는 수돗물은 약 4억 1천만 톤에 이르고 이는 영월댐 저수량인 2억 톤 보다도 훨씬 많은 양이며 연간 2,900억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는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물부족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물의 공급측면 뿐만 아니라 수요측면에서 물절약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상생활의 물소비량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의 하나가 변기에서 대소변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물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좌변기의 경우 변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1회사용 때마다 대략 13리터의 물이 사용되고, 이중 용변 내용물을 내려보내는 데는 6-7리터 정도가 소요되고 나머지는 수앞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좌변기의 특성에 따라 좌변기의 물 소비량을 줄이려 좌변기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는 상태에서 좌변기의 물 탱크내에 벽돌이나 배수개폐밸브를 개량등 여러 가지 시도가 행하여져 왔으나 그의 효과는 약간의 절수효과는 있으나 기대 이상의 효과를 얻을수 없는 방법들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좌변기의 작용을 보여주는 좌변기의 종단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좌변기(100)는 크게 물탱크(110)와 변기본체(120)로 구성되며, 물탱크(110)에 장착된 작동레버(111)를 조작하여 물을 내리면 물탱크(110)의 배수구(112)로부터 변기본체(120)의 급수부(121)를 통해 유입된 물은 먼저 사이펀수로(122)를 경유하여 그 말단에 형성된 소직경의 배출공(123)을 통해 정화조로 연결된 배출부(124)를 통해 일부가 배출되 나간다. 배출공(123)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이펀수로(122)에는 물이 차 오르게 되고 이후에는 물이 사이펀수로(122)로 뿐만 아니라 용기(12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세척수로(126)로도 흘러 다수의 배출공(127)을 통해 용기(125)의 내부면을 따라 흐른 후에 배출부(124)로 흘러간다.
이때 용기(125)안에 있던 용변은 사이펀수로(122)를 통과하는 물의 사이펀작용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배출부(124)로 빨려나가게 됨으로써 용변이 용기(125)로부터 제거되고, 또한 세척수로(126), 배출공(127) 및 용기(125)의 내부면을 따라 흐른 물은 용기(125)에 묻어 있는 이물을 말끔하게 수세하는 한편 용기 내에 정화조에서 역류하는 냄새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이 유지되도록 보충해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 안에 있던 용변이 사이펀의 작용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어 용변이 빨려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용기내에 일정량(약13리터)의 물이 있어야 만이 수압력이 발생하여 용변이 빨려나가도록된 구성이다. 즉 종래 좌변기는 용변세척시 수압에 의해 세척된다.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좌변기의 물탱크와, 용기와, 악취역류 차단장치를 기능과 형상을 달리한 후 다수의 부품들을 추가한 후 종래의 좌변기 물의 사용량 보다 약 절반이하의 물의 량으로도 용변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좌변기의 작용을 보여주는 좌변기의 종단 개략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좌변기의 작용을 보여주는 좌변기의 일부를 생략한 종단 개략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3도의 A-A선의 단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안내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좌변기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코일스프링 5. 물탱크
6. 배수구 9. 고무박킹
12. 용기 17. 누름봉
18. 지뢰대봉 20. 개폐수단
22. 안내판 25. 개폐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 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도시에서도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구성과 기능을 중점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의 구성과 기능만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절수형 좌변기에 있어서 인장력을 갖는 코일스프링(4)에 의해 떠 받쳐 있는 상태에서 물의 량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물탱크(5)와;
상기 물탱크(5)와 일체된 물탱크 하단 배수구(6)가 급수부(8)의 내부에 방수되게 하는 링형 고무박킹(9)에 끼워진 상태에서 '승'하강 작용 가능 하도록 하며,
상기 급수구(8)로 유입된 물은 배수공(10)을 지나 용기(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세척수로(13)로 흘러 다수의 배출공(14)을 통해 용기(12)의 내부면을 따라 흐른후에 배출부(15)로 흘러가는 급수부(8)와, 배수공(10)과 다수의 배출공(10)이 형성되어 물 배수시 용변이 수직으로 배출되도록한 용기(12)와;
상기 물탱크(5)저면에 Y자형 누름봉(17)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봉(17)에 의해 누름되면 상기 배출부(15)를 밀폐시키는 지뢰대 원리의 지뢰대봉(18)에 개폐판(19)이 부착된 개폐수단(20)과;
상기 지뢰대봉(18)을 안내하는 코일스프링(21)에 의해 경사지게 탄지된 안내판(22)과;
상기 안내판(22)을 지지하는 지지봉(23)과;
상기 용기(12)하단에는 배출구(24)가 형성된 개폐실(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은 중심축(44)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뢰대봉(18)은 '상,하 운동은 물론이고 약간의 '좌'우 유격을 갖는다.
설명중 미부호 설명은 종래의 좌변기 물탱크 형상으로된 물탱크커버(30)이며,
(40)은 재질이 고무판인 형상 복원력을 갖는 주름덥개, 이 주름덥개는 물탱크(5)에서 물 배출시 물이 좌변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 지뢰대봉(18)이 약간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주름덥개(40)의 형상복원력에 의해 다시 "정"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지뢰대봉(18)은 지뢰대봉의 기능을 수행하고 또 다시 누름봉(17)이 누름할수 있는 대기상태에 이른다(제 5도 "바"와 같이)
그리고 제 5도에 도시한 안내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 나, 다,의 상태는 코일스프링(4)에 떠 받혀져 있는 물탱크(5)에 물이 체워지는 과정으로서 그 물의 무게에 의해 물탱크(5)가 하강 함에 따라 그 물탱크 저면에 부착된 Y자형 누름봉 또한 하강하는 과정에서 지뢰대봉(18)끝부분을 밀듯이 누름이 진행되면서 스프링(21)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된 안내판(22)을 지나 상기 지뢰대봉(18)이 안내판(22)끝을 지나면 도 5의 '다'와 같이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안내판이 복원되면 또다시 안내판은 경사면을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누름봉(17)은 지뢰대봉(18)을 누름상태이다 그 지뢰대봉이 누름상태가 유지됨으로서 그 타측의 차단판(19)은 배출부(15)의 밀폐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좌변기 사용자에 의해 물탱크(5)의 물이 용기(12)내부로 배수되면 코일스프링(4)에 의해 떠 받혀져 있는 물탱크(5)가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 상기 누름봉(17)에 누름상태에 있는 지뢰대봉(18)끝 부분과 누름봉(17)끝이 이완 되는데 이때 도 5에 도시한 라, 마, 바,같이 그 누름봉(17)은 수직으로 상승하나 상기 지뢰대봉(18)은 경사면을 유지한 안내판(22) 의 안내에 따라 지뢰대봉(18)은 '급'상승한다. 그 '급'상승은 타측의 차단판(22)이 일정무게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은 배출부(15)를 막고 있던 차단판(19)이 순간적으로 열리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 하기로 한다.
물탱크(12)에 물이 채워져 있는(배수대기 상태) 좌변기 사용자가 용변 후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레버(80)를 작동하면 개폐판(미도시)개폐되어 물탱크(5)의 물은 그 물탱크의 배수구(6)로 배수되어 급수구(8)와, 배수공(10)을 지나 용기(12) 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세척수로(13)로 흘러 다수의 배출공(14)을 통해 용기(12)의 내부면을 따라 흐른다.
이때 물탱크의 물이 빠져 나감에 따라 코일스프링(4)을 눌러 탄지력을 갖도록한 물탱크는 그 하중이 약해짐에 따라 코일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그 물탱크(5)는 상승하고 물탱크가 상승함에 따라 물탱크(5)하단에 부착된 누름봉(17)에 누름상태에 있는 지뢰대봉(18)끝과 누름봉(17)끝 부분이 이완 되면서 누름봉(17)은 수직 상승하며 지뢰대봉(18)은 경사면을 유지한 안내판(22)의 안내에 따라 지뢰대봉(18)이 차단판(19)의 중량에 의해 '급'상승 한다.
따라서 용기(12)하단의 배출부(15)를 막고 있던 차단판(19)은 순간적으로 열림(개폐)에 따라 용변은 개폐실(25)을 지나 배출구(24)으로 배출된다.
즉 종래의 용변배출 방법과 달리 본원은 용기(12)에서 수직(배출부, 개폐실, 배출공)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소량의 물로 막힘이 없이 용변이 배출된다.
상기한 용변세척 후 종래의 방식대로 물탱크(5)에 물은 다시 차오르는데, 그 물이 차오르면서 코일스프링(4)으로 떠받쳐 있는 물탱크(5)의 중량이 상승 진행되면서 천천히 하강에 따라 그 물탱크(5)하단의 누름봉(17)또한 하강 하는데 그 누름봉이 하강 하면서 상기한 바 있는 상승된 지뢰대봉(18)끝단을 상기 누름봉(17)끝단부가 밀어내듯이 누름이 진행되어 누름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지뢰대봉(18)타단의 차단판(22)이 배출부(15)를 밀폐한다.
따라서 배수 대기 상태에 이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절수용 좌변기는 종래의 좌변기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절수효과가 있어 최근 환경 오염에 따른 물절약 정책에 많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수 있다.

Claims (2)

  1. 코일스프링(4)에 의해 떠 받쳐 있는 상태에서 물의 량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배수구(6)가 형성된 물탱크(5)와;
    상기, 배수구(6)에서 배수된 물을 급수부(8)에서 유입받아 배수공(10)을 지나 배출공(14)을 따라 배수되어 용변을 수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기(5)와;
    상기, 급수부(8)에 배수구(6)가 끼워져 방수되게 하는 링형 고무박킹(9)과;
    상기, 물탱크(5) 저면에 부착되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누름봉(17)과;
    상기, 누름봉(17)에 의해 누름되거나 이완되어 용기(12) 하단부의 배출부(15)를 개폐하는 지뢰대봉(18)과, 개폐판(19)이 형성된 개폐수단(20)과;
    상기, 개폐판(19)이 내장되어 있는 배출구(24)가 형성된 개폐실(24)과;
    상기, 물탱크(5)를 커버하는 물탱크커버(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좌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뢰대봉(18)을 안내하여 용기(12) 하단부의 배출부(15)를 밀폐한 개폐판(20)을 신속하게 열림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21)으로 경사면을 유지한 안내판(22)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좌변기.
KR1020000067862A 2000-11-13 2000-11-13 절수형 좌변기 KR20020037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862A KR20020037240A (ko) 2000-11-13 2000-11-13 절수형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862A KR20020037240A (ko) 2000-11-13 2000-11-13 절수형 좌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405U Division KR200229729Y1 (ko) 2000-12-30 2000-12-30 절수형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240A true KR20020037240A (ko) 2002-05-18

Family

ID=1969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862A KR20020037240A (ko) 2000-11-13 2000-11-13 절수형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72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38A (ko) * 2001-12-21 2002-03-29 권영식 수세식변기
KR101033735B1 (ko) * 2009-09-30 2011-05-09 인코푸드영농조합법인 가래떡 중앙에 소스가 충진 되는 가래떡 제조방법
CN109853694A (zh) * 2019-04-02 2019-06-07 深圳市荣创电器有限公司 节水式环保马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38A (ko) * 2001-12-21 2002-03-29 권영식 수세식변기
KR101033735B1 (ko) * 2009-09-30 2011-05-09 인코푸드영농조합법인 가래떡 중앙에 소스가 충진 되는 가래떡 제조방법
CN109853694A (zh) * 2019-04-02 2019-06-07 深圳市荣创电器有限公司 节水式环保马桶
CN109853694B (zh) * 2019-04-02 2024-04-09 深圳市荣创电器有限公司 节水式环保马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CN101324286B (zh) 轻触式防堵除垢延时自闭节水装置
KR20020037240A (ko) 절수형 좌변기
KR200229729Y1 (ko) 절수형 좌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442447B1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KR102138139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장치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200145150Y1 (ko) 수동/자동 겸용 소변기 세척 플래쉬밸브
KR200251161Y1 (ko) 변기용 절수장치
KR200271548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0076100A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KR200265940Y1 (ko) 폐수를 이용하는 절수형 양변기
KR200196519Y1 (ko) 소변기의 악취 차단구
KR200389635Y1 (ko) 세면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010015995A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92996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200327204Y1 (ko) 양변기와 재래변기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KR200395053Y1 (ko) 깨끗한 하수 수집기
KR200310562Y1 (ko) 절수형 변기
KR100225780B1 (ko) 수세식변기의 용수공급장치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