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867A -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867A
KR20020036867A KR1020000066918A KR20000066918A KR20020036867A KR 20020036867 A KR20020036867 A KR 20020036867A KR 1020000066918 A KR1020000066918 A KR 1020000066918A KR 20000066918 A KR20000066918 A KR 20000066918A KR 20020036867 A KR20020036867 A KR 20020036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template
background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영
Original Assignee
황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영 filed Critical 황순영
Priority to KR102000006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867A/ko
Publication of KR2002003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8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7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modulating an analogue carrier signal to encode digital information or demodulating it to decode digital information, e.g. ADSL or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기반의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수상기에 시청자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 된 셋톱-박스와, 상기 셋톱-박스에 온라인을 통하여 연결되고 운영자서버를 구비한 운영자시스템과, 상기 운영자시스템에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광고주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텔레비전에서 특정한 광고 또는 방송프로그램이 방송될 때 상기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광고효과 뿐만 아니라 방송프로그램의 시청특성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얻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TV ADS AND A METHOD OF F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인터넷기반의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수상기에 시청자를 식별하기 위한 화상카메라가 장착된 셋톱-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셋톱-박스에 온라인을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광고주컴퓨터에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데이터저장수단 및 운영자서버를 포함한 운영자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텔레비전에서 특정한 광고 또는 방송프로그램이 방송될 때 상기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광고효과 뿐만 아니라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얻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텔레비전광고는 마케팅활동의 주요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과다한 광고비 지출에도 불구하고 광고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하여 마케팅정책수립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텔레비전의 시청행태를 조사하는 방법으로서 표본가구에 전화를 걸어 조회하는 전화인터뷰, 표본가구에 텔레비전을 시청한 사람과 시간을 매일 기록하여 일정 시간 후 수집 집계하는 일기식 조사, 표본가구에 텔레비전 채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계를 부착하여 조사하는 세트미터(set meter)조사, 상기 세트미터에 핸드세트(hand set)를 구비하여 시청자가 자신의 코드를 입력하여 조사하는 피플미터(people meter)조사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전화인터뷰는 계속적인 조사가 불가능하며, 일기식 조사는 신속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며, 세트미터조사는 누가 시청했는가의 시청자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피플미터는 시청자가 자신의 코드를 매번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텔레비전광고의 광고주에게는 자신들의 텔레비전광고를 누가, 몇 명이, 얼마동안 시청하였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텔레비전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텔레비전광고를 얼마동안 계속해서 광고할 것인가, 언제 그리고 어떤 채널에 광고를 할 것인가의 광고전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텔레비전방송국에게 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누가, 얼마동안, 몇 명이 시청하는가의 시청률 및시청특성분석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셋톱-박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장치에서의 얼굴인식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으로서, 오디오/비디오입력포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수상기, 상기 텔레비전수상기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식별하기 위한 얼굴인식장치; RF안테나의 입력단으로부터의 RF신호를 입력받아 튜너를 거쳐 오디오/비디오출력포트를 통해 상기 시청자텔레비전수상기의 오디오/비디오입력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튜너에 접속되어 상기 시청자가 시청중인 채널을 인식하기 위한 채널인식장치; 상기 얼굴인식장치 및 채널인식장치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수단; 시간보정장치에 연결되며 시간측정을 위한 타이머부; 상기 얼굴인식장치, 채널인식장치, 데이터저장수단 및 타이머부에 각각 연결된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된 온라인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에 온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데이터저장수단 및 운영자서버를 구비한 운영자시스템, 상기 운영자서버에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광고주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얼굴인식장치는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 상기 텔레비전수상기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촬영하기 위한 화상카메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화상카메라에 입력된 화상을 식별하는 이미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된 온라인 연결수단은 모뎀이고 RS232를 통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의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 상기 텔레비전수상기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촬영하기 위한 화상카메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화상카메라에 입력된 화상을 식별하는 이미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얼굴인식장치에서 얼굴인식방법은 식별하고자 하는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을 만들어 저장하는 1단계와; 상기 화상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서 배경을 추출하는 제 2단계와; 상기 2단계의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영상 영역에서 얼굴을 포착하는 3단계와; 상기 3단계의 포착된 얼굴영상에서 정면얼굴을 판단하고 템플릿영상과 비교할 얼굴영상부분을 추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1단계에서 저장되어 있는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과 상기 4단계에서 추출된 얼굴영상부분을 비교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 1단계의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은 상기 피사체 한 명당 각기 다른 조명에 따라 여러 장의 템플릿영상을 만들어 저장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경을 추출하는 제 2단계는 초기 배경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모듈 수행 중 상기 배경이 바뀌는 경우에 새로운 배경영상을 만들어 현재의 배경영상을 대체하는 단계, 매 프레임마다 상기 현재의 영상과 상기 배경영상간의 화소단위의 색상차이를 계산하여 화소단위의 변동영상을 만드는 단계, 상기 변동영상의 일정한 크기의 화소들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는 단계, 상기 각 블록마다 배경화소의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배경화소의 개수가 일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블록내의 모든 화소를 배경으로 결정하고 상기 변동영상의 각 화소의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이하이면 배경으로 인식하고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배경이 아닌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상기 화소가 배경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얼굴을 포착하는 3단계는 상기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영상 중에서 피부색정보 이용하여 피부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부화소영역의 실루엣에 대한 무게중심을 구하는 단계, 상기 화소 개수인 피부화소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같은 크기를 갖는 가상의 정사각형을 상기의 같은 무게중심에 맞추어 그리는 단계, 상기 영역과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이 겹쳐지는 비율을 구하여 0과 1사이의 값이면 상기 영역을 얼굴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역내의 밝기변화를 체크하여 밝기의 변화에 따른 윤곽선화소의 개수를 조사하여 상기 윤곽선화소의 개수가 임계값이상이면 얼굴로 판단하고 임계값보다 낮으면 얼굴로 판단하지 않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착된 얼굴영상에서 정면얼굴을 판단하고 템플릿영상과 비교할 얼굴영상부분을 추출하는 제4단계는 상기 3단계에서 얼굴영역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영역에 대한 대칭성 체크를 하여 대칭이면 정면얼굴로 판단하고 대칭이 아니면 정면얼굴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면얼굴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정면얼굴영역을 상기 1단계에서 입력하여 저장된 모든 사람의 템플릿영상으로부터 만들어진 평균얼굴영상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지면 정면얼굴로 판단하고, 상기 정면얼굴영상 내에서 위치와 크기를 조정해가며 가장 높은 상관 값을 갖는 위치 및 크기의 부분영상을 템플릿크기로 잘라내어 고정된 크기로 변환함으로써 비교될 최종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얼굴을 인식하는 5단계는 상기 4단계에서 피사체가 정면얼굴로 판단되는 프레임마다 상기 4단계에서 얻어진 최종 추출물을 상기 1단계에서 미리 저장해 놓은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과 일일이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두 영상간의 상관관계 결과를 누적 보관한 후, 상기 피사체가 상기 이미지검출기로부터 사라지거나 일정한 로그기록시간이 되면 그때까지의 상기 상관관계 결과를 이용해 미리 저장해 놓은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 중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템플릿얼굴의 해당자로 판단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동영상의 일정한 크기의 화소들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는 단계에서 일정한 크기는 4×4크기의 화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관관계 결과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의 어느 얼굴에도 해당되지 않는 기타얼굴의 해당자로 판단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셋톱-박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1과 도 2를 설명함에 있어, 연결되는 존재하므로 도 1과 도 2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시청자 텔레비전수상기(200)의 오디오/비디오입력포트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셋톱-박스(100)는 내부에 구비된 모뎀(110)같은 온라인 연결수단에 있는 전화포트(111)를 거쳐 물리적으로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공중데이터교환망(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등의 온라인 통신회선을 통해 운영자시스템(300)의 운영자서버(301)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셋톱-박스(100)내에 장착된 얼굴인식장치(115)에 의하여 상기 텔레비전수상기(200)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식별하고, 동시에 RF안테나의 입력단으로부터의 RF신호를 입력받아 튜너(113)를 거쳐 오디오/비디오출력포트(114)를 통해 상기 시청자텔레비전수상기의 오디오/비디오입력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튜너(113)에 접속된 채널인식장치(112)에 의하여 상기 셋톱-박스(100)가 작동되고 있는 순간, 즉 상기 얼굴인식장치(115)가 동작하고 있는 순간에 방송되고 있는 텔레비전채널정보, 예를 들면 방송되고 있는 광고정보 또는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얼굴인식장치(115)에 의해 얻어진 피사체의 얼굴정보 및 상기 채널인식장치(112)에 의하여 얻어진 상기 텔레비전채널정보를중앙처리장치(CPU)(105)를 통하여 데이터저장수단(108)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저장수단(108)에 저장된 정보데이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CPU)(105)를 통하여 RS232(109)같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뎀(110)에 전송되고, 전화포트(111)를 거쳐 공중전화망(PSTN) 또는 공중데이터교환망(PSDN)을 통해 운영자시스템(300)의 운영자서버(301)에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정보데이터는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데이터저장수단(302)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셋톱-박스(100)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된 상기 정보데이터는 상기 운영자시스템(300)의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되어 일정한 리포트 형식의 출력으로 운영자서버(301)를 거쳐 전용선이나 인터넷등의 공중네트워크를 통해 광고주컴퓨터(400)의 웹브라우저 화면에 보여줄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셋톱-박스(100)내에 장착된 얼굴인식장치(115)는 텔레비전수상기(200)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하여 화상입력수단(103)으로(실제로 다음에 설명될 화상카메라를 이용할 수 도 있다) 미리 상기 텔레비전수상기 소유자의 가족들에 대한 얼굴을 각 가족구성원 한 명당 각기 다른 조명에 따라 여러 장 촬영하여 템프릿영상을 만들어 이 화상정보데이터를 화상데이터저장수단(104)에 저장하여두고, 화상카메라(101)를 사용하여 상기 텔레비전수상기(200)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하여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이미지처리장치(102)에 전송하고, 이때 이미지처리장치(102)는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104)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정보데이터와 상기 화상카메라(101)로부터의 화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텔레비전수상기(200)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 얼굴인식장치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3의 설명부분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CPU)(105)에는 시간측정을 하기 위한 타이머(106)가 접속되며 상기 타이머(106)에는 시간보정을 하기 위한 시간보정장치(107)가 접속된다. 한편 상기 셋톱-박스(100)에는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전원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셋톱-박스(100)를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원격 조정할 때 상기 리모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수신부(IR sensor)가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장치에서의 얼굴인식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셋톱-박스(100)의 얼굴인식장치(115)는 화상입력수단(103)을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104), 상기 텔레비전수상기(200)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촬영하기 위한 화상카메라(101), 상기 화상카메라(101)를 통해 입력받은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104)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화상카메라(101)에 입력된 화상을 식별하는 이미지처리장치(102)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텔레비전수상기(200)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얼굴인식을 위한 템플릿 매칭방식은 미리 정해놓은 탬플릿 패턴이 특정 영상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순기법이며 그 방법 중 하나가 영상 내의 임의의 장소를 설정하여 그곳의 부분영상과 상기 탬플릿 패턴과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것이며, 한 사람의 얼굴은 조명, 표정 등의 이유 때문에 고정된 패턴이 없으므로 상기 화상입력수단(103)으로각기 다른 조명에 따라 피사체 한 명당 여러 장의 템플릿얼굴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104)에 저장하는 1단계(S101), 상기 화상카메라(101)로부터 입력된 영상에서 배경이미지를 추출하는 2단계(S102), 상기 2단계의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영상영역에서 얼굴을 포착하는 3단계(S103), 상기 3단계의 포착된 얼굴영상에서 정면얼굴을 판단하고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104)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얼굴영상과 비교할 고정된 크기의 얼굴영상부분을 추출하는 4단계(S104),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104)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얼굴영상들과 상기 4단계에서 추출된 얼굴영상부분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카메라(101)에 포착된 얼굴을 인식하는 5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얼굴인식장치의 얼굴인식 방법에 의하여, 텔레비전 광고주에게는 텔레비전광고의 집행방법에 대한 평가와 최적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하고 광고제작물 자체의 광고효과 평가 및 제작방향을 가이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방송국에게는 방송되고 있는 텔레비전채널 및 프로그램의 정확한 시청률 및 텔레비전시청의 특성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으로서,
    오디오/비디오입력포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수상기,
    상기 텔레비전수상기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식별하기 위한 얼굴인식장치; 상기 시청자가 시청중인 채널을 인식하기 위한 채널인식장치; 상기 얼굴인식장치 및 채널인식장치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수단; 상기 얼굴인식장치, 채널인식장치, 데이터저장수단에 각각 연결된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된 온라인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에 온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데이터저장수단 및 운영자서버를 구비한 운영자시스템,
    상기 운영자서버에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광고주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인식장치는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 상기 텔레비전수상기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촬영하기 위한 화상카메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상을 식별하는 이미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셋톱-박스는 RF안테나의 입력단으로부터 RF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비디오출력포트를 통해 시청자 텔레비전수상기의 오디오/비디오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채널인식장치에 접속되는 튜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셋톱-박스는 시간보정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된 온라인 연결수단은 모뎀이고 RS232를 통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6.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의 얼굴인식방법으로서,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 상기 텔레비전수상기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를 촬영하기 위한 화상카메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화상카메라에 입력된 화상을 식별하는 이미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얼굴인식장치에서의 얼굴인식방법은
    식별하고자 하는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을 만들어 저장하는 1단계와;
    상기 화상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서 배경을 추출하는 제 2단계와;
    상기 2단계의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영상 영역에서 얼굴을 포착하는 3단계와;
    상기 3단계의 포착된 얼굴영상에서 정면얼굴을 판단하고 템플릿얼굴영상과 비교할 얼굴영상부분을 추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1단계에서 저장되어 있는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과 상기 4단계에서 추출된 얼굴영상부분을 비교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제 1단계의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은 상기 피사체 한 명당 각기 다른 조명에 따라 여러 장의 템플릿영상을 만들어 저장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배경을 추출하는 제 2단계는 현재의 배경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모듈 수행 중 상기 배경이 바뀌는 경우에 새로운 배경영상을 만들어 현재의 배경영상을 대체하는 단계, 매 프레임마다 상기 현재의 영상과 대체된 배경영상간의 화소단위의 색상차이를 계산하여 화소단위의 변동영상을 만드는 단계, 상기 변동영상의 일정한 크기의 화소들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는 단계, 상기 각 블록마다 배경화소의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배경화소의 개수가 일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블록내의 모든 화소를 배경으로 인식하고 상기 변동영상의 각 화소의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이하이면 배경이 아닌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상기 화소가 배경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얼굴을 포착하는 3단계는 상기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영상 중에서 피부색정보를 이용하여 피부화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부화소영역의 실루엣에 대한 무게중심을 구하는 단계, 상기 화소 개수인 피부화소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같은 크기를 갖는 가상의 정사각형을 상기의 같은 무게중심에 맞추어 그리는 단계, 상기 영역과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이 겹쳐지는 비율을 구하여 0과 1사이의 값이면 상기 영역을 얼굴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역내의 밝기변화를 체크하여 밝기의 변화에 따른 윤곽선화소의 개수를 조사하여 상기 윤곽선화소의 개수가 임계값이상이면 얼굴로 판단하고 임계값보다 낮으면 얼굴로 판단하지 않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포착된 얼굴영상에서 정면얼굴을 판단하고 템플릿영상과 비교할 얼굴영상부분을 추출하는 제4단계는 상기 3단계에서 얼굴영역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영역에 대한 대칭성 체크를 하여 대칭이면 정면얼굴로 판단하고 대칭이 아니면 정면얼굴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면얼굴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정면얼굴영역을 상기 1단계에서 입력하여 저장된 모든 사람의 템플릿영상으로부터 만들어진 평균얼굴영상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지면 정면얼굴로 판단하고, 상기 정면얼굴영상 내에서 위치와 크기를 조정해가며 가장 높은 상관 값을 갖는 위치 및 크기의 부분영상을 템플릿크기로 잘라내어 고정된 크기로 변환함으로써 비교될 최종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얼굴을 인식하는 5단계는 상기 4단계에서 피사체가 정면얼굴로 판단되는 프레임마다 상기 4단계에서 얻어진 최종 추출물을 상기 1단계에서 미리 저장해 놓은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과 일일이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두 영상간의 상관관계 결과를 누적 보관한 후, 상기 피사체가 상기 이미지검출기로부터 사라지거나 일정한 로그기록시간이 되면 그때까지의 상기 상관관계 결과를 이용해 미리 저장해 놓은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 중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템플릿얼굴의 해당자로 판단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영상의 일정한 크기의 화소들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는 단계에서 일정한 크기는 4×4크기의 화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 결과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피사체들의 템플릿얼굴영상들의 어느 얼굴에도 해당되지 않는 기타얼굴의 해당자로 판단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방법.
KR1020000066918A 2000-11-11 2000-11-11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6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918A KR20020036867A (ko) 2000-11-11 2000-11-11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918A KR20020036867A (ko) 2000-11-11 2000-11-11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867A true KR20020036867A (ko) 2002-05-17

Family

ID=1969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918A KR20020036867A (ko) 2000-11-11 2000-11-11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8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48B1 (ko) * 2006-06-23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서비스 구성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성정보를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CN101237563B (zh) * 2007-01-31 201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节目受众信息获取方法和装置
CN102438171A (zh) * 2011-08-22 2012-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节目源文件处理方法、装置及网络电视系统
US8218080B2 (en) * 2005-12-05 2012-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settings, parental control, and energy saving control of television with digital video camera
US8848057B2 (en) 2005-12-05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security applications for television with digital video camer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532A (ja) * 1990-08-24 1992-04-07 Nippon Hoso Kyokai <Nhk> テレビジョン視聴率測定装置
JPH0723012A (ja) * 1993-06-30 1995-01-24 Takahashi Takeshi 視聴率調査システム
KR20010097950A (ko) * 2000-04-27 2001-11-08 이정숙 시청자 성향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4532A (ja) * 1990-08-24 1992-04-07 Nippon Hoso Kyokai <Nhk> テレビジョン視聴率測定装置
JPH0723012A (ja) * 1993-06-30 1995-01-24 Takahashi Takeshi 視聴率調査システム
KR20010097950A (ko) * 2000-04-27 2001-11-08 이정숙 시청자 성향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8080B2 (en) * 2005-12-05 2012-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settings, parental control, and energy saving control of television with digital video camera
US8848057B2 (en) 2005-12-05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security applications for television with digital video cameras
KR100824148B1 (ko) * 2006-06-23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 Iptv 서비스 구성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성정보를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CN101237563B (zh) * 2007-01-31 201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节目受众信息获取方法和装置
CN102438171A (zh) * 2011-08-22 2012-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节目源文件处理方法、装置及网络电视系统
CN102438171B (zh) * 2011-08-22 2018-09-28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节目源文件处理方法、装置及网络电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9519C (en) Audience measurement system for digital television
AU689691B2 (en) Audienc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MXPA04010349A (es) Metodo y aparato para recolectar informacion de audiencia asociada con una presentacion de medios.
CN105229629A (zh) 通过观察音量变化事件检测对所呈现的媒体项目的用户兴趣
US11570513B2 (en) Cross-media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CN108401186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智能电视显示控制方法
CN103024473A (zh) 收视率调查系统和方法
JP2000209578A (ja) 広告メディア評価装置および広告メディア評価方法
TW201511544A (zh) 自動換台系統及方法
CN109905757A (zh) 通过人脸识别控制视频字幕播出的方法
KR20020036867A (ko) 텔레비전 광고효과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6791B1 (ko) 디지털양방향티브이의 광고집행시스템
JP2004064368A (ja) 電子機器
KR20100116306A (ko) 시청률 조사 시스템 및 그 조사 방법
KR102487111B1 (ko)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208916B1 (ko) 영상 인식 기반의 방송 프로그램 인식 시스템
JP4280100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視聴履歴収集システム
WO2000070869A1 (en) Monitoring system
KR20010097950A (ko) 시청자 성향에 따른 시청률 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6548120B (zh) 影院观影气氛采集统计方法及系统
CN109168080A (zh) 一种用于数字电视终端的数据传输方法与系统
KR20060058392A (ko) 방송 시청율 조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케이블텔레비전의 셋톱 박스, 방송 시청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0827090B (zh) 一种对手机品牌做市场调研手持终端
KR102557442B1 (ko) 수화 방송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2002532952A (ja) ウインドウに表示されるビデオの視聴測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