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207A - 스월 제어 밸브용 조정 장치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스월 제어 밸브용 조정 장치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207A
KR20020034207A KR1020027004226A KR20027004226A KR20020034207A KR 20020034207 A KR20020034207 A KR 20020034207A KR 1020027004226 A KR1020027004226 A KR 1020027004226A KR 20027004226 A KR20027004226 A KR 20027004226A KR 20020034207 A KR20020034207 A KR 2002003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swirl control
diagnosing
swir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182B1 (ko
Inventor
요한 그라프
로베르트 프롬
미하엘 헨
홍 장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2003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02B31/06Movable means,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8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 F02B31/085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having two inl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48Tumble motion in gas movement in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5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means for controlling swirl or tumble flow, e.g. by using swir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내연 기관의 흡기 트랙에 있는 스로틀 밸브의 하류에 배치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스월 제어 밸브가 특정 조정 거리에 의하여 상기 스로틀 제어 밸브의 흡기 트랙 하류에서의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초과 임계 작동 영역내에서의 작동되고, 상기 조정 거리에 의존하는 압력에서의 특정 도약이 상기 스로틀 밸브의 흡기 트랙 하류에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월 제어 배브의 작동 상의 결함이 진단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Description

스월 제어 밸브용 조정 장치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IAGNOSING THE ACTUATION OF A REGULATING DEVICE FOR A SWIRL CONTROL VALVE}
내연 기관에 있어서, 스월 제어 밸브로 명명되는 것은 주로 혼합기를 실린더에 충진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스월 제어 밸브는 인렛 밸브 앞의 에어 컬렉터(air collector)의 하류에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실린더의 두 개의 유입 덕트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는 보다 많이 폐쇄되거나 또는 보다 작게 폐쇄된다는 점에서 흡기의 유입 조건에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흡입 가스는 스월을 일으키며 실린더로 유입되고 상기 밸브가 상기 스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의 명칭이 "스월 제어 밸브(swirl control valve)"로 명명된다. 각각의 실린더는 각각의 스월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스월 제어 밸브는 커플링 링키지(coupling linkage)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 링키지 수단은 위치 피드백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조정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어, 제어 장치는 스월 제어 밸브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갖는다. 이러한 것이 요구되는 이유는 최근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수 많은 특성 다이어그램들도 스월 제어 밸브의 위치를 고려한다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스월 제어 밸브는 특히 배기 가스에 영향을 미치고 내연 기관이 작동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 기능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월 제어 밸브를 검사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여분의 센서와 같이 스월 제어 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보조 센서를 통상적으로 제공하여, DE 198 60 323 A1에서와 같이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 수정 기능, 특히 조정 장치의 작동 수정 기능 및 위치 피드백의 위치 신호 수정 기능을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커플링 링키지를 모니터링하는데 각각의 스월 제어 밸브에 개별적인 센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여분의 센서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JP 08074583 A는 내연 기관의 흡기 트랙에서의 스로틀 밸브 하류에 배치되는 스월 제어 밸브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상기 방법에서는 스월 제어 밸브가 조정된 후에 예를 들어 스월 제어 밸브의 하류의 압력 센서에 의하여 스월 제어 밸브가 개방되는 정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지하고, 여기서 얻은 압력 신호가 저장 설정치와 비교되고, 이러한 비교에 기초하여 스월 제어 밸브의 결함이 진단된다. 이와 같은 공지 기술은 이러한 진단이 행해지는 작동 조건을 특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분의 위치 센서가 요구되지 않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하는데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술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조작하면 내연 기관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매우 특정된 작동 범위에서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특정 변화를 일으킨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특정 제한 위치에 이르기 까지와 같은 특정 조정 경로(travel)에 의하여 스월 제어 밸브를 조정하는 경우,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급등한다. 흡인된 공기의 질량 유량은 스월 제어 밸브를 조작하는 것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내연 기관이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초과 임계 작동 범위(supercritical operating range) 내에 있는 경우 스월 제어 밸브를 조정하여도 내연 기관 부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월 제어 밸브 조정은 초과 임계 흡기 매니폴드 압력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초과 임계 영역은 그 자체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스로틀 밸브 하류에서의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대기압의 약 55%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초과 임계 영역이 생긴다. 상기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이러한 초과 임계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스로틀 밸브를 조정하여도 상기 부하는 급등하지 않는다.
스월 제어 밸브를 조정하여도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급등하지 않는다면, 조정 매커니즘에 문제가 있거나, 위치 피드백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어떠한 경우에도 존재하는 픽업(pickups)을 측정하여 스월 제어 밸브 작동 진단을 용이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흡기 매니폴드 압력은 내연 기관에서 감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흡기 매니폴드 압력 측정 장치와 같은 압력 측정 장치 모두에 포함되는 측정 오차가 차등 형성(formation of difference)에 의하여 소거된다.
물론, 특히 압력이 크게 급등하는 경우 상기 진단은 신뢰할 만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초과 임계 영역 내에서 압력이 크게 급등하는 특별한 영역을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 압력 급등은 상기 작동 시에 발생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조정 경로에 의존하기 때문에, 가능한한 큰 스월 제어 밸브 조정 경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우수한 개선점을 달성함에 있어서, 진단하고자 하는 스월 제어 밸브 조정 작동 전에 먼저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런 후에 최대 조정 경로가 현재 위치로부터 기인되는 방식으로 진단 조정 시에 제공되는 특정 제한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단이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실행된다는 점에 의하여 이러한 진단의 추가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스월 제어 밸브의 매우 특정된 위치는 내연 기관의 특정 작동 위상에 대하여 요구되는 것이므로, 먼저 제 1 진단에 대하여는 제어 장치에 의하여 사전 설정된 설정 위치로부터 특정 제한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이용되고, 그런 후에 제 2 진단에 대하여는 설정 위치로 되돌림 조정하는 것이 이용된다면, 중복하여 진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두 가지 장점이 달성되는데, 한편으로는 진단 시간 주기를 제외하고는 스월 제어 밸브용 제어 장치에 의하여 요구되는 설정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된다는 점이고,다른 한편으로는 진단에 사용될 수 있는 지름 상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스월 제어 밸브 조절 장치가 실행된다는 점이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가능한한 감지될 수 없을 정도로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정상 작동시에 발생하는 신호 또는 조정을 진단하는데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이유로, 내연 기관 작동 시 어떠한 경우에도 요구되는 스월 제어 밸브 작동과, 진단을 위하여 필요한 스월 제어 밸브 조정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떠한 경우에도 진단을 위하여 필요한 스월 제어 밸브 조정 경로가 진단을 위해 이용되도록 하는데, 특정 최소 조정 경로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하나의 유리한 개선에서 상기 진단이 실행된다. 스월 제어 밸브의 정상 작동 조건을 사용하는 개선의 장점에 있어서는, 실제로 요구되는 조정 경로를 적합하게 확대시킴으로써 내연 기관이 정상 작동하는 동안 제어 장치에 의하여 요구되는 제어 밸브 조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제어 장치에 의하여 실제로 요구되는 조정 경로가 신뢰할 만한 진단에 불충분한 경우에도 이로써 특정 적합 최소 조정 경로에 도달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개선에 있어서, 진단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 조정 경로에 도달될 때까지, 정상 작동시에 요구되는 제한 위치 이상으로 스월 제어 밸브가 조정된다.
대안적으로 스월 제어 밸브가 최소 또는 최대 개도에 근접하는 특정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만 진단을 트리거링시킴으로써, 진단에 필요한 최소 조정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위치 신호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이 때, 스월 제어 밸브가 최소 개도 또는 최대 개도로부터 벗어나서 대향하는 제한 위치의 방향으로 작동된다면, 최대 조정 경로가 얻어지고, 그리고 이후에 흡기 매니폴드에서의 압력이 최대로 상승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종속항에 기술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각각의 실린더에 대하여 스월 제어 밸브를 구비한 4기통 내연 기관의 블록 회로 선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내연 기관의 유입 밸브 전에 배치되며 스월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유입 모듈을 도시하고,
도 3은 진단 시의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시간 시퀀스를 도시하고,
도 4, 5 및 6은 진단 시퀀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4기통 스파크 점화 내연 기관(10)을 대략적으로 도시하는데, 여기서 실린더의 수는 중요하지 않다. 내연 기관(10)은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수용하는 배기 매니폴드(11)를 구비하고, 그리고 흡기 매니폴드(9)를 구비하는데, 상기 흡기 매니폴드를 통하여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한다. 흡기 매니폴드(9)의 하류에는 스로틀 밸브(8)가 있으며, 내연 기관을 람다-1-제어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스로틀 밸브로 부하를 제어한다. 스로틀 밸브(8)의 하류에는 공기 컬렉터(air collector, 7)가 있는데, 상기 공기 컬렉터는 각각의 실린더에 대하여 두 부분의 흡기 덕트(5, 6)으로 분리되며, 상기 공기 컬렉터에서 흡기 매니폴드 압력 픽업(intake manifold pressure pickup, 13)이 절대 압력을 감지한다.
부분 흡기 덕트(5 및 6)는 도 2에 도시된 플랜지 부분을 통하여 유입 밸브까지 덕트로 연결된다. 여기서, 스월 제어 밸브(1)는 각각의 부분 흡기 덕트(6)에 배치된다.
플랜지 부분(2)에 배치되는 이러한 스월 제어 밸브(1)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 각각의 부분 흡기덕트(6)를 폐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축(3)으로 구체화되고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에 의하여 구동되는 커플링 링키지에 스월 제어 밸브(1)가 장착된다. 축(3)이 회전함으로써 스월 제어 밸브(1)가 회전하고, 부분 흡기 덕트(6)를 보다 크게 해제시키거나 또는 보다 작게 해제시킨다.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는 위치 피드백(도시 안됨)을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드라이브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로 대응 위치 신호를 전달하는데, 상기 제어 장치는 명확함을 위하여 도시되지 않는다.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에 의하여 출력되는 위치 신호와, 그리고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의 작동, 커플링 링키지의 작동 및 그후에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은 액츄에이터 드라이브를 작동시키고 그런 후에 스월 제어 밸브(1)를 작동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는 도 3의 시간 t1에 도시된다. 스월 제어 밸브의 일정한 최소 조정 경로에 도달되는 만큼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가 작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흡기 매니폴드에서의 압력(P)이 상승하는데, 이는 도 3의 곡선에서 압력이 급등한다는 점에서 명백하다. 이러한 압력 급등 레벨은 조정 경로에 의존한다. 이는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를 진단하는 것을 허용한다. 위치 피드백에 의하여 도시되는 조정 경로로써 대응되는 압력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액츄에이터 드라이브 또는 커플링 링키지 또는 위치 피드백 중의 어느 것에 오류가 있는것이다.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에 의한 영향에는 무관하게 내연 기관(10)의 부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대기압의 55%보다 작은 경우와 같은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초과 임계 범위에서 상기 작동이 발생한다.
그래서, 진단을 위하여 초래되는 스로틀 밸브(1) 조정 후에, 예를 들어 내연 기관 작동을 위하여 원하는 원래의 스로틀 밸브 위치로 즉시 복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스로틀 밸브(1)는 후에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로 리셋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있어 시간(t2)에 발생한다. 이때 도시된 곡선(12)에서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 압력(p)은 원래 값으로 돌아간다.
일실시예로서,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되는데, S로 시작하는 도면 부호는 상기 진단 방법의 대응 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단계 S1에서 시작한다. 단계 S2에서는, 일정한 주위 조건(peripheral conditions)이 실행되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이 검사가 어떻게 일어나는가는 다음의 도 5에서 설명될 것이다.
주위 조건이 실행되는 경우(Y 분기), 단계 S3에서는 스로틀 밸브(1)의 개도각(α0)이 최대 개도 영역 내에 있는가 또는 최소 개도 영역 내에 놓여 있는가를 시험한다(단계 3에서 x와 y는 영에 인접한 값을 나타내며, 상기 x와 y 값은 어떠한 영역 또는 경로를 나타내는데, 개도각은 최소 또는 최대 개도각에 대하여 상기 영역 또는 경로 내에 있어야 한다). 만약 그러한 경우에(Y 분기의 경우), 단계 4에서개도각(α0)이 최대 개도 근처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단계 S3에서 만약 그렇지 않다면(N 분기의 경우), 스월 제어 밸브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이 진단에 필요한 충분한 조정 경로가 없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단계 S2의 앞으로 되돌아 간다. α가 최대 개도각에 인접하는 경우, 설정 값(αSP)으로는 0˚와 같은 최소 개도각이 선택된다(단계 S5). 만약 단계 S4에서의 결과가 개도각이 최소 개도각 근처에 있는 경우라면, 단계 S6에서는 설정값(αSP)으로서 90°와 같은 최대 개도각이 선택된다.
단계 S7에서는 흡기 매니폴드 압력(P)이 측정된다. 순차적으로 단계 S8에서는 위치 피드백에 의하여 알려진 개도각이 설정값(αSP)에 상응할 때까지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가 작동된다. 초과 임계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없는 경우, 점화 간섭에 의하여 부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단계 S9에서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재차 측정된다. 단계 S10에서의 판단 결과로서, 단계 S7과 단계 S9에서 측정된 흡기 매니폴드 압력 사이의 차이가 문턱값(SW1)보다 작은 경우(N 분기), 액츄에이터 드라이브 또는 이에 할당된 위치 피드백은 단계 S11에서 진단되고, 신호 마킹(PORT_ERR)이 설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Y 분기), 단계 S12에서 조정 장치의 작동 성능이 결정된다. 문턱값(SW1)은 고정되도록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α0- αSP|와 같은 조정 경로에 의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2에서 프로파일 조건을 검사하는 단계가 도 5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스월 제어 밸브 조정 경로가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도약에 할당될 수 있는 작동 범위가 존재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단계 S13에서는 람다-1-제어된 작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더욱이, 단계 S14에서는 흡기 매니폴드 압력과 대기압으로 구성된 압력비(PR)가 0.53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중요한 요인은 0.53이란 수치가 아니라,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초과 임계 영역(supercritical range)에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에는 0.53이 신뢰할만하지만, 그러나 흡기 매니폴드의 형상과 압력 측정 장치의 형상에 따라서 0.4 및 0.6 사이 값과 같은 다른 값들도 가능하다. 더욱이, 단계 S15에서는 내연 기관의 회전수(N)가 설정 회전 속도(N0)보다 높은지를 검사한다. 최종적으로, 단계 16에서는, 예를 들어 PORT_ERR가 1과 같지 않은지 여부와 같이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에서의 오류에 대하여 아무런 신호 마킹이 설정되지 않는지를 검사한다. 이미 선행 진단이 오류로 나왔다면, 마킹이 설정될 것이다.
단계 S13 내지 S16의 출력은 단계 S17에서 AND-링크되어 있다. 이것이 양의 출력을 나타내는 경우, 즉 단계 S13 내지 단계 S16의 모든 판단이 양인 경우라면(Y 분기), 단계 S2에서 필요한 주위 조건이 달성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는 상기 단계가 아니다(단계 2에서의 N 분기).
상기 방법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내연 기관이 정상 작동하는 동안 스월 제어 밸브의 요구 작동 결과로서 어떠한 경우에서도 발생되는 조정 경로를 진단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계 S18에서는 요구 조정 경로 또는 조정 각(Δα)이 문턱값(SW2)보다 큰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것이 큰 경우라면, 진단이 계속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시스템은 진단의 시작 단계로 다시 되돌아 간다.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회전 속도는 조정 경로와 압력에서의 도약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턱값(SW2)은, 문턱값(SW1)과 같이, 작동 파라미터에 의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만약 단계 S18에서의 판단이 양인 경우(Y-분기), 단계 S19에서는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측정된다. 이 경우, 단계 S20에서 액츄에이터 드라이브의 위치 피드백 신호가 αSP를 나타낼 때까지, 상응하여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드라이브(4)에 의하여 개도각(α)에 대한, 어떠한 경우에도 요구되는 설정치(αSP)가 설정된다. 이때, 단계 S21에서 흡기 매니폴드 압력이 다시 측정된다. 단계 S23에서의 판단 결과가 단계 S19 및 S21의 압력 차이로부터 얻어지는 압력 도약 (Δp)이 문턱값(SW1)보다 작다면, 단계 S24에서는 결함이 진단되고, 단계 S16에서는 신호 마킹(PORT_ERR)이 설정된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 S23에서 시스템은 작동 가능한 것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은 스월 제어 밸브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스월 제어 밸브의 위치를 지시하는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스월 제어 밸브 조정 장치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9)

  1. 내연 기관의 흡기 트랙에서의 스로틀 밸브 하류에 장착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스월 제어 밸브는 람다-1-제어된 작동 동안 스로틀 밸브의 흡기 트랙 하류에서의 흡기 매니폴드 압력의 초과 임계 작동 범위 내에서 사전 설정된 조정 경로에 의하여 작동되고, 조정 경로에 의존하는 압력에서의 특정 계단과 같은 변화가 상기 스로틀 밸브의 흡기 트랙 하류에서 발생하지 않는다면, 상기 스로틀 밸브의 작동에서 결함이 진단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월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월 제어 밸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조정 장치를 진단하기 위하여,
    a) 상기 위치 신호가 특정 제한 위치를 나타낼 때까지 상기 조정 경로에 의하여 상기 스월 제어 밸브를 조정하는 단계,
    b) 상기 조정의 이전과 이후에 상기 스월 제어 밸브와 상기 스로틀 밸브 사이의 상기 흡기 매니폴드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흡기 매니폴드 압력들 사이의 차이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차이가 특정 문턱값 이하 차이 강하인 경우에 조정 장치에서의 결함을 진단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스로틀 밸브가 최대 경로 이상으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한 위치가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스로틀 밸브의 현재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이 작동하는 시 요청되는 스로틀 밸브 조정 작동 동안 이 경우에 요청되는 조정 경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월 제어 밸브가 두번 작동되고, 그 후에 상기 스월 제어 밸브가 상기 제 1 작동 전의 상기 출력 위치에 다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가스 피드백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 엔진에서 상기 배기-가스 피드백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영에 가깝거나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특정 최소 회전 속도 이상에서만 상기 방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월 밸브가 상기 스월 밸브의 최소 또는 최대 개도각 부근의 특정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방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제어 밸브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KR1020027004226A 2000-08-01 2001-07-18 스월 제어 밸브용 조정 장치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KR100854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7511A DE10037511C1 (de) 2000-08-01 2000-08-01 Verfahren zur Diagnose der Verstellvorrichtung einer Drallklappe
DE10037511.1 2000-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207A true KR20020034207A (ko) 2002-05-08
KR100854182B1 KR100854182B1 (ko) 2008-08-26

Family

ID=765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226A KR100854182B1 (ko) 2000-08-01 2001-07-18 스월 제어 밸브용 조정 장치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4689B2 (ko)
EP (1) EP1252422B8 (ko)
KR (1) KR100854182B1 (ko)
DE (2) DE10037511C1 (ko)
WO (1) WO20020105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494B1 (ko) * 2006-08-02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스월밸브 제어방법
KR100774738B1 (ko) * 2006-12-06 2007-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월 제어 밸브
KR100811754B1 (ko) * 2006-10-10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스월 컨트롤 액츄에이터의 링키지 길이 및 각도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7566A1 (de) * 2002-12-10 2004-07-01 Adam Ope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Verbrennungsmotors mit Erkennung der Ladungsbewegungsklappenstellung
US6945226B2 (en) * 2003-03-04 2005-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ake manifold valve system, method, and diagnostic
EP1460254B1 (en) * 2003-03-21 2006-08-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diagnosing an indu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358699A1 (de) * 2003-12-15 2005-07-2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42930A1 (de) * 2005-09-09 2007-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ensorfreie Leerlaufdiagnose von Ladungsbewegungsklappen an einem Verbrennungsmotor
JP4259570B2 (ja) * 2006-11-13 2009-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ルブの異常判定装置、異常判定方法、その方法を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DE102008042513B4 (de) * 2008-09-30 2021-04-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r Justierung mehrerer mittels eines gemeinsamen Antriebs angetriebener Stellglieder in verschiedenen Massenstromkanälen
US9797329B2 (en) * 2014-11-07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diagnosing a vacuum actuator
JP6477765B2 (ja) * 2017-03-30 2019-03-06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2573C3 (de) * 1985-01-26 2002-04-2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Entlüftung von Kraftstofftanks
JP3209036B2 (ja) 1994-08-17 2001-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流制御装置
JPH0874583A (ja) * 1994-09-07 1996-03-19 Hitachi Ltd スワール制御弁の異常診断方法
JP3367280B2 (ja) * 1995-06-19 2003-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ワール制御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3594147B2 (ja) * 1995-10-31 2004-11-24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船舶推進機のエンジン制御装置
EP0886725B1 (de) 1996-03-15 1999-08-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modellgestützten bestimmen der in die zylinder einer brennkraftmaschine einströmenden frischluftmasse bei externer abgasrückführung
US6012431A (en) * 1996-06-03 2000-01-11 Nissan Motor Co., Ltd.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stimation apparatus for estimating pressure in intake and discharge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740918A1 (de) * 1997-04-01 1998-10-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Gasflusses über ein Drosselventil in einem Verbrennungsmotor
US6588261B1 (en) 1997-04-01 2003-07-08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determining the air entering the cylinder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supercharger
JPH11190218A (ja) * 1997-12-25 1999-07-13 Hitachi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494B1 (ko) * 2006-08-02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스월밸브 제어방법
KR100811754B1 (ko) * 2006-10-10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스월 컨트롤 액츄에이터의 링키지 길이 및 각도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74738B1 (ko) * 2006-12-06 2007-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월 제어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0564A1 (de) 2002-02-07
KR100854182B1 (ko) 2008-08-26
EP1252422A1 (de) 2002-10-30
DE10037511C1 (de) 2002-01-03
US6684689B2 (en) 2004-02-03
EP1252422B8 (de) 2006-06-14
EP1252422B1 (de) 2006-03-01
DE50109084D1 (de) 2006-04-27
US20020129646A1 (en)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467B1 (ko) 내연 기관의 흡입 시스템 진단 장치 및 진단 방법
US6687601B2 (en) System for diagnosing an air handling mechanis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532905B1 (ko) 내연 기관의 흡입관의 진단 방법 및 장치
RU25171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расходомера воздуха
US6135085A (en)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854182B1 (ko) 스월 제어 밸브용 조정 장치의 작동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
US4705001A (en) Device for controlling engine and method thereof
KR20100032389A (ko) 내연 기관의 동작 장치 및 방법
KR100538375B1 (ko) 내연 기관의 고장 검출 장치
JPH11107845A (ja) 内燃機関のためのエラー識別装置及び内燃機関の作動方法
US5554801A (en)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for a cylinder pressure sensor
CN104234847A (zh) 诊断egr系统的方法和利用该方法控制燃油喷射的方法
US7184881B2 (en) Method for diagnosing errors in an intake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variable intake manifold geometry
JPH07310585A (ja) 筒内圧センサの診断装置
US6714855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and/or regulating devic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781878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EP1541841B1 (en) Method for diagnosis of the faults in unit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ir supply system
JP4827758B2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故障診断装置
US776505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4507A (ja) 過給圧センサの診断装置
KR100422668B1 (ko) 차량의 맵 센서 고장시 공기량 제어방법
JP2000274299A (ja) 吸入空気量検出装置の故障診断装置
KR100929454B1 (ko) 내연 기관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H08312391A (ja) アクセル開度センサ故障診断方法
CN116182925A (zh) 节气门开度可信性的验证方法、发动机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1