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726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726A
KR20020034726A KR1020000065219A KR20000065219A KR20020034726A KR 20020034726 A KR20020034726 A KR 20020034726A KR 1020000065219 A KR1020000065219 A KR 1020000065219A KR 20000065219 A KR20000065219 A KR 20000065219A KR 20020034726 A KR20020034726 A KR 20020034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contextual inform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lar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건
박현철
정희석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이상건
(주)브레이크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건, (주)브레이크마인드 filed Critical 이상건
Priority to KR102000006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4726A/en
Publication of KR2002003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72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the own vehicle, e.g. a local storage device, digital map

Abstract

PURPOSE: A position base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o allow a plurality of users to perform safe, quick, and convenient position movement by providing dangerous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users. CONSTITUTION: A GPS receiver(150) receives a position of a position based alarm device. An input section(160) performs an object selecting input of situation information and data transmitting/receiving operations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 transceiver(180) transmits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position information and situation information. A storage section(190) stores at least one map. A display device(200) outputs at least one a text form and an image form as the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ituation information. An output section(210) outputs at least one a voice and a sound as the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itu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itu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지점에 대한 세부 정보의 취득이 용이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situ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move loc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by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on a specific point.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과학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현재 많은 사람들이 토목, 항공, 선박, 우주, 자동차, 레저, 농업, 산림, 지리 정보 등의 분야에서 편리하고, 신속한 위치 이동등의 목적을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위치 결정 체계)를 이용하고 있다.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y people now us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or the purpose of convenient and rapid positioning in the fields of civil engineering, aviation, ship, space, automobile, leisure, agriculture, forestry and geographic information. : Positioning system).

일반인들이 GPS 장치를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바로 자동차 운전의 경우일 것이다. 따라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 GPS가 실생활이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 간략히 기술한다.The easiest way for the general public to find a GPS device is when driving a car. Therefo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the case where GPS is used in real life.

지리상 익숙하지 않은 도로상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동안에 많은 운전자들이 자동차가 주정차된 동안, 지도책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를 향하는 길을 찾은 후 해당 목적지를 찾아가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단 한번만 지도책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찾아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While driving a car on a road that is unfamiliar to geography, many drivers find their way to their desired destination using an atlas while the car is parked. Of course, in this case it is very rare to find a destination using the atlas only once.

이러한 운전자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요즈음 부착되기 시작한 것이 카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이다. 즉, 운전자가 차량에 부착된 카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가고자하는 목적지만 입력하면 나머지 지리 정보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된다.In order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these drivers, car navigation is beginning to be attached these days. That is, when the driver inputs only the purpose to go using the car navigation attached to the vehicle, the remaining geographic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바로 이런 목적에 쓰이는 단말기가 바로 GPS를 이용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다.The terminal used for this purpose is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using GPS.

이하, GPS의 원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GPS will be briefly described.

GPS가 어떠한 원리로 작동되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개념적으로 매우 단순하다. 근본적으로 GPS는 삼각 측량의 원리를 사용한다.Understanding how GPS works is conceptually very simple. Essentially, GPS uses the principle of triangulation.

전형적인 삼각 측량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특정 지점의 위치가 그 점을 제외한 두 각의 크기와 그 사이 변의 길이를 측정함으로 결정되지만, GPS에서는 알고싶은 점을 사이에 두고있는 두 변의 길이를 측정함으로 미지의 점의 위치를 결정한다는 것이 고전적인 삼각 측량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In a typical triangulation, the location of an unknown point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size of the two angles excluding the point and the length between the sides, but in GPS, the unknown poin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length of the two sides between the points you want to know. Determining the position is different from classic triangulation.

그리고,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는 각 위성에서 발생시키는 부호 신호의 발생 시점과 수신 시점의 시간 차이를 측정한 다음 여기에 빛의 속도를 곱하여 계산한다.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the satellite to the receiver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code signal generated by each satellite and the time of reception, and multiplying the speed of light by this.

실제로 위성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거리 자료 이외에도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는데 이 위성의 위치를 계산하는데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궤도력을 사용한다.In f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atellite, in addition to this distance data, the exact position of the satellite must be known.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satellite, the orbit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is used.

각 위성은 두 가지의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는데 L1 반송파라고 알려진 1.57542 GHz 주파수와 L2 반송파라고 불려지는 1.2276 GHz 주파수의 신호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송파에 중첩되는 정보는 PRN(Pseudo-Random Noise)부호와 항법 메시지(Navigation Message)로 이루어진다.Each satellite generates signals of two different frequencies simultaneously, consisting of signals at the frequency of 1.57542 GHz, known as the L1 carrier, and 1.2276 GHz, called the L2 carrier. The information superimposed on such a carrier consists of a PRN (Pseudo-Random Noise) code and a navigation message.

PRN 부호는 각 위성마다 유일하도록 서로 다르며 이진 부호로 구성되는데 매우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신호 자체만 보았을 때는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사실상 PRN 부호는 어떠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Random Noise) 어떠한 규칙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진 수열로써 위성까지를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어지기 위한 것이다.The PRN code is unique to each satellite and consists of binary codes. It is very long and complex, so when you see only the signal itself, you cannot understand the meaning. In fact, the PRN code does not contain any information but, as the name suggests (Random Noise), is a binary sequence created by some rule that is used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satellite.

이 PRN 부호는 다시 두 종류의 부호로 나누어지는데 Coasrse Acquisition 이라고 불려지는 C/A 부호는 민간 신호라고도 이야기되며 특별히 허락 받지 않은 개인이나 단체도 이용할 수 있으나, P 부호(Precise code)는 신호의 암호화가 이루어지므로 이용을 위해서는 허가가 필요하다.This PRN code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codes. The C / A code, which is called Coasrse Acquisition, is also called a private signal and can be used by an individual or a group without special permission. However, the P code is used to encrypt the signal. Permission is required for use.

그러나, 종래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리 정보 등의 해당 정보를 제공받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고가의 장비를 구비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a user must separately provide expensive equipment in order to receive and use corresponding information such as geographic information.

또한, 특정 사용자의 요청을 통해서 취득한 해당 정보를 오직 해당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정보 이외에는 필요한 정보의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only the corresponding user can us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request of a specific us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necessary information other than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또한,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용자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도로 상황에 적합한 정보에서 소외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driving a car is alienated from information suitable for a constantly changing road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지점에 대한 위험 요소, 인공 장애물 등의 위험 정보를 해당 지점에 근접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신속하며, 편리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users in close proximity to a particular point of danger, artificial obstacles, etc. for a particular point transmitted from a specific user, thereby providing a safe, fast and convenient location movement for the plurality of users.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이 특정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음성 또는 화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be provided by using a voice or video signal in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receives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pecific user to the corresponding user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간에 특정 지점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함에 있어 고가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n economical communication network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have expensive equip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point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경보 장치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 bas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a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 to a location 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 bas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a location 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a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utputt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전면을 예시한 외형도.6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 location based alarm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114, 140 :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2 : 이동 통신 단말기110, 114, 140: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 GPS 위성 130 :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20: GPS satellite 130: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erver

132 : 프로세서 134 : 저장 장치132: processor 134: storage device

150 : GPS 수신부 160 : 입력부150: GPS receiver 160: input unit

170 : 제어부180 : 송수신부170: control unit 180: transceiver

190 : 저장부200 : 표시부190: storage unit 200: display unit

210 : 출력부210: output unit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각각에 대해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황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며,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중에서,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 정보 중에서, 상기 검색된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상황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되고, 해당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o a use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t least one corresponding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at least one location in advance and Receiving a location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from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of the user, searching for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location-based alarm device among at least one previously stored location, and storing the at least one location. A context-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is provided, wherein the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location is searched from the contextual information, and the searched contextu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Enable location 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sion It is provided by the system and apparatus.

상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는 상기 위치, 상기 상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상황 정보는 상기 위치와 상응하는 물적 정보, 인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location, the contextual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may include material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가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상황 정보를 상기 위치와 상응하도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location based situ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When the received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dividing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중에서,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이용할 때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좌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복수의 위치 사이의 거리, 이동 방향, 이동 루트 등을 고려하여 지정될 수 있다.The searching of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location-based alarm device may include searching for coordinate information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using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location-based alarm device among at least one previously stored locatio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specified in consideration of a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positions, a moving direction, a moving route, and the like.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PDA 등의 외부 장치와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puter, a PDA, and the like,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위치 기반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황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전송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외부 장치,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공유 방법이 제공되고, 해당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공유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har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Receive a loc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from the user,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user, converts the loc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nto a form for transmission, and converts the loc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t least one of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s provided.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도를미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지도 중에서, 상기 수신한 위치와 상응하는 지도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at least one map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 advance; Searching for a ma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among pre-stored map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searched map to a display unit.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위치를 상기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searched map may be performed by displaying the received location on the map.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코드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상기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식별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tor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context information in advan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arching for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tuation information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codes.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may transmit the loc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 to the location base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 real ti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좌표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위치를 외부 장치,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장치, 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 기반 상황 정보-위치 기반 상황 정보는 제2 위치 및 제2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이 제공되고, 해당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receiving sit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 first loc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a user's location based alarm device from a location coordinate providing device, The received first location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an external device and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 method for us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sit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nd outputting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sition. Provided are a system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method of us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ll.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도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지도 중에서, 상기 수신한 제2 위치와 상응하는 지도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n advance at least one map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Retrieving a ma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location from a pre-stored ma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searched map to a display unit.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지도상에,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각각 식별될 수 있도록 구분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searched map may be performed by separately displaying the first loc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on the map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를 경고음, 음성, 음향,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ation may include convert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to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a voice, a sound, and an imag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tuation information.

상기 상황 정보는 미리 지정된 식별 코드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고, 상기 위치 좌표 제공 장치는 인공 위성, 기지국, 중계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location coordinate providing apparatus may use a satellite, a base station, a repeater, and the lik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 140), GPS 위성(120),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s 110 and 140, a GPS satellite 120, and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 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 내에 후술할 위치기반 경보 장치를 포함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로 적용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핸즈프리 또는 거치대의 결합 형태로서 적용되어질 수 있다.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s 110 and 140 may be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ncluding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or may be applied as a hands-free or a combination of cradle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그리고,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 140)는 사용자가 해당 장치를 소지하여 휴대용으로 이용하거나, 자동차 등의 외부 장치에 핸즈프리 또는 거치대가 결합되어 있고, 해당 장치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자동차 등의 외부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 140) is used by the user to carry the device in a portable, hands-free or cradle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ar, combined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evice Or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ar.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는 프로세서(132)와 저장 장치(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may include a processor 132 and a storage device 134.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using the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1.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과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핸즈프리 또는 거치대가 부착되어 있고, 해당 핸즈프리 또는 거치대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 140)를 예를 들기로 하고, 자동차에 부착된 핸즈프리 또는 거치대만을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로 칭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facilitat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 hands-free or cradle is attached to a vehicle, and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 140) of a type used by combining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hands-free or cradle. For example, only hands-free or a cradle attached to a vehicle will be referred to as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

또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GPS 위성(120)을 통한 GPS 시스템 이용 방법, 기지국 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위치 등을 인식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GPS 위성(120)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using a GPS system through the GPS satellite 120 or a method of recogniz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ase station, etc. may be applied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 Here, the method using the GPS satellite 120 will be described.

제1 사용자가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를 구비한 자동차를 통해 이동 중에, 특정 위치의 도로에 인공 장애물이 설치되어있거나, 결빙 또는 사고 잔해 등의 위험 요소가 산재한 경우에, 이후 해당 위치를 통과할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해당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If the first user moves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 and there are artificial obstacles on the road at a specific location, or if there are risk factors such as freezing or accident debris, the first user passes through the location. Whe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nput using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 for the driver's safety, the input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utomatically transmit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는 GPS 위성(12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해당 정보의 입력이 있는 순간에 해당 위치를 인식하게 되고, 인식한 위치와 제1 사용자가 입력한 상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 recognizes the location at the moment of input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while receiv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in real time from the GPS satellite 120.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put by the first user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이 경우에, 제1 사용자가 상황 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는 GPS 위성(120)으로부터 수신되어 인식되는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first user does not input the situ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110 of the first user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120 and recogniz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al time. In order to transmit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물론, 이 경우에 해당 지역의 위치만을 GPS 위성(120)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고, 해당 상황 정보(예를 들어, 인공 장애물 존재, 위험 요소 존재 등)는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로 직접 전송하는 방법 또는 GPS 위성(120)을 통해 해당 위치와 해당 상황 정보를 한꺼번에 전송하는 방법 등을 부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only the location of the region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hrough the GPS satellite 120,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for example, artificial obstacles, hazards, etc.) Through the method of directly transmitting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or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at once through the GPS satellite 120 may be additionally used.

이후,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와 상황 정보를 저장 장치(134)에 저장한다.Thereafter, the loca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stores the loc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based alert device 110 in the storage device 134.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 140)를 구비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위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위치 중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위치와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조건(예를 들어, 거리, 도로 등)에 부합하는 위치를 가지는 제2 사용자를 검색한다.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receives a location from a plurality of users having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s 110 and 140, and pre-specified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ed locations. Search for a second user whose location matches (e.g., street, road, etc.).

그리고,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13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장치에 저장한 해당 위치 기반 상황 정보(즉, 위치 및/또는 상황 정보 등)를 검색하여, 해당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retrieves the correspon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hat is, location and / or contextual information, etc.)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of the second user. Send to the terminal.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해당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경보 장치(140)로 전송하고, 위치 기반 경보 장치(140)는 수신한 해당 정보를 음성,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하여, 제2 사용자에게 공지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econd user transmits the loca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4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40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voice and text. Or output in the form of an image, to notify the second user.

도 1에 도시된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 140)의 시스템 구성은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s 110 and 14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경보 장치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0 - 도 1 참조)는 이동 통신 단말기(112),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4 - 도 1을 설명하며 정의한 바와 같이 여기서도 핸즈프리 또는 거치대 등을 위치 기반 경보 장치라 칭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0-see FIG. 1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nd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4-1 as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4)는 GPS 수신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송수신부(180), 저장부(190), 표시부(200), 출력부(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4)의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4 may include a GPS receiver 150, an inputter 160, a controller 170, a transceiver 180, a storage 190, a display 200, an output 210, and the like. Can be.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energy for the operation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4.

GPS 수신부(150)는 GPS 위성(120)으로부터 위치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는 WGS84라는 기준 좌표 등으로 제공된다.The GPS receiver 150 receives a position from the GPS satellite 120, and the received position is provided as a reference coordinate called WGS84.

입력부(160)는 상황 정보의 대상 선택 입력, 외부 통신망을 통한 자료 송수신 작업을 진행하며,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60 performs a target selection input of context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pad or a touch screen.

제어부(170)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4) 내에 구비되는 장치를 제어하고 상호 연동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이용한 시스템 설명 부분에서 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devices provided in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4 and interoperates with each oth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in the system description using FIG. 2.

송수신부(18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2)와 위치 및/또는 상황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12)와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4)의 정보 송수신은 유선 통신 또는 RS232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18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cation and / or situation inform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nd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4 may be wired communication or RS232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used.

RS-232 통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8051 코어로 구성된 달라스의 DS5002FP에는 RxD(P3.0:31번핀), TxD(P3.1:36번핀)로 동기 모드에서는 반이중(Half Duplex), 비동기 모드에서는 전이중(Full Duplex)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용 시리얼 I/O 포트(UART)가 1개 있는데 이 포트를 이용해서 프로그램도 전송하고 모니터링도 하며 485통신은 물론 모뎀으로부터 데이터를 보내고 받기도 한다.For a brief description of RS-232 communications, the Dallas DS5002FP configured with 8051 cores has RxD (P3.0: pin 31), TxD (P3.1: 36 pin), half duplex in synchronous mode, and asynchronous mode. There is one communication serial I / O port (UART)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 It uses this port to transmit and monitor programs, and to send and receive data from modem as well as 485 communication.

DS5002FP와 RS232로 타깃 보드(Target Board)에서 통신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하나는 Bootstrap Loader에 의해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할 때 쓰이고, 다른 하나는 타깃 보드의 제어나 통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그것이다.There are two main type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DS5002FP and the target board via RS232, one for loading the program by Bootstrap Loader and the other for controll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target board. It is.

저장부(190)는 제어부에서 수행되어지는 프로그램 또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정보를 출력할 때 필요로 하는 지형 또는 지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90 may store terrain or map information required fo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specif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program performed by the controller or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그리고, 저장부(190)에 저장되어지는 프로그램 또는 지형 또는 지도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갱신하거나,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 결합하여 해당 정보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ogram or terrain or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90 may be updated in real time from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be updated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또한, 이 경우에 누락되는 지도 또는 지형 정보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정보의 갱신 요청 등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missing map or terrain informa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update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그리고, 저장부(190)에 저장되어있는 각각의 정보는 갱신된 날짜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정보가 최신 정보인지 여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Each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90 includes updated date and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information is up-to-date.

표시부(200)와 출력부(210)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및/또는 상황 정보를 출력하며, 해당 정보를 표시부(200)는 텍스트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지형 또는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형태로 출력할 수 있고, 출력부(210)는 음성 또는 음향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0 and the output unit 210 output position and / or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the display unit 200 uses the terrain or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text or storage unit. It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n image, the output unit 210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oice or sound.

또한, 출력부(210) 등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장치(114)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로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output unit 210 or the like,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14 may also be used as a hands-fre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도 2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위치 기반 경보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2.

우선, GPS 수신부(150)는 GPS 위성(120)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First, the GPS receiver 150 receives a user's location in real time from the GPS satellite 120.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4)는 GPS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한 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와 상응하는 지형 또는 지도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한 실시간 좌표 매칭 작업을 통해 저장부(190)로부터 적합한 지도를 검색하여, 해당 지도(사용자의 위치가 포함되어질 수 있음)를 표시부(200)에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114 uses the loc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150 to store the terrain 190 through a real-time coordinate match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for a terrain or a ma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By searching for a suitable map, the corresponding map (which may include the user's location)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00 in real time.

사용자가 위치 기반 경보 장치(114)를 구비한 자동차를 통해 이동 중에, 특정 위치의 도로에 인공 장애물이 설치되어있거나, 결빙 또는 사고 잔해 등의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 입력부(16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입력한다.When the user moves through a vehicle equipped with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114, when an artificial obstacle is installed on a road at a specific location, or when a risk factor such as freezing or accident debris exists, the user inputs the input unit 160. Enter the relevant information.

이때 입력부(160)는 복수의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버튼마다 독립적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이 3개로 구성된 경우에 1번은 인공 장애물, 2번은 위험 요소 존재, 3번은 사고 발생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160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like, and may input independent information for each butt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ree buttons, the number 1 may be composed of an artificial obstacle, the number 2 may exist, the number 3 may be an accident,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내용 이외에, 본 발명은 교통량 측정을 위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이 3개로 구성된 경우에 1번은 소통 원활, 2번은 약간 정체, 3번은 진입 금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traffic volume measure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ree buttons, one can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smoothly, two to be congested, and three to prohibit entry.

본 발명을 교통량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인공 장애물 등의 경우보다는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알려주는 거리 등의 조건을 달리 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measuring the traffic volume, conditions such as a distance for inform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other users may be different than the artificial obstacles described above.

제어부(17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해당 정보를 송수신부(18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12)는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위치 기반 상황 정보의 제공 단계는 완료되어진다.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rough the transceiver 18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step of providing the base context information is completed.

물론, 이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송수신부(180)와 정보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송수신부가 구비되어질 수 있으며,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유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미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수행되어질 수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in the case of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separat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correspond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80 may be provided, and in the case of using wired communi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ready provided for wired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via a connector.

그리고, 해당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 등의 경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112)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즉, 상황 정보 및/또는 위치 등)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송수신부(18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ceives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put from another user and applies it in the case of driving, etc.,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receives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hat is, the situation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and / or loc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transceiver 180.

제어부(170)는 송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한 위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좌표 매칭 작업을 진행하고, 해당 위치와 상응하는 지형 또는 지도 정보를 저장부(190)로부터 검색하여 표시부(200)에 출력한다.The controller 170 performs a real-time coordinate matching operation using the location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80, retrieves the terrain or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from the storage 190,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200. do.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200)에 출력된 해당 지도에는 현재 사용자의 제1 위치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위치가 각각 구분되는 기호(예를 들어, O와 X 등)로서 표시되어질 수 있다.The corresponding map output to the display unit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is displayed as a symbol (for example, O and X) that distinguishes the first position of the current user and the second position includ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Can be done.

또한, 송수신부(170)를 통해 수신한 해당 정보가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정보 내에 포함된 식별 코드(예를 들어, 소통 원활인 경우 1, 약간정체인 경우 2, 진입 금지인 경우 3 등)를 이용하여 해당 도로상에 각각 색상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70 is information on traffic conditions,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for example, smooth communication 1, a little congestion 2, when entry is prohibited 3) may be distinguished by colors on the corresponding road to enable the user's recognition.

그리고, 해당 상황 정보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부(210)를 통해 음성 또는 음향의 형태로서 부가적으로 출력되어질 수도 있다.The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output in the form of voice or sound through the output unit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물론, 표시부(200)를 통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출력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출력부(210)를 통한 독립적인 출력도 가능하다.Of course, when the output step in the form of text or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is omitted, independent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10 is also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a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to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해당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1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receives a location indicating a corresponding location in real time from a GPS satellite.

물론, 단계 310은 위치 기반 경보 장치를 작동 개시(즉, power on 등)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해당 위치 기반 경보 장치를 결합하는 단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step 310 may further include starting operation (ie, power on)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or combining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경보 장치가 해당 사용자의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지도 등의 형태로서 출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를 위치 기반 경보 장치에서 해당 작업의 수행을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해당 위치와 상응하는 지도를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지도 내에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단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when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outputs the loca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s a map or the like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is outputted from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searching for a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 the storage unit, displaying a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in the searched map, and outputting the same.

단계 32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와 상응하는 특정 상황 정보(예를 들어, 인공 장애물, 사고 잔해 등)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In operation 32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determines whether specific situation information (eg, artificial obstacles, accident debris, etc.)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input by using an input unit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단계 320의 검사 결과로 만일 특정 상황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33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50으로 진행한다.If the specific situation information is input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320, the flow proceeds to step 330, and if not, the flow proceeds to step 350.

단계 33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단계 310을 통해 수신된 위치와 단계 320을 통해 입력된 상황 정보를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In operation 33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converts the location received in operation 310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nput in operation 320 into a form suitable for transmission to the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이 경우에, 단계 320을 통해 입력된 상황 정보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put through step 320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to a form recognizable by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예를 들어 설명하면, 위치 기반 경보 장치가 대량 생산되어 복수의 사용자의 자동차 등에 구비된 경우에, 해당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입력부 중 각각의 버튼에 대해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미리 설정한 경우에는, 선택된 버튼 정보만을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더라도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에서 어떠한 상황 정보인지 정확한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is mass-produced and provided to a vehicle of a plurality of users, when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is set in advance to include the same information for each button of the input unit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Even if only the butt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what kind of contextual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그러나, 각각의 사용자에게 있어 제공하고 싶은 상황 정보와 제공하고 싶지 않은 상황 정보가 각기 다를 수 있다.However, the contextual information to be provided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not to be provided to each user may be different.

이 경우에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키거나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의 운용의 편의성만을 고려하지 않고, 해당 사용자들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가 특정 버튼에 대해 특정 상황 정보를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not only satisfying all users or considering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but also considering the ease of use of corresponding users, each user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specific contextual information on a specific button. It can be provided with additional functions that can be.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적용한 경우에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가 각각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황 정보에 대해 버튼 선택 정보만을 인식해서는 정확하게 어떤 정보를 포함하는지 인식할 수 없다.Therefore, when such a function is applied,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annot recognize exactly what information is included by recognizing only the button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contextu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부 중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 버튼이 어떤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위치 기반 경보 장치에서 인식한 후, 해당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particular button from the input unit,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recognizes what situation information the button represents, an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have.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버튼 선택 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해당 버튼 선택 정보, 즉 1, 2, 3 등의 선택 정보로서 전송되지 않고, 각각에 대해 미리 부여된 식별 코드로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Of course, even when only the button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as the corresponding button selection information, that is, selection information such as 1, 2, 3, and the like. It can also be sent to the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단계 34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단계 330을 통해 변환된 위치 기반 상황 정보(즉, 상황 정보 및 위치 등을 포함함)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In operation 34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transmits the converted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xtual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 operation 330.

단계 340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은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 중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기에 용이한 방법 두 가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step 340 may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location-based alerting apparatus. Of these various methods, only two methods that are generally easy to use will be described.

첫째, 위치 기반 경보 장치 내에 외부 통신망과 결합되어 특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 자체에서 해당 정보를 직접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First, a method of construct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specific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in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When using this method,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itself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have.

둘째,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위치의 수신 및 상황 정보의 입력 등의 역할만을 중점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Second,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is a method of configuring only the role of receiving a location and inputting situation information, etc., which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를 통해 수신되거나 입력된 위치 또는 상황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서 변환된 후,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RS232 등) 또는 유선 케이블(cable)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pplying this method, location or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or input through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RS232, etc.) or a wired cable. 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cabl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using a transmission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시 단계 320을 참조하면, 만일 사용자로부터 상황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350으로 진행하여,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변환한 후, 단계 360으로 진행하여 해당 정보를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Referring back to step 320, if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not input from the us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50, after conver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proceeds to step 36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

단계 350 및 단계 360과 관련해서는 앞서 설명한 단계 330 및 단계 340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steps 350 and 360 are similar to the descriptions of steps 330 and 340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단계 350 및 단계 360의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디폴트(default) 설정을 통해, 상황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를 실시간으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teps 350 and 360 may be performed by a user's selection or default setting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so that 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not input, the loc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 real time. You may.

단계 37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동작 종료 요청 정보(예를 들어,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power off,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분리 등)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In step 37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checks whether the operation termina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eg, power off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sepa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etc.) is input from the user. do.

단계 370의 검사를 통해 만일 사용자로부터 동작 종료 요청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310으로 진행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의 수신을 계속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를 종료한다.If the operation termination request information is not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check of step 37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0, and the reception of the position from the GPS satellite is continu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a location-based ale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가 구비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즉, 위치 및/또는 상황 정보 등)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10,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determines whether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hat is, location and / or contextual information, etc.) is received from a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heck it.

단계 410의 검사를 통해 만일 특정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위치 기반 상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420으로 진행하여 해당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30으로 진행한다.If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pecific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through the inspection of step 41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0 and stores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 storage device.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30.

단계 420에서 해당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해당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위치와 상황 정보로 구분하여 상호간에 링크 관계를 구성한 후, 각각 독립적인 저장 영역에 저장하거나, 해당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하나의 영역 내에 다른 위치 기반 상황 정보와 구분하여 저장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In step 420, the method of storing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by dividing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to loc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to form a link relationship therebetween, and then storing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 an independent storage area or storing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method of storing it separately from other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 domain.

단계 430에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위치를 수신한다.In operation 430,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receives a loc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430이후의 단계는,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해당 위치 사용자의 선택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위치의 송신 중지의 경우에는 생략되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teps after receiving the location may be omitted in the case of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user or transmission stop of the default location.

단계 440에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와 상응하여 저장 장치 내에 미리 저장된 위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In operation 440,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earches whether a loc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corresponds to a loc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단계 440을 통해 특정 위치를 검색함에 있어, 특정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에 미리 지정된 조건(예를 들어, 거리, 도로, 상행선 또는 하행선 등)을 부가한 후, 저장 장치를 통해 상응하는 위치를 검색할 수도 있다.In searching for a specific location in step 440, a predetermined condition (e.g., street, road, up or down line, etc.) is added to the loca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location based alarm device, and then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stored via the storage device. You can also search for.

단계 450에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는 단계 43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와 단계 440을 통해 검색된 위치가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In step 450,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heck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received in step 430 and the location retrieved in step 440 meet a predetermined condition.

단계 450을 통한 검사를 통해 수행 가능한 사례를 설명하면, 미리 지정된 조건을 거리(예를 들어, 2km 등)와 도로(예를 들어, 동일한 도로 등) 및 방향(예를 들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위치 좌표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 등)이라고 지정한 경우에, 사용자의 위치 좌표가 저장 장치에서 검색된 위치와 거리 측면에서는 2km 내외의 거리로서 만족하더라도, 만일 해당 자동차의 진행 방향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위치 좌표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경우에는 해당 상황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inspection is possible through step 450, the case can be described by us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such as a distance (for example, 2 km, etc.) and a road (for example, the same road, etc.) and a direction (for example, a location stored in a storage device). If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user are satisfied as a distance of about 2 km in terms of the position and distance retrieved from the storage devic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is far from the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 the case of a direction, the situation information may not be transmitted.

단계 450의 검사 결과로 만일 두 개의 위치가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단계 46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80으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450, if the two locations mee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60;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80.

단계 460에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는 단계 440을 통해 검색된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검색한다.In operation 460,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earches for sit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searched through operation 440.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동일한 영역 내에 상황 정보와 위치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영역에 저장된 상황 정보를 검색하게 되고, 만일 상호간에 링크 관계를 가지는 상태로 다른 영역에 독립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링크를 이용하여 적합한 상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are stored in the same area, the situ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ame area is searched. If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are stored in the same area, the situ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other area is independently stored in a link relationship. If so, you can use the link to retrieve the appropriate contextual information.

단계 470에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즉, 단계 440을 통해 검색된 위치와 단계 460을 통해 검색된 상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 전송한다.In step 470,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hat is, the location retrieved through the step 440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the step 460) to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이 경우에 외부 통신망과의 통신 기능을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경우에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 전송하는 대신에, 위치 기반 경보 장치와 결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transmit the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ed with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instead of transmitting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경보 장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 특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서버 등)를 통해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망연동 시스템(IWF : Inter-Working Function)이 부가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separate device (for example, a short message server) capable of transmitting a specific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an interworking function (IWF) may be added and used.

단계 480에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위치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만일 위치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기 위하여 단계 41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를 종료한다.In step 480,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hecks whether a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and if the location is received, proceeds to step 410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steps, and if not, step To exi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utputt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두 개의 위치를 필요로 한다.In describing the method for outputt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with reference to FIG. 5, two locations are required.

즉, 하나는 해당 사용자가 구비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위치이다.That is, one is a loc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provided by the user, and the other is a loc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양자를 구분하기 위해 이하로는 제1 위치(즉,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와 제2 위치(즉,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라는 명칭으로 각각 구분하기로 한다.To distinguish between the following, each of the following descriptions is referred to as a first location (ie, a loc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user's location-based alarm device) and a second location (ie, a loc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hall be.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가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위치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51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receives a first loc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of a corresponding user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단계 52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단계 510을 통해 수신한 제1 위치를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예를 들어,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또는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등)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In step 52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should output the first location received in step 510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for example, output using a map or terrai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Examine whether or not.

단계 510을 통해 수신한 제1 위치를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디폴트 설정 등을 통해 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first location received in operation 510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may be performed through user selection or default setting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단계 520의 검사 결과로 만일 단계 510을 통해 수신한 제1 위치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53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50으로 진행한다.If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first position received through step 510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520, the flow proceeds to step 530, and if not, the flow proceeds to step 550.

단계 53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단계 510을 통해 수신한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지도 또는 지형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단계 540으로 진행하여 단계 510을 통해 수신한 해당 위치를 단계 530을 통해 검색된 지도 또는 지형 정보 내에 표시한 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In operation 53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retrieves a map or terrain information including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received in operation 510 from the storage unit, and proceeds to operation 540 to perform operation 530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received in operation 510. After displaying in the map or terrain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the output through the display.

만일 단계 530을 통해 해당 지도 또는 지형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해당 지도 또는 지형 정보의 제공 요청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corresponding map or terrain information is not retrieved through step 530,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map or terrai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 real time, and th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may include.

단계 55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상황 정보(즉, 상황 정보 및/또는 제2 위치 등을 포함함)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In operation 55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checks whether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e, including contextual information and / or a second location, etc.) is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단계 550의 검사를 통해 만일 위치 기반 상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56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20으로 진행한다.If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inspection of step 550, the flow proceeds to step 560, and if not, the flow proceeds to step 620.

단계 56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지도 형식으로 출력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단계 560과 관련해서는 상술한 단계 520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In step 560,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checks whether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hould be output in a map format. The description of step 560 is similar to that of step 520 described above,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in.

단계 560의 검사 결과로 만일 지도 형식으로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단계 57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90으로 진행한다.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560 is to be output in the map format, the flow proceeds to step 570, and if not, the flow proceeds to step 590.

단계 57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2 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와 상응하는 지도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색한다.In operation 570, the location-based alerting apparatus searches for the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from the storage by using the second loc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단계 58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단계 580을 통해 검색된 지도 정보 내에 해당 제2 위치를 표시하고, 해당 지도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In operation 58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displays the corresponding second location in the map information searched through operation 580,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map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만일 단계 520과 단계 560을 통한 검사에서 모두 지도 또는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한 경우에는, 단계 540을 통해 표시되는 제1 위치와 단계 580을 통해 표시되는 제2 위치를 각각의 적용 기호를 달리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inspection at steps 520 and 560 is performed to output using map or terrain information, the application symbols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displayed at step 540 and the second position displayed at step 580. It can be distinguished by using a method such as.

다시 단계 560을 참조하면, 만일 지도 형식으로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590으로 진행하여, 해당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음성을 이용하여 출력(즉, 제2 위치(예를 들어, 지명 또는 대략적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음) 및/또는 상황 정보(예를 들어, '인공 장애물이 있습니다. 안전 운전하세요 등) 등을 미리 지정된 방법에 의해 음성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 등)하도록 설정되어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Referring back to step 560, if it is set not to output in map format, the flow proceeds to step 590 to output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voice (i.e., the second location (e.g. place name or approximate name). Location, etc.) and / or situational information (e.g., 'There are artificial obstacles, drive safely, etc.'). Check it.

해당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방법 역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위치기반 경보 장치의 디폴트 설정 등을 통해 할 수 있다.The method of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voice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user selection or default setting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단계 590의 검사 결과로 만일 음성을 이용한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단계 60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20으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590, if output using voice is reques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00;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20.

단계 600에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음성 형태로 변환한 후, 단계 610으로 진행하여 변환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In step 600,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converts the loca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to a voice form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nd then proceeds to step 610 to output the converted loca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do.

이 경우에 출력되는 형태를 예를 들면, '전방 1km에 교통 사고 잔해가 산재해 있습니다. 안전 운전하세요.' 등의 형태로 제2 위치 및 상황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the output of a car accident is scattered in the 1km ahead. Please drive safely. ' It may also include both the second location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단계 560 내지 단계 6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표시부를 통해 지도 형식으로 출력하거나, 출력부를 통해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방법으로 각각 구별되어 적용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두 가지 출력 방법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steps 560 to 610,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utput in a map form through a display unit or in a voice form through an output unit. Although shown, a more preferred form may be applied in parallel to the two output methods.

단계 620에서 경보 제공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사용자의 제1 위치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만일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복수의 단계를 반복하기 위하여 단계 510으로 진행하고,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를 종료한다.In step 620, the alarm providing apparatus checks whether the user's first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and if so, proceeds to step 510 to repeat the plurality of steps described above. Quit.

이제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위치 기반 경보 장치와 결합되는 통신 기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위치 기반 경보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외부 통신망과 접속하여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되어질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device combined with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but in ad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and the location-based situa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y device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즉,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컴퓨터(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탑 등), PDA 단말기 등의 이용도 가능하다.That is, for example, in addi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puter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etc.), a PDA terminal, etc. can also be us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전면을 예시한 외형도이다.6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표시부(710), 상황 정보 입력 버튼(720), 기능 선택 입력 버튼(7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710, a situation information input button 720, a function selection input button 730, and the like.

표시부(710)는 액정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부(710)를 통해 저장부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지도 정보 등의 갱신 과정을 나타내는 다운로드(download) 또는 업로드(upload)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7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liquid crystal or the like, and the user may download or upload a state indicating an update process of a program or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display unit 710. Can be identified.

또한, 표시부(710)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와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 또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등의 형태로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10 may outpu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map by using the position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and the position or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상황 정보 입력 버튼(720)은 상황 정보 중 일반적인 경우(예를 들어, 위급 사태, 교통 체증, 사고, 긴급 구조 등)로서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으며, 특정 상황 정보 발생시에 해당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situation information input button 720 may be set as a default in the case of general situ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n emergency, a traffic jam, an accident, an emergency rescue, etc.), or may be designated by a user, and corresponds to a specific situation information occurrence. By selecting the button,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기능 선택 입력 버튼(730)은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 내에 저장되지 않은 지도 정보를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The function selection input button 730 is provided to request map information that is not stored in the user's location-based alarm device or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location-based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또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PDA 등의 외부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위치 또는 결합 장치가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상단, 하단 또는 측면에 구성되어질 수 있고,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예를 들어, 안테나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may have a combined position or a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puter PDA, etc., on the top, bottom or side of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and receives a position from a GPS satellite. It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for example, an antenna, etc.) for.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지점에 대한 위험 요소, 인공 장애물 등의 위험 정보를 해당 지점에 근접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신속하며, 편리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afe, fast and convenient location movement to a plurality of users by providing dangerous information such as risk factors and artificial obstacles to a specific point transmitted from a specific user to a plurality of users close to the corresponding point. You can do that.

또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이 특정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음성 또는 화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receive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pecific user and provide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또한, 복수의 사용자간에 특정 지점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함에 있어 고가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expensive equip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point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it is economical.

Claims (18)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the location bas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가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로 구분하는 단계;When the received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dividing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상기 상황 정보를 상기 위치와 상응하도록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상기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location of th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from th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of the user;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 정보 중에서, 상기 검색된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Retrieving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location from the stored at least one contextual information; 상기 검색된 상황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retrieved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위치와 상응하여 공유를 원하는 물적 정보, 인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The contextu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physic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that you want to shar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ation.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방법.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는,Searching for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location-based alarm device,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중에서,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이용할 때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를 검색하는 것Searching for a location that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using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location-based alarm device among at least one previously stored location;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방법.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복수의 위치 사이의 거리, 이동 방향, 이동 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할 수 있는 것At least on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ositions,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movement route can be considered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방법.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는,Th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PD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것Can be combined with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puter, a PDA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방법.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방법.Location-based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위치 기반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location-based alarm device, in order to shar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loc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from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user;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전송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to a form for transmission;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외부 장치,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n external device and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공유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도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Pre-store at least one map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미리 저장된 지도 중에서, 상기 수신한 위치와 상응하는 지도를 검색하는 단계;Searching for a ma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among pre-stored maps;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the searched map to a display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공유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The outputting of the searched map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상기 수신한 위치를 상기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Being able to display and output the received location on the map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공유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적어도 하나의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코드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Stor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iece of context information in advance;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 코드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상기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식별 코드를 검색하는 단계Searching for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tuation information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codes;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공유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외부 장치는,The external device,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것Transmitting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to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 real time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공유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통신망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receiv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first loc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a user's location based alarm devic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상기 수신한 제1 위치를 외부 장치,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received first location to at least one of an external device and a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상기 외부 장치, 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 기반 상황 정보-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는 제2 위치 및 제2 위치와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wherein th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cludes a second loc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ation; 상기 제2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상황 정보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도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Pre-store at least one map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미리 저장된 지도 중에서, 상기 수신한 제2 위치와 상응하는 지도를 검색하는 단계;Retrieving a ma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location from a pre-stored map;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the searched map to a display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검색된 지도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The outputting of the searched map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상기 지도상에,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각각 식별될 수 있도록 구분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Capable of distinguishing and outputting the first loc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so as to be identified on the map, respectively;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2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Output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ation, 상기 상황 정보를 경고음, 음성, 음향,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into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a voice, a sound, and an image; 상기 변환된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the converted situation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4, 상기 상황 정보는 미리 지정된 식별 코드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는 것The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code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인공 위성, 기지국,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At least one of satellites, base stations, and repeaters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이용 방법.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에 있어서,In the location-based alerting device to enable the sharing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위치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A loc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location of th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from a location providing device; 상황 정보의 대상 선택 입력, 외부 통신망을 통한 자료 송수신 작업을 수행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performing object selection input of context informa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외부 장치,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위치, 상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An external device,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t least one of location and situation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server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적어도 하나의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map; 텍스트 형태, 이미지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황 정보,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context information and a position in at least one of a text form and an image form; 음성, 음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황 정보,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Output uni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status information, the position to at least one of the voice and soun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경보 장치.Location-based alarm device comprising a.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coupled to the memory to execute the program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The processor by the program,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the location bas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가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위치와 상기 상황 정보로 구분하는 단계;When the received 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dividing the location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상기 상황 정보를 상기 위치와 상응하도록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상기 사용자의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location of th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from the location based alarm device of the user;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중에서, 상기 수신한 위치 기반 경보 장치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Retriev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ceived location-based alarm device from at least one previously stored location;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황 정보 중에서, 상기 검색된 위치와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Retrieving contex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location from the stored at least one contextual information; 상기 검색된 상황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경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retrieved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based alerting device.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장치.Location-bas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executing.
KR1020000065219A 2000-11-03 2000-11-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KR200200347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219A KR20020034726A (en) 2000-11-03 2000-11-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219A KR20020034726A (en) 2000-11-03 2000-11-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726A true KR20020034726A (en) 2002-05-09

Family

ID=1969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219A KR20020034726A (en) 2000-11-03 2000-11-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472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96B1 (en) * 2002-12-10 2005-05-17 안성훈 Telemeter for carry using gps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KR100620601B1 (en) * 2004-08-05 2006-09-19 주식회사 하이온콥 GPS communicat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74896B1 (en) * 2011-09-26 2018-07-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porting traffic inform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96B1 (en) * 2002-12-10 2005-05-17 안성훈 Telemeter for carry using gps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KR100620601B1 (en) * 2004-08-05 2006-09-19 주식회사 하이온콥 GPS communicat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74896B1 (en) * 2011-09-26 2018-07-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porting traffic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4080B1 (en) A group interaction system for interaction with other vehicles of a group
US8160815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al screen display
JPH115166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retrieving/delivering unit therefor
EP3441723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using messenger
JP2002022478A (en) Portable type gps receiver, navigator and navigation system
KR20110038635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CN101573591A (en) A navig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navigation device with emergency service access
JP2006145442A (en) Navigation system
JP4405449B2 (en) Navigation system,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JP2006344062A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roadside device
JP4133114B2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6778901B2 (en) Communication navigation system, communication navigation method, terminal unit,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KR2002003472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network
KR1005939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1316064A (en) In-vehicle device, recording medium, and notification method
KR100902477B1 (en) Method and Navig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Volume of Voice Guidance Message, and Navigation Service System therefor
KR20080107014A (en) Navig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JP2008058112A (en)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KR20090051340A (en) Method for finding path and navigation using the same
KR100501165B1 (en) Course Guiding Method in Navigation System
KR100774841B1 (en) System for providing load guide service by using roaming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JP2003042785A (en) Method for acquiring inverted path in communication type navigation
JP3173422B2 (en) Beacon position providing device
KR20090023976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of destination
KR20070101550A (en) Method for searching facilities of nav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